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177A -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177A
KR20090039177A KR1020070104663A KR20070104663A KR20090039177A KR 20090039177 A KR20090039177 A KR 20090039177A KR 1020070104663 A KR1020070104663 A KR 1020070104663A KR 20070104663 A KR20070104663 A KR 20070104663A KR 20090039177 A KR20090039177 A KR 20090039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ead
flame
upper body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9559B1 (ko
Inventor
공재철
Original Assignee
공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재철 filed Critical 공재철
Priority to KR102007010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5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의 크기(직경)를 크게 하여 화력을 증가시킨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의 크기(직경)를 크게 할 수 있도록 가스공급관으로부터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상부몸체의 하부면과 하부몸체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혼합가스 이동통로 상에 노즐을 형성시킨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이 연결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상측으로 설치되어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원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원주부분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이와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휴대용 가스렌지의 헤드에서 상기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도록 상부몸체의 하부면과 하부몸체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 상에 노즐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노즐은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와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와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3~8개의 공기배출관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공기배출관과 연설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4~6개의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배출구로 이루어진 3~8개의 제2화염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휴대용 가스렌지, 고화력, 헤드, 노즐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Head for high fire of portablegas range}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렌지의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의 크기(직경)를 크게 하여 화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가스공급관으로부터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상부몸체의 하부면과 하부몸체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혼합가스 이동통로 상에 노즐을 형성시킨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렌지(100)는 크게 몸체(1)와 화염이 발생하는 헤드(2)와 용기를 받치는 삼발이(3)와 (부탄)가스용기가 장착되는 가스 결합부(4)와 가스용기를 장착 및 탈착하는 가스장탈레버(6)와 가스량을 조절하는 조절레버(7)와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가스압력조정기(8)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2)는 가스압력조정기(8)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과 연설되어 있는 하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20)에 설치되는 상부몸체(1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휴대용 가스렌지(100)는 간편하게 이동하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식당의 식탁 위에 놓여져 음식을 가열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는 이동이 간편한 특징으로 인하여 여행/캠핑시 휴대하여 음식을 요리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제시되어 있는 휴대용 가스렌지는 화력이 강하지 못한 특징으로 인하여 음식을 요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현상이 있어 식당에서는 조리용이 아닌 가열용(음식을 데움)으로 보통 사용하며, 조리용으로 사용시 음식이 빨리 요리되어야 하는 면 종류의 음식의 경우 화력이 약하여 면이 퍼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휴대용 가스렌지의 화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헤드를 크기(지름)를 크게 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 량을 증가시켜 화염을 크게 하여 화력을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이 헤드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해서 가스압력조정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압력을 상승시켜야 하는데 가스압력조정기로부터 조정되는 압력을 높일 경우에는 가스의 효율이 떨어지거나,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가스렌지는 헤드의 외측인 원주면에서 화염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내측의 화염은 약해 요리용기의 외측부분만 집중적으로 가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가스렌지는 사용시 바람이 불 경우, 바람으로 인하여 헤드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다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혼합가스의 이동통로를 따라 역행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화염이 꺼지는 단점이 발 생한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발명된 것으로, 가스압력조정기로부터 압력이 조정되어 공급되는 (부탄)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의 압력을 높이지 않고 헤드의 크기(직경)를 크게 제공할 수 있도록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이동통로 상에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압력강하시키는 노즐을 설치한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헤드의 크기가 증가됨으로써 헤드의 내측에 제2화염부와 제3화염부를 형성시켜 내측에서도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이 연결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상측으로 설치되어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원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원주부분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이와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휴대용 가스렌지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이동하도록 상부몸체의 하부면과 하부몸체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혼합가스의 이동통로 상에 노즐을 형성하여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압력을 강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혼합가스가 이동하는 상부몸체의 하부면과 하부몸체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 상에서 압력강하가 발생함으로써 가스배출구를 통하여 배 출되는 혼합가스를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노즐은 외적(바람 등) 영향에 의하여 역류하는 혼합가스를 역류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노즐은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와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부몸체의 상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와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3~8개의 공기배출관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공기배출관과 연설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4~6개의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배출구로 이루어진 3~8개의 제2화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2화염부의 내측으로 4~10개의 가스배출구를 더 형성하여 제3화염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스배출구와 공기배출구는 배출구의 단면적이 하측은 좁고 상측은 넓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이중 1개 또는 2개가 다른 이보다 작게 형성한다.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이는 60~70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는 가스압력조정기로부터 조절되는 압력의 변화없이 헤더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헤더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화염부를 크게 형성하거나 다수개의 화염부를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2화염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됨으로써 제2화염부의 화염을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으며, 제1화염부의 화염이 외측으로 확산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2화염부가 요리용기의 내측을 가열함으로써 요리용기의 내측과 외측을 가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부몸체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들 중 1~2를 작게 형성하여 이 부분으로 배출되는 혼합가스량을 많게 하여 점화시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보통 휴대용 가스렌지(100)는 크게 몸체(1)와 화염이 발생하는 헤드(2)와, 상기 헤드(2)의 상측에 음식용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삼발이(3)와, 일회용 (부탄)가스용기가 장착되는 가스 결합부(4)와, 가스용기를 장착 및 탈착하는 가스장탈레버(6)와, 상기 헤드(2)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조절레 버(7)와, 가스용기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가스압력조정기(8)로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용 가스렌지(100)에서 헤드(2)는 도2 와 도 3과 같이 크게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다수의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상부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0)가 설치되는 하부몸체(20)와, 상기 하부몸체(2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30)으로 구성된다.
도 11과 도 12와 같이 상기 가스공급관(30)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상부몸체(10)의 하부면(10b)과 하부몸체(20)의 상부면(20a)으로 형성되는 이동통로(40)를 통하여 후설되는 각각의 가스배출구들을 통하여 배출된다.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상부몸체(10)는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제1, 제2, 제3 화염부(11, 12, 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제2, 제3 화염부(11, 12, 13)는 각각의 다수개의 가스배출구들로 형성된다.
상기 제1화염부(11)는 원판형태로 형성된 상부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몸체(10)의 하측면(10b)의 외측에 다수개의 이(11b)가 형성되어 가스배출구(11a)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11b)는 60~70개로 형성되되, 가장 바람직하게는 68개로 형성한다.
상기 제2화염부(12)는 도 4와 같이 중앙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2b)와, 상기 공기배출구(12b)를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4~6개의 가스배출구(12a)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제2화염부(12)는 상부몸체(10)의 상부면(10a)에 등간격으로 3~8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2화염부(12)는 도면과 같이 중앙의 공기배출구(12b)를 5개의 가스배출구(12a)로 이루어진 것을 상부몸체(10)에 4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화염부(13)는 상부몸체(10)의 상부면(10a)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화염부(12)의 내측으로 4~10개의 가스배출구(13a)로서 형성된다.
도 8과 같이 상기 상부몸체(10)의 하측면(10b)의 외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이(11b)들 중 1~2개의 이(11b')를 다른 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곳을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량을 많게 한다. 상기 이(11b')는 다른 이(11b)들 보다 길이와 높이를 작게 하여 다른 이(11b)들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으로, 이(11b')는 다른 이(11b)들의 높이보다 0.6~0.9㎜를 작게 형성하며, 다른 이(11b)들의 길이보다 1~2㎜를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혼합가스의 배출량을 다른 곳보다 많게 하여 이곳에 점화장치를 설치하여 점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스배출관(12a, 13a)들은 입구는 좁고 배출구는 넓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상부몸체(10)의 하부면(10b)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중앙부분은 평평하게 평면부(10b-1)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10b-1)와 이(11b) 사이의 외측에는 홈을 형성하여 공간부(10b-2)를 형성한다.
상기 평면부(10b-1)는 후설되는 하부몸체(20)의 상부면(20a)와 함께 혼합가스가 이동하는 이동통로(4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면(20a)에 형성된 돌기(42)와 함께 노즐(41)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10b-2)는 노즐(41) 통하여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확산되어 제1화염부(11)와 제2화염부(12)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화염부(11)와 제2화염부(12)에 형성된 각각의 가스배출구(11a, 12a)들은 상기 노즐(41)를 통하여 공급된 혼합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10b-2)에 가스배출구(11a, 12a)들의 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가스배출구(11a, 12a)들은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하측)보다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상측) 쪽으로 갈수록 점점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보통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지름은 1.2~1.5㎜이고, 배출구의 지름은 2~2.5㎜가 적당하다.
상기 하부몸체(20)는 도 3과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홀(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21)의 외측의 상부면(20a)에는 원형으로 돌기(4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42) 외측에는 전술된 상부몸체(10)에 형성되어 있는 제2화염부(12)의 공기배출구(12b)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공기배출관(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20)의 상부면(20a)은 상부몸체(10)의 하부면(10b)과 혼합가스의 이동통로(4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단을 지도록 형성된다.
도 9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의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와 가스공급관(30)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스공급관(30)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상부몸체(10)의 하부면(10b)과 하부몸체(20)의 상부면(20a)으로 형성된 이동통로(40)를 통하여 이동하며, 상기 이동통로(4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노즐(41)을 통해 공간부(10b-2)로 공급되어 제1화염부(11)와 제2화염부(12)의 각 가스배출구(11a, 12a)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제1, 제2화염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몸체(20)에 형성된 공기배출관(22)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2화염부(12)의 가스배출구(12a)를 통하여 배출되는 혼합가스가 안정적으로 연소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또한 상기 제2화염부(12)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하여 제1화염부(11)의 화염이 외측으로 확산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일 상기 공기배출관(22)이 형성되지 않을 시에는 제2화염부(12)의 가스배출구(12a)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는 공기부족으로 인하여 연소가 잘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2와 같이 노즐(41)은 상부몸체(10)의 하부면(10b)에 돌기(42)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42)와 하부몸체(20)의 상부면(20a)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가스렌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의 상부몸체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의 상부몸체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의 상부몸체에 대한 저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의 상부몸체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에 대한 분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부분에 대한 부분상세도.
도 12는 도 10의 A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헤드
10 : 상부몸체 10a : 상부면
10b : 하부면 10b-1 : 평면부
10b-2 : 공간부 11 : 제1화염부
12 : 제2화염부 13 : 제3화염부
11a, 12a, 13a : 가스배출구 11b, 11b' : 이
12b : 공기배출구
20 : 하부몸체 20a : 상부면
21 : 결합홀 22 : 공기배출관
30 : 가스공급관
40 : 이동통로 41 : 노즐
42 : 돌기

Claims (8)

  1.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이 연결된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상측으로 설치되어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를 원주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원주부분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이와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휴대용 가스렌지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이동하는 상부몸체의 하부면과 하부몸체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 상에 노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와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돌기와 하부몸체의 상부면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에는 공기가 공급되는 3~8개의 공기배출관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공기배출관과 연설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4~6개의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배출구로 이루어진 3~8개의 제2화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염부의 내측으로 4~10개의 가스 배출구를 더 형성하여 제3화염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구에서 배출구의 지름은 하측은 작고 상측은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이중 1개 또는 2개가 다른 이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이는 60~70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KR1020070104663A 2007-10-17 2007-10-17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KR10101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663A KR101019559B1 (ko) 2007-10-17 2007-10-17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663A KR101019559B1 (ko) 2007-10-17 2007-10-17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177A true KR20090039177A (ko) 2009-04-22
KR101019559B1 KR101019559B1 (ko) 2011-03-08

Family

ID=4076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663A KR101019559B1 (ko) 2007-10-17 2007-10-17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12B1 (ko) * 2014-01-29 2016-03-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
KR102073380B1 (ko) * 2018-06-29 2020-03-02 김주학 가스버너용 멀티화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385Y1 (ko) * 1995-03-31 1999-03-20 배순훈 가스렌지용 버너몸체와 버너헤드의 결합구조
KR200297778Y1 (ko) 2002-08-30 2002-12-11 송필용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KR100500544B1 (ko) * 2003-02-26 2005-07-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캡 결합구조
KR101093299B1 (ko) * 2004-11-04 2011-12-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조리기용 버너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559B1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7684B (zh) 气体燃烧器
ES2389998T3 (es) Encimera de cocción con quemador de gas mejorado
US6322354B1 (en) Stacked dual gas burner
US7527495B2 (en) Cooperating bridge burner system
US10145568B2 (en) High efficiency high power inner flame burner
EP3343104B1 (en) Distributed vertical flame burner
BRPI0703890A2 (pt) queimador para fogões a gás, configuracão de queimadores, método para controlar um conjunto de queimadores e porta para passagem de uma chama em um queimador
EP0797048A1 (en) Gas burner for kitchen appliances
US6439881B2 (en) Spiral-shaped atmospheric gas burner
CN109185883B (zh) 内环火盖、燃烧器及燃气灶
KR101019559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KR200332814Y1 (ko)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구조
US20060154193A1 (en) Advanced commercial range burner
US11098890B2 (en) Thin premixed atmospheric domestic burner
RU2295090C2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с раздельным питанием корон пламени
KR200210405Y1 (ko) 다중벤츄리관과 버너헤드가 착탈자재하게 되는 난방 및주방용가스버너구조
JP4415167B2 (ja) ガスコンロ
CN216769411U (zh) 分气座、燃烧器及燃气灶
CN219014310U (zh) 用于燃气灶的燃烧器的火盖、燃气灶的燃烧器以及燃气灶
KR20190123130A (ko) 가스레인지 화력 보호 장치
CN219014309U (zh) 用于燃气灶的燃烧器的火盖、燃气灶的燃烧器以及燃气灶
KR200146271Y1 (ko) 가스렌지용 버너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31

Effective date: 201101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