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05A - 카본 와이어 히터 - Google Patents

카본 와이어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505A
KR20200001505A KR1020190073368A KR20190073368A KR20200001505A KR 20200001505 A KR20200001505 A KR 20200001505A KR 1020190073368 A KR1020190073368 A KR 1020190073368A KR 20190073368 A KR20190073368 A KR 20190073368A KR 20200001505 A KR20200001505 A KR 20200001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arbon wire
wire heating
heater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칸타 도이
Original Assignee
쿠어스택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어스택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어스택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급전에 의해 발열하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를 포함하는 카본 와이어 히터로서,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는, 카본 단섬유를 묶은 복수의 카본 섬유 다발이 선 형상으로 짜넣어져 형성되고,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단위 길이당의 중량은, 1g/m∼5.1g/m의 범위 내이고, 상기 짜넣어진 복수의 카본 섬유 다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카본 섬유 다발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와이어 히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본 와이어 히터{CARBON WIRE HEATER}
본 발명은, 카본 와이어 발열체가 유리 부재에 수용된 카본 와이어 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본 와이어 발열체에 있어서의 전류의 집중을 억제한 카본 와이어 히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카본 와이어 히터에 대해서 특허문헌 1 기재의 발명을 제안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카본 와이어 히터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히터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12)와,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12)를 수납하는, 양단이 개방된 장척(長尺) 또한 소경(小徑)의 석영 유리관(13)(간단히 유리관(13)이라고 칭함)을 갖는다. 상기 유리관(13)의 양단부(13a, 13b)에는, 더욱 대경(大徑)의 유리관(14a, 14b)이 수납되고, 이 대경의 유리관(14a, 14b)의 내부에 와이어 카본재(20)가 압축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단부(13a, 13b)의 외측 단부는, 봉지 단자부(封止 端子部; 18a, 18b)에 의해 봉지되어 폐색되어 있다.
상기 봉지 단자부(18a, 18b)는, 원통 형상의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봉지 부재(15a, 15b)를 갖고, 그의 일단(一端)은 상기 유리관(13)의 양단부(13a, 13b)에 융착되어 있다.
상기 봉지 부재(15a, 15b) 내에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선(16a, 16b)이 설치되고, 접속선(16a, 16b)의 일부 외주면에는 당해 접속선(16a, 16b)의 지름 방향으로 열 팽창 계수가 변화하는 열 팽창 경사부(17a, 1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 부재(15a, 15b)는, 소경부(15a1, 15b1)와, 대경부(15a2, 15b2)와, 상기 소경부(15a1, 15b1)와 대경부(15a2, 15b2)를 접속하는 기립부(15a3, 15b3)가 형성된 원통 형상체이다.
상기 소경부(15a1, 15b1)의 내주면은, 상기 열 팽창 경사부(17a, 17b)의 외주면에 융착되고, 상기 대경부(15a2, 15b2)의 단면은, 상기 대경의 유리관(13)의 양단부(13a, 13b)의 단면에 융착된다. 이에 따라 유리관(13) 내가 봉지되어 있다.
상기 접속선(16a, 16b)은 Mo(몰리브덴), 혹은 W(텅스텐) 막대로 이루어진다. 이 접속선(16a, 16b)은, 대경의 유리관(14a, 14b) 내에 압축 수납되는 와이어 카본재(20)에 대하여 용이하게 접속을 할 수 있도록, 그 선단부가 날카롭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봉지 단자부(18a, 18b)에 있어서 접속선(16a, 16b)의 외주면에는 열 팽창 경사부(17a, 17b)가 형성된다. 이 열 팽창 경사부(17a, 17b)는, 접속선(16a, 16b)의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텅스텐 유리층(17a1, 17b1)과, 그 위에 적층되는 예를 들면 열 팽창 계수가 8×10-7/℃(0∼300℃)의 96% 규산 유리층(17a2, 17b2)으로 이루어진다. 즉, 접속선(16a, 16b)의 지름 방향으로 열 팽창 계수가 작아지도록, 열 팽창 경사부(17a, 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히터에 의하면, 접속선(16a, 16b)의 외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열 팽창률이 변화하는 열 팽창 경사부(17a, 17b)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선(16a, 16b)은 열 팽창 경사부(17a, 17b)를 통하여 유리 부재(소경부(15a1, 15b1))에 부착되기 때문에, 열 팽창에 의한 변형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강해져, 취급이 편리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히터에 있어서, 유리관(13) 내에 수용되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12)에 있어서는, 직경 2 내지 15㎛의 카본 섬유, 예를 들면, 직경 7㎛의 카본 단(單)섬유를 약 3000개 내지 3500개 정도 묶은 섬유 다발(12a)을, 도 7의 측면도(유리관은 단면으로 나타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다발 정도 이용하여 직경 약 2㎜의 편뉴(knitted cord) 형상 혹은 조편(組編) 형상으로 짜넣은 카본 와이어가 이용된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와이어의 짜넣은 스팬(span)은 2 내지 5㎜ 정도이다.
또한, 도 8은, 상기와 같이 짜넣어진 섬유 다발(12a)(내부를 나타내기 위해 윤곽만을 쇄선으로 나타냄)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짜넣어진 복수의 섬유 다발(12a)의 내부에는, 2∼3다발의 스트레이트(직선 형상)의 섬유 다발로 이루어지는 심선(芯線; 19)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는, 짜넣어진 복수의 섬유 다발(12a)의 내부에 심선(19)을 배치함으로써, 강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94007호
그런데, 도 9의 종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선(19)의 주위를 덮는 복수의 섬유 다발(12a)에 있어서는, 짜넣어지지만, 심선(19)에 관해서는 짜넣어지지 않고 스트레이트인 상태이다.
그러나, 스트레이트 상태의 심선(19)에 있어서는, 짜넣은 선(섬유 다발(12a))보다도 길이가 짧기 때문에 저항값이 낮아지고, 그만큼, 전류가 집중하기 쉽다. 그 때문에, 심선(19)에 있어서 온도가 상승하기 쉽고, 전류 인가 시에 있어서 심선(19)의 온도가 짜넣은 선(섬유 다발(12a))의 온도보다도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짜넣은 선(섬유 다발(12a))보다도 심선(19)에 있어서, 카본 와이어 주성분인 카본(C)과, 실리카 유리관으로부터 증발한 SiO가 하기식의 반응을 일으켜, 서서히 단선(斷線)이 진행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식 1)
SiO(s)+C(s)→Si(s)+CO(g)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본 와이어 발열체에 있어서의 전류 집중의 발생을 억제하고,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한 카본 와이어 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카본 와이어 히터는,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급전에 의해 발열하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를 포함하는 카본 와이어 히터로서,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는, 카본 단섬유를 묶은 복수의 카본 섬유 다발이 선 형상으로 짜넣어져 형성되고,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단위 길이당의 중량은, 1g/m∼5.1g/m의 범위 내이고, 상기 짜넣어진 복수의 카본 섬유 다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카본 섬유 다발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는, 직경 5 내지 15㎛의 상기 카본 단섬유가 묶여져 형성된 상기 카본 섬유 다발이, 5다발 내지 20다발 짜넣어지고, 전체적으로 15000개 내지 60000개의 카본 단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 부재 내에 수용되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는, 종래와 같이 내부에 스트레이트의 심선을 포함하지 않고, 복수개의 카본 섬유 다발을 짜넣은 구성이 된다.
이에 따라, 저항값이 낮은 심선에서의 전류의 집중이 없기 때문에, 카본 와이어 발열체에 있어서의 발열을 균일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화학 반응에 의한 단선의 진행을 억제하고,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보다도 단위 길이당의 저항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동일 전류값을 흐르게 했을 때,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보다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심선을 포함하는 종래의 카본 와이어 발열체보다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본 와이어 발열체에 있어서의 전류 집중의 발생을 억제하고,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한 카본 와이어 히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 와이어 히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유리관은 단면도로 나타냄)이고, 카본 와이어 히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카본 와이어 히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유리관 중에 수용된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일부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1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비교예 2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카본 와이어 발열체를 유리관 중에 봉입(封入)한 종래의 히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종래의 히터가 갖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카본 와이어 발열체가 갖는 심선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 도 8에 나타낸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카본 와이어 히터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 와이어 히터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유리관은 단면으로 나타냄)이고, 본 발명에 따른 카본 와이어 히터의 특징을 갖는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본 와이어 히터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유리관 중에 수용된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일부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카본 와이어 히터는, 도 6에 나타낸 종래의 히터와 동일하게 유리관 중에 수용된 카본 와이어 발열체에 급전되어 발열하는 것으로서, 급전부는 도 6에 나타낸 구조와 동일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카본 와이어 히터(1)는, 급전됨으로써 발열하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2)와, 이 카본 와이어 발열체(2)를 관 내에 수납하고, 양단에 봉지 단자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유리관(3)(유리 부재)을 구비한다. 상기 유리관(3)은, 예를 들면, 석영 유리에 의해 형성된, 광(복사열)을 투과하는 석영 유리관이다. 그의 내경은, 예를 들면 2.6㎜로 형성되고, 외경은, 예를 들면, 5㎜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2)는, 극세 카본 단섬유를 묶은 카본 섬유 다발(2a)을, 도 3(a), 혹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뉴 형상, 혹은 조뉴(braid) 형상으로 복수 다발 짜올려 선 형상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종래의 금속제나 SiC제의 발열체에 비해, 열 용량이 작고 승강온(昇降溫)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비산화성 분위기 중에서는 고온 내구성도 우수하다.
또한, 이 카본 와이어 발열체(2)는, 가는 카본 단섬유의 섬유 다발(카본 섬유 다발(2a))을 복수개 짜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무구(無垢)의 카본재로 이루어지는 발열체에 비해 플렉시빌리티가 풍부하여, 형상 변형 순응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8다발의 카본 섬유 다발(2a)을 짜올린 것을 사용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짜넣어진 8다발의 카본 섬유 다발(2a)의 내부는 공동(空洞)으로 이루어져 있고, 종래 구조와 같이 카본 와이어(카본 섬유 다발)의 심선은 포함되지 않는다. 즉, 짜넣어진 복수의 카본 섬유 다발(2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카본 섬유 다발(2a)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심선이 존재하지 않고, 심선으로의 전류 집중이 없기 때문에, 심선의 온도가 국소적으로 상승하는 일이 없고, 카본 와이어 발열체(2)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보다도 단위 길이당의 저항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동일 전류값을 흐르게 했을 때,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보다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심선을 포함하는 종래의 카본 와이어 발열체보다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2)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본 와이어 발열체(2)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8다발)의 카본 섬유 다발(2a)을 직경 약 2㎜의 편뉴 형상, 혹은 조뉴 형상으로 짜넣은 것이 사용된다. 상기 카본 섬유 다발(2a)은, 직경 5㎛ 내지 15㎛의 카본 단섬유, 예를 들면, 직경 7㎛의 카본 단섬유를 약 3000개 정도 묶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본 와이어 발열체(2)의 전체적으로, 상기 카본 단섬유는 15000개 내지 60000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1다발의 카본 섬유 다발(2a)을 3000개의 카본 단섬유로 형성하면, 카본 와이어 발열체(2)는, 5다발 내지 20다발의 카본 섬유 다발(2a)을 짜넣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와이어의 짜넣은 스팬은 2㎜ 내지 5㎜ 정도이고, 또한,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본 섬유 다발(2a)의 짜넣은 각도 θ는, 10° 내지 40°의 사이에서 소정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짜넣은 각도가 10°(도 3(a))와 같이 작은 경우에는, 단위 길이(1m)당의 카본 섬유 다발(2a)의 길이가 짧아지고, 중량도 1g/1m 정도가 된다. 짜넣은 각도가 10°보다 작으면 굽혀지기 쉬워 형상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짜넣은 각도가 40°(도 3(b))와 같이 큰 경우에는, 단위 길이(1m)당의 카본 섬유 다발(2a)의 길이가 길어지고, 중량도 5.1g/m 정도가 된다.
이와 같이 짜넣은 각도를 예를 들면 크게 하면, 단위 길이당에 포함되는 와이어량이 증가하고, 저항값이 상승한다. 그 결과, 종래 구조의 것에 더욱 출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짜넣은 각도가 40°보다 크면, 강성은 향상하지만 유연성이 결여되어, 인회(引回)가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카본 와이어 히터에 있어서,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단위 길이당의 중량은, 1g/m∼5.1g/m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본 와이어 히터(1)에 있어서, 카본 와이어 발열체(2)로 통전하여 발열시키면, 유리관(3)으로부터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2)의 형상(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직선 형상)을 따라 복사열이 방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카본 와이어 히터에 따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리관(3) 내에 수용되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2)는, 내부에 스트레이트의 심선을 포함하지 않고, 복수 다발의 카본 섬유 다발(2a)을 짜넣은 구성이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저항값이 낮은 심선에서의 전류의 집중을 억제하고, 카본 와이어 발열체(2)에 있어서의 발열을 균일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화학 반응에 의한 단선의 진행을 억제하고, 카본 와이어 발열체(2)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보다도 단위 길이당의 저항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동일 전류값을 흐르게 했을 때, 심선을 포함하는 경우보다도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심선을 포함하는 종래의 카본 와이어 발열체보다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2)를 구성하는 카본 섬유 다발(2a)의 수를 8다발로 하여 설명했지만, 짜넣은 섬유 다발(2a)의 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본 와이어 발열체(2)(및 그를 수용하는 유리관)는 직선 형상의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직사각형 형상이나 만곡 형상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카본 와이어 히터에 대해서, 실시예에 기초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실험 1>
실험 1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카본 와이어 히터를 이용하여, 종래보다도 공급 전력에 대한 출력이 향상하는지를 검증했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직경 7㎛의 카본 단섬유를 3000개 묶은 카본 섬유 다발을, 10다발 짜넣어 형성된 직경 약 2㎜의 카본 와이어 발열체(합계 30000개의 카본 단섬유)를 사용했다. 짜넣은 각도는, 30°로 했다.
(비교예 1)
종래 구조의 카본 와이어 히터로서, 카본 와이어 발열체에 스트레이트의 카본 섬유 다발로 이루어지는 심선을 2다발 포함하는 것을 비교예 1로서 사용했다. 각 심선의 카본 섬유 다발은, 3000개의 카본 단섬유에 의해 형성했다.
또한, 이 2다발의 심선의 주위에 배치되는 짜넣은 선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의 것을 사용했다. 즉, 직경 7㎛의 카본 단섬유를 3000개 묶은 카본 섬유 다발을, 10다발 짜넣어 형성된 것을 사용했다. 짜넣은 각도는, 30°, 카본 와이어 발열체로서의 직경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약 2㎜로 했다.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카본 와이어 히터에 대해서, 공급 전류를 0A에서 25A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켜, 그때의 히터 출력(W)를 측정했다. 본 실험의 결과로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공급 전류값(A)와 히터 출력(W)의 관계를 도 4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 4의 그래프에 있어서, 종축은 히터 출력(W), 횡축은 공급 전류(A)이다.
이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본 와이어 히터(실시예 1)에 의하면, 종래 구성의 카본 와이어 히터(비교예 1)보다도 출력이 약 35% 향상했다. 이는, 실시예 1의 구성이, 비교예 1과 같이 심선을 포함하는 구성보다도 단위 길이당의 저항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동일 전류값을 흐르게 했을 때, 출력이 더욱 향상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험 2>
실험 2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카본 와이어 히터를 이용하여, 종래보다도 수명이 향상하는지를 검증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직경 7㎛의 카본 단섬유를 3000개 묶은 카본 섬유 다발을, 10다발 짜넣어 형성된 직경 약 2㎜, 발열부 길이 200㎜의 카본 와이어 발열체(합계 30000개의 카본 단섬유)를 사용했다. 짜넣은 각도는, 30°로 했다.
(비교예 2)
종래 구조의 카본 와이어 히터로서, 카본 와이어 발열체에 스트레이트의 카본 섬유 다발로 이루어지는 심선을 2다발 포함하는 것을 비교예 2로서 사용했다. 각 심선의 카본 섬유 다발은, 3000개의 카본 단섬유에 의해 형성했다.
또한, 이 2개의 심선의 주위에 배치되는 짜넣은 선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직경 7㎛의 카본 단섬유를 3000개 묶은 카본 섬유 다발을, 10다발 짜넣은, 직경 약 2㎜의 것을 사용했다. 짜넣은 각도는, 30°로 했다.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카본 와이어 발열체로서의 직경은 약 2㎜, 발열부의 길이는 200㎜로 했다.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카본 와이어 히터에 대해서, 각 히터의 출력(500W, 580W, 680W, 750W, 780W)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연속 통전한 경우의 단선 시간을 측정했다.
본 실험의 결과를 도 5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에 있어서, 종축은 단선 시간(h), 횡축은 히터 출력(W)이다.
이 그래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본 와이어 히터(실시예 2)에 의하면, 종래 구성의 카본 와이어 히터(비교예 2)보다도 단선까지의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의 실시예의 결과, 본 발명의 카본 와이어 히터에 의하면, 종래보다도 히터 출력을 향상하고, 또한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본 출원은, 2018년 6월 26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 2018-120817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1 : 카본 와이어 히터
2 : 카본 와이어 발열체
2a : 카본 섬유 다발
3 : 유리관

Claims (2)

  1. 유리 부재와,
    상기 유리 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급전에 의해 발열하는 카본 와이어 발열체
    를 포함하는 카본 와이어 히터로서,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는, 카본 단섬유를 묶은 복수의 카본 섬유 다발이 선 형상으로 짜넣어져 형성되고,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의 단위 길이당의 중량은, 1g/m∼5.1g/m의 범위 내이고,
    상기 짜넣어진 복수의 카본 섬유 다발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카본 섬유 다발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와이어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와이어 발열체는,
    직경 5 내지 15㎛의 상기 카본 단섬유가 묶여져 형성된 상기 카본 섬유 다발이, 5다발 내지 20다발 짜넣어지고, 전체적으로 15000개 내지 60000개의 카본 단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 와이어 히터.
KR1020190073368A 2018-06-26 2019-06-20 카본 와이어 히터 KR20200001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0817A JP2020004526A (ja) 2018-06-26 2018-06-26 カーボンワイヤーヒータ
JPJP-P-2018-120817 2018-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05A true KR20200001505A (ko) 2020-01-06

Family

ID=69009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368A KR20200001505A (ko) 2018-06-26 2019-06-20 카본 와이어 히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004526A (ko)
KR (1) KR20200001505A (ko)
CN (1) CN110650551A (ko)
TW (1) TWI702320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08C (zh) * 1994-12-06 2001-02-21 北京寰海智业科技发展有限公司 导电发热用的碳纤维复合纸及其制备方法
JP4697909B2 (ja) * 2000-05-25 2011-06-08 コバレント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カーボンワイヤー発熱体封入ヒータ
JP3883003B2 (ja) * 2002-03-29 2007-02-21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ヒータ
US20050217799A1 (en) * 2004-03-31 2005-10-06 Tokyo Electron Limited Wafer heater assembly
JP2005322552A (ja) * 2004-05-11 2005-11-17 Ushio Inc ヒータランプ
US8723087B2 (en) * 2005-03-17 2014-05-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pipe-type woven carbon fibers and carbon fiber heating lamp using the pipe-type woven carbon fibers
CN2840582Y (zh) * 2005-09-26 2006-11-22 刘锦成 碳纤维红外线辐射体
JP4756695B2 (ja) * 2006-02-20 2011-08-24 コバレントマテリアル株式会社 面状ヒータ
CN200956669Y (zh) * 2006-09-08 2007-10-03 周惠俊 一种发热管
KR20110134604A (ko) * 2010-06-09 2011-12-15 주식회사 네오엔 탄소사를 발열체로 사용한 난방용 저온 발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4526A (ja) 2020-01-09
TWI702320B (zh) 2020-08-21
CN110650551A (zh) 2020-01-03
TW202010885A (zh)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3677B2 (ja) 炭素ヒータ
JP4943675B2 (ja) 炭素ヒータ
KR20200001505A (ko) 카본 와이어 히터
JP2007234566A (ja) ヒーターランプ
JP2007323965A (ja) ヒータ
KR100805430B1 (ko) 발열체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6328B1 (ko) 카본사램프 히터 및 이를 위한 탄소끈관 제조방법
KR100805432B1 (ko) 발열체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JP2017117546A (ja) ヒータ
KR100672363B1 (ko) 램프
JP3883003B2 (ja) ヒータ
JP4530362B2 (ja) ヒータ
JP5828454B2 (ja) ヒータ
US20070045279A1 (en) Heating element used in diffusion furnaces
KR101450895B1 (ko) 필라멘트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튜브히터
KR200341960Y1 (ko) 스프링형 직조 카본사 램프히터
KR100686327B1 (ko) 카본사램프 히터 및 이를 위한 탄소끈관 제조방법
JP4022981B2 (ja) 発熱体
JP6570201B2 (ja) 非発熱部のあるマイクロヒータ
JP2007311320A (ja) ヒーターランプの端子
JP2005322552A (ja) ヒータランプ
KR100767851B1 (ko) 발열체의 구조
JP2007335386A (ja) ヒーターランプの端子
JP4311656B2 (ja) ヒータの封止端子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ヒータ
KR20090057155A (ko)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수직형 튜브 램프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