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53A -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353A
KR20200002353A KR1020180075765A KR20180075765A KR20200002353A KR 20200002353 A KR20200002353 A KR 20200002353A KR 1020180075765 A KR1020180075765 A KR 1020180075765A KR 20180075765 A KR20180075765 A KR 20180075765A KR 20200002353 A KR20200002353 A KR 20200002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emale
female connectors
male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471B1 (ko
Inventor
고동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7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471B1/ko
Priority to PCT/KR2019/003264 priority patent/WO2020004775A1/ko
Priority to US16/761,520 priority patent/US11196211B2/en
Priority to JP2020523985A priority patent/JP7004228B2/ja
Priority to EP19826291.7A priority patent/EP3706251A4/en
Priority to CN201980007315.XA priority patent/CN111542970B/zh
Publication of KR2020000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각각 미리 정해진 개수의 핀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 상기 핀과 접촉하는 플러그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과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은 일 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Expandabl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핀 수를 늘려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단위 암수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커넥터의 핀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CB 기판에 장착되는 암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기존의 커넥터는 암 커넥터(2, female connector)와 수 커넥터(3, male connector) 한 쌍으로 구성되며, 암 커넥터(1)에는 콘택트에 해당하는 다수의 핀이 설치되고 수 커넥터(3)에는 상기 다수의 핀과 접촉하는 다수의 플러그 터미널이 설치된다. 암 커넥터(2)는 회로 기판(1)에 표면 실장(SMT, Surface Mounter Technology)되며, 상기 수 커넥터(3)는 암 커넥터(2) 속에 접속되어 고정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암 커넥터(2) 및 수 커넥터(3) 양자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별도의 바디(body)와 콘택트들을 서로 다른 금형을 통해 제작하여야 하고 어느 하나의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해야 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복잡해 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암수 커넥터는 핀 수가 미리 정해져 있어, 그 핀 수에 따라 사용 가능한 장치 또는 회로 기판과의 호환 여부가 결정된다. 즉, 어떤 커넥터와 회로 기판 간에 필요한 핀 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그 커넥터를 사용할 수 없다. 이 경우, 핀 수가 정확히 일치하는 암수 커넥터를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필요한 핀 수를 갖는 암수 커넥터를 새로 제작해서 사용해야 한다.
특히, 기존의 장치 또는 회로 기판에 새로운 신호를 하나 더 전송하기 위해서는 암수 커넥터의 핀 수가 하나 더 추가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도 기존 커넥터의 구조상 암수 커넥터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 암수 커넥터를 교체하지 않고도 커넥터의 핀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커넥터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46947호 (2002.06.21)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넥터의 핀 수를 늘려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여러 개의 단위 커넥터들을 연속해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암수 커넥터가 확장 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암수 커넥터의 호환성과 경제성을 제고하는 데 있다.
또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탈거나 접속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암수 커넥터들 간에 조립 분해가 편리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 미리 정해진 개수의 핀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 상기 핀과 접촉하는 플러그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과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은 일 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은 각각 하나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 커넥터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와 일대일로 접속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 커넥터는,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의 총 핀 개수에 해당하는 플러그 터미널들을 일체로 구비한 하나의 수 커넥터로서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와 다대일로 접속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가 접속하는 전면부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의 끝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게 마련된 걸림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암 커넥터가 일 방향으로 조립된 때, 어느 하나의 암 커넥터의 걸림턱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의 걸림턱은 일 방향을 따라 이어진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가 접속하는 전면부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의 내측 표면이 함몰 형성되어 마련된 락킹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 커넥터는, 상단 또는 하단에 시소동작 구조로 상기 락킹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 가능하게 마련된 락킹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일 측면에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양각블록과, 타 측면에 상기 양각블록에 대응하게 함몰 형성된 음각홈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암 커넥터와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는, 상기 양각블록과 상기 음각홈이 수직으로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양각블록은 횡단면이 "T" 형상을 취하고, 상기 음각홈은 상기 양각블록과 형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일 측면에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타 측면에 상기 제1 요철부와 치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요철부를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암 커넥터와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는, 상기 제1 요철부가 상기 제2 요철부에 수직으로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요철부는 경사가 일 방향으로 형성된 톱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커넥터의 핀 수를 늘려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여러 개의 단위 커넥터들을 연속해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암수 커넥터를 확장시킬 수 있어 종래보다 암수 커넥터의 호환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암수 커넥터를 조립하여 필요한 핀 수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쉽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탈거나 접속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암수 커넥터들 간에 조립 분해가 편리한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암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암수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위 암수 커넥터를 조립하여 구성한 암수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회로 기판에 설치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5는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 간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수 커넥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 간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암 커넥터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설명에서 회로기판은 차동차용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BMS 회로기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BMS 회로기판은 배터리 셀들의 충방전, 셀 밸런싱 등을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팩의 구성품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BMS 회로기판에 접속하여 배터리 셀들의 전압 정보 등을 BMS에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BMS 회로기판 이외에도 랩탑,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 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접속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필요한 신호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암수 커넥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위 암수 커넥터를 조립하여 구성한 암수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회로 기판에 설치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 개의 암 커넥터(10)들과 상기 암 커넥터(10)들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암 커넥터(10)들은 각각 미리 정해진 개수의 핀(11)을 내부에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는 하나의 핀(11)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암 커넥터(10)의 핀(11)은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 다만, 후술하겠지만, 커넥터 조립체의 전체 핀(11) 수를 다양하게 구현하는 데는 핀(11) 수는 1개 또는 2개인 암 커넥터(10)를 사용하거나 1개 또는 2개의 암 커넥터(10)를 혼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10)들은, 각각 하나씩의 핀(11)을 가지고,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일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단위 암 커넥터(10)들을 연속해서 조립하면 다양한 핀(11) 수를 갖는 암 커넥터(10)가 구성될 수 있다. 즉, 회로 기판(30)에 연결되어야 할 암 커넥터(10)의 핀(11) 수를 1개 줄이거나 1개 늘릴 필요가 있는 경우, 기존에는 암 커넥터 자체를 교체해야 하나,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암 커넥터(10) 1개를 분리하거나 1개를 추가로 조립하면 족하다. 따라서 암 커넥터 교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암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공정에 드는 수고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암 커넥터(10)들의 조립 구조 및 방식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단위 암 커넥터(10)는 각각 일 측면에 돌출 형성된 양각블록(15)과 타 측면에 상기 양각블록(1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음각홈(16)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양각블록(15)은 횡단면이 대략 알파벳 "T" 형상을 취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음각홈(16)은 상기 양극블록과 형합하는 빈 공간을 형성한다.
어느 하나의 단위 암 커넥터(10)와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10)는 상기 양각블록(15)과 음각홈(16)이 수직으로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느 하나의 단위 암 커넥터(10)의 양각블록(15)에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10)의 음각홈(16)을 위에서 아래로 끼워 맞추어 넣는 방식으로 상기 2개의 단위 암 커넥터(10)가 하나의 몸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단위 암 커넥터(10)는, 서로 "T" 형상으로 구현된 양각블록(15)과 음각홈(16)으로 형합되어 있어, 상호에 대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하지 못하고 단단히 결속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양각블록(15)과 음각홈(16)을 "T" 형상으로 구현하였으나, 예컨대 양각블록(15)은 단위 암 커넥터(10)의 일 측면에 양각된 형상이고 음각홈(16)은 단위 암 커넥터(10)의 타 측면에 음각된 형상으로 서로 형합하는 구조라면 "L"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으로, 상기 2개의 단위 암 커넥터(10)에 또 다른 단위 암 커넥터(10)들을 조립하여 연결함으로써 필요한 핀(11) 개수를 갖는 복수의 암 커넥터(10)를 얼마든지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수 커넥터(20)는 상기 단위 암 커넥터(10)들과 일대일로 접속하게 복수 개의 단위 수 커넥터(20)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수 커넥터(20)는 암 커넥터(10)의 핀(11) 하나와 접촉하는 플러그 터미널(21)을 하나만 갖도록 구현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20) 간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어서, 도 2와 함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와 수 커넥터(20)의 체결 구조를 살펴본다.
상기 암 커넥터(10)는 수 커넥터(20)가 접속하는 전면부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의 끝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12,13)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 커넥터(20)는 상기 걸림턱(12,13)에 걸림 결합되게 마련된 걸림홈(22,23)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는 결합력 강화를 위해 상기 걸림턱(12,13)을 암 커넥터(10)의 전면부 상단과 하단 두 곳에 모두 구현하였고, 이에 대응하는 걸림홈(22,23)은 수 커넥터(20)에 전면부 상단과 하단에 구현하였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 커넥터(20)는 전단부를 암 커넥터(10)의 전단부에 삽입시키면 수 커넥터(20)의 걸림홈(22,23)이 암 커넥터(10)의 걸림턱(12,13)에 걸리게 되어 있어 역방향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수 커넥터(20)를 암 커넥터(10)에서 분리할 때는, 암 커넥터(10)의 걸림턱(12,13)을 살짝 벌린 상태에서 수 커넥터(20)를 역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한다. 편의상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 커넥터(20)의 플러그 터미널(21)은 암 커넥터(10) 내부에 위치한 암 커넥터(10)의 핀(11)에 리셉터클 방식으로 끼워져 접촉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수 커넥터(2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20)의 변형예에 따른 수 커넥터(20)는 단수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수 커넥터(20)는 복수 개의 단위 암 커넥터(10)들의 총 핀(11) 개수에 대응하는 플러그 터미널(21)들을 일체로 구비하고 회로 기판(30)상에 상호 조립된 암 커넥터(10)들과 다대일 구조로 접속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조립된 암 커넥터(10)들은 전단부가 측면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어느 하나의 암 커넥터(10)의 걸림턱(12,13)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10)의 걸림턱(12,13)은 조립 방향을 따라 이어진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수 커넥터(20)의 걸림홈(22,23)은 상기 이어져 있는 걸림턱(12,13)들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수 커넥터(20)의 전단부를 복수의 암 커넥터(10)들의 전단부에 삽입하더라도 수 커넥터(20)의 걸림홈(22,23)이 암 커넥터(10)들의 걸림턱(12,13)들 모두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수 커넥터(20)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W)를 하나로 묶어주는 역할도 하므로 수 커넥터(20)를 여러 개로 분리하는 것보다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 기능적으로 유리하고, 또한 수 커넥터(20)는 회로 기판(30)에 실장되는 부품이 아니므로 암 커넥터(10)보다 교체가 쉽다는 점에서 본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전술한 암수 커넥터(20)의 일대일 접속 구조로 구성된 커넥터 조립체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앞선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앞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20) 간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는 수 커넥터(20)가 접속하는 전면부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의 내측 표면이 함몰 형성되어 마련된 락킹홈(17)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 커넥터(20)는, 상단 또는 하단에 시소동작 구조로 상기 락킹홈(17)과 걸림 및 걸림 해제 가능하게 마련된 락킹핀(24)을 구비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락킹핀(24)은 일 지점에 위치한 받침점을 기준으로 일단을 누르면 타단이 반대로 올라가는 형태로 수 커넥터(20)의 하우징 외측에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락킹핀(24)의 타단에는 암 커넥터(10)의 락킹홈(17)에 적어도 일 부분이 형합하는 돌기(24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20) 간의 체결 구조는 수 커넥터(20)를 암 커넥터(10)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암수 커넥터(20)의 파손 내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수 커넥터(20)를 암 커넥터(10)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수 커넥터(20)가 암 커넥터(10)의 전단부 내외로 통과할 수 있게 암 커넥터(10)의 걸림턱(12,13) 부분이 벌어져야 한다. 그런데 암 커넥터(10)를 일정 범위내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암수 커넥터(20)를 반복적으로 체결하다 보면 암 커넥터(10)의 변형 내지 파손으로 결합력이 약해지기 마련이다.
반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 커넥터(20)를 암 커넥터(10)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암 커넥터(10)의 전단부를 벌릴 필요없이, 락킹핀(24)을 적절히 이용해서 수 커넥터(20)를 삽입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락킹핀(24)을 앞쪽을 누른 상태에서 수 커넥터(20)를 암 커넥터(10)에 삽입하거나 분리하면 된다. 또는 소정의 치구를 사용해 락킹핀(24)의 뒷쪽을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수 커넥터(20)를 암 커넥터(10)에 삽입하거나 분리해도 좋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락킹핀(24) 구성에 의하게 되면, 암 커넥터(10)의 전단부를 벌리거나 수 커넥터(20)의 전단부를 강제로 암 커넥터(10)의 전단부에 밀어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암수 커넥터(20)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과정에서 암수 커넥터(2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암수 커넥터(20)의 결합력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암 커넥터(10)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는, 일 측면에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18)와, 타 측면에 상기 제1 요철부(18)와 치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요철부(19)를 구비한다.
어느 하나의 암 커넥터(10)와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10)는, 상기 제1 요철부(18)가 상기 제2 요철부(19)에 수직으로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요철부(18)와 제2 요철부(19)는, 전술한 실시예의 양각블록(15)과 음각홈(16)에 대응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요철부(18)와 제2 요철부(19)는 예컨대, 암 커넥터(10)의 양쪽 측면에 산과 골의 개수와 깊이를 전술한 실시예의 "T" 자형 양각블록(15)과 음각홈(16)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본 실시예의 단위 암 커넥터(10)는, 전술한 실시예의 암 커넥터(10)보다, 슬림하게 제작하기 쉽다.
하나의 핀(11)을 갖는 단위 암 커넥터(10)는 가능한 슬림하게 제작되어야 이들을 연결한 전체 암 커넥터(10)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들의 조립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단위 암 커넥터(10) 및 이들을 연결한 전체 암 커넥터(10)를 슬림화하는데 더 유리할 수 있다.
도 11의 +X축 방향은 회로 기판(30)에 암 커넥터(10)를 실장하였을 때, 암 커넥터(10)의 핀(11)과 회로 기판(30)의 도전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향이다. 진동이나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암 커넥터(10)들이 상기 +X축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서 암 커넥터(10)의 핀(11)과 회로 기판(30)의 도전 패턴 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히, 암 커넥터(10)는 +X축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지 않게 회로 기판(30)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요철부(18)와 제2 요철부(19)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가 일 방향으로 형성된 톱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요철부(18)와 제2 요철부(19)가 형합한 상태에서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어느 하나의 단위 암 커넥터(10)가 도 11의 +X축 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단위 암 커넥터(10)에서 분리되어 이동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단위 암 커넥터(10)들을 연결하게 되면, 외력이 진동이 있더라도 단위 암 커넥터(10)들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X축 방향으로 밀려 들어갈 회로 기판(30)의 도전 패턴과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우려가 매우 적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관측자의 보는 위치나 대상의 놓여져 있는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암 커넥터 11 : 핀
12,13 : 걸림턱 15 : 양각블록
16 : 음각홈 17 : 락킹홈
18 : 제1 요철부 19 : 제2 요철부
20 : 수 커넥터 21 : 플러그 터미널
22,23 : 걸림홈 24 : 락킹핀
30 : 회로 기판 W : 와이어

Claims (10)

  1. 각각 미리 정해진 개수의 핀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 상기 핀과 접촉하는 플러그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과 상호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은 일 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은 각각 하나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 커넥터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와 일대일로 접속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 커넥터는,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들의 총 핀 개수에 해당하는 플러그 터미널들을 일체로 구비한 하나의 수 커넥터로서 상기 복수 개의 암 커넥터와 다대일로 접속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가 접속하는 전면부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의 끝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게 마련된 걸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 커넥터가 일 방향으로 조립된 때, 어느 하나의 암 커넥터의 걸림턱과 이웃한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의 걸림턱은 일 방향을 따라 이어진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가 접속하는 전면부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한 곳의 내측 표면이 함몰 형성되어 마련된 락킹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 커넥터는, 상단 또는 하단에 시소동작 구조로 상기 락킹홈에 걸림 및 걸림 해제 가능하게 마련된 락킹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일 측면에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양각블록과, 타 측면에 상기 양각블록에 대응하게 함몰 형성된 음각홈을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암 커넥터와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는, 상기 양각블록과 상기 음각홈이 수직으로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호 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블록은 횡단면이 "T" 형상을 취하고, 상기 음각홈은 상기 양각블록과 형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일 측면에 산과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제1 요철부; 및
    타 측면에 상기 제1 요철부와 치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요철부를 구비하고,
    어느 하나의 암 커넥터와 다른 하나의 암 커넥터는, 상기 제1 요철부가 상기 제2 요철부에 수직으로 끼워 맞춤됨으로써 상호 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는 경사가 일 방향으로 형성된 톱날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80075765A 2018-06-29 2018-06-29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KR10237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65A KR102373471B1 (ko) 2018-06-29 2018-06-29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PCT/KR2019/003264 WO2020004775A1 (ko) 2018-06-29 2019-03-20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US16/761,520 US11196211B2 (en) 2018-06-29 2019-03-20 Expandable connector assembly
JP2020523985A JP7004228B2 (ja) 2018-06-29 2019-03-20 拡張型コネクタ組立体
EP19826291.7A EP3706251A4 (en) 2018-06-29 2019-03-20 EXTENDABLE CONNECTOR KIT
CN201980007315.XA CN111542970B (zh) 2018-06-29 2019-03-20 可扩展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65A KR102373471B1 (ko) 2018-06-29 2018-06-29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53A true KR20200002353A (ko) 2020-01-08
KR102373471B1 KR102373471B1 (ko) 2022-03-10

Family

ID=6898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65A KR102373471B1 (ko) 2018-06-29 2018-06-29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96211B2 (ko)
EP (1) EP3706251A4 (ko)
JP (1) JP7004228B2 (ko)
KR (1) KR102373471B1 (ko)
CN (1) CN111542970B (ko)
WO (1) WO20200047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9635B (zh) * 2022-07-13 2022-09-20 深圳智慧龙城软件开发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接口防护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116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보조 접속기
KR20020046947A (ko) 2000-12-12 2002-06-21 요시무라 마사오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KR20080079362A (ko) * 2007-02-27 2008-09-01 에이컴조명 주식회사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20090013484A (ko) * 2007-08-02 2009-02-05 경신공업 주식회사 리프 멀티 커넥터의 결합장치
JP2009043661A (ja) * 2007-08-10 2009-02-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多極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387A (en) * 1979-04-18 1980-10-28 General Staple Company, Inc. Continuous connector
NL8901438A (nl) 1989-06-06 1991-01-02 Du Pont Nederland Connector.
JPH08321348A (ja) 1995-05-26 1996-12-03 Sumitomo Wiring Syst Ltd 連結コネクタ
JP3083071B2 (ja) 1995-08-30 2000-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9213406A (ja) 1996-02-05 1997-08-15 Hosiden Corp 充電端子台
FR2776844B3 (fr) * 1998-03-31 2000-01-14 Frb Connectron Connecteur perfectionne
US6123554A (en) 1999-05-28 2000-09-26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cover with board stiffener
KR100597812B1 (ko) 1999-09-20 2006-07-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보조커넥터
JP2001148267A (ja) 1999-11-19 2001-05-2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子機器接続用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構造
JP3997871B2 (ja) 2002-09-20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115448A (ja) 2005-10-18 2007-05-10 Denso Corp 連結式コネクタ
CN2882016Y (zh) 2006-01-06 2007-03-21 深圳市菲亚伏实业股份有限公司 组合式连接器
KR200425697Y1 (ko) 2006-06-16 2006-09-13 애니텍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단자대 체결구조체
JP2008140731A (ja) 2006-12-05 2008-06-19 Yazaki Corp コネクタ
CN201188477Y (zh) 2007-11-02 2009-01-28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图形阵列连接器
JP2009259599A (ja) 2008-04-16 2009-11-05 Molex Inc 電気コネクタ
JP2010262854A (ja) 2009-05-08 2010-11-18 Yazaki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CN102117988B (zh) 2010-12-31 2012-11-07 东莞市胜蓝电子有限公司 一种防脱落数据传输电连接器
DE102011006867A1 (de) 2011-04-06 2012-10-11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er zur Direktkontaktierung auf einer Leiterplatte
JP2013037819A (ja) 2011-08-04 2013-02-21 Sumitomo Wiring Syst Ltd 連結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4078370A (ja) 2012-10-10 2014-05-01 Hirose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JP2015026511A (ja) 2013-07-26 2015-02-05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検知コネクタ
JP2015032433A (ja) * 2013-08-01 2015-0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中継電気コネクタ
SE537815C2 (sv) * 2013-12-05 2015-10-20 Moduel Ab Elektriska moduler
CN205543471U (zh) 2016-01-08 2016-08-31 东莞市硕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电源插座的改良结构
US10673173B2 (en) 2016-05-24 2020-06-02 Nippon Tanshi Co., Ltd. Connector structure
KR101801706B1 (ko) 2016-06-21 2017-12-29 이경현 커넥터 어셈블리
KR102648813B1 (ko) 2016-12-20 2024-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조립체
KR20180075765A (ko) 2016-12-26 2018-07-05 계양전기 주식회사 과진동에 의해 자동 정지되는 전동 공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116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보조 접속기
KR20020046947A (ko) 2000-12-12 2002-06-21 요시무라 마사오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KR20080079362A (ko) * 2007-02-27 2008-09-01 에이컴조명 주식회사 가로등 등주의 연결구조
KR20090013484A (ko) * 2007-08-02 2009-02-05 경신공업 주식회사 리프 멀티 커넥터의 결합장치
JP2009043661A (ja) * 2007-08-10 2009-02-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多極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6251A4 (en) 2020-12-23
JP7004228B2 (ja) 2022-01-21
US11196211B2 (en) 2021-12-07
CN111542970B (zh) 2022-03-15
JP2021501965A (ja) 2021-01-21
US20200266573A1 (en) 2020-08-20
CN111542970A (zh) 2020-08-14
WO2020004775A1 (ko) 2020-01-02
KR102373471B1 (ko) 2022-03-10
EP3706251A1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2860B2 (en) Connector
TWI433398B (zh) 以優異的空間效率作電路板間的連接之連接器
CN100399637C (zh) 电连接器
EP3660985A1 (en) Connector
CN111527650B (zh) 印刷电路板(pcb)直接连接器
US2008021406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based element
US20130137307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2324656A (zh) 电连接器及其组合
US20080026608A1 (e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Stacked One On Another
EP1403973A2 (en) Module connector
KR102472233B1 (ko) 전지 모듈
CN202308627U (zh) 插座连接器和插头连接器
KR20200002353A (ko)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CN202444090U (zh) 连接器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JP2007184156A (ja) 電気接続箱
US11011863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9071279A (ja) コネクタ
JP2010073353A (ja) インタフェースコネクタ及びプラグ
CN205724129U (zh) 插座连接器
CN115207664B (zh) 一种方便正反插拔的小型化继电器连接插座
CN210957093U (zh) 端子和连接器
CN218827928U (zh) 一种板对板电连接器
CN101752765A (zh) 电连接器
JP202206020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