KR20230001848U -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 Google Patents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48U
KR20230001848U KR2020220000647U KR20220000647U KR20230001848U KR 20230001848 U KR20230001848 U KR 20230001848U KR 2020220000647 U KR2020220000647 U KR 2020220000647U KR 20220000647 U KR20220000647 U KR 20220000647U KR 20230001848 U KR20230001848 U KR 202300018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shaped
cra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홍식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티 filed Critical (주)엠아이티
Priority to KR2020220000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848U/ko
Publication of KR20230001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48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자형 화구의 가스 토출 압력과 원형 화구의 가스 토출 압력을 모두 만족하는 공기 혼합부를 적용함으로써, 가스공급 방향 전환을 통해 U자형 화구와 원형 화구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A BURNER WITH SELECTABLE CRATER}
본 고안은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U자형 화구의 가스 토출 압력과 원형 화구의 가스 토출 압력을 모두 만족하는 공기 혼합부를 적용함으로써, 가스공급 방향 전환을 통해 U자형 화구와 원형 화구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탄 가스 또는 이소 가스를 이용한 휴대형 버너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면서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야외 취사 시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버너장치는 보통 그 용도에 따라 U자형 화구가 적용된 버너장치 또는 원형화구가 적용된 버너장치로 나뉘게 된다.
U자형 화구가 적용된 버너장치는 불꽃이 발생되는 포인트가 다수개인 대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전골팬이나 넓은 면적을 가지는 팬 등의 가열에 이용되며, 원형 화구가 적용된 버너장치는 비교적 작은 크기, 면적을 가지는 냄비 등을 열 손실없이 가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휴대형 버너장치의 경우, 취사 목적이나 조리 도구의 종류에 따라 U자형 화구가 적용된 버너장치나 원형화구가 적용된 버너장치를 각각 별개로 소지해야 했기에 그에 따른 번거로움과 비용부담이 발생되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73380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U자형 화구의 가스 토출 압력과 원형 화구의 가스 토출 압력을 모두 만족하는 공기 혼합부를 적용함으로써, 가스공급 방향 전환을 통해 U자형 화구와 원형 화구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는 버너 하우징(110),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U자형 화구(120), 상기 U자형 화구(1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원형 화구(130),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된 가스 용기와 연결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가스 용기에 충진된 가스가 상기 가스 용기로부터 배출 및 점화되도록 하는 점화용 밸브(140) 및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상기 가스 용기 내 가스가 상기 U자형 화구(120)와 연결된 가스 배관 또는 상기 원형 화구(130)와 연결된 가스 배관 중 어느 하나의 가스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 밸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자형 화구(120)는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중심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U자형 화구 몸체부(121) 및 상기 U자형 화구 몸체부(121)의 양측 말단부와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 후 공급된 가스와 외부 공기가 일부 혼합되도록 하여 상기 U자형 화구 몸체부(121)로 공급되는 가스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 혼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 화구(130)는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중심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 화구 몸체부(131) 및 상기 원형 화구 몸체부(131)와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 후 공급된 가스와 외부 공기가 일부 혼합되도록 하여 상기 원형 화구 몸체부(131)로 공급되는 가스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 혼합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 전환 밸브(150)는 상기 버너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가스 용기, 상기 U자형 화구(120) 및 상기 원형 화구(130)와 각각 연결되는 연결 허브(151), 내측에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 허브(151)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스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상기 U자형 화구(120) 또는 원형 화구(130) 중 어느 하나의 화구와 연결된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상기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와 연결되는 회전대(153) 및 상기 회전대(153)의 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대(153)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스위치(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허브(151)의 내측에는 상기 가스 용기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과 연결되며, 가스가 상기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로(151a), 상기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U자형 화구(120)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가스 배출로(151b) 및 상기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원형 화구(130)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가스 배출로(151c)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자형 화구(120)에는 상기 원형 화구(130)가 걸림 결합을 통해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60)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일측이 상기 U자형 화구(120)의 중심부에 거치되며, 기름받이용 용기가 안착 가능한 기름받이 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름받이 장치(170)는 상기 U자형 화구(12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기름받이 브라켓(171) 및 상기 기름받이 브라켓(171)과 연결되며, 기름받이용 용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용기 받침(172)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 하우징(110)은 상기 용기 받침(172)에 거치된 기름받이용 용기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당 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휘어진 음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U자형 화구의 가스 토출 압력과 원형 화구의 가스 토출 압력을 각각 만족할 수 있는 공기 혼합부를 적용함으로써, 취사 목적이나 조리 도구의 종류에 따라 화구를 자유자재로 변경하여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U자형 화구에 적용되는 공기 혼합부가 자연열에 의해 가온되도록 함으로써 가스 용기에 열이 전달되어 가스 소진시까지 동일 화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U자형 화구에 마련되는 거치수단에 상기 U자형 화구(120)에는 원형 화구 거치 및 설치가 가능한 거치수단이 마련됨에 따라, U자형 화구와 원형 화구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설계될 수 있어 가스법규에 의한 시험 검사에 적합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측에 안착된 팬의 기름토출 홀의 위치에 맞추어 기름받이용 용기(예를 들어, 종이컵 등)를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기름받이를 위해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거나 이를 위해 식탁 위에서 버너장치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U자형 화구(120) 및 원형 화구(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공기 혼합부(122)와 방향 전환 밸브(150)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방향 전환 밸브(1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향 전환 밸브(150)의 회전에 따른 ㄴ자 가스배관의 가스공급 방향이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거치수단(16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 장치(17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U자형 화구(120) 및 원형 화구(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100)는 크게 버너 하우징(110), U자형 화구(120), 원형 화구(130), 점화용 밸브(140) 및 방향 전환 밸브(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버너 하우징(110)은 후술되는 U자형 화구(120) 및 원형 화구(130)가 수용 및 배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특히 일측에는 점화용 밸브(140) 및 방향 전환 밸브(150)와 가스 용기가 수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버너 하우징(110)의 형상은 종래의 일반적인 버너 장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U자형 화구(120)는 버너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U자 형태로 형성된 U자형 화구 몸체부(121)와, U자형 화구 몸체부(121)의 일측에 연결되어 U자형 화구 몸체부(121)로 공급되는 가스 공급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 혼합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구 몸체부(121)는 버너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측으로는 불꽃이 노출되는 다수 개의 화수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가스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후술되는 점화용 밸브(140) 및 방향 전환 밸브(150)를 거쳐 공기 혼합부(122)로 우선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가스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가스 공급 압력은 일정하게 토출된다. 공기 혼합부(122)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내측 방향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가스 공급 압력을 낮춤으로써 U자형 화구 몸체부(121)에 최적화 된 가스 토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원형 화구(130)의 가스 토출 압력이 그대로 적용되는 경우, 가스 토출 압력이 너무 강하여 U자형 화구 몸체부(121)의 화구에서 배출되는 불꽃이 날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혼합부(122)는 이러한 가스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와 외부 공기를 일정하게 혼합시킨 후 U자형 화구 몸체부(121) 내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U자형 화구(120)에서 필요로 하는 적정 가스 토출 압력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 혼합부(122)는 U자형 화구(120)의 각 말단부와 연결되어, 해당 말단부로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일측은 방향 전환 밸브(150)로부터 연장되는 가스 배관과 연결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가스 및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공기 혼합부(122)의 두께는 가스와 공기가 적정하게 혼합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 및 두께를 가짐에 따라, 협소한 버너 하우징(110)의 공간 내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버너 하우징(110)의 사이즈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U자형 화구(120)의 중심부에는 후술되는 원형 화구(130)가 위치되는데, 이때 원형 화구(130)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U자형 화구(120)의 중심부는 원형 화구(130)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화구(130)는 앞서 살펴본 U자형 화구 몸체부(121)의 중심부에서 버너 하우징(110)의 중심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 화구 몸체부(131)와,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 후 가스 용기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와 혼합시켜 원형 화구 몸체부(131)로 공급되도록 하여 가스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 혼합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살펴본 U자형 화구(120)의 중심부에는 원형 화구(130)가 걸림 결합을 통해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16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6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거치수단(160)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거치수단(160)은 U자형 화구(12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원형 화구(130)가 하측으로 빠지거나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거치수단(160)이 U자형 화구(120)의 상부에 거치되는 형태일 경우, U자형 화구(120) 불꽃이 토출되는 구멍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거치수단(160)은 U자형 화구(120)의 양측 하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 화구(130)는 이러한 거치수단(160)에 안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거치수단(160)은 거치되는 원형 화구(130)가 U자형 화구(120)의 높이에 비해 높아지지 않도록, 바닥면에 최대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원형 화구(130)가 거치수단(160)에 거치되더라도 U자형 화구(120)와 높이 차이가 크게 나지 않게 된다.
점화용 밸브(140)는 버너 하우징(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수용된 가스 용기와 연결됨으로써 회전을 통해 가스 용기로부터 가스가 토출되도록 하고, 또한 U자형 화구(120)에 마련된 점화용 플러그 또는 원형 화구(130)에 마련된 점화용 플러그와 연결됨으로써 해당 화구에 스파크가 발생되도록 하여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점화용 밸브(140)는 회전 각도에 따라 가스 용기로부터 토출되는 가스 공급 압력이 달라지게 되며, 이를 통해 U자형 화구(120) 또는 원형 화구(130)의 불꽃 세기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점화용 밸브(140)는 U자형 화구(120) 또는 원형 화구(130) 중에서 후술되는 방향 전환 밸브(150)에 의해 선택되는 화구로 가스를 공급 및 점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실질적으로 U자형 화구(120) 또는 원형 화구(130)의 선택은 방향 전환 밸브(15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방향 전환 밸브(150)는 점화용 밸브(140)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가스 용기 내 가스가 U자형 화구(120)와 연결되도록 통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원형 화구(130)와 연결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방향 전환 밸브(15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향 전환 밸브(150)의 회전에 따른 ㄴ자 가스배관의 가스공급 방향이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방향 전환 밸브(150)는 버너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며, 가스 용기, U자형 화구(120) 및 원형 화구(130)와 각각 연결되는 연결 허브(151), 연결 허브(151)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가스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U자형 화구(120) 또는 원형 화구(130)를 향하도록 하는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와 연결되는 회전대(153) 및 회전대(153)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스위치(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 허브(151)는 내측으로 여러 갈래의 가스 공급 또는 가스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데, 이는 가스 용기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과 연결되며 가스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가스배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로(151a),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으로 유입된 가스가 U자형 화구(120)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가스 배출로(151b) 및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으로 유입된 가스가 원형 화구(130)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가스 배출로(151c)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허브(151) 내 가스 유입로(151a)는 가스 용기와 연결된 가스 배관과 일측이 연결되며, 연결 허브(151)의 중심부에 위치한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측에는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이 마련된다. 이러한 ㄴ자 형상의 가스 배관은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의 회전 동작에 맞추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예를 들어, ㄴ자 형상의 가스 배관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U자형 화구(120)로부터 연장된 가스 배관과 연결될 수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원형 화구(130)로부터 연장된 가스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의 일측은 회전대(153)와 연결되고, 회전대(153)는 다시 회전 스위치(154)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 스위치(154)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됨에 따라,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의 방향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을 기준으로 회전 스위치(15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이 원형 화구(130)를 향하게 되어 가스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원형 화구(130) 방향으로 공급되며, 회전 스위치(15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이 U자형 화구(120)를 향하게 되어 가스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U자형 화구(12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100)에 사용되는 구이용 팬 혹은 전골 팬에 마련된 기름토출 홀을 통해 토출되는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용 용기(예를 들어, 종이컵)를 거치할 수 있는 기름받이 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 장치(17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100)는 기름받이용 용기(예를 들어, 종이컵)를 거치할 수 있는 기름받이 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름받이 장치(170)는 크게 U자형 화구(120)의 중심부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연결되는 기름받이 브라켓(171)과, 기름받이 브라켓(171)에 연결되며 기름받이용 용기의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공간이 형성된 용기 받침(172)으로 구성된다.
기름받이 브라켓(171)은 일측이 U자형 화구(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U자형 화구(12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게 끼움 결합 방식을 통해 거치될 수도 있다.
용기 받침(172)은 일측이 기름받이 브라켓(171)과 연결되며, 기름받이용 용기(예를 들어, 종이컵)이 거치 혹은 안착됨으로써 이를 고정하게 된다. 용기 받침(172)에 거치 혹은 안착된 기름받이용 용기는 필요에 따라 용기 받침(172)으로부터 얼마든지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용기 받침(172)에 거치 혹은 안착된 기름받이용 용기는 구이용 팬 혹은 전골 팬에 마련된 기름토출 홀과 동일한 수직선 상의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버너 하우징(110)의 경우 기름받이용 용기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 7과 같이 일부 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휘어진 음각 형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110: 버너 하우징
120: U자형 화구
121: U자형 화구 몸체부
122: 공기 혼합부
130: 원형 화구
131: 원형 화구 몸체부
132: 공기 혼합부
140: 점화용 밸브
150: 방향 전환 밸브
151: 연결 허브
151a: 가스 유입로
151b: 제1 가스 배출로
151c: 제2 가스 배출로
152: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
153: 회전대
154: 회전 스위치
160: 거치수단
170: 기름받이 장치
171: 기름받이 브라켓
172: 용기 받침

Claims (8)

  1. 버너 하우징(110);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U자형 화구(120);
    상기 U자형 화구(1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원형 화구(130);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일측에 연결된 가스 용기와 연결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가스 용기에 충진된 가스가 상기 가스 용기로부터 배출 및 점화되도록 하는 점화용 밸브(140); 및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상기 가스 용기 내 가스가 상기 U자형 화구(120)와 연결된 가스 배관 또는 상기 원형 화구(130)와 연결된 가스 배관 중 어느 하나의 가스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 밸브(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화구(120)는,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중심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U자형 화구 몸체부(121); 및
    상기 U자형 화구 몸체부(121)의 양측 말단부와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 후 공급된 가스와 외부 공기가 일부 혼합되도록 하여 상기 U자형 화구 몸체부(121)로 공급되는 가스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 혼합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화구(130)는,
    상기 버너 하우징(110)의 중심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 화구 몸체부(131); 및
    상기 원형 화구 몸체부(131)와 연결되며, 외부 공기를 유입시킨 후 공급된 가스와 외부 공기가 일부 혼합되도록 하여 상기 원형 화구 몸체부(131)로 공급되는 가스 공급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 혼합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밸브(150)는,
    상기 버너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며, 상기 가스 용기, 상기 U자형 화구(120) 및 상기 원형 화구(130)와 각각 연결되는 연결 허브(151);
    내측에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 허브(151) 내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스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상기 U자형 화구(120) 또는 원형 화구(130) 중 어느 하나의 화구와 연결된 배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상기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와 연결되는 회전대(153); 및
    상기 회전대(153)의 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대(153)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스위치(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허브(151)의 내측에는,
    상기 가스 용기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과 연결되며, 가스가 상기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로(151a);
    상기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U자형 화구(120)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가스 배출로(151b); 및
    상기 회전형 가스공급 가이드(152) 내 ㄴ자 형상의 가스배관으로 유입된 가스가 상기 원형 화구(130)로부터 연장된 가스배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가스 배출로(151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화구(120)에는,
    상기 원형 화구(130)가 걸림 결합을 통해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수단(16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U자형 화구(120)의 중심부에 거치되며, 기름받이용 용기가 안착 가능한 기름받이 장치(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 장치(170)는,
    상기 U자형 화구(12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기름받이 브라켓(171); 및
    상기 기름받이 브라켓(171)과 연결되며, 기름받이용 용기가 고정되도록 하는 용기 받침(172);을 포함하고,
    상기 버너 하우징(110)은 상기 용기 받침(172) 상에 안착된 기름받이용 용기와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당 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휘어진 음각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KR2020220000647U 2022-03-14 2022-03-14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KR202300018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47U KR20230001848U (ko) 2022-03-14 2022-03-14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647U KR20230001848U (ko) 2022-03-14 2022-03-14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48U true KR20230001848U (ko) 2023-09-21

Family

ID=8819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647U KR20230001848U (ko) 2022-03-14 2022-03-14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84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80B1 (ko) 2018-06-29 2020-03-02 김주학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80B1 (ko) 2018-06-29 2020-03-02 김주학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03226T3 (es) Quemador de gas
RU2387923C2 (ru) Система газовой горелки для бытовых газовых плит и верхняя часть газовой плиты
US6102029A (en) Burner assembly for a gas barbecue grill
KR100927046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KR20230001848U (ko) 화구 선택이 가능한 버너장치
US2960157A (en) Gas burner
US6435173B1 (en) Combined burner and grate
AU2003289559B2 (en) Burner assembly for gas burners of radiant heating type
WO2015108425A1 (en) Stove
ES2316526T3 (es) Calentador de gas.
KR102105769B1 (ko) 부탄가스용 로스터
JP2001012709A (ja) コンロ用バーナ
JPH1068508A (ja) ガス調理器用赤外線ガスバーナー
KR100938200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09276020A (ja) こんろバーナ
KR102571265B1 (ko) 조리도구 쉐이킹 기능이 구비된 조리기기
KR102623252B1 (ko) 이중 화구를 갖는 휴대용 가스버너
JP7494560B2 (ja) 加熱調理装置
KR20110032119A (ko) 가스 그리들 장치
KR20230169723A (ko) 휴대용 버너
CA1288297C (en) Commercial storage water heater
KR20090039177A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JP2021180706A (ja) 加熱調理装置
KR20060031889A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KR100686007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