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24U - 웨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웨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24U
KR20200001624U KR2020190000182U KR20190000182U KR20200001624U KR 20200001624 U KR20200001624 U KR 20200001624U KR 2020190000182 U KR2020190000182 U KR 2020190000182U KR 20190000182 U KR20190000182 U KR 20190000182U KR 20200001624 U KR20200001624 U KR 20200001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blade
guide member
seating portio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호
Original Assignee
정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호 filed Critical 정명호
Priority to KR2020190000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624U/ko
Publication of KR20200001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웨이퍼 블레이드가 개시된다. 웨이퍼 블레이드는, 로봇암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표면에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의 안착부에 돌출되어 웨이퍼의 표면에 마찰 접촉되는 마찰 접촉부와, 안착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웨이퍼의 가장자리에 접촉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이퍼 블레이드{WAFER BLADE}
본 고안은 웨이퍼의 안정적인 챔버간 이송이 가능한 웨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는 실리콘 웨이퍼 상에 사진 공정, 식각 공정, 박막 형성 공정 등의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공정의 수행시에 웨이퍼는 다수매씩 카세트(cassette)에 적재되어 현재의 공정에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카세트에서 낱장 단위 또는 카세트 단위로 제조 장치내에 탑재되어 반도체 제조 공정이 수행된다.
웨이퍼는 통상 그 제조 과정에 있어서 웨이퍼를 카세트에 적재하거나 한 공정에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일련의 공정에서 로봇과 같은 자동화된 설비를 사용하고 있다.
반도체 웨이퍼에 대하여 각종 처리, 예를 들면 식각이나 이온주입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수장, 예를 들면 25장의 웨이퍼가 수납된 카세트가 로드락 챔버 내에 수용된다.
로드락 챔버 내에 수용된 카세트 내의 웨이퍼는 그 후 진공 분위기 하에서 로봇에 의하여 트랜스퍼 챔버를 통하여 공정 챔버로 보내어진다.
즉, 트랜스퍼 챔버내에 장착된 로봇은 웨이퍼를 한번에 한 개씩 카세트로부터 해제하여 각각의 웨이퍼를 공정 챔버로 차례로 이송한다.
공정 챔버내에서 웨이퍼의 처리작업이 완료되면, 그 웨이퍼는 카세트로 복귀되며(또는 다음 처리챔버로 이송) 로봇은 다른 웨이퍼를 카세트로부터 꺼내어 공정 챔버로 이송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은 웨이퍼를 탑재하기 위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웨이퍼 이송 도중 또는 웨이퍼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중에 흔들림에 의하여 웨이퍼가 블레이드에서 미끄러져 웨이퍼가 블레이드의 정위치에 놓여 있지 않게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134533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챔버들 사이에서 웨이퍼의 이송중 미끄러짐 또는 낙하가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한 웨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로봇암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표면에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의 안착부에 돌출되어 웨이퍼의 표면에 마찰 접촉되는 마찰 접촉부와, 안착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웨이퍼의 가장자리에 접촉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안착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웨이퍼의 가장자리 일측을 지지하는 라운드 형상의 제1 가이드부재와, 안착부의 타측에 돌출되며 웨이퍼의 가장자리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라운드 형상의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는, 장공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홀 및 제2 가이드부재 위치에 형성된 절개홀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 접촉부는, 안착부에서 제1 가이드부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접촉 돌기와, 안착부에서 제1 접촉 돌기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절개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돌출되는 제2 접촉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의 마주하는 표면에는 돌기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웨이퍼의 이송 작업 과정에서 휘어지거나 형상 변형 발생이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표면에 마찰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는 바, 웨이퍼가 블레이드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송 과정에서 웨이퍼의 미끄러짐 또는 낙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웨이퍼 이송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100)는, 로봇암에 연결되는 연결부(11)가 일측에 형성되며 표면에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안착부(20)가 형성된 블레이드(10)와, 블레이드(10)의 안착부(20)에 돌출되어 웨이퍼의 표면에 마찰 접촉되는 마찰 접촉부(40)와, 안착부(20)의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웨이퍼의 가장자리에 접촉 가이드되는 가이드부(3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10)는 웨이퍼가 표면에 안착된 상태로 반도체 공정 중의 챔버들 사이에서 웨이퍼를 소정 위치로 이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0)는 일측에는 로봇암(미도시)에 연결되는 연결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0)는 본 실시예에서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10)는 웨이퍼의 이송 작업 과정에서 휘어지거나 형상 변형 발생이 최소화되는 바, 안정적인 웨이퍼 이송 작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11)는 블레이드(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로봇암에 연결되는 것으로 로봇암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로봇암에 연결을 위한 단차부 또는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 등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결부(11)의 측면에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안착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0)는 라운드 형상의 웨이퍼가 표면에 안착된 상태로 반도체 공정의 챔버들 사이에서 웨이퍼가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블레이드(10)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20)는, 장공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홀(21) 및 절개홀(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부(20)에 관통홀(21)과 절개홀(23) 등이 형성되는 것은, 로봇암을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클램핑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10)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웨이퍼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20)에 2개의 관통홀(21)과 하나의 절개홀(23)이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블레이드(10)와 웨이퍼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적절한 개수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안착부(20)에는 웨이퍼의 안착된 상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안착부(20)의 일측에 돌출되어 웨이퍼의 가장자리 일측을 지지하는 라운드 형상의 제1 가이드부재(31)와, 안착부(20)의 타측에 돌출되며 웨이퍼의 가장자리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라운드 형상의 제2 가이드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31)는, 안착부(20)의 일측에 웨이퍼의 라운드 형상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부재(31)는 웨이퍼의 가장자리에 가이드 접촉되는 바, 웨이퍼의 이송 과정에서 웨이퍼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31)는 웨이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하나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제1 가이드부재(31)는 웨이퍼의 일측을 하나로 지지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안착부(20)의 상측에 돌출된 상태로 웨이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가이드부재(33)는 안착부(20)의 타측에 돌출되며 웨이퍼의 가장자리 다른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웨이퍼의 라운드 형상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재(33)는 웨이퍼의 가장자리에 가이드 접촉되는 바, 웨이퍼의 이송 과정에서 웨이퍼의 일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재(33)는 안착부(20)의 타측에 한 쌍이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부재(33)는 안착부(20)에 형성된 절개홀(2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웨이퍼의 측면을 가이드 지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재(33)는 웨이퍼의 측면을 가이드 지지하도록 2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웨이퍼의 크기에 대응하여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안착부(20)에는 웨이퍼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위한 마찰 접촉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 접촉부(40)는, 블레이드(10)의 안착부(20)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웨이퍼의 표면에 마찰 접촉될 수 있다. 즉, 마찰 접촉부(40)는 웨이퍼의 안착된 저면의 복수개의 위치에 마찰 접촉되는 바, 웨이퍼의 이송 과정에서 블레이드(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찰 접촉부(40)는, 안착부(20)에서 제1 가이드부재(31)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접촉 돌기(41)와, 안착부(20)에서 제1 접촉 돌기(4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절개홀(23)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돌출되는 제2 접촉 돌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돌기(41)는 안착부(20)에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31)의 측면에 하나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접촉 돌기(41)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제1 가이드부재(31)의 측면에 하나로 돌출되는 바, 웨이퍼의 저면 일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제1 접촉 돌기(41)는 라운드 형상으로 제1 가이드부재(31)의 측면에 돌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외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접촉 돌기(41)의 돌출된 표면은 웨이퍼의 저면에 면접촉되도록 편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 돌기(43)는 안착부(20)에서 제1 접촉 돌기(4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안착부(20)에 형성된 절개홀(23)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접촉 돌기(43)는 안착부(20)에 안착된 웨이퍼의 저면에 면접촉되는 바, 제1 접촉 돌기(41)와 함께 웨이퍼가 안착부(20)의 외부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접촉 돌기(43)는 제1 접촉 돌기(41)와 동일 또는 유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가이드부재(33)에 근접된 위치에서 안착부(20)의 표면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접촉 돌기(43)는 안착부(20)에 끼움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웨이퍼 블레이드(100)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웨이퍼의 이송 작업 과정에서 휘어지거나 형상 변형 발생이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블레이드(10)의 표면에 마찰 접촉부(40)가 돌출 형성되는 바, 웨이퍼가 블레이드(10)의 표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여 웨이퍼의 미끄러짐 또는 낙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웨이퍼 이송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200)는, 제1 가이드부재(31)와 제2 가이드부재(33)의 마주하는 표면에 돌기부(110)가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110)는, 제1 가이드부재(31)와 제2 가이드부재(33)의 마주하는 표면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바, 웨이퍼의 마주하는 가장자리가 제1 가이드부재(31)와 제2 가이드부재(33)의 사이에서 압입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이송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블레이드(300)의 제1 가이드부재(31)와 제2 가이드부재(33)의 마주하는 표면에는 패드부재(210)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웨이퍼가 제1 가이드부재(31)와 제2 가이드부재(33)의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패드부재(210)에 의해 적절하게 마찰 가이드되어 안정적인 이송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블레이드 11...연결부
20...안착부 21...관통홀
23...절개홀 20...안착부
30...가이드부 31...제1 가이드부재
33...제2 가이드부재 40...마찰 접촉부
41...제1 접촉 돌기 43...제2 접촉 돌기
110..돌기부 210..패드부재

Claims (4)

  1. 로봇암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표면에는 웨이퍼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안착부에 돌출되어 상기 웨이퍼의 표면에 마찰 접촉되는 마찰 접촉부; 및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상기 웨이퍼의 가장자리에 접촉 가이드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웨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웨이퍼의 가장자리 일측을 지지하는 라운드 형상의 제1 가이드부재;
    상기 안착부의 타측에 돌출되며 상기 웨이퍼의 가장자리 다른 일측을 지지하고 라운드 형상의 제2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웨이퍼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장공 형상의 복수개의 관통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재 위치에 형성된 절개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접촉부는,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의 측면에 돌출되는 제1 접촉 돌기;
    상기 안착부에서 상기 제1 접촉 돌기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절개홀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돌출되는 제2 접촉 돌기;
    를 포함하는 웨이퍼 블레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마주하는 표면에는 돌기부가 돌출되는 웨이퍼 블레이드.
KR2020190000182U 2019-01-14 2019-01-14 웨이퍼 블레이드 KR202000016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82U KR20200001624U (ko) 2019-01-14 2019-01-14 웨이퍼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82U KR20200001624U (ko) 2019-01-14 2019-01-14 웨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24U true KR20200001624U (ko) 2020-07-22

Family

ID=7183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82U KR20200001624U (ko) 2019-01-14 2019-01-14 웨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6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63336A (zh) * 2022-12-13 2023-03-07 泓浒(苏州)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半导体晶圆传送用blade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533A (ko) 2005-06-23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를 위한 로봇 블레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4533A (ko) 2005-06-23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를 위한 로봇 블레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63336A (zh) * 2022-12-13 2023-03-07 泓浒(苏州)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半导体晶圆传送用blade设备
CN115763336B (zh) * 2022-12-13 2023-09-01 泓浒(苏州)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半导体晶圆传送用blade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9334B2 (ja) 基板移送ロボットエンドエフェクタ
JP5033886B2 (ja) 基板搬送用のロボットハンド
KR101404175B1 (ko) 워크 유지기구
US8141712B2 (en) Thin wafer insert
JP5589790B2 (ja) 基板搬送用ハンドおよび基板搬送ロボット
TWI692835B (zh) 校準裝置、半導體晶圓處理裝置及校準方法
JP2012522386A (ja) バネによって安定化された真空グリッパー組立体
KR20200001624U (ko) 웨이퍼 블레이드
JP2001223252A (ja) ロボットの吸着レスハンド
US6286688B1 (en) Compliant silicon wafer handling system
JPWO2020049671A1 (ja) キャリアの位置決め部材及びキャリア載置台
KR20090044048A (ko) 기판 이송 장치
KR101505625B1 (ko) 웨이퍼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20030003779A (ko) 반도체 장치 제조용 로봇 블레이드
KR20060134533A (ko) 반도체 소자 제조를 위한 로봇 블레이드
KR102301114B1 (ko) 이중 구조의 미끄럼 방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웨이퍼 이송 로봇
JPH11111821A (ja) 基板支持装置
CN114454182B (zh) 工业用机器人的示教方法
CN109256353B (zh) 定位底座
KR100238947B1 (ko) 반도체 웨이퍼 탑재장치
JP2002033379A (ja) ウエハキャリアおよびウエハキャリアを用いた半導体製造装置
KR200466814Y1 (ko) 기판 처리 장치
TW393436B (en) Wafers transportation means and methods
KR20210025351A (ko) 반송 유닛
KR20010019338A (ko) 양면 가공용 웨이퍼의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425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227

Effective date: 20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