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712B1 -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 - Google Patents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712B1
KR101601712B1 KR1020140011230A KR20140011230A KR101601712B1 KR 101601712 B1 KR101601712 B1 KR 101601712B1 KR 1020140011230 A KR1020140011230 A KR 1020140011230A KR 20140011230 A KR20140011230 A KR 20140011230A KR 101601712 B1 KR101601712 B1 KR 10160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portion
burner
burner head
engag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511A (ko
Inventor
김지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7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 복수의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버너헤드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버너캡의 저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를 형상 변형시켜 이 형상 변형된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제1, 2결합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픽셔를 삭제하는 대신 버너헤드에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버너캡에 오목홈 또는 관통공 형상의 제2결합부를 마련하여, 이 제2결합부로 삽입되거나 관통된 제1결합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제1, 2결합부 간의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픽셔 삭제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작업 공수가 대폭 축소되어 그 결과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픽셔의 삭제에 의해 전반적으로 조립 공정에서 누적공차가 대폭 축소되도록 하여 그 결과 조립 과정 중 점화부의 정위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에 따라 연소영역 확대에 의한 점화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Method for combining of burner head and burner cap and the burner}
본 발명은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너헤드에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버너캡에 오목홈 또는 관통공 형상의 제2결합부를 마련하여, 이 제2결합부로 삽입되거나 관통된 제1결합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제1, 2결합부 간의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버너는 가스연료를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고온의 화염을 얻기 위한 장치로서, 가정용 풍로에 사용되는 소규모의 가정용 버너에서부터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 쓰이는 대규모의 공업용 버너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일례로 종래 기술의 가스버너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혼합관의 상단 테두리에 배치되고 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를 갖는 버너바디와, 상기 버너바디의 중앙 관통부를 통해 상기 혼합관 내로 그 하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하단부 내, 외측으로 각각 공기유로와 가스유로를 형성하고 그 상단부가 상기 버너바디 상단 테두리부에 얹혀지며 그 상단부 저면 테두리 전체를 따라 복수의 염공이 마련된 버너헤드 및 상기 버너헤드의 상방에 배치되는 버너캡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가스버너는 혼합관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가스가 버너바디와 버너헤드 사이의 염공을 통해 분출되면서 화염을 발생시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스버너 중 버너헤드와 버너캡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 버너캡이 버너헤드에 안착되어 있는 구조가 있는가 하면, 이와 반대로 버너헤드와 버너캡이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일체형 구조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 중에서 일례로 종래 기술의 버너헤드(1)와 버너캡(2) 일체형 가스버너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버너헤드(1)와 버너캡(2)의 사이에 별도의 픽셔(3)를 개재시켜 이 픽셔(3)를 통해 상기 버너헤드(1)와 버너캡(2)이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즉, 상기 버너캡(2)의 저면부에 용접방식으로 픽셔(3)를 고정하고, 이 픽셔(3)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3a)를 상기 버너헤드(1)의 삽입공(1a)으로 삽입 고정함으로써, 상기 버너헤드(1) 상방에 버너캡(2)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버너헤드(1)와 버너캡(3) 일체형 구조는 기본적으로 픽셔(3)가 개재되기 때문에 부품 추가에 따른 비용 부담 및 작업 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픽셔(3)의 개재에 의해 전반적으로 조립 공정에서 누적공차가 많이 발생하게 되면서 그 결과 조립 과정 중 점화부가 정위치에서 벗어나게 될 우려가 있고 이에 따라 점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KR 2001-009589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픽셔를 삭제하는 대신 버너헤드에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버너캡에 오목홈 또는 관통공 형상의 제2결합부를 마련하여, 이 제2결합부로 삽입되거나 관통된 제1결합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제1, 2결합부 간의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픽셔 삭제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작업 공수가 대폭 삭감되게 하여 그 결과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픽셔의 삭제에 의해 전반적으로 조립 공정에서 누적공차가 대폭 축소되도록 하여 그 결과 조립 과정 중 점화부의 정위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에 따라 연소영역 확대에 의한 점화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은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 제1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너헤드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버너캡의 저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결합부를 형상 변형시켜 이 형상 변형된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제1, 2결합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버너캡의 테두리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홈 형상으로 되어, 상기 버너캡의 버너헤드로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가 상기 오목홈 형상인 제2결합부로 삽입과 동시에 이 제2결합부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 내에서 맞물려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하방이 넓고 상방이 좁은 하광상협 오목홈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결합부는 상방이 상기 제2결합부의 하단 직경보다 좁아서 상기 제2결합부로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고 그 하방이 상기 제2결합부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부로의 제1결합부 압입시 이 제1결합부의 하방이 뭉개지면서 상기 제2결합부 내로 삽입되는 동시에 맞물리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버너캡의 테두리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 형상으로 되어, 상기 버너캡을 버너헤드로 안착시켜 상기 제1결합부가 제2결합부로 관통되도록 한 후 버너캡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제1결합부의 상단부를 가공에 의해 넓게 펴지도록 하여 상기 제2결합부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중앙부에 받침턱을 마련하여 상기 버너헤드로의 버너캡 안착시 상기 버너캡의 저면이 상기 버너헤드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는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버너헤드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버너캡의 저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를 형상 변형시켜 이 형상 변형된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에 맞물리면서 상기 제1, 2결합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버너캡의 테두리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홈 형상으로 되어, 상기 버너캡의 버너헤드로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가 상기 오목홈 형상인 제2결합부에 삽입과 동시에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 내에서 맞물리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버너캡의 테두리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 형상으로 되어, 상기 버너캡을 버너헤드로 안착시켜 상기 제1결합부가 제2결합부로 관통되도록 한 후 버너캡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제1결합부의 상단부가 가공에 의해 넓게 펴진 걸림부가 되어 상기 제2결합부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의 중앙부에 상기 버너헤드로의 버너캡 안착시 상기 버너캡의 저면이 상기 버너헤드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턱이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는 픽셔를 삭제하는 대신 버너헤드에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버너캡에 오목홈 또는 관통공 형상의 제2결합부를 마련하여, 이 제2결합부로 삽입되거나 관통된 제1결합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제1, 2결합부 간의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픽셔 삭제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작업 공수가 대폭 축소되어 그 결과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픽셔의 삭제에 의해 전반적으로 조립 공정에서 누적공차가 대폭 축소되도록 하여 그 결과 조립 과정 중 점화부의 정위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에 따라 연소영역 확대에 의한 점화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의 버너헤드와 버너캡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제1, 2결합부가 맞물리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제1, 2결합부가 물린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제1, 2결합부가 맞물리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의 제1, 2결합부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버너는 버너헤드(10)의 상단 테두리에 복수의 제1결합부(11,12)가 마련되고,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버너캡(20)의 저면에 상기 제1결합부(11,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제2결합부(21,22)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11,12)를 형상 변형시켜 이 형상 변형된 제1결합부(11,12)가 상기 제2결합부(21,22)에 맞물리면서 상기 제1, 2결합부(11,12,21,22)가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결합부(11)는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부(21)는 상기 버너캡(20)의 테두리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홈 형상으로 되어, 상기 버너캡(20)의 버너헤드(10)로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11)가 상기 오목홈 형상인 제2결합부(21)에 삽입과 동시에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21) 내에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결합부(21)는 하방이 넓고 상방이 좁은 하광상협의 원추형 오목홈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결합부(11)는 상방이 상기 제2결합부(21)의 하단 직경보다 좁아서 상기 제2결합부(21) 내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고 그 하방이 상기 제2결합부(21)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추형 구조로 되어, 상기 제2결합부로(21)의 제1결합부(11) 압입시 이 제1결합부(11)의 상단부는 제2결합부(21)로 삽입되지만 상대적으로 대직경 구조인 제1결합부(11)의 하방은 비교적 소직경 구조인 제2결합부(21)의 테두리에 걸린 상태에서 계속적인 가압에 의해 뭉개지면서 상기 제2결합부(21) 내로 삽입된 후 최종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결합부(12)는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돌기 형상으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부(22)는 상기 버너캡(20)의 테두리 중 일정부위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 형상으로 되어, 상기 버너캡(20)을 버너헤드(10)로 안착시켜 상기 제1결합부(12)가 제2결합부(22)로 관통되도록 한 후 버너캡(20)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제1결합부(12)의 상단부가 가공에 의해 넓게 펴진 걸림부(12a)가 되어 상기 제2결합부(22)의 상단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2)의 중앙부에 상기 버너헤드(10)로의 버너캡(20) 안착시 상기 버너캡(20)의 저면이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받침턱(12b)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돌기 형상을 갖는 제1결합부(11,12)는 제2결합부(21,22)로의 결합을 위해 단조 가공이나 또는 가압 과정시 원활하게 펴지거나 뭉개질 수 있도록 하는 청동 재질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버너의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버너헤드(10)의 상단 테두리에 제1결합부(11,12)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버너캡(20)의 저면에 상기 제1결합부(11,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결합부(21,22)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결합부(11,12)를 형상 변형시켜 이 형상 변형된 제1결합부(11,12)가 상기 제2결합부(21,22)에 맞물리면서 상기 제1, 2결합부(11,12)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상기 버너헤드(10)와 버너캡(20)이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21)가 상기 버너캡(20)의 테두리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하방이 넓고 상방이 좁은 하광상협 원추형 오목홈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결합부(11)는 상방이 상기 제2결합부(21)의 하단 직경보다 좁아서 상기 제2결합부(21)로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고 그 하방이 상기 제2결합부(21)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원추형 돌기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들의 결합시 상기 제2결합부(21)내로 상기 제1결합부(11)를 가압(압입)하게 되면 이 소직경 구조의 제1결합부(11) 상방은 이에 비해 대직경 구조인 제2결합부(21) 하단을 통과하여 그 내부로 삽입되는 반면 상기 대직경 구조인 제1결합부(11) 하단부는 이에 비해 소직경 구조인 제2결합부(21)의 하단 테두리에 걸리게 되며 이 상태에서 버너헤드(10)와 버너캡(20) 서로 간의 계속적인 가압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제1결합부(11)의 하방이 뭉개지면서 상기 제2결합부(21) 내로 삽입되는 동시에 이 뭉개진 부분이 상기 제2결합부(21)의 오목홈 내주면과 맞물리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12)는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돌기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부(22)는 상기 버너캡(20)의 테두리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버너캡(20)을 버너헤드(10) 상으로 안착시켜 상기 버너캡(20)의 저면이 상기 제1결합부(12) 중앙의 받침턱(12b)에 안착되어 상기 버너헤드(1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1결합부(12)를 제2결합부(22)로 관통시켜 상기 버너캡(20)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제1결합부(12)의 상단부를 가공(예컨대, 압입 또는 단조가공 등)에 의해 넓게 펴진 형상의 걸림부(12a)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결합부(22)의 상단 테두리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버너캡(20)의 관통공 상, 하단 테두리에 상기 버너헤드(10)의 걸림부(12a)와 받침턱(12b)이 밀착 맞물림되면서 서로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는 픽셔를 삭제하는 대신 버너헤드에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를 마련하고 이에 대응되는 버너캡에 오목홈 또는 관통공 형상의 제2결합부를 마련하여, 이 제2결합부로 삽입되거나 관통된 제1결합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제1, 2결합부 간의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픽셔 삭제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작업 공수가 대폭 축소되어 그 결과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픽셔의 삭제에 의해 전반적으로 조립 공정에서 누적공차가 대폭 축소되도록 하여 그 결과 조립 과정 중 점화부의 정위치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면서 이에 따라 연소영역 확대에 의한 점화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버너헤드 1a : 삽입공
2 , 20 : 버너캡 3 : 픽셔
3a : 결합돌부 11, 12 : 제1결합부
12a : 걸림부 12b : 받침턱
20 : 버너캡 21, 22 : 제2결합부

Claims (7)

  1.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 상기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제1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너헤드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버너캡의 저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하게 상기 버너캡의 테두리 저면에서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버너캡의 버너헤드로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가 상기 오목홈 형상인 제2결합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 내에 맞물려 상기 제1, 제2결합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하방이 넓고 상방이 좁은 하광상협 오목홈 구조로 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결합부는 상방이 상기 제2결합부의 하단 직경보다 좁아서 상기 제2결합부로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고 그 하방이 상기 제2결합부의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부로의 제1결합부 압입시 이 제1결합부의 하방이 뭉개지면서 상기 제2결합부 내로 삽입되는 동시에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4. 삭제
  5.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 상기 버너헤드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기 형상의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버너헤드의 상방을 덮어씌우는 버너캡의 테두리 저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하게 상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버너캡의 버너헤드로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돌기 형상인 제1결합부가 상기 오목홈 형상인 제2결합부에 삽입과 동시에 형상이 변형되면서 상기 제2결합부 내에서 상기 제1, 제2결합부가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6. 삭제
  7. 삭제
KR1020140011230A 2014-01-29 2014-01-29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 KR10160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30A KR101601712B1 (ko) 2014-01-29 2014-01-29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30A KR101601712B1 (ko) 2014-01-29 2014-01-29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11A KR20150090511A (ko) 2015-08-06
KR101601712B1 true KR101601712B1 (ko) 2016-03-09

Family

ID=5388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230A KR101601712B1 (ko) 2014-01-29 2014-01-29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7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311A (ja) * 2003-11-26 2005-06-16 Lion Office Products Corp ファイル用綴じ具の取付構造
KR101019559B1 (ko) * 2007-10-17 2011-03-08 공재철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90A (ko) 2000-04-12 2001-11-07 구자홍 가스버너
KR100500544B1 (ko) * 2003-02-26 2005-07-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캡 결합구조
KR101241124B1 (ko) * 2010-12-14 2013-03-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311A (ja) * 2003-11-26 2005-06-16 Lion Office Products Corp ファイル用綴じ具の取付構造
KR101019559B1 (ko) * 2007-10-17 2011-03-08 공재철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11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554B2 (en) Combination of a screw member, a washer and a sleeve and also a method of producing such a combination
US9172216B2 (en) Prechamber sparkplug
CN104040284B (zh) 气体发生器
WO2016088182A1 (ja) 雌スナップボタンの上部構造体、雌スナップボタン及び生地への雌スナップボタンの取付方法
JP2011144768A (ja) 直噴エンジン用高圧燃料デリバリ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61615A (ja) ガス燃料用バーナーとその製造方法
KR101601712B1 (ko) 버너헤드와 버너캡 결합방법 및 그 버너
JP2015031468A (ja) 加熱調理器
EP2942564B1 (en) Gas burner
US6428313B1 (en) Side shot burner
JP5373842B2 (ja) コンロ用バーナ
WO2016096040A1 (en) Burner cap for use in a gas burner assembly
EP3441669B1 (en) Improved orifice holder construction
CN107074188A (zh) 气体发生器
JP2018127115A (ja) ガス発生器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JP2012247031A (ja) 隠し表示の識別方法
JP2012247031A6 (ja) 組み立て連結具
JP6806037B2 (ja) インジェクタの取付構造
JP2017036563A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JP2014163636A (ja) コンロ用バーナ
JP6530190B2 (ja) 二重筒体
KR101193276B1 (ko) 플레이트식 버너
US6106280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lighter nozzle cap
JP5861671B2 (ja) 内燃機関用のスパークプラグ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