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12U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12U
KR20200001812U KR2020200000409U KR20200000409U KR20200001812U KR 20200001812 U KR20200001812 U KR 20200001812U KR 2020200000409 U KR2020200000409 U KR 2020200000409U KR 20200000409 U KR20200000409 U KR 20200000409U KR 20200001812 U KR20200001812 U KR 202000018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extension
starting point
intersection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마루야마
겐이치로 구로다
요스케 소가베
카나폰 차투라파타논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1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13/5139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creating a visual effect, e.g. having a printed or coloured topsheet, printed or coloured sub-layer but being visible from the topsheet, other than embossing for purposes of bonding, wicking, acquisition, leakage-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자에게 기능을 상기시켜, 착용자가 스포츠에 적합한 기능을 파악하기 쉬운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10)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흡수 코어(30)와, 흡수 코어보다 피부면측에 위치하는 피부면 시트(10)를 갖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이다.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며, 주위로부터 독립된 기능 표시 도안(50)을 갖는다. 기능 표시 도안은, 제1 라인(51) 및 제1 라인과 교차부(53)에서 교차하는 제2 라인(52)을 갖는 X자형이고, 교차부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4)를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고안은 스포츠 시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및 흡수 패드가 알려져 있다. 착용자는, 흡수성 물품을 착용 물품에 부착할 때 등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을 사용하기 전에 흡수성 물품을 주시한다. 이때, 흡수성 물품의 도안에 의해 착용자의 기분을 바꾸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0297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을 개별하는 포장 시트에 동물 도안의 주도안을 갖고 있어, 사용자의 기분을 향상시키고 있다. 출원인이 예의 연구한 결과, 착용자가 사용 전에 도안을 시인함으로써, 착용자의 감각에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러 가지 기능에 특화된 흡수성 물품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스포츠 시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능에 대해 충분히 흥미를 갖지 않는 착용자에게 있어서는, 상기 기능을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그 기능의 효과를 얻기 어려울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착용자에게 기능을 상기시켜, 착용자가 스포츠에 적합한 기능을 파악하기 쉬운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피부면측에 위치하는 피부면 시트를 갖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며, 주위로부터 독립된 기능 표시 도안을 갖고, 상기 기능 표시 도안은, 제1 라인 및 상기 제1 라인과 교차부에서 교차하는 제2 라인을 갖는 X자형이고, 상기 교차부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기능 표시 도안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신체의 근육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착용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1) 실시형태의 개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일 양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피부면측에 위치하는 피부면 시트를 갖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며, 주위로부터 독립된 기능 표시 도안을 갖고, 상기 기능 표시 도안은, 제1 라인 및 상기 제1 라인과 교차부에서 교차하는 제2 라인을 갖는 X자형이고, 상기 교차부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착용자가 X자형의 기능 표시 도안을 시인함으로써, 스포츠를 상기할 수 있고,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인 것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X자형의 디자인은, 교차부와, 교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연장부는, 교차부로부터 상이한 4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인접하는 연장부에 의해 끼워진 부분은, 연장부보다 눈에 띄기 어렵고, 연장부에 대해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서 인식되기 쉽다. 그리고, 연장부가, 연장부에 의해 끼워진 부분에 대해 불룩해지는 형상으로서 인식되기 쉽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근육은, 불룩해진 볼록 부분과, 볼록 부분에 대해 움푹 들어간 오목 부분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복근 및 흉근과 같이 입체적인 신체를 따르도록 볼록 부분이 X자형을 형성하고 있다. X자형의 기능 표시 도안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감각에 작용하여, X자형의 볼록 부분과 볼록 부분에 대해 움푹 들어가는 오목 부분으로부터 근육을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착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스포츠에 적합한 기능을 갖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인 것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는, 곡선형의 곡선부를 가져도 좋다. 신체의 근육은, 곡선형이다. 본 양태에 의하면, 연장부의 곡선부에 의해, 착용자에게 근육을 보다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연장부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이어도 좋다.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는, 서로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이다.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에 의해 끼워진 영역은, 직선에 의해 끼워진 삼각형 형상이 아니라, 곡선 형상이며, 신체의 근육의 불룩해지는 형상을 모방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보다 근육을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교차부에 연속되는 내단 가장자리와, 상기 교차부와 반대측의 외단 가장자리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연장부의 폭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폭은, 상기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짧아져도 좋다. 신체의 근육은, 곡선형으로 융기하고 있고, 근육의 불룩해진 곳으로부터 신체의 움푹 들어가는 라인을 향해 서서히 움푹 들어간다. 연장부의 폭이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짧아짐으로써, 근육의 불룩해진 부분으로부터 신체의 움푹 들어가는 라인을 나타낼 수 있고, 착용자에게 보다 근육을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의 변형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기능 표시 도안을 구성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를 가져도 좋다. 표시 절곡 기점부를 기점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이 변형함으로써, 기능 표시 도안을 기점으로 하여 주위가 불룩해지도록 변형하는 등 하여, 기능 표시 도안 및 그 주위가 입체적으로 변형한다. 착용자에게 보다 근육을 이미지시키고, 움직임을 이미지시킬 수 있어, 보다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또한, 스포츠에 의한 복잡한 움직임에 의해 비틀림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X자형의 기점의 변형에 의해 비틀림을 흡수하거나, 연장부를 따라 힘을 사방으로 방출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표시 절곡 기점부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압착부를 포함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는, 주위와 비교하여 강성차 및 두께차가 있어, 변형 기점이 되기 쉽다. 또한, 압착부는, 주위와 비교하여 높은 밀도이고, 체액을 인입하기 쉽다. 따라서, 압착부에 의해 체액을 흡수함으로써, 압착부가 체액에 의해 눈에 띄기 쉬워지며, 기능 표시 도안의 기능을 보다 발휘하기 쉬워진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3 연장부 및 제4 연장부를 갖고, 상기 교차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가 교차하는 제1 교차부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4 연장부가 교차하는 제2 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기능 표시 도안은, 상기 제1 교차부와 상기 제2 교차부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져도 좋다.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이 다리에 의해 끼워지면, 흡수성 물품에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진다. 제1 교차부와 제2 교차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에 의해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대향할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의 폭 축소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연장부의 폭 이상이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연결부에 의해 폭 방향의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보다 대향할 수 있어, 흡수성 물품의 폭 축소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중앙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 절곡 기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측에 위치해도 좋다. 스포츠에 의해 둔부가 움직여 비틀림의 힘이 발생하면, 회음부 부근에 가장 힘이 가해지기 쉽다. 절곡 기점부가 회음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함으로써, 스포츠 시의 신체에 대한 추종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후 절곡 기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전후 절곡 기점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을 걸쳐 있으며, 상기 표시 절곡 기점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중앙 영역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지기 쉽다. 이때, 전후 절곡 기점부를 기점으로 변형하여, 전후 절곡 기점부에 의해 끼워진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한다. 이때, 중앙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에 둔부의 움직임 등에 의한 비틀림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중앙 영역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에 의해 힘을 흡수하여, 전후 절곡 기점부에 의해 착용자에게로 불룩해지는 변형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구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을 갖고, 상기 후측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外緣)에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팽출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교차부보다 후측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착용자가 비교적 큰 동작을 하면, 흡수성 물품 중 특히 후측 영역에 비틀어지게 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한 쌍의 오목부 및 표시 절곡 기점부에 의해 후측 영역의 비틀림을 흡수하여, 상기 비틀림이 중앙 영역의 전후 방향의 중심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배설구에 대한 피트성의 확보와 후측 영역의 신체에 대한 추종성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 물품에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각각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본 양태에 의하면,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각각이 접합부에 겹쳐 있기 때문에, 연장부의 각각이 착용 물품에 접합되어 강성이 높아지고, 변형 기점으로서 보다 기능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X자형의 기점의 변형에 의해 비틀림을 흡수하거나, 연장부를 따라 힘을 사방으로 방출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을 갖고, 상기 후측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팽출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를 따라 상기 연장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 가상선 중 하나의 연장 가상선은, 상기 볼록부에 도달해도 좋다. 압착부를 포함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는, 밀도가 높고, 모관 현상에 의해 체액을 연장 가상선을 따라 확산시키기 쉽다. 연장 가상선이 흡수성 물품의 외연의 볼록부에 도달함으로써, 연장부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외단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고, 연장부에 의해 확산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 후에는, 연장부에 의해 체액을 확산시킬 수 있어, 넓은 범위에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것, 및 체액의 확산 방향에 있어서의 불룩해진 부분에 의해 누설이 억제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고, 흡수 성능과 누설 억제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상기 연장 가상선 중 제1 연장 가상선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는 제1 도달점과, 복수의 상기 연장 가상선 중 제2 연장 가상선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는 제2 도달점 사이에는,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연장 가상선을 따라 기능 표시 도안으로부터 사방으로 힘을 방출하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착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고, 스포츠 시에 있어서도 뒤틀리기 어려운 인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오목부가 있음으로써, 오목부로부터 X자형의 기점을 향해 변형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기능 표시 도안으로부터 사방으로 힘을 방출하고, 그 앞에 볼록부가 있기 때문에, 힘을 외연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및, 성인용 실금 패드를 포함한다. 흡수성 물품은, 속옷 등의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물품이어도 좋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부면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비피부면측에서 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피부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측에 상당한다. 한편, 도 3의 단면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구성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제품에서는, 구성 부재끼리는, 두께 방향으로 접하고 있고, 또한, 압착부에 의한 움푹 들어간 곳이 형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은,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이다.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은, 스포츠 시에 적합한 흡수성 물품이다. 여기서,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이란, 이하의 1 내지 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합한 흡수성 물품이다. 1, 흡수성 물품 자체, 흡수성 물품을 개별적으로 포장하는 포장 시트, 및 흡수성 물품을 복수 수용한 패키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스포츠용인 것, 또는 스포츠를 상기시키는 문자나 그림을 갖는 흡수성 물품. 2, 흡수성 물품의 판촉 툴(광고, 판매 촉진물)에 있어서, 스포츠용인 것을 나타낸 흡수성 물품. 3, 보통의 생활에서는 행해지지 않는 스포츠 시만의 동작에서 위화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 예컨대, 다리를 크게 움직이는 등의 스포츠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는 유연성이 있는 흡수성 물품. 장시간 계속 달리는 등 장시간의 스포츠에 있어서도 흡수체나 흡수성 물품이 파손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이 있는 흡수성 물품. 착용자가 땀을 흘려도 뒤틀림이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장착감에 위화감이 없는 흡수성 물품. 본 실시형태는, 스포츠를 상기시키는 기능 표시 도안을 갖고, 기능 표시 도안을 구성하는 압착부에 의해 스포츠 시의 비틀림을 흡수하여, 스포츠 시에 위화감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1)은, 전후 방향(L)과 폭 방향(W)과 두께 방향(T)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두께 방향(T)은, 착용자의 피부면측(T1)으로부터 비피부면측(T2)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며,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피부면측(T1)은, 사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에 상당한다. 비피부면측(T2)은, 사용 시에, 피부면측(T1)과는 반대측, 즉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로 향해지는 측에 상당한다.
흡수성 물품(1)은, 중앙 영역(S3), 전측 영역(S1) 및 후측 영역(S2)을 갖는다. 중앙 영역(S3)은,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영역이다. 흡수성 물품이 속옷에 장착되었을 때에, 중앙 영역(S3)은, 속옷의 가랑이부에 위치한다. 즉, 중앙 영역(S3)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전측 영역(S1)은, 중앙 영역(S3)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전측 영역(S1)의 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2)은, 중앙 영역(S3)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후측 영역(S2)의 후단 가장자리는 흡수성 물품(1)의 후단 가장자리를 규정한다. 후측 영역(S2)의 전후 방향(L)의 길이는, 중앙 영역(S3)의 전후 방향(L)의 길이보다 길어져도 좋다.
중앙 영역(S3)에는, 후술하는 윙(3)이 형성되어도 좋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3F)는, 윙(3)이 붙어 있는 부분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2개의 부분 중,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3)의 전단 가장자리(3F)는, 중앙 영역(S3)과 전측 영역(S1)의 경계를 규정해도 좋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3R)는, 윙(3)이 붙어 있는 부분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2개의 부분 중,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당한다. 윙(3)의 후단 가장자리(3R)는, 중앙 영역(S3)과 후측 영역(S2) 사이에 위치해도 좋다. 여기서,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윙(3)의 전단 가장자리와 윙(3)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을 「윙 영역」이라고 칭한다. 또한, 윙의 내측 가장자리는, 윙이 붙어 있는 부분이며, 윙(3)의 전단 가장자리(3F)와 윙(3)의 후단 가장자리(3R)를 연결하는 윙 가상선(FL3)(도 1 참조)이 된다.
또한, 윙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서는, 중앙 영역(S3)은, 윙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이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앙 영역(S3)」이라고 하는 단어는, 「윙 영역」이라고 바꿔 읽을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중앙 영역(S3)은, 윙을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 코어(30)를 전후 방향(L)으로 3등분한 한가운데의 영역이어도 좋고, 고(高)평량부(33)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고평량부(33)를 갖는 영역이어도 좋다.
중앙 영역(S3)은, 중앙 중심선(S3CL)을 포함하는 중앙 중심부(S31)와, 중앙 중심부(S31)보다 전후 방향(L)의 외측에 위치하는 중앙 단부(S32)를 갖는다. 중앙 중심선(S3CL)은, 중앙 영역(S3)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L)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라인이다. 중앙 중심부(S31)는, 중앙 중심선(S3CL)을 포함하고, 중앙 중심선(S3CL)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를 갖는 영역이다. 중앙 단부(S32)는, 중앙 영역(S3)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갖는 영역과, 중앙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갖는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앙 중심부(S31)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중앙 단부(S32)에 의해 끼워져 있다. 중앙 중심부(S31)는, 중앙 영역(S3)을 전후 방향으로 3등분한 영역 중, 중앙에 위치하는 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는, 후술하는 윙 접합부(62)가 형성된 영역을 중앙 중심부(S31)로 하고, 중앙 중심부(S31)의 전후 방향의 외측의 영역을, 중앙 단부(S32)로 해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은, 피부면 시트(10), 비피부면 시트(20) 및 흡수 코어(30)를 갖는다. 피부면 시트(10)는, 흡수 코어(30)보다 피부면측(T1)에 설치된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흡수 코어(30)보다 비피부면측(T2)에 설치된다. 흡수 코어(30)는,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 사이에 설치된다. 피부면 시트(10)는, 체액 등의 액체를 투과시키는 액 투과성의 시트이며, 부직포, 직포, 유공(有孔) 플라스틱 시트, 메시 시트 등, 액체를 투과시키는 구조를 갖는 임의의 시트형의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피부면 시트(10)는, 흡수 코어(30)의 폭 방향의 중앙을 덮는 표면 시트(11)와, 표면 시트(11)의 외측부를 덮고, 또한 표면 시트(11)로부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시트(12)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표면 시트(11)는, 적어도 흡수 코어(30)의 폭 방향(W)의 중앙을 덮고, 사이드 시트(12)는,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표면 시트(11)의 외측부를 덮으며, 표면 시트(1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사이드 시트(12)는, 누설 방지성의 관점에서 소수성의 시트를 이용해도 좋다. 피부면 시트와 흡수 코어(또는 코어 랩) 사이에는, 세컨드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의 외측부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폭 방향(W)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고, 외측 가장자리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의 내측부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내연(內緣)을 포함하는 폭 방향(W)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고, 내측 가장자리란, 폭 방향(W)에 있어서의 내연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L)으로 일정한 범위를 차지하는 부분이고, 전단 가장자리 및 후단 가장자리는, 전후 방향(L)에 있어서의 가장자리이다. 외단부는, 전단부 및 후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비피부면 시트(20)는, 액 불투과성의 시트이다. 비피부면 시트(20)는,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통기성의 수지 필름,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 코어(30)는, 적어도 중앙 영역(S3) 및 후측 영역(S2)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 코어(30)는, 전측 영역(S1)에도 배치되어도 좋다. 흡수 코어(30)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 재료가 적층되어 있고, 코어 랩(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져도 좋다. 흡수 코어(30)를 구성하는 흡수 재료는, 예컨대, 친수성 섬유, 펄프 및 고흡수성 고분자(SAP)로 형성할 수 있다. 흡수 코어(30)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코어 랩은, 예컨대 부직포나 티슈로 구성할 수 있다. 코어 랩은, 흡수 코어(30)보다 피부면측(T1)과 흡수 코어(30)보다 비피부면측(T2)에 각각 배치되어도 좋다. 변형예로서, 흡수 코어(30)는, 코어 랩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흡수 코어(30)는,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에 의해 덮여져 있으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윙(3)을 갖는다. 윙(3)은, 중앙 영역(S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윙(3)은,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윙(3)은, 비피부면 시트(20)측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윙(3)은, 사용 시에 착용 물품으로서의 속옷의 크로치부의 비피부면측으로 접혀진다.
변형예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은, 히프 플랩을 가져도 좋다. 히프 플랩은, 윙(3)과 마찬가지로, 중앙 영역(S3)에 있어서의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히프 플랩은, 윙(3)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후측 영역(S2)에 형성되어도 좋다. 히프 플랩은, 사용 시에 접히지 않고, 속옷과 착용자의 둔부 사이에 배치된다. 히프 플랩에는, 흡수 재료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흡수 재료가 형성되어도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1)을 속옷 등의 착용 물품에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가 형성된 접합부를 갖는다. 접합부는, 흡수 코어(30)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본체 접합부(61)와, 윙(3)에 배치된 윙 접합부(62)를 가져도 좋다. 본체 접합부(61)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고, 또한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체 접합부(61)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W)의 중심인 물품 폭 중심선(1WC)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물품 폭 중심선(1WC)의 폭 방향(W)의 양측에 각각 복수 열씩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물품 폭 중심선(1WC)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는 라인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접합부(61)는, 물품 폭 중심선(1WC)의 폭 방향(W)의 양측에 각각 8열씩 배치되어 있다. 가장 폭 방향(W)의 외측의 열에 위치하는 본체 접합부(61)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다른 본체 접합부(61)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이들 접합부는, 비피부면 시트(20)의 비피부면측에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는,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피복 시트에 의해 덮여져도 좋다. 피복 시트는, 사용 전에 접합부의 점착제의 열화를 방지하고, 흡수성 물품의 사용 시에 착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팽출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고, 폭 방향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물품 폭 중심선(1WC)에 대해 선대칭이고, 한 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적어도 후측 영역(S2)에 형성되어도 좋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피부면 시트(10)와 비피부면 시트(20)가 겹쳐지고, 흡수 코어(3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어도 좋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적어도 후측 영역(S2)에 형성되어도 좋다. 오목부는, 중앙 영역(S3)과 후측 영역(S2)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오목부(95)와, 후측 영역(S2)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2 오목부(96)를 가져도 좋다. 볼록부는, 제1 오목부(95)와 제2 오목부(96)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볼록부(91)와, 제2 오목부(96)와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볼록부(92)를 가져도 좋다.
흡수성 물품(1)은,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상태에서 시인 가능한 기능 표시 도안(50)을 갖는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흡수성 물품(1)의 기능을 표시하는 도안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인 것을 나타내는 도안이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스포츠를 나타내는 도안 및 문자뿐만이 아니라, 스포츠를 상기시키는 도안 및 문자를 포함하는 것이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평면에서 보아 X자형의 디자인이며, 스포츠를 상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중앙 중심선(S3CL)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앞 기능 표시 도안(F50)과, 중앙 중심선(S3CL)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뒤 기능 표시 도안(R50)을 가져도 좋다. 기능 표시 도안(50)에 대해서는, 후술로 상세히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1)에는, 흡수성 물품의 변형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 기점부는, 흡수성 물품(1)의 변형 기점으로서 기능한다. 절곡 기점부는, 강성차, 두께차, 흡수 코어의 평량의 차이 등에 의해 변형의 기점이 되는 것이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축부, 흡수 코어의 평량이 주위보다 낮은 저(低)평량부, 흡수 코어의 평량이 주위보다 높은 고평량부, 및 흡수 코어의 두께가 주위보다 얇은 저두께부, 흡수 코어의 두께가 주위보다 두꺼운 고두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절곡 기점부는, 기능 표시 도안(50)을 구성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70)와, 전후 절곡 기점부(75)를 가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절곡 기점부(70)는, 압착부로서의 표시 압착부(8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 압착부(81)는, 흡수 코어(30)와 피부면 시트로서의 표면 시트(11)가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어 있다. 표시 압착부(81)는, 저압착부와, 저압착부보다 압축의 정도가 강한 고압착부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저압착부의 깊이는, 고압착부의 깊이보다 얕다. 즉, 저압착부의 압축의 정도는, 고압착부의 압축의 정도보다 약하다. 절곡 기점부는, 물품 폭 중심선(1WC)에 대해 선대칭이어도 좋다.
표시 절곡 기점부(70)는, 앞 기능 표시 도안(F50)을 구성하는 앞 표시 절곡 기점부(F70)와, 뒤 기능 표시 도안(R50)을 구성하는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를 가져도 좋다. 앞 표시 절곡 기점부(F70)는, 전후 절곡 기점부(75)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전측 영역(S1)과 중앙 영역(S3)에 걸쳐 배치되어도 좋다.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는, 전후 절곡 기점부(75)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후측 영역(S2)과 중앙 영역(S3)에 걸쳐 배치되어도 좋다. 앞 표시 절곡 기점부(F70) 및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의 각각은, 제1 라인 및 제1 라인과 교차부에서 교차하는 제2 라인을 갖는 X자형이고, 교차부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져도 좋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표시 절곡 기점부(70)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해도 좋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W)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중앙 영역(S3)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전측 영역(S1)에 걸쳐 있어도 좋으며, 후측 영역(S2)에 걸쳐 있어도 좋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적어도 중앙 중심선(S3CL)을 걸쳐 있으면 되고, 중앙 영역(S3)의 전후 방향의 전역이 아니라 전후 방향의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전후 절곡 기점부(75)의 전단 가장자리(75F)는, 중앙 영역(S3)의 전단 가장자리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전후 절곡 기점부(75)의 후단 가장자리(75R)는, 중앙 영역(S3)의 후단 가장자리보다 전측에 위치해도 좋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물품 폭 중심선(1WC)에 대해 폭 방향(W)으로 이격되어 있고, 물품 폭 중심선(1WC)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적어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되고, 전후 방향(L)에 대해 평행해도 좋고, 전후 방향(L)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좋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평면에서 보아 폭 방향(W)의 내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이어도 좋고, 폭 방향(W)의 외측을 향해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이어도 좋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복수의 점형 부분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선형이어도 좋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흡수 코어(30)에 겹쳐 있어도 좋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흡수 코어의 변형 기점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30E)는, 전후 절곡 기점부(75)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흡수 코어(30)의 외측 가장자리(30E)와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폭 방향(W)으로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수 코어는, 전후 절곡 기점부(75)보다 폭 방향(W)의 외측의 영역과, 전후 절곡 기점부(75)끼리에 의해 끼워진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전후 절곡 기점부(75)는, 압착부(80)로서의 전후 압착부(85)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압착부(80)는, 절곡 기점부(표시 절곡 기점부 및 전후 절곡 기점부)를 구성하는 표시 압착부 외에, 사이드 압착부(87)와, 중앙 압착부(86)를 가져도 좋다. 사이드 압착부(87) 및 중앙 압착부(86)는, 적어도 흡수 코어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되어 있고, 피부면 시트(10)와 흡수 코어(30)가 두께 방향(T)으로 압축되어 있어도 좋다.
사이드 압착부(87)는, 평면에서 보아 곡선형이며,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압착부(87)는, 폭 방향(W)의 내측으로 불룩해지는 볼록 형상과, 폭 방향(W)의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볼록 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라인형이어도 좋다. 사이드 압착부(87)는, 주로, 전후 절곡 기점부(75)보다 폭 방향(W)의 외측과, 앞 표시 절곡 기점부(F70)보다 전측과,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보다 후측에 형성되어도 좋다. 사이드 압착부(87)는, 전후 절곡 기점부(75), 앞 표시 절곡 기점부(F70) 및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의 각각에 겹치는 영역에도 형성되어도 좋다. 사이드 압착부(87)는, 전후 절곡 기점부(75)보다 폭 방향(W)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앞 표시 절곡 기점부(F70)보다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으며,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보다 전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중앙 압착부(86)는, 한 쌍의 전후 절곡 기점부(75)에 끼워진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 압착부(86)는, 점형이고, 전후 방향 및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중앙 압착부(86)는, 고평량부(33)가 배치된 영역에 형성되어도 좋다. 중앙 압착부(86)는, 적어도 사이드 압착부(87)보다 깊게 압착되어 있다. 즉, 중앙 압착부(86)의 바닥면은, 사이드 압착부(87)의 바닥면보다 비피부면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중앙 영역(S3)이 질구에 피트했을 때에,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 코어측으로 인입하기 쉬워진다.
(3) 기능 표시 도안의 상세 구성
이어서, 기능 표시 도안(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기능 표시 도안(50)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a)는 앞 기능 표시 도안(F50)이고, 도 4(b)는 뒤 기능 표시 도안(R50)이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흡수성 물품(1)의 피부면측(T1)에서 본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의 「시인 가능」이란, 주백색(색 온도 기준 4600∼5400 K(켈빈))으로 밝게 조명된 실내(기준: 500∼750 lx(룩스))에서 약 30∼50 ㎝의 거리에서, 양호한 시력(1.0 이상)을 양 눈에 갖는 피험자가 대상물을 보았을 때에 시인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주위로부터 독립되어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의 「주위로부터 독립되어 있다」란, 주위의 도안 및 문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며, 시인 가능한 다른 도안과는 평면에서 보아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단, 평면에서 보아 시인 불가능한 도안(양호한 시력으로는 거의 보이지 않는 도안)이란, 겹쳐 있어도 좋은 개념이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다른 도안 및 문자보다 눈에 띄기 쉽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표시 도안(50)의 치수는, 다른 도안 등의 치수보다 커도 좋고, 기능 표시 도안(50)의 색이, 다른 도안 등의 색보다 짙은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제1 라인(51) 및 제2 라인(52)을 갖는 X자형의 디자인을 갖는다. 제1 라인(51)과 제2 라인(52)은, 교차부(53)에 있어서 교차하고 있다. 교차부(53)는, 제1 라인(51)과 제2 라인(52)이 분기하는 분기점과, 제1 라인(51)과 제2 라인(52)이 교차하는 교차점의 경계이다. 본 실시형태의 교차부(53)는,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교차부(531)와 제2 교차부(532)를 갖는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교차부(53)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4)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연장부(54)는, 제1 교차부(531)로부터 2개의 연장부가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교차부(532)로부터 2개의 연장부가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사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54)는, 제1 교차부(531)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541)와, 제1 교차부(531)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543)와, 제2 교차부(532)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542)와, 제2 교차부(532)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544)를 갖는다. 즉, 제1 교차부(531)는, 제1 연장부(541) 및 제3 연장부(543)가 교차하는 교차부이고, 제2 교차부(532)는, 제2 연장부(542) 및 제4 연장부(544)가 교차하는 교차부이다. 제1 연장부(541)와 제2 연장부(542)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인접하고 있고,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는, 폭 방향(W)에 있어서 인접하고 있다.
제1 연장부(541)와 제2 연장부(542)는, 물품 폭 중심선(1WC)에 대해 선대칭이어도 좋고, 제3 연장부(543)와 제4 연장부(544)는, 물품 폭 중심선(1WC)에 대해 선대칭이어도 좋다. 또한, 제1 연장부(541)와 제3 연장부(54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비대칭이어도 좋고, 제2 연장부(542)와 제4 연장부(544)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비대칭이어도 좋다. 한편, 변형예에 있어서, 제1 연장부(541)와 제3 연장부(54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대칭이고, 제2 연장부(542)와 제4 연장부(544)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대칭이어도 좋다. 제1 연장부(541) 및 제2 연장부(542)는, 교차부(53)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는, 교차부(53)보다 후측에 위치한다.
앞 기능 표시 도안(F50)에 있어서, 제1 연장부(541)의 길이는, 제2 연장부(542)의 길이와 동일해도 좋고,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의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제2 연장부(542)의 길이는,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의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뒤 기능 표시 도안(R50)에 있어서, 제1 연장부(541)의 길이는, 제2 연장부(542)의 길이와 동일해도 좋고,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의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제2 연장부(542)의 길이는,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의 길이보다 길어도 좋다.
기능 표시 도안(50)은, 제1 교차부(531)와 제2 교차부(532)를 연결하는 연결부(55)를 갖는다. 연결부(55)는, 제1 교차부(531)와 제2 교차부(532)를 연결하고 있고, 폭 방향(W)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55)와 연장부(54)의 경계는, 예컨대, 이하와 같이 규정할 수 있다. 연장부(54)를 구성하는 2측변 중 교차부(53)에 접하지 않는 측변에 대해 직교하는 제1 가상선(FL1)을 상기 교차부(53)로부터 연장시킨다. 상기 제1 가상선(FL1)을 연결부(55)와 연장부(54)의 경계로 하여, 제1 가상선(FL1)보다 폭 방향(W)의 외측(연장부(54)의 선단측)을 연장부(54)로 하고, 제1 가상선(FL1)보다 폭 방향(W)의 내측을 연결부(55)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1)은, 기능 표시 도안(50)에 의해 사용자에게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인 것을 인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착용자가 X자형의 기능 표시 도안(50)을 시인함으로써, 스포츠를 상기할 수 있고,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1)인 것을 인식하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X자형의 디자인은, 교차부(53)와, 교차부(53)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54)를 갖는다. 연장부(54)는, 교차부로부터 상이한 4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인접하는 연장부(54)에 의해 끼워진 부분은, 연장부(54)보다 눈에 띄기 어렵고, 연장부(54)에 대해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서 인식되기 쉽다. 그리고, 연장부(54)가, 연장부(54)에 의해 끼워진 부분에 대해 불룩해지는 형상으로서 인식되기 쉽다.
도 5는 신체의 근육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근육은, 불룩해진 볼록 부분과, 볼록 부분에 대해 움푹 들어간 오목 부분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복근 및 흉근과 같이 입체적인 신체를 따르도록 볼록 부분이 X자형을 형성하고 있다(예컨대, 도 5의 C 부분 및 D 부분 참조). X자형의 기능 표시 도안(50)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감각에 작용하여, X자형의 볼록 부분과 볼록 부분에 대해 움푹 들어가는 오목 부분으로부터 근육을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착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스포츠에 적합한 기능을 갖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1)인 것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연장부(54)는, 곡선형의 곡선부를 가져도 좋다. 연장부(54)의 일부가 곡선형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좋고, 연장부(54) 전체가 곡선형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연장부(541) 내지 제4 연장부(544)의 적어도 일부가 곡선부를 가져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곡선부는, 제1 연장부(541) 내지 제4 연장부(544)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신체의 근육은, 곡선형이며, 연장부(54)의 곡선부에 의해, 착용자에게 근육을 보다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제1 연장부(541) 및 제2 연장부(542)는, 제1 방향으로서의 폭 방향(W)의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이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장부(541)는, 제1 교차부(531)와 연속되는 내단 가장자리(5411)와, 제1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5412)를 갖는다. 제1 연장부(541)는, 내단 가장자리(5411)와 외단 가장자리(5412)를 연결한 제2 가상선(FL2)에 대해, 제2 연장부로부터 멀어지는 측(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지고, 또한 제3 연장부에 근접하는 측(제1 교차부측)으로 불룩해지는 원호 형상이다. 마찬가지로, 제2 연장부(542)는, 제2 교차부(532)와 연속되는 내단 가장자리(5421)와,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5422)를 갖는다. 제2 연장부(542)는, 내단 가장자리(5421)와 외단 가장자리(5422)를 연결한 제2 가상선(FL2)에 대해, 제1 연장부(541)로부터 멀어지는 측(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지고, 또한 제4 연장부(544)에 근접하는 측(제2 교차부측)으로 불룩해지는 원호 형상이다. 제1 연장부(541) 및 제2 연장부(542)는, 서로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이다. 제1 연장부(541) 및 제2 연장부(542)에 의해 끼워진 영역은, 직선에 의해 끼워진 삼각형 형상이 아니라, 곡선 형상이며, 신체의 근육의 불룩해지는 형상을 모방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보다 근육을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는, 제1 방향으로서의 폭 방향(W)의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이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연장부(543)는, 제1 교차부(531)와 연속되는 내단 가장자리(5431)와, 제1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5432)를 갖는다. 제3 연장부(543)는, 내단 가장자리(5431)와 외단 가장자리(5432)를 연결한 제2 가상선(FL2)에 대해, 제4 연장부(544)로부터 멀어지는 측(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지고, 또한 제1 연장부(541)에 근접하는 측(제1 교차부측)으로 불룩해지는 원호 형상이다. 마찬가지로, 제4 연장부(544)는, 제2 교차부(532)와 연속되는 내단 가장자리(5441)와, 폭 방향(W)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단 가장자리(5442)를 갖는다. 제4 연장부(544)는, 내단 가장자리(5441)와 외단 가장자리(5442)를 연결한 제2 가상선(FL2)에 대해, 제3 연장부(543)로부터 멀어지는 측(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지고, 또한 제2 연장부(542)에 근접하는 측(제2 교차부측)으로 불룩해지는 원호 형상이다.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는, 서로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이다. 제3 연장부(543) 및 제4 연장부(544)에 의해 끼워진 영역은, 직선에 의해 끼워진 삼각형 형상이 아니라, 곡선 형상이며, 신체의 근육의 불룩해지는 형상을 모방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보다 근육을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제1 연장부(541)의 폭(W541) 및 제2 연장부(542)의 폭(W542)은,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짧아져도 좋다. 신체의 근육은, 곡선형으로 융기하고 있고, 근육의 불룩해진 부분으로부터 신체의 움푹 들어가는 라인을 향해 서서히 움푹 들어간다. 연장부의 폭이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짧아짐으로써, 근육의 불룩해진 부분으로부터 신체의 움푹 들어가는 라인을 나타낼 수 있고, 착용자에게 보다 근육을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연장부(543)의 폭(W543) 및 제4 연장부(544)의 폭(W544)은,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짧아져도 좋다. 신체의 근육은, 곡선형으로 융기하고 있고, 근육의 불룩해진 부분으로부터 신체의 움푹 들어가는 라인을 향해 서서히 움푹 들어간다. 연장부의 폭이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짧아짐으로써, 근육의 불룩해진 부분으로부터 신체의 움푹 들어가는 라인을 나타낼 수 있고, 착용자에게 보다 근육을 이미지시켜,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기능 표시 도안은, 표시 절곡 기점부(7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기능 표시 도안은, 절곡 기점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 않고, 인쇄 등의 디자인이어도 좋다. 예컨대, 피부면 시트 또는 흡수 코어에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기능 표시 도안을 나타내어도 좋다.
(4) 표시 절곡 기점부의 상세 구성 및 착용 시의 변형 양태
이어서, 기능 표시 도안(50)을 구성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7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 절곡 기점부(70)는, 기능 표시 도안(50)을 구성하고 있다. 표시 절곡 기점부(70)는, 기능 표시 도안(50)이 구비하는 교차부(53), 연장부(54) 및 연결부(55) 등의 어느 구성도 갖고 있다. 표시 절곡 기점부(70)를 기점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1)이 변형함으로써, 기능 표시 도안(50)을 기점으로 하여 주위가 불룩해지도록 변형하는 등 하여, 기능 표시 도안(50) 및 그 주위가 입체적으로 변형한다. 착용자에게 보다 근육을 이미지시키고, 움직임을 이미지시킬 수 있어, 보다 스포츠를 상기시킬 수 있다.
도 6은 흡수성 물품이 착용 물품으로서의 속옷(S)에 장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스포츠에 의한 복잡한 움직임에 의해 비틀림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X자형의 표시 절곡 기점부(70)에 의해 비틀림을 흡수하거나, 연장부(54)를 따라 힘을 사방으로 방출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절곡 기점부(70)는, X자형이기 때문에, 변형의 기점이 1점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기 쉽다. 따라서,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교차부(5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5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힘이 보다 분산되기 쉽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표시 절곡 기점부(70)는, 표시 압착부(81)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표시 압착부(81)는, 주위와 비교하여 강성차 및 두께차가 있어, 변형 기점이 되기 쉽다. 또한, 표시 압착부(81)는, 주위와 비교하여 높은 밀도이고, 체액을 인입하기 쉽다. 따라서, 표시 압착부(81)에 의해 체액을 흡수함으로써, 표시 압착부(81)가 체액에 의해 눈에 띄기 쉬워지고, 기능 표시 도안(50)의 기능을 보다 발휘하기 쉬워진다.
표시 절곡 기점부(70)의 연장부(54)는, 곡선형의 곡선부를 가져도 좋다. 교차부(53)를 중심으로 한 변형이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직선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곡선형으로 분산되면서 전달된다. 따라서, 국소적인 변형에 의한 뒤틀림을 억제하여,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의 폭이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짧아져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교차부(53)를 중심으로 한 변형이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작아지면서 전달된다. 따라서, 국소적인 변형에 의한 뒤틀림을 억제하여,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절곡 기점부(70)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55)를 가져도 좋다. 착용 시에 흡수성 물품(1)이 다리에 의해 끼워지면, 흡수성 물품(1)에는, 폭 방향(W)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진다. 제1 교차부(531)와 제2 교차부(532)가 연결부(55)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55)에 의해 폭 방향(W)의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대향할 수 있고, 흡수성 물품(1)의 폭 축소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55)의 폭(W55)은, 연장부의 폭(W541, W542, W543, W544) 이상이어도 좋다. 연결부(55)의 폭(W55)은, 연장부(54)의 폭과 동일해도 좋고, 연장부(54)의 폭보다 길어도 좋다. 연결부(55)에 의해 폭 방향(W)의 내측으로 향하는 힘에 보다 대향할 수 있고, 흡수성 물품의 폭 축소 및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절곡 기점부(70)의 적어도 일부는, 중앙 중심선(S3CL)보다 후측에 위치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는, 중앙 중심선(S3CL)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포츠에 의해 둔부가 움직여 비틀림의 힘이 발생하면, 회음부 부근에 가장 힘이 가해지기 쉽다. 표시 절곡 기점부가 회음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함으로써, 스포츠 시의 신체에 대한 추종성을 높일 수 있다.
표시 절곡 기점부(70)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는, 전후 절곡 기점부(75)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중앙 중심선(S3CL)에는, 폭 방향(W)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지기 쉽다. 이때, 전후 절곡 기점부(75)를 기점으로 변형하여, 전후 절곡 기점부(75)에 의해 끼워진 영역이 착용자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한다. 이때, 중앙 영역(S3)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S2)에 둔부의 움직임 등에 의한 비틀림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중앙 중심선(S3CL)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70)에 의해 힘을 흡수하여, 전후 절곡 기점부(75)에 의해 착용자에게로 불룩해지는 변형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구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 접합부(61)는, 표시 절곡 기점부(70)의 4개의 연장부(54)의 각각에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도 좋다.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4)의 각각이 본체 접합부(61)에 겹쳐 있기 때문에, 연장부(54)의 각각이 착용 물품에 접합되어 강성이 높아지고, 변형 기점으로서 보다 기능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X자형의 기점의 변형에 의해 비틀림을 흡수하거나, 연장부를 따라 힘을 사방으로 방출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보다 적합하게는, 표시 절곡 기점부(70)보다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본체 접합부(61)가 배치되어도 좋다. 표시 절곡 기점부(70)보다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본체 접합부에 의해, 표시 절곡 기점부(70)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착용 물품에 추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X자형의 기점의 변형에 의한 비틀림의 흡수 효과, 연장부(54)를 따라 힘을 방출하는 효과를 보다 얻기 쉽다. 따라서,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표시 절곡 기점부(70)의 교차부보다 후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앞 표시 절곡 기점부(F70)의 교차부(53)보다 후측, 및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의 교차부(53)보다 후측에는, 제1 오목부(95) 및 제2 오목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착용자가 비교적 큰 동작을 하면, 흡수성 물품 중 특히 후측 영역에 비틀어지게 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한 쌍의 오목부 및 표시 절곡 기점부(70)에 의해 후측 영역의 비틀림을 흡수하여, 상기 비틀림이 중앙 중심선(S3CL)에 전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중앙 영역(S3)에 있어서의 배설구에 대한 피트성의 확보와 후측 영역의 신체에 대한 추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변형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1X)의 피부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변형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 실시형태의 흡수성 물품의 차이는, 후측 영역(S2)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외연의 형상이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팽출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고, 평면에서 보아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물품 폭 중심선(1WC)에 대해 선대칭이고, 한 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볼록부와 오목부는, 적어도 후측 영역(S2)에 형성되어도 좋다. 오목부는, 중앙 영역(S3)과 후측 영역(S2)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오목부(95)와, 후측 영역(S2)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2 오목부(96)와, 제2 오목부와 물품 폭 중심선(1WC)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오목부(97)를 가져도 좋다. 볼록부는, 제1 오목부(95)와 제2 오목부(96)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볼록부(91)와, 제2 오목부(96)와 제3 오목부(97)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볼록부(92)와, 물품 폭 중심선(1WC)을 걸쳐 배치된 제3 볼록부(93)를 가져도 좋다. 제1 볼록부(91)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지고, 제2 볼록부(92)는, 폭 방향의 외측 또한 후측으로 불룩해지며, 제3 볼록부(93)는, 후측으로 불룩해지고 있다. 제1 오목부(95) 및 제2 오목부(96)는, 폭 방향의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고, 제3 오목부(97)는, 후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연장부를 따라 연장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 가상선(FL5) 중 하나의 연장 가상선은, 볼록부에 도달해도 좋다. 연장 가상선(FL5)은, 각 연장부의 내단 가장자리와 외단 가장자리를 연결한 제2 가상선(FL2)을 연장한 선이다. 표시 압착부(81)를 포함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70)는, 밀도가 높고, 모관 현상에 의해 체액을 연장 가상선을 따라 확산시키기 쉽다. 연장 가상선(FL5)이 흡수성 물품의 외연의 볼록부에 도달함으로써, 연장부로부터 흡수성 물품의 외단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고, 연장부에 의해 확산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 후에는, 연장부에 의해 체액을 확산시킬 수 있어, 넓은 범위에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것, 및 체액의 확산 방향에 있어서의 불룩해진 부분에 의해 누설이 억제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고, 흡수 성능과 누설 억제에 대한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연장 가상선(FL5) 중 제1 연장 가상선(FL51)이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는 제1 도달점(P1)과, 복수의 연장 가상선(FL5) 중 제2 연장 가상선(FL52)이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는 제2 도달점(P2)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의 제3 연장부(543)의 제1 연장 가상선(FL51)은, 제1 도달점(P1)에 있어서 제2 볼록부(92)에 도달하고 있다. 뒤 표시 절곡 기점부(R70)의 제4 연장부(544)의 제2 연장 가상선(FL52)은, 제2 도달점(P2)에 있어서 제2 볼록부(92)에 도달하고 있다. 제1 도달점(P1)과 제2 도달점(P2) 사이에는, 제3 볼록부(93)가 배치되어 있다. 연장 가상선(FL5)을 따라 기능 표시 도안(50)으로부터 사방으로 힘을 방출하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착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고, 스포츠 시에 있어서도 뒤틀리기 어려운 인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오목부가 있음으로써, 오목부로부터 X자형의 기점을 향해 변형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기능 표시 도안으로부터 사방으로 힘을 방출하고, 그 앞에 볼록부가 있기 때문에, 힘을 외연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시에 뒤틀리기 어렵고, 스포츠에 의한 격한 움직임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분명하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고안에 대해 하등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한편, 2019년 2월 4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9-017716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착용자에게 기능을 상기시켜, 착용자가 스포츠에 적합한 기능을 파악하기 쉬운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1X: 흡수성 물품 1WC: 물품 폭 중심선
3: 윙 10: 피부면 시트
11: 표면 시트 12: 사이드 시트
20: 비피부면 시트 30: 흡수 코어
50: 기능 표시 도안 51: 제1 라인
52: 제2 라인 53: 교차부
531: 제1 교차부 532: 제2 교차부
54: 연장부 541: 제1 연장부
542: 제2 연장부 543: 제3 연장부
544: 제4 연장부 55: 연결부
61: 본체 접합부 70: 표시 절곡 기점부
75: 전후 절곡 기점부 80: 압착부
81: 표시 압착부 85: 전후 압착부
86: 중앙 압착부 87: 사이드 압착부
91: 제1 볼록부 92: 제2 볼록부
93: 제3 볼록부 95: 제1 오목부
96: 제2 오목부 97: 제3 오목부
FL1: 제1 가상선 FL2: 제2 가상선
FL3: 윙 가상선 FL5: 연장 가상선
P1: 제1 도달점 P2: 제2 도달점
S1: 전측 영역 S2: 후측 영역
S3: 중앙 영역 S3CL: 중앙 중심선
L: 전후 방향 T: 두께 방향
W: 폭 방향

Claims (14)

  1.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보다 피부면측에 위치하는 피부면 시트를 갖는 스포츠용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피부면측에서 본 상태에서 시인 가능하며, 주위로부터 독립된 기능 표시 도안을 갖고,
    상기 기능 표시 도안은, 제1 라인 및 상기 제1 라인과 교차부에서 교차하는 제2 라인을 갖는 X자형이고, 상기 교차부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곡선형의 곡선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제1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갖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방향의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만곡 형상인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교차부에 연속되는 내단 가장자리와, 상기 교차부와 반대측의 외단 가장자리를 각각 갖고,
    상기 제1 연장부의 폭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폭은 상기 내단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단 가장자리를 향해 짧아지고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변형 기점이 되는 절곡 기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기능 표시 도안을 구성하는 표시 절곡 기점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절곡 기점부는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압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3 연장부 및 제4 연장부를 갖고,
    상기 교차부는,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가 교차하는 제1 교차부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4 연장부가 교차하는 제2 교차부를 가지며,
    상기 기능 표시 도안은, 상기 제1 교차부와 상기 제2 교차부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연장부의 폭 이상인 흡수성 물품.
  9. 제6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중앙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 절곡 기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기점부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전후 절곡 기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전후 절곡 기점부는, 상기 중앙 영역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을 걸쳐 있으며, 상기 표시 절곡 기점부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9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을 갖고,
    상기 후측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外緣)에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팽출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교차부보다 후측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을 착용 물품에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각각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3. 제6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구와 대향하는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후측 영역을 갖고,
    상기 후측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는, 평면에서 보아 외측으로 팽출하는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를 따라 상기 연장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 가상선 중 하나의 연장 가상선은 상기 볼록부에 도달하는 흡수성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연장 가상선 중 제1 연장 가상선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는 제1 도달점과, 복수의 상기 연장 가상선 중 제2 연장 가상선이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도달하는 제2 도달점 사이에는,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2020200000409U 2019-02-04 2020-02-03 흡수성 물품 KR2020000181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17716 2019-02-04
JP2019017716A JP7065049B2 (ja) 2019-02-04 2019-02-0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12U true KR20200001812U (ko) 2020-08-12

Family

ID=7203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09U KR20200001812U (ko) 2019-02-04 2020-02-0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65049B2 (ko)
KR (1) KR20200001812U (ko)
CN (1) CN212382826U (ko)
TW (1) TWM60334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6351B1 (ja) * 2022-07-15 2022-1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974A (ja) 2018-03-15 2018-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包装体のパッケー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9447B2 (ja) 1998-12-11 2005-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4522021B2 (ja) 2001-06-27 2010-08-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01779B1 (ja) 2015-12-16 2017-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8000332A (ja) 2016-06-28 2018-01-1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49349B2 (ja) 2016-12-28 2020-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52226B2 (ja) 2017-06-08 2022-04-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2974A (ja) 2018-03-15 2018-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包装体のパッケ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603344U (zh) 2020-11-01
JP7065049B2 (ja) 2022-05-11
CN212382826U (zh) 2021-01-22
JP2020124313A (ja)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1309B2 (ja) 吸収性物品
JP4693574B2 (ja) 吸収性物品
JP4877850B2 (ja) 吸収性物品
EP1132067A2 (en) Absorbent article
TWI708595B (zh) 吸收性物品
KR20200001812U (ko) 흡수성 물품
JP6042312B2 (ja) 吸収性物品
JP3975176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5094008B2 (ja) 吸収性物品
JP5782263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7194612B2 (ja) 吸収性物品
JP6937596B2 (ja) 吸収性物品
JP3241230U (ja) 吸収性物品のパッケージ群
JP7083763B2 (ja) 吸収性物品
WO2022264625A1 (ja) 吸収性物品
CN107072826B (zh) 吸收性物品
JP7388881B2 (ja) 吸収性物品
WO2023002691A1 (ja) 吸収性物品
WO2021054392A1 (ja) 吸収性物品
JP7385359B2 (ja) 吸収性物品
JP3242381U (ja) 吸収性物品
JP5325543B2 (ja) 吸収性物品
WO2023145154A1 (ja) 吸収性物品
JP6898978B2 (ja) 吸収性物品
JP2022177888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