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706B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706B1
KR101801706B1 KR1020160077482A KR20160077482A KR101801706B1 KR 101801706 B1 KR101801706 B1 KR 101801706B1 KR 1020160077482 A KR1020160077482 A KR 1020160077482A KR 20160077482 A KR20160077482 A KR 20160077482A KR 101801706 B1 KR101801706 B1 KR 10180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connector
hole
fixing
connec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현
Original Assignee
이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현 filed Critical 이경현
Priority to KR102016007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특히 자동차에 설치되는 카오디오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B와 상기 PCB에 연결되어 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커넥터핀 및 상기 커넥터핀을 상기 PCB에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의 구성요소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복수개의 커넥터핀을 PCB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넥터핀들이 정위치로 배열 및 정렬될 수 있도록 하며, 접속단자에 연결 시에 커넥터핀이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 특히 자동차에 설치되는 카오디오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CB와 상기 PCB에 연결되어 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커넥터핀 및 상기 커넥터핀을 상기 PCB에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의 구성요소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복수개의 커넥터핀을 PCB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넥터핀들이 정위치로 배열 및 정렬될 수 있도록 하며, 접속단자에 연결 시에 커넥터핀이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카오디오와 같은 여러 전기장치들은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이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유니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진다. 커넥터란 각종 전기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부품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장착되어 카오디오와 같은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받을 뿐만 아니라, 카오디오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는 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각종 부품이 실장되어 회로패턴에 의해 다양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은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의 터미널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터미널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절곡되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에서 납땜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카오디오에 전기를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850031호 『자동차용 카오디오 커넥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개의 터미널이 인서트 성형되어 일측으로 절곡 성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하방측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돌기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끼움홈이 요입 형성된 끼움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끼움부의 끼움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절곡 형성된 끼움절곡부를 갖는 체결편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카오디오 커넥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접속 시, 다수의 터미널 중 일부가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58603호 『카오디오용 커넥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프론트 PCB에서 후방 양측으로 가이드부를 갖는 채널형 몸체를 갖고 전방 양측에 탄성후크와 그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프론트 PCB연결핀을 갖으며, 상기 PCB연결핀이 몸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콘센트 연결핀으로 구성된 플러그 및 전방에 상기 콘센트 연결핀과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를 갖고, 콘센트 연결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잠금쇠를 갖으며 메인 피시비와 연결할 수 있도록 탄성후크를 갖는 제1 몸체와 메인 피시비에 연결할 수 있도록 메인PCB연결핀을 갖는 제2 몸체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핀연결부가 연결되어지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카오디오용 커넥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의 PCB연결핀을 PCB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PCB에 구비되는 회로에 정위치 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일부가 회로와 연결되지 않아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공정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05-0076932호 『차량용 오디오의 파워 및 리모콘 통합커넥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용 오디오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파워커넥터와 리모콘을 연결하기 위한 리모콘커넥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오디오의 파워 및 리모콘 통합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른 재료비 절감은 물론 작업공수의 절감 및 불량률의 감소 등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차량용 오디오의 파워 및 리모콘 통합커넥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PCB에 다수의 핀을 접촉시킴에 있어, 접촉시 핀을 정위치시키기가 어려우며, 또한 별도의 보강장치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서 휘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핀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장치를 구비하는 종래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을 개선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구성요소, 즉 핀을 보강하는 부분과 핀을 PCB에 체결하는 부분의 장치를 별도의 장치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조립공정이 복잡하며, 이 두 장치가 서로 어긋나 핀이 휘어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핀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따로 고정함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되는 핀이 평행을 이루지 못하고 중간중간 흔들리거나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접속단자에 접속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핀 자체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PCB와, 상기 PCB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커넥터핀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핀의 파손을 방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유닛을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함으로서, 조립공정을 간소화하고, 커넥터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에는 개방부를 더 구비함으로서, 상기 커넥터핀을 보다 손쉽게 고정유닛에 구비되는 관통공에 체결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유닛에 후크돌기를 포함하는 체결부를 구성함에 따라 PCB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정위치유도돌기를 더 구성함에 따라 커넥터핀의 단부가 PCB의 회로에 정확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PCB;
상기 PCB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커넥터핀;
상기 커넥터핀이 내삽 관통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PCB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핀의 전단을 고정하는 전단고정부가 구비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유닛의 몸체부와 체결부 및 전단고정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PCB와 전기적 연결을 위해 구비되는 복수개의 커넥터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넥터핀에 고정유닛을 더 구비하여 커넥터핀을 상기 PCB 회로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커넥터핀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서 접속단자와의 접속 시 위치가 어긋나 커넥터핀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고정유닛이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커넥터핀을 고정유닛에 체결한 후 PCB에 결합시키면 보다 손쉽게 체결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조립시간을 간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에는 커넥터핀이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단고정부와 몸체부 사이에 커넥터핀이 노출되는 개방부를 형성하여, 커복수개의 커넥터핀을 상기 고정유닛에 결합하는 경우, 개방부를 통해 보다 손쉽게 커넥터핀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공정을 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고정유닛에는 후크돌기로 이루어지는 체결부를 더 구비하여 PCB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유닛에 정위치유도돌기를 더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PCB회로와 커넥터핀을 하나하나 접속시킬 필요 없이 연결시킬 수 있어 조립의 신속성 및 안정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커넥터핀의 종래기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배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A)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10)와 상기 PCB(10)에 연결되는 커넥터핀(20) 및 상기 커넥터핀(20)을 보호하고, PCB(10)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도 1은 종래의 카오디오에 구비도는 커넥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커넥터핀(2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K)가 커넥터핀(2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앞서 언급했던 조립의 불편성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핀(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3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종 전기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PCB(10)가 구비되고, 상기 PCB(10)에는 복수개의 커넥터핀(2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핀(2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 전기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후단은 상기 PCB(10)와 연결되고, 전단은 접속하고자 하는 접속단자의 암체결장치에 결합됨으로서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PCB(10)는 커넥터몸체(A1)에 고정 연결되어 카오디오와 같은 전기장치의 동작을 진행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핀(20)이 상기 PCB(10)에 체결 및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핀(20)의 후단은 PCB(10)에 구비되는 회로에 납땜방식을 통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와 같이, PCB(10)에 복수개의 커넥터핀(20)이 연결되는 경우에, 이 커넥터핀(20)들은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게 된다. 만약 상기 커넥터핀(20)이 서로간에 접촉이 발생되면 전기신호가 잘못 전달되어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핀(20)은 앞서 설명한 별도의 접속단자의 암체결장치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암체결장치에 커넥터핀(20)을 삽입하는 경우에, 암체결부(33)와의 위치가 어긋나 커넥터핀(20)이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 즉 커넥터핀(20)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다 손쉽게 다수의 커넥터핀(20)을 PCB(10)에 결합하기 위하여 고정유닛(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유닛(3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고정유닛(30)은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에 구비되어 상기 PCB(10)에 결합되는 체결부(33), 상기 몸체부(31)에 연결되어 커넥터핀(20)의 전단을 고정지지하는 전단고정부(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유닛(30)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핀(20)에 있어서, 상기 PCB(10)와 연결되는 방향을 후단, 별도의 접속단자와 체결되는 부분을 전단으로 정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핀(20)은 접속단자에 체결되는 전단접속부(21)와, 상기 전단접속부(21)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23) 및 상기 절곡부(23) 후단에 구비되어 PCB(10)와 납땜방식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후단접속부(25)로 이루어진다.
다시 상기 고정유닛(30)은 몸체부(31)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부(31)에는 상기 각각의 커넥터핀(20)이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통공(3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1)의 하부에는 상기 PCB(10)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31)의 전단에는 전단고정부(35)가 형성되어 커넥터핀(20)의 전단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단고정부(35)와 몸체부(31)는 연결부(37)를 통하여 연결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부(31), 체결부(33), 전단고정부(35), 연결부(37)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커넥터핀(20)은 이러한 고정유닛(30)에 결합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단고정부(35)에는 관통공(35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에는 상기 관통공(351)과 수평을 이루도록 통공(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핀(20)은 상기 몸체부(31)의 후단에서 통공(311)과 관통공(35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유닛(30)에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핀(20)의 절곡부(23)는 상기 몸체부(31)의 후단에 밀착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절곡부(23)가 휘어지는 것을 상기 몸체부(31)가 지지함으로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37)의 하부에는 커넥터핀(20)이 노출될 수 있는 개방부(37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개방부(371)로 인하여 커넥터핀(20)이 통공(311)을 지나 관통공(351)에 삽입될 때 관통공(351)의 위치를 보다 손쉽게 찾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개방부(371)는 커넥터핀(2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실예로 상기 개방부(371)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통공(311)과 관통공(351)이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핀(20)을 끼워넣으면 그 내부에서 커넥터핀(20)이 휘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개방부(371)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핀(20)을 상기 고정유닛(30)에 체결하는 경우, 커넥터핀(2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커넥터핀(20)이 체결된 후에, 상기 고정유닛(30)을 PCB(10)에 결합시키면 다수의 커넥터핀(20)을 동시에 PCB(10)에 연결시킬 수 있어 조립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전단고정부(35)에 의하여 커넥터핀(20)의 전단부를 잡아줄 수 있어 커넥터핀(20)을 접속단자에 꼽는 경우에도 커넥터핀(20)의 휘어짐을 방지하며, 각각의 커넥터핀(20)이 흔들려 정위치에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 또한 해결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A)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단고정부(35)와 몸체부(31) 사이에 구비되는 개방부(371)에 의하여 상기 전단고정부(35)의 강도가 저하되어, 상기 전단고정부(35)와 몸체부(31)를 잇는 연결부(37)가 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부(371)에 복수개의 보강돌기(36)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4참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강돌기(36)는 상기 개방부(37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단고정부(35)와 몸체부(3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이 때 보강돌기(36)의 크기나 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3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홈(319)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고정유닛(30)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그 형상 및 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유닛(30)은 상기 PCB(10)에 결합되기 위하여 체결부(33)를 상기 몸체부(31) 하부에 형성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PCB(10)에는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하는 후크돌기(331)와, 상기 후크돌기(331)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부(31)의 하부, 특히 하부 양측에는 각각 체결부(3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부(33)는 PCB(10)의 체결공(11)을 관통하기 위한 후크돌기(331)와, 상기 체결공(11)에 관통되어 체결공(11) 하단면에 걸리는 걸림돌기(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몸체부(31)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333)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체결부(33)를 통하여 상기 고정유닛(30)을 PCB(10)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고정유닛(30)에 체결되는 커넥터핀(20)이 PCB(10)에 구비되는 회로에 접촉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체결부(33)만으로는 상기 고정유닛(30)이 상기 PCB(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커넥터핀(20)에 따라 그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어긋나 접촉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는 정위치유도돌기(39)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위치유도돌기(39)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PCB(10)에 구비되는 유도공(13)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유닛(30)은 상기 PCB(10)에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정위치유도돌기(39)에 의하여 고정유닛(30)과 PCB(10)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정렬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각각의 커넥터핀(20)이 대응되는 회로에 연결되어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위치유도돌기(39)는 그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측면에 평탄한 평탄부(391)를 구비하는 D-컷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평탄부(391)에 의해 상기 정위치유도돌기(39)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유도공(13)에 보다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상기 고정유닛(30)을 PCB(10)에 체결하는 경우, 상기 평탄부(391)에 의해 상기 유도공(1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정위치유도돌기(39)를 상기 유도공(13)에 대응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PCB(10)에 커넥터핀(20)을 고정하는 경우, 일일이 하나하나 위치를 잡아가며 고정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30)에 의하여 커넥터핀(20)이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고정유닛(30)을 PCB(10)에 결합함으로서 자연스럽게 커넥터핀(20)이 PCB(10)의 회로에 접촉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커넥터 어셈블리 A1 : 커넥터몸체
10 : PCB 11 : 체결공
13 : 유도공 20 : 커넥터핀
21 : 전단접속부 23 : 절곡부
25 : 후단접속부 30 : 고정유닛
31 : 몸체부 311 : 통공
33 : 체결부 331 : 후크돌기
333 : 걸림돌기 35 : 전단고정부
351 : 관통공 37 : 연결부
371 : 개방부 39 : 정위치유도돌기

Claims (4)

  1. PCB(10);
    상기 PCB(10)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커넥터핀(20);
    상기 커넥터핀(20)이 내삽 관통되는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에 구비되어 PCB(10)에 결합되는 체결부(33) 및 상기 몸체부(31)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핀(20)의 전단을 고정하는 전단고정부(35)가 구비되는 고정유닛(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단고정부(35)에는 관통공(3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51)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몸체부(31)에 통공(311)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핀(20)이 상기 몸체부(31)의 후단으로부터 통공(311)과 관통공(35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고정유닛(30)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핀(20)은
    상기 몸체부(31) 후단에 밀착되는 절곡부(23)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유닛(30)의 몸체부(31)와 체결부(33) 및 전단고정부(35)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유닛(30)의 몸체부(31)와 전단고정부(35)는 연결부(37)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37)의 하단에는 상기 커넥터핀(20)의 일부가 노출되는 개방부(37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371)에는 복수개의 보강돌기(3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3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홈(319)이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몸체부(31)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PCB(10)에 구비되는 체결공(11)에 관통되는 후크돌기(331)와, 상기 후크돌기(331) 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돌기(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333)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유닛(30)에는
    상기 PCB(10)에 형성되는 유도공(13)에 내삽되는 정위치유도돌기(39)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정위치유도돌기(39)는 일측면에 평탄부(391)를 갖는 D-컷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77482A 2016-06-21 2016-06-21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0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82A KR101801706B1 (ko) 2016-06-21 2016-06-21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82A KR101801706B1 (ko) 2016-06-21 2016-06-21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06B1 true KR101801706B1 (ko) 2017-12-29

Family

ID=6093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482A KR101801706B1 (ko) 2016-06-21 2016-06-21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6809B2 (en) 2018-05-08 2021-07-06 Lg Chem, Ltd. Vertical-type direct PCB connector
US11196211B2 (en) 2018-06-29 2021-12-07 Lg Chem, Ltd. Expandable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2613A (ja) * 2011-03-31 2012-11-01 Fujitsu Component Ltd フローティング機能付き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2613A (ja) * 2011-03-31 2012-11-01 Fujitsu Component Ltd フローティング機能付き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6809B2 (en) 2018-05-08 2021-07-06 Lg Chem, Ltd. Vertical-type direct PCB connector
US11196211B2 (en) 2018-06-29 2021-12-07 Lg Chem, Ltd. Expandable connecto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1003B2 (en) Plug-in connector for high data transmission rates
US9590327B2 (en) Reinforcing metal fitting and a connector having the reinforcing metal fitting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EP3324492B1 (en) Connector
CN105680233B (zh) 具有导引框架的插头连接器
CN109863649B (zh) 电插入式连接件
US20100304579A1 (en) Low Resistan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2334463B1 (ko) 두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 전송 연결을 위한 보드-투-보드 커넥터
US9281605B2 (en) Plug-and-socket connector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plugs and mating plug
KR20170068389A (ko) 커넥터 장치
TWI530027B (zh) Slide connector
CN111247701A (zh) 电连接器
US20170040743A1 (en) Usb plug capable of being inserted face up and face down
KR20190136734A (ko) Pcb 다이렉트 커넥터
JP2008277292A (ja) プリント基板等のコネクタ装置
KR20140024808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조립 방법
KR10180170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79610B1 (ko) 로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링 커넥터
WO2016208448A1 (ja) 電気接続箱
US11881645B2 (en) Multi-part printed circuit board adapter plug
JP2014049429A (ja) コネクタ装置
JP2012182106A (ja) 電気コネクタ
US20160036149A1 (en) Connector
CN111641069B (zh) 线缆连接器组件
KR100998813B1 (ko) 차폐형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도전성탄성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