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778Y1 -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778Y1
KR200297778Y1 KR2020020025952U KR20020025952U KR200297778Y1 KR 200297778 Y1 KR200297778 Y1 KR 200297778Y1 KR 2020020025952 U KR2020020025952 U KR 2020020025952U KR 20020025952 U KR20020025952 U KR 20020025952U KR 200297778 Y1 KR200297778 Y1 KR 200297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ame
burner
burner head
agglom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필용
Original Assignee
송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필용 filed Critical 송필용
Priority to KR2020020025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778Y1/ko

Links

Landscapes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너 헤드의 중앙부에 Co2배출량은 법적규정에 준하며, 가스의 배출량은 증대되어 추가적인 화염응집을 취할 수 있는 헤드 연공을 형성하여 주어 음식용기의 저면 중앙부위를 좀더 집중적으로 가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가스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 서포트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는 버너 서포트를 통하여 기화된 가스를 사방으로 방사하는 다수의 가스 분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내측으로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에 내측으로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화염공이 구비된 다수의 화염응집군이 형성되어 있는 버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염응집군의 사이에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헤드 연공을 추가로 구성하여 주어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구조{Burner head structure of portable gas range}
본 고안은 가스의 완전연소를 통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 헤드의 중앙부에 Co2배출량은 법적규정에 준하며, 가스의 배출량은 증대되어 추가적인 화염응집을 취할 수 있는 헤드 연공을 형성하여 주어 음식용기의 저면 중앙부위를 좀더 집중적으로 가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등을 가열하여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가스레인지는 외부 또는 내부의 연료공급원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이를 분사 연소시키는 것으로, 조리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가스레인지의 구성은 도 4a와 도 4b 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일정형상의 케이스(10) 내에 중심축선상으로 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버너 서포트(20)가 설치되고, 이 버너 서포트(20)의 일측으로는 연료공급원(30)의 내부에 압축된 액화가스를 상기 버너 서포트(20)에 전달하는 가버너(40)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너 서포트(20)와 가버너(40)는 가스공급 호스(21)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각종 링크가 설치된 격판에 의해 구분되어 액화 가스가 들어있는 연료공급원(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11)가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부에는 가버너(40)를 개, 폐시키는 노브(50)가 구비된다.
또한, 일측 단부가 상기 노브(50)와 연결된 점화부(51)가 버너 서포트(20)와 타측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외에도 링크를 통하여 연료공급원(30)을 고정시키는 스토퍼(60) 및 음식용기가 상부에 안착되는 삼발이(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버너 헤드(21')는 가버너(40)로부터 공급된 가스가 점화부(50)의 작동에 의해 연소될 경우 이를 사방으로 방사시키기 위하여 버너 서포트(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으로는 점화된 가스를 방사하는 다수의 가스 분출홈(22')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 일측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화염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연료공급원(30)의 내부에 압축된 액화가스는 노브의 가버너(40) 개방에 의해 가버너(40)와 가스공급호스를 지나 버너 서포트(20)로 전달되게 되고, 이 버너 서포트(20) 내에서 공기와 혼합되면서 기화가스로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이 기화된 가스는 연료공급원(30)의 압력에 의해 버너 서포트(20)를 지나 버너 헤드(21')에 형성된 가스 분출홈(22')과 화염공(23')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노브(50)에 의한 점화부(51)의 작동이 이루어질 경우 화기로 연소되게 된다.
따라서, 이 연소된 가스에 의해 발생된 화기는 버너 서포트(20)의 상부에 안착된 버너 헤드(21')의 가스 분출홈(22')과 화염공(23')을 통하여 사방으로 방사되면서 음식용기의 저면을 가열하여 내부의 음식물들을 조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버너 헤드는 원반형상의 몸체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가스 분출홈과 상면 중앙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화염공을 통과한 화기에 의해 음식용기의 저면을 가열하여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였으나, 상기 가스 분출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화염공이 적게 형성되는 관계로 중앙부위의 가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버너 서포트를 거치면서 기화가스로 전환된 가스가 버너 헤드로 이동할 경우 버너 헤드의 외주면으로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가스 분출홈을 통하여 원활한 이동을 기대할 수 있으나, 중앙부위에는 공급된 가스량에 비해 소량만을 이동시킬 수 있는 화염공만이 형성되어 있어 가스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를 통해, 가스의 완전연소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불완전연소된 기화가스에 의해 불쾌한 냄새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가스의 소비에 의한 열효율 저하 및 연료공급원의 수시교체에 따른 소비자의 비용부담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용기의 저면 일부분만이 지속적으로 가열되게 되어 그을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중앙부위의 화기 미비에 의하여 내부의 음식물 조리에도 어려움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와 같은 폐단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여러 각도로 진행중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의 선출원 기술(출원번호 20-2002-0010737) 하나를 일 예로 제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일예로 제시된 종래의 버너 헤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 서포트(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안착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는 버너 서포트(20)를 통하여 기화된 가스를 사방으로 방사하는 다수의 가스 분출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내측으로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25)에 내측으로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화염공(25)이 구비된 다수의 화염응집군(23)이 구성되어 있다.
이는 버너 서포트를 통하여 기화가스로 전환된 가스가 버너 헤드로 이동될 경우 이 버너 헤드에 형성된 가스 분출구와 화염응집군을 통하여 원활하게 이동하게 하므로, 점화부에 의한 점화작동이 이루어질 경우 가스의 완전연소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용기의 저면 가장자리 부위뿐만 아니라 중앙부위도 화염응집군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음식물을 고르게 익혀 수월한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발휘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배출량에 따른 Co2배출량의 법적규정에 부합하고자 연소에 소요되는 가스 배출량이 시간당 130 ~ 150g 밖에는 않되도록 화염공을 설계에 반영한 관계로 사실상 열효율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버너 헤드의 중앙부에 Co2배출량은 법적규정에 준하며, 가스의 배출량은 증대되어 추가적인 화염응집을 취할 수 있는 헤드 연공을 형성하여 주어 음식용기의 저면 중앙부위를 좀더 집중적으로 가열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가스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 서포트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는 버너 서포트를 통하여 기화된 가스를 사방으로 방사하는 다수의 가스분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내측으로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에 내측으로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화염공이 구비된 다수의 화염응집군이 형성되어 있는 버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염응집군의 사이에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헤드 연공을 추가로 구성하여 주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와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a, 도 4b는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일예로 제시된 종래의 버너 헤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20 : 버너 서포트
21 : 버너 헤드 22 : 가스 분출홈
23 : 화염응집군 24 : 화염공
25 : 경사면 26 : 안착부
30 : 연료공급원 40 : 가버너
50 : 노브 51 : 점화부
60 : 스토퍼 70 : 헤드 연공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 서포트(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안착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는 버너 서포트(20)를 통하여 기화된 가스를 사방으로 방사하는 다수의 가스 분출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내측으로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25)에 내측으로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화염공(24)이 구비된 다수의 화염응집군(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염응집군(23)의 사이에는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헤드 연공(70)이 추가로 구비된 버너 헤드(21)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위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연료공급원(30)의 내부에 압축된 액화가스는 노브(50)의 조작에 의해 가버너(40)가 개방될 경우 자체의 압력을 통해 가버너(40)와 가스공급호스(41)를 지나 버너 서포트(20)로 전달도미과 동시에 공기와 혼합되어 기화 가스로 전환된 후 버너헤드(21)에 형성된 가스분출홈(22) 및 화염응집군(23)의 화염공(24) 그리고 화염응집군(23) 사이에 마련된 수개의 헤드 연공(70)을 통과하여 버너 헤드(21)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료공급원(3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버너헤드(21)에 형성된 다수의 가스분출홈(22)과 화염응집군(23)의 화염공(24) 그리고 화염응집군(23) 사이에 마련된 수개의 헤드 연공(70)을 통하여 가스의 손실 없이 이동되어 노브(50)의 점화작동에 의해 점화부(50)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경우 화기로 완전 연소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버너 헤드(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스 분출홈(22)을 통과한 가스가 연소되면서 삼발이(12)의 상부에 안착된 음식용기의 가장자리를 가열함과 아울러, 버너 헤드(21)의 내측 경사면(25)에 형성된 다수의 화염응집군(23)의 화염공(24)과 헤드 연공(70)을 통과한 가스가 완전 연소되면서 음식용기의 중앙부위를 동시에 집중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그러므로, 음식물의 조리에 따르는 시간적, 물리적인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작용은 시간당 130 ~ 150g 의 가스 배출량을 취하던 종래의 버너 헤드에 비해 시간당 170 ~ 190g 의 가스 배출량의 증대를 이룰 수 있게 되므로 가능하게 된 것이다.
참고로 가스 배출량의 증대가 취해짐에도 불구하고 유해가스인 Co2배출량은 1400ppm 이하를 취하게 되므로 법적규정에 관련하여서는 아무런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버너 헤드의 중앙부에 형성된 화염응집군의 화염공 그리고 화염응집군 사이에 마련된 수개의 헤드 연공을 통하여 다량의 기화가스가 중앙부에서 주로 연소될 수 있게 하므로 열효율 향상에 따른 음식물의 조리 시간과, 물리적인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때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그 외주면 둘레에서 가스분출홈을 통해 분출되는 화염을 통해 다시 2차 연소되므로 유해가스배출량은 법적규정을 준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식용기의 저면 가장자리부위뿐만 아니라 중앙부위도 다수의 화염응집군의 화염공과 헤드 연공을 통해 동시에 가열할 수 있어 음식물을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된 버너 서포트(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에는 안착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으로는 버너 서포트(20)를 통하여 기화된 가스를 사방으로 방사하는 다수의 가스 분출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내측으로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면(25)에 내측으로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화염공(24)이 구비된 다수의 화염응집군(23)이 형성되어 있는 버너 헤드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화염응집군(23)의 사이에 기화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헤드 연공(70)이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 헤드구조.
KR2020020025952U 2002-08-30 2002-08-30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KR200297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952U KR200297778Y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952U KR200297778Y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778Y1 true KR200297778Y1 (ko) 2002-12-11

Family

ID=7307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952U KR200297778Y1 (ko) 2002-08-30 2002-08-30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7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676A (ko) * 2006-08-22 2008-02-27 최기화 가스버너
KR101019559B1 (ko) 2007-10-17 2011-03-08 공재철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KR101749405B1 (ko) * 2015-08-06 2017-06-21 (주)억조종합주방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676A (ko) * 2006-08-22 2008-02-27 최기화 가스버너
KR101019559B1 (ko) 2007-10-17 2011-03-08 공재철 휴대용 가스렌지의 고화력용 헤드
KR101749405B1 (ko) * 2015-08-06 2017-06-21 (주)억조종합주방 업소용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61744B (zh) 火盖和燃烧器
US9206986B2 (en) Burner
US20090280447A1 (en) Backpacking stove
TWI757335B (zh) 燃燒器的點火裝置
US4321656A (en) Gaseous lantern ventilator assembly
KR200297778Y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버너헤드 구조
KR100927046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버너 어셈블리
US4569652A (en) Combustion cylinder construction for oil space heater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KR200281381Y1 (ko) 버너헤드
KR200324393Y1 (ko) 가스렌지용 버너
KR100395412B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KR200264260Y1 (ko) 가스버너의 화력증가장치
KR200315932Y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JP3581981B2 (ja) カセットコンロ装置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CN109140444B (zh) 火盖组件、燃烧器及燃气灶
JP2000193211A (ja) コンロ用バ―ナ
KR200197146Y1 (ko) 조리용 가스버너의 연소장치
CN206439822U (zh) 涡轮加外腔节能炉头
KR200387555Y1 (ko) 가스버너
JPS6224689B2 (ko)
KR10076357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렌지
JPH11108313A (ja) 加熱装置
KR200328077Y1 (ko) 가스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