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03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503A
KR20200001503A KR1020190072831A KR20190072831A KR20200001503A KR 20200001503 A KR20200001503 A KR 20200001503A KR 1020190072831 A KR1020190072831 A KR 1020190072831A KR 20190072831 A KR20190072831 A KR 20190072831A KR 20200001503 A KR20200001503 A KR 20200001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haft
case
bla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다카히라
데츠지 나가타
세이이치로 가도
다쿠야 이시즈카
요시히로 이노우에
다이고 하마스나
히로시 이케다
유우야 스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1160A external-priority patent/JP69762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1158A external-priority patent/JP69783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1159A external-priority patent/JP702319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0000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0Arrangements of straw crushers or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2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having rotating knives with their cutting edg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ir rotational axis
    • A01F29/025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having rotating knives with their cutting edges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ir rotational axis with feeding direction parallel to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절단축에 지지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구동날체 및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절단날의 교환을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날체(34)는, 구동축의 양단부가 케이스(31)의 좌우의 측벽에 지지된 사용 상태와, 구동축의 일단부가 좌측의 측벽에 지지되면서, 구동축의 타단부가 케이스(3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절단축에 지지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구동날체 및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구동날체에 대한 청소나 점검 등의 작업을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31)에, 후방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31A)와, 케이스 본체(31A)의 후방부를 폐색하는 후방부 커버(31B)가 구비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는, 구동날체(34)를 후방으로부터 막고 배출 짚 절단 장치(10)에 의한 절단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구동날체(34)를 후방으로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절단축에 지지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구동날체 및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구동날체에 대한 청소나 점검 등의 작업을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31)에, 후방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31A)와, 케이스 본체(31A)의 후방부를 폐색하는 후방부 커버(31B)가 구비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는, 구동날체(34)를 후방으로부터 막고 배출 짚 절단 장치(10)에 의한 절단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구동날체(34)를 후방으로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다. 후방부 커버(31B)의 개폐 상태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81)가 구비되어 있다. 검출부(81)는 후방부 커버(31B)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면, 탈곡 장치의 구동을 정지한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콤바인에 있어서의 배출 짚 절단 장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으로서의 절단축 및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로서의 회전 커터와, 구동축과 평행한 절단축으로서의 공급축 및 절단축에 지지됨과 함께 절단날에 대응하는 복수의 받침날로서의 공급날을 갖는 받침날체로서의 회전 공급체와, 구동날체 및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로서의 커터 케이스가 구비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99027호 공보
상기한 배출 짚 절단 장치에 있어서는, 절단날이 파손되거나 마멸되거나 하여, 절단날을 교환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경우, 구동날체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해야만 하고, 구동날체를 취출하는 데에는, 구동축의 양단부를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것 등으로 인해, 적어도 두사람의 작업자가 필요해진다. 또한, 많은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절단날의 교환 작업을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배출 짚 절단 장치에 있어서는, 절단날끼리의 사이에 막히거나, 구동축에 얽히거나 한 배출 짚을 제거하는 등의 청소를 행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동축이나 절단날을 점검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경우, 구동날체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해야만 하고, 구동날체를 취출하는 데에는, 구동축의 양단부를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것 등으로 인해, 적어도 두사람의 작업자가 필요해진다. 또한, 많은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구동날체에 대한 청소나 점검 등의 작업을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배출 짚 절단 장치에 있어서는, 절단날끼리의 사이에 막히거나, 구동축에 얽히거나 한 배출 짚을 제거하는 등의 청소를 행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동축이나 절단날을 점검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경우, 구동날체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해야만 하고, 구동날체를 취출하는 데에는, 구동축의 양단부를 지지할 필요가 있는 것 등으로 인해, 적어도 두사람의 작업자가 필요해진다. 또한, 많은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구동날체에 대한 청소나 점검 등의 작업을 적은 인원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절단축 및 상기 절단축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절단날에 대응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상기 구동날체 및 상기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날체는,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좌우의 측벽에 지지된 사용 상태와,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가 상기 좌우의 측벽의 한쪽에 지지되면서,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축의 타단부를 케이스로부터 내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구동축이 일단부측을 요동 지지점측으로 하여 요동하여 구동날체를 돌출 상태로 할 수 있다. 구동날체를 돌출 상태로 하면, 구동축의 타단부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구동날체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하지 않아도, 절단날을 구동축 중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단으로부터 빼낼 수 있고, 또한 절단날을 구동축 중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는 단으로부터 구동축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날의 교환 작업을 한사람 등, 종래보다도 적은 인원에 의해 할 수 있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구동날체의 상기 상태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요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축의 일단부를 요동 기구에 지지시키면서 구동축을 요동시켜 구동날체를 돌출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구동날체를 쉽고 매끄럽게 돌출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를 기체 상하 방향의 지지축의 축심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날체를 사용 상태와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할 때, 구동축의 타단측이 상하로 변동되기 어려우므로, 구동날체를 상태 변경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축지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축의 단부를 지지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데 비해, 구동날체를 상태 변경시킬 때, 구동축이 덜컥거리기 어렵고, 구동날체를 상태 변경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축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상부 및 하부에 대응시켜 마련됨과 함께 상기 지지축에 외부 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 중, 상기 상측의 축지지 부재와 상기 하측의 축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경이, 상기 지지축 중, 상기 상측의 축지지 부재 및 상기 하측의 축지지 부재에 내부 끼움되는 부분의 외경보다도 크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지지축의 상승측으로의 어긋남 움직임이 상측의 축지지 부재에 의해 방지되고, 지지축의 하강측으로의 어긋남 움직임이 하측의 축지지 부재에 의해 방지되므로, 구동날체를 상태 변경시킬 때, 지지축이 덜컥거리기 어렵고, 구동날체를 상태 변경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날체가 상태 변경될 때에 상기 구동축의 수평 자세를 유지하는 수평 유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날체를 상태 변경시킬 때, 구동축이 수평 유지 기구에 의해 수평 자세로 유지되면서 요동하므로, 구동날체를 사용 상태나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축에 권회된 무단 회동 체인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구동날체를 돌출 상태로 할 때, 무단 회동 체인을 구동축에 권회한 상태이면, 무단 회동 체인이 구동축의 요동에 의해 비틀리고, 구동축의 요동각이 커지는 데 수반하여 무단 회동 체인의 비틀림이 증가해 간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축이 지나치게 요동하여 무단 회동 체인의 비틀림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구동축의 요동 범위를 규제 기구에 의해 규제할 수 있으므로, 무단 회동 체인의 파손을 피하면서 구동날체를 돌출 상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요동하는 구동축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측 부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케이스측 부재와, 상기 구동축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측 부재의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요동 범위를 설정하는 긴 구멍과, 상기 긴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걸림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측 부재의 다른 쪽에 지지된 규제 핀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이 요동할 때, 상기 구동축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측 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면이 미끄럼 접촉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축이 요동할 때, 구동축측 부재와 케이스측 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면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요동하므로, 규제 기구를 구성하는 구동축측 부재 및 케이스측 부재를 가이드 기구의 구성 부재에 활용한 간소한 가이드 구조에 의해 구동축을 원활하게 요동시킬 수 있고, 구동날체를 상태 변경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에, 후방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방부를 폐색하는 후방부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는,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부터 막는 폐쇄 상태와,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에 노출시키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날체를 돌출 상태로 할 때, 후방부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하고, 구동날체의 타단부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구동날체를 사용 상태로 한 때, 후방부 커버를 폐쇄 상태로 하여 구동날체를 후방으로부터 막고, 배출 짚의 절단이 지장없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의 하방으로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구동축의 하방으로 빼냄을 가능하게 하는 관통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 구멍을 덮는 커버가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작업 시에는, 관통 구멍이 커버에 의해 덮여 관통 구멍으로부터 세단 짚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커버를 떼어내어 관통 구멍을 개방함으로써, 관통 구멍을 이용하여 구동날체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절단축 및 상기 절단축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절단날에 대응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상기 구동날체 및 상기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 후방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방부를 폐색하는 후방부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는,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부터 막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의한 절단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후방부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하면, 구동날체가 후방으로 개방되므로, 구동날체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하지 않아도, 구동날체를 후방으로부터 청소하거나, 점검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날체에 대한 청소나 점검 등의 작업을 한사람 등, 종래보다도 적은 인원에 의해 할 수 있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탈곡 장치와 기체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마련되고,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에, 당해 후방부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탱크측의 횡단측 부분에 마련됨과 함께 기체 상하 방향을 따르는 피봇 축심을 갖는 피봇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는, 상기 피봇 축심을 요동 지지점으로 한 요동에 의해 상기 폐쇄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후방부 커버를 요동에 의해 개폐하는 것이면서, 곡립 탱크측으로 개방하고, 후방부 커버가 기체의 횡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거나, 돌출되어도 그다지 길게 돌출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날체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봇부에,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후방부 커버의 한쪽에 마련된 피봇 보스와,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후방부 커버의 다른 쪽에 마련되고, 상기 피봇 보스에 찔러 넣어 걸림 결합하는 피봇축이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를 상기 폐쇄 상태로 위치 유지하는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후방부 커버를 요동에 의해 개폐하는 것이면서, 후방부 커버를 폐쇄 상태로 로크 기구에 의해 위치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세단 짚의 누출이나 후방부 커버의 덜컥거림을 확실히 방지하면서 작업하거나, 주행하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피봇 보스와 상기 피봇축의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 본체 중, 후방부 커버의 피봇에 의해 후방부 커버의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에 대한 보강 부재에 지지 부재를 활용한 간소한 보강 구조에 의해 케이스 본체를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봇부가 상하 복수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상하 복수 개소의 피봇부의 각각은, 상기 피봇축과 상기 피봇 보스의 한쪽이 상기 피봇축과 상기 피봇 보스의 다른 쪽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하에 인접하는 상기 피봇부에 있어서, 하측의 피봇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의 상기 피봇 보스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와, 상측의 피봇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의 상기 피봇 보스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가 상이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후방부 커버를 케이스 본체에 설치할 때, 상측의 피봇부와 하측의 피봇부 중, 피봇축의 피봇부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가 깊은 쪽의 피봇부에 있어서, 얕은 쪽의 피봇부에 있어서의 피봇축이 피봇부에 걸림 결합하는 데 앞서 피봇축이 피봇부에 걸림 결합하기 시작하고, 먼저 걸림 결합하기 시작한 피봇부가 나중에 걸림 결합 상태로 되는 피봇부에 대한 가이드 기능을 발휘하여, 나중에 걸림 결합 상태로 되는 피봇부에 있어서의 피봇축과 피봇 보스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쉬우므로, 나중에 걸림 결합 상태가 되는 피봇부를 걸림 결합 상태로 조작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유입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 상태와,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상기 케이스의 후방 외측으로 유출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안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에,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제2 안내 상태일 때에, 상기 케이스의 후방 외측으로 유출한 배출 짚을 설정량씩 배출하는 배출 짚 드로퍼를 지지 가능한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짚 드로퍼가, 상기 후방부 커버가 상태 변경될 때에 상기 후방부 커버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구동날체를 후방으로 개방하여 구동날체에 대한 작업을 행할 때, 배출 짚 드로퍼가 개방 상태로 한 후방부 커버에 부수되어 이동하므로, 배출 짚 드로퍼가 장해물로 되지 않아 작업을 행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절단축 및 상기 절단축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절단날에 대응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상기 구동날체 및 상기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 후방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방부를 폐색하는 후방부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는,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부터 막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의한 절단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의 개폐 상태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후방부 커버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면, 상기 탈곡 장치의 구동을 정지한다.
본 구성에 의하면, 후방부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하면, 구동날체가 후방으로 개방되므로, 구동날체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하지 않아도, 구동날체를 청소하거나, 점검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하면, 검출부가 작용하여 탈곡 장치가 정지하므로, 배출 짚 절단 장치에 배출 짚이 송입되지 않도록 탈곡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특별한 수고를 들이지 않고 절단날에 대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날체에 대한 청소나 점검 등의 작업을 한사람 등, 종래보다도 적은 인원에 의해 할 수 있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검출부가 작용하면, 배출 짚 절단 장치도 정지되므로, 배출 짚 절단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특별한 수고를 들이지 않고 절단날에 대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탈곡 장치로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후방부 커버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면, 상기 엔진을 정지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검출부가 작용하면, 엔진이 정지된다. 엔진이 정지되면 탈곡 장치의 구동이 확실하게 정지되므로, 엔진의 정지 제어를 가능하게 할 뿐인 간소한 정지 구조를 채용하는 것만으로 배출 짚 절단 장치로의 배출 짚의 송입이 확실하게 정지되는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 곡립 탱크, 후방부 커버의 개방 상태이고 또한 절단날체의 돌출 상태에서의 배출 짚 절단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4는 동력 전달 경로도이다.
도 5는 후방부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배출 짚 절단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배출 짚 절단 장치 및 배출 짚 드로퍼를 도시하는 후방면도이다.
도 7은 배출 짚 절단 장치, 세단 짚 배출 장치 및 배출 짚 드로퍼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우측벽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 화살표도이다.
도 10은 좌측벽의 일부를 파단한 상태에 있어서의 구동축의 좌측단부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구동축의 좌측단부의 요동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구동축의 좌측단부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구동축의 좌측단부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연결 구조의 연결 과정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의 기체에 관하여, 도 1에 나타나는 화살표 F의 방향을 「기체 전방」, 화살표 B의 방향을 「기체 후방」, 화살표 U의 방향을 「기체 상방」, 화살표 D의 방향을 「기체 하방」, 지면 표측의 방향을 「기체 좌측 방향」, 지면 이측의 방향을 「기체 우측 방향」이라고 한다.
〔콤바인 전체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바인은, 기체 프레임(1), 기체 프레임(1)의 하부에 구동 가능하게 장비된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를 갖는 기체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의 전방부의 우측 영역에 운전부(3)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3)에는 탑승 공간을 덮는 캐빈(4)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3)의 하방에, 엔진(5)을 갖는 원동부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좌측 영역에는 작업 주행 시에 기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수도나 보리 등의 곡간을 예취하여 반송하는 예취 전처리부(6)가 연결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부(6)는 기체 좌우 방향의 피봇 축심 P1을 지지점으로 한 승강 요동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부(6)의 승강 요동은, 기체 프레임(1)과 전처리부 프레임(7)에 걸쳐서 가설된 유압식의 승강 실린더(8)의 신축 작동으로 행해진다. 기체 프레임(1) 중, 예취 전처리부(6)의 후방측의 부위에, 예취 전처리부(6)가 반송하는 예취 곡간을 받아들여 탈곡 처리하고, 탈곡 처리 후의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 장치(9)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9)의 후방부에는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10)가 연결되어 있다.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후방측에는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긴 짚 상태로 배출하는 배출 짚 드로퍼(11)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하부에, 배출 짚 절단 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세단 짚을 확산 오거(12a)에 의해 기체 횡폭 방향으로 확산시켜 포장에 배출하는 세단 짚 배출 장치(12)가 마련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 중, 운전부(3)의 후방측의 부위에, 탈곡 장치(9)로부터 반송된 단립화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13)가 마련되어 있다. 탈곡 장치(9)와 곡립 탱크(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 소위 횡나열 상태로 기체 프레임(1)에 마련되어 있다. 곡립 탱크(13)의 후방부에는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14)가 접속되어 있다.
〔예취 전처리부의 구성에 대하여〕
예취 전처리부(6)에 있어서는, 기체의 주행에 수반하여, 식립 곡간 중 예취 대상의 곡간이 디바이더(6a)에 의해 기립 장치(6b)에 도입되어 기립 처리되고, 기립 처리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이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6c)에 의해 절단되어, 수확 대상의 곡간이 예취된다. 예취 장치(6c)의 후방에 배치된 반송 장치(6d)에 의해 예취 곡간이 탈곡 장치(9)의 탈곡 피드 체인(15)(도 2 참조)의 시단부에 공급된다.
〔탈곡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탈곡 장치(9)의 설명에 있어서, 탈곡 장치(9)의 처리 시단측[곡간 투입측(도 3의 지면 좌측)]이 「전」이라고 하고, 탈곡 장치(9)의 처리 종단부측[배출 짚 배출측(도 3의 지면 우측)]이 「후」라고 한다.
탈곡 장치(9)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 곡간에 탈곡 처리를 실시하는 탈곡부(9A), 탈곡 처리 후의 처리물에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선별부(9B), 선별 처리 후의 회수 대상의 처리물을 회수하는 회수부(9C), 탈곡 배출 짚을 배출 짚 절단 장치(10)를 향해 반송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16)가 구비되어 있다. 이 탈곡 장치(9)에 있어서, 탈곡부(9A)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 방향 및 선별부(9B)에 있어서의 선별 처리 방향이 기체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고, 탈곡 처리 방향의 상측 및 선별 처리 방향의 상측이 기체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탈곡부(9A)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 전처리부(6)의 반송 장치(6d)(도 1 참조)에 의해 공급되는 예취 곡간의 밑동측이 탈곡 피드 체인(15)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탈곡 장치(9)의 후방향으로 반송된다. 탈곡 피드 체인(15)에 의해 반송되는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이 급실(17)에 삽입되고 급동(18) 및 받침망(19)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 등의 탈곡 처리물이 받침망(19)으로부터 선별부(9B)로 누설 낙하한다.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이 탈곡 피드 체인(15)에 의해 급실 후방부의 송진구(20)로부터 급실(17)의 후방측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배출 짚이 분리 드럼(21)에 의해 풀기 처리된다. 풀기 처리에 의해 얻어진 단립화 곡립이 선별부(9B)로 하향 유동한다. 풀기 처리되어 배출 짚이 탈곡 피드 체인(15)으로부터 배출 짚 반송 장치(16)로 전달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6)에 의해 탈곡 장치(9)의 후방 외측으로 배출된다.
선별부(9B)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망(19)으로부터 누설 낙하한 곡립이나 진애 등의 탈곡 처리물 및 분리 드럼(21)으로부터 하향 유동한 곡립 등이 요동 선별 장치(22)에 의해 받쳐진다. 받쳐진 탈곡 처리물이 요동 선별 장치(22)에 의한 체 선별과, 풍구(23), 제1 부풍구(24), 제2 부풍구(25)의 각각에 의해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한 바람 선별에 의해 곡립과 진애로 선별 처리된다. 선별된 곡립이 회수부(9C)로 하향 유동하고, 선별된 진애가 선별풍과 함께 배진 팬(26)에 흡인되어, 배진 팬(26)으로부터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내부 및 세단 짚 배출 장치(12)의 내부를 통해 탈곡 장치(9)의 후방에 배출된다.
회수부(C)에 있어서는, 요동 선별 장치(22)로부터 하향 유동한 곡립 중 1번물로서의 단립화 곡립이 1번 스크루 컨베이어(27)에 의해 회수되고, 1번 스크루 컨베이어(27)의 반송 종단부에 접속된 양곡 장치(28)로 반송된다. 양곡 장치(28)는 1번 스크루 컨베이어(27)로부터 이어진 단립화 곡립을 곡립 탱크(13)로 반송한다. 요동 선별 장치(22)로부터 하향 유동한 곡립 중 2번물로서의 미처리 입자가 2번 스크루 컨베이어(29)에 의해 회수되고, 2번 스크루 컨베이어(29)의 반송 종단부에 접속된 환원 장치(30)로 반송된다. 환원 장치(30)는 2번 스크루 컨베이어(29)로부터 계승한 미처리 입자를 요동 선별 장치(22)로 환원한다.
〔배출 짚 절단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배출 짚 절단 장치(1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곡 장치(9)의 후방부에 마련된 케이스(3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31)의 상부에, 배출 짚 투입구(32) 및 배출 짚 반송 장치(16)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낙하하는 배출 짚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33)가 마련되어 있다. 도 2,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의 내부에, 구동날체(34) 및 받침날체(35)가 수용되어 있다.
안내 부재(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짚 투입구(32)의 후방측에서 케이스(31)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배출 짚 투입구(32)를 개폐하는 덮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안내 부재(33)는 케이스(31)의 상면부에 대하여 상승하는 자세로 자세 변경되면, 배출 짚 투입구(32)를 개방하는 제1 안내 상태로 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6)로부터 낙하하는 배출 짚을 안내 부재(33)의 이측면에 의해 배출 짚 투입구(32)로부터 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안내 부재(33)는 케이스(31)의 상면부를 따르는 자세로 자세 변경되면, 배출 짚 투입구(32)를 폐쇄하는 제2 안내 상태로 되고, 배출 짚 반송 장치(16)로부터 낙하하는 배출 짚을 안내 부재(33)의 표측면에 의해 케이스(31)의 후방 외측으로 긴 짚 상태로 유출되도록 안내한다.
케이스(31)에는, 도 5, 6,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재(33)를 갖는 케이스 본체(31A)와, 케이스 본체(31A)의 후방부를 구성하는 후방부 커버(31B)가 구비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는 케이스 본체(31A)의 좌측벽(31L)과 우측벽(31R)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좌측벽(31L)의 후단측 부분과 우측벽(31R)의 후단측 부분이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횡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31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구동날체(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 및 우측벽(31R)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구동축(34a) 및 구동축(34a)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34b)을 갖고 있다. 복수의 절단날(34b)은 구동축(34a)의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다. 구동날체(34)는 탈곡 장치(9)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화살표 X(도 3 참조)로 나타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받침날체(35)는 구동축(34a)보다도 전방측에 구동축(34a)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태로 좌측벽(31L) 및 우측벽(31R)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절단축(35a) 및 절단축(35a)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절단날(34b)에 대응하는 복수의 받침날(35b)을 갖고 있다. 받침날체(35)는 탈곡 장치(9)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화살표 Y(도 3 참조)로 나타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5,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4a) 및 절단축(35a)의 양단부에, 짚 부스러기가 구동축(34a) 및 절단축(35a)에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레이퍼(96)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배출 짚 절단 장치(10)에 있어서는, 안내 부재(33)가 제1 안내 상태로 전환되면, 배출 짚 반송 장치(16)로부터 낙하한 배출 짚이 배출 짚 투입구(32)로부터 케이스(31)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배출 짚이 구동날체(34) 및 받침날체(35) 위에 적재되고, 절단날(34b) 및 받침날(35b)에 의해 구동축(34a)과 절단축(35a) 사이에 긁어 넣어지면서 절단날(34b) 및 받침날(35b)에 의해 절단되고, 배출 짚을 곡간 줄기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서 절단하는 세단 처리가 행해진다. 세단 짚은, 케이스(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세단 짚 배출 장치(12)의 확산 배출 케이스의 내부에 낙하한다.
후방부 커버(31B)는 구동날체(34)를 후방으로부터 막아 배출 짚 절단 장치(10)에 의한 절단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구동날체(34)를 후방에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31A)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1A)의 후방부에 형성된 개구(36)가 구비되어 있다. 개구(36)는 케이스 본체(31A)의 좌측벽(31L)과 우측벽(31R)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커버(31B)의 곡립 탱크측의 횡단측 부분과 우측벽(31R)이 기체 상하 방향의 피봇 축심 P2를 갖고, 또한 연결 해제 가능한 연결 구조(3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는 피봇 축심 P2를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조작 가능한 상태이고, 또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케이스 본체(31A)에 지지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립 탱크측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혹은 후방부 커버(31B)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1A)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후방부 커버(31B)는 개구(36)를 개방하여 구동날체(34)를 후방에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된다. 후방부 커버(31B)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31A)에 설치함과 함께 좌측벽(31L) 및 우측벽(31R)을 따르게 함으로써, 후방부 커버(31B)는 개구(36)를 폐쇄하여 구동날체(34)를 후방으로부터 폐쇄하는 폐쇄 상태로 된다.
도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커버(31B)의 헐거운 단부에, 후방부 커버(31B)를 요동 조작하는 고정형의 핸들(38)이 마련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를 폐쇄 상태로 한 경우, 도 6,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커버(31B)의 헐거운 단부에 있어서의 상하 2개소에 있어서, 로크 기구로서의 로크 볼트(노브 구비 볼트)(39)를 후방부 커버(31B)와 좌측벽(31L)에 걸쳐서 장착함으로써, 후방부 커버(31B)를 폐쇄 상태로 위치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로서 로크 볼트(39)가 채용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새우 금속 부재, 밴드나 훅을 이용한 것, 캐처를 사용한 핸들 로크 등, 각종 로크 부재의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후방부 커버(31B)에 마련된 로크 핀, 로크 핀에 결합 분리 가능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측에 마련된 훅, 훅을 걸림 결합측으로 가압하는 로크 스프링, 훅을 로크 스프링에 저항하여 분리 조작하는 핸들을 갖는 훅식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도 5,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의 상각부에 R부(31D)가 마련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의 헐거운 단부 중, 후방부 커버(31B)를 폐쇄 상태로 한 때에 벽측의 R부(31D)에 겹치는 부분에, R부(31E)가 마련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는 후방부 커버(31B)가 개방 상태로 되어 커버측의 R부(31E)가 자유 상태로 되었을 때, 커버측의 R부(31E)의 반경이 벽측의 R부(31D)의 반경보다도 작아지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가 폐쇄 상태로 되어 로크 볼트(39)에 의해 좌측벽(31L)에 체결되면, 커버측의 R부(31E)가 벽측의 R부(31D)를 따른 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후방부 커버(31B)가 탄성 복원력을 구비하고, 후방부 커버(31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로크 볼트(39)의 풀림 방지가 행해진다.
〔후방부 커버의 연결 구조의 구성〕
연결 구조(37)에는, 도 6,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커버(31B)의 상하 2개소에 마련되고, 피봇 축심 P2를 갖는 피봇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상측의 피봇부(40) 및 하측의 피봇부(40)의 각각에는, 우측벽(31R)에 지지된 피봇 보스(40a)와, 후방부 커버(31B)에 지지된 피봇축(40b)이 구비되어 있다.
상하의 피봇부(40)에 있어서는, 피봇축(40b)이 피봇 보스(40a)에 상방으로부터 찔러 넣어짐으로써, 피봇축(40b)과 피봇 보스(40a)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고, 후방부 커버(31B)가 케이스 본체(31A)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봇축(40b)을 피봇 보스(40a)로부터 상방으로 빼 올림으로써, 피봇축(40b)과 피봇 보스(40a)의 걸림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후방부 커버(41B)를 케이스 본체(31A)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상측의 피봇부(40) 및 하측의 피봇부(40)의 각각에 있어서, 도 8,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보스(40a)는 우측벽(31R)에 설치된 지지 부재(41)에 지지되어 있다. 피봇 보스(40a)는 지지 부재(41)를 통해 우측벽(31R)에 지지되어 있다. 우측벽(31R)의 후방부 커버(31B)를 피봇하는 부분이 지지 부재(41)에 의해 보강된다. 상측의 지지 부재(41)와 하측의 지지 부재(41)는 동일한 지지 부재이다. 피봇 보스(40a)와 지지 부재(41)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41)와 우측벽(31R)은 연결 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41)의 상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31R)의 설치 부분(42)에 볼트 연결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의 피봇 보스(40a)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가 하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의 피봇 보스(40a)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보다도 깊게 설정되어 있다. 후방부 커버(31B)를 케이스 본체(31A)에 지지시킬 때, 즉 연결 구조(37)를 연결 상태로 할 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이 피봇 보스(40a)에 걸림 결합하는 데 앞서, 상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이 피봇 보스(40a)에 걸림 결합하고, 상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과 피봇 보스(40a)가 걸림 결합한 것에 의한 가이드 기능에 의해 하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과 피봇 보스(40a)의 위치 정렬을 행하기 쉽고, 하측의 피봇부(40)를 걸림 결합 상태로 조작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봇부(40)가 상하 2개소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소 이상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연결 구조(37)와는 반대로, 하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의 피봇 보스(40a)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가 상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의 피봇 보스(40a)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보다도 깊게 설정하고, 상측의 피봇부(40)보다도 먼저 하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 피봇축(40b)이 피봇 보스(40a)에 걸림 결합하기 시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봇축(40b)이 피봇 보스(40a)에 상방으로부터 찔러 넣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피봇 보스(40a)가 피봇축(40b)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구동날체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구동날체(34)는 구동축(34a)의 양단부가 케이스(31)의 좌측벽(31L) 및 우측벽(31R)에 지지된 사용 상태와, 구동축(34a)의 일단부로서의 좌측단부가 좌측벽(31L)에 지지되면서, 구동축(34a)의 타단부로서의 우측단부가 케이스(3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4a)의 우측단부에 우측 베어링 케이스(43)가 장착되어 있다. 우측 베어링 케이스(43)는 우측 베어링 케이스(43)에 수용됨과 함께 구동축(34a)에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구동축(3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우측 베어링 케이스(43)의 횡측부에 걸림 지지부(43a)가 마련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31R)에 설치 구멍(44)이 마련되어 있다.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베어링 케이스(43)가 걸림 지지부(43a)에 의해 설치 구멍(44)에 걸림 결합되고, 또한 우측 베어링 케이스(43)가 우측벽(31R)에 복수개의 연결 볼트(45)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구동축(34a)의 우측단부가 우측벽(31R)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의해, 구동날체(34)가 우측벽(31R)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우측 베어링 케이스(43)의 연결 볼트(45)에 의한 우측벽(31R)에 대한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구동축(34a)의 우측단부의 우측벽(31R)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고, 구동축(34a)의 우측단부를 우측 베어링 케이스(43)와 함께 설치 구멍(44)에 연통하고 있는 가이드 홈(46)으로 안내되어 케이스 본체(31A)에 대하여 출입할 수 있다.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31R) 중 설치 구멍(44)의 하측의 부분에, 구동축(34a)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관통 구멍(47)이 개구되어 있다. 관통 구멍(47)은 설치 구멍(44)에 연통되어 있다. 관통 구멍(47)으로부터 세단 짚이 누출되지 않도록 관통 구멍(47)을 덮는 커버(48)가 우측벽(31R)의 외면측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측벽(31R)의 내면측에 구동축(34a)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요입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요입부(49)는 관통 구멍(47)과 우측벽(31R)의 전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4a)의 좌측단부에 좌측 베어링 케이스(50)가 장착되어 있다. 좌측 베어링 케이스(50)는 좌측 베어링 케이스(50)에 수용됨과 함께 구동축(34a)에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구동축(3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좌측 베어링 케이스(50)의 횡측부에 판상의 연결부(51)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51)는 좌측 베어링 케이스(50)에 복수개의 연결 볼트(52)(도 10, 12 참조)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0,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가 좌측벽(31L)의 외면측에 연결 볼트(53)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좌측 베어링 케이스(50)가 좌측벽(31L)에 고정되고,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좌측벽(31L)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날체(34)의 좌측단부가 좌측벽(31L)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4a)이 좌측벽(31L)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좌측 베어링 케이스(50) 중, 연결부(51)에 연결하는 플랜지부(50a)가 좌측벽(31L)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 구멍(54)에 들어가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의 연결 볼트(53)에 의한 좌측벽(31L)에 대한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좌측 베어링 케이스(50)의 좌측벽(31L)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어, 구동축(34a)의 요동 조작이 가능해진다.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의 횡외측에, 구동축(34a)의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요동 기구(55)가 마련되어 있다. 요동 기구(55)는 좌측벽(31L)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기체 상하 방향의 지지축(56)과, 지지축(56)과 구동축(34a)의 좌측단부에 연결된 요동 지지체(55a)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축(56)과 요동 지지체(55a)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요동 지지체(55a)와 연결부(51)가 연결되어 있고, 요동 지지체(55a)는 연결부(51) 및 좌측 베어링 케이스(50)를 통해 구동축(34a)의 좌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요동 지지체(55a)와 연결부(51)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요동 기구(55)에 의한 구동축(34a)의 좌측단부의 지지는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지지축(56)의 기체 상하 방향의 축심 P3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행해지고 있다. 구동축(34a)의 좌측단부는 요동 기구(55)를 통해 좌측벽(31L)에 지지되어 있다. 연결부(51)의 연결 볼트(53)에 의한 좌측벽(31L)에 대한 연결이 해제되고, 또한 우측 베어링 케이스(43)의 연결 볼트(45)에 의한 우측벽(31R)에 대한 연결이 해제되고, 구동축(34a)의 우측단부의 우측벽(31R)에 의한 지지가 해제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요동 지지체(55a) 및 지지축(56)을 통해 좌측벽(31L)에 지지된 채로 하면서, 지지축(56)의 축심 P3을 요동 지지점으로 한 상태에서, 구동축(34a)을 케이스(31)에 대하여 요동 조작할 수 있다. 구동축(34a)이 요동할 때,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의 전단부측 부분이 관통 구멍(54)을 통해, 좌측벽(31L)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하고, 연결부(51)의 후단측 부분이 좌측벽(31L)을 따르거나, 좌측벽(31L)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거나 한다. 즉, 구동날체(34)는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좌측 베어링 케이스(50)를 통해 좌측벽(31L)에 지지되고, 구동축(34a)의 우측단부가 우측 베어링 케이스(43)를 통해 우측벽(31R)에 지지된 사용 상태와,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좌측 베어링 케이스(50) 및 요동 기구(55)[요동 지지체(55a) 및 지지축(56)]를 통해 좌측벽(31L)에 지지되면서, 구동축(34a)의 우측단부가 케이스(3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상하 방향의 축심 P3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는 상태로 구동축(34a)의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요동 기구(55)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축(334a)의 좌측단부가 상하 방향 축심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축심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는 상태로 하는 구성의 요동 기구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지지축(5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에 지지되어 지지축(56)의 상단측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57), 및 좌측벽(31L)에 지지되어 지지축(56)의 하단측 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 부재(58)를 통해 좌측벽(31L)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측의 축지지 부재(57)는 후술하는 연결부(60a)를 통해 좌측벽(31L)에 지지되어 있다. 상측의 축지지 부재(57) 및 하측의 축지지 부재(58)는 지지축(56)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지지축(56) 중, 상측의 축지지 부재(57)에 내부 끼움되는 부분의 외경을 D1이라고 하고, 지지축(56) 중, 하측의 축지지 부재(58)에 내부 끼움되는 부분의 외경을 D2라고 하고, 지지축(56) 중, 상측의 축지지 부재(57)와 하측의 축지지 부재(58)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경을 D3이라고 하면, 외경 D3이 외경 D1보다도 크게 설정되고, 또한 외경 D3이 외경 D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축(56)은 상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상측의 축지지 부재(57)에 의해 방지되고, 하측으로 위치 어긋남이 하측의 축지지 부재(58)에 의해 방지되는 상태에서 상하의 축지지 부재(57, 5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수평 유지 기구에 대하여〕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의 횡외측에, 구동날체(34)가 상태 변경될 때에 구동축(34a)의 수평 자세를 유지하는 수평 유지 기구(59)가 마련되어 있다. 수평 유지 기구(59)는 구동축측 부재로서의 요동 지지체(55a) 및 좌측벽(31L)에 지지된 케이스측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측 부재(60)는, 케이스측 부재(60)의 내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60a)를 갖고, 연결부(60a)에서 좌측벽(31L)에 연결되어 있다. 요동 지지체(55a)는 좌측 베어링 케이스(50)를 통해 구동축(34a)의 좌측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34a)과 함께 요동하는 구동축측 부재가 된다. 케이스측 부재(60)는 요동 지지체(55a) 위에 겹치는 상태로 좌측벽(31L)에 고정되어 있다.
수평 유지 기구(59)에 있어서는, 구동날체(34)가 상태 변경될 때, 요동 지지체(55a)가 구동축(34a)과 함께 요동하고, 요동 지지체(55a)의 상면과 케이스측 부재(60)의 하면이 서로 대향하여 미끄럼 접촉하면서, 요동 지지체(55a)가 케이스측 부재(60)에 대하여 이동한다. 요동 지지체(55a)가 케이스측 부재(60)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구동축(34a)의 요동 지지점[지지축(56)의 축심 P3]에 대하여 구동축(34a)의 헐거운 단부(우측단부)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개소에서 요동 지지체(55a)의 상면과 케이스측 부재(60)의 하면이 미끄럼 접촉한다. 구동축(34a)이 틸팅하려고 해도, 즉, 요동 지지체(55a)가 틸팅하려고 해도, 요동 지지체(55a)가 케이스측 부재(60)에 의해 상부로부터 지지되어 요동 지지체(55a)의 틸팅이 방지되고, 구동축(34a)의 수평 자세를 유지하는 수평 유지가 행해진다.
〔규제 기구에 대하여〕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의 횡외측에, 구동날체(34)가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될 때에 구동축(34a)의 요동을 규제하는 규제 기구(61)가 마련되어 있다. 규제 기구(61)에는, 요동 지지체(55a) 및 케이스측 부재(60)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측 부재(60)에, 구동축(34a)의 요동 범위를 설정하는 긴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62)에 이동 가능하게 들어간 규제 핀(63)이 요동 지지체(55a)에 마련되어 있다.
도 7,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의 횡외측에 있어서, 구동축(34a)에 무단 회동 체인(64)이 권회되어 있다. 무단 회동 체인(64)은 구동축(34a)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마련된 출력 스프로킷(90)과 중계 스프로킷(91)에 권회되어 있다. 중계 스프로킷(91)은 중계 기어(92)를 통해 받침날체 구동 기어(93)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34a)의 동력이 무단 회동 체인(64), 중계 스프로킷(91) 및 중계 기어(92)를 통해 받침날체(35)로 전달된다. 구동날체(34)가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될 때, 무단 회동 체인(64)이 구동축(34a)의 요동에 의해 비틀어져 간다.
규제 기구(61)에 있어서는, 구동날체(34)가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될 때, 요동 지지체(55a)가 구동축(34a)과 함께 요동하고, 규제 핀(63)이 긴 구멍(62)의 내부를 이동한다. 무단 회동 체인(64)의 비틀림이 허용 범위의 한계 또는 한계 부근에 이르면, 규제 핀(63)이 긴 구멍(62)의 단부에 도달하고, 요동 지지체(55a)의 가일층의 요동이 케이스측 부재(60)에 의해 저지된다. 즉, 구동축(34a)이 무단 회동 체인(64)의 비틀림의 허용 범위에 대응하는 요동각 범위를 초과하여 요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요동 규제가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축(34a)을 사용 상태로부터 요동 조작할 수 있는 요동각 범위로서, 약 15도의 요동각 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긴 구멍(62)이 케이스측 부재(60)에 마련되고, 규제 핀(63)이 요동 지지체(55a)에 마련되어 있지만, 긴 구멍(62)을 요동 지지체(55a)에 마련하고, 규제 핀(63)을 케이스측 부재(60)에 마련하는 구성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가이드 기구에 대하여〕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의 횡외측에, 구동날체(34)가 상태 변경될 때에 구동축(34a)의 요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구(65)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기구(65)는 요동 지지체(55a) 및 케이스측 부재(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기구(65)에 있어서는, 구동날체(34)가 상태 변경될 때, 요동 지지체(55a)가 구동축(34a)과 함께 요동하고, 요동 지지체(55a)의 상면과, 케이스측 부재(60)의 하면이 미끄럼 접촉하면서, 요동 지지체(55a)가 케이스측 부재(60)에 대하여 이동하고, 요동 지지체(55a)가 케이스측 부재(60)의 하면이 되는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요동한다. 즉, 구동축(34a)이 케이스측 부재(60)에 의해 안내되면서 요동하도록 구동축(34a)의 요동 안내가 행해진다.
수평 유지 기구(59), 규제 기구(61) 및 가이드 기구(65)는 수평 유지 기구(59), 규제 기구(61) 및 가이드 기구(65)에 공용의 요동 지지체(55a) 및 케이스측 부재(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배출 짚 드로퍼의 구성에 대하여〕
배출 짚 드로퍼(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안내 부재(33)가 제2 안내 상태로 전환된 때,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후방측으로 유출된 배출 짚을 긴 짚 상태로 설정량씩 포장에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배출 짚 드로퍼(11)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케이스(31)의 후방측에 배출된 배출 짚이 간헐적으로 설정량씩 낙하하도록 배출 짚 낙하를 규제하는 좌우 한 쌍의 낙하 규제 레버(66), 낙하 규제 레버(66)로부터 낙하한 배출 짚을 받치고 설정량씩 포장에 낙하시키는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 낙하 규제 레버(66)로부터 낙하한 배출 짚을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에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69), 낙하 규제 레버(66)로부터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로의 배출 짚 낙하 경로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버(70)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는 낙하 규제 레버(66)로부터 낙하한 배출 짚을 받쳐서 체류시키고, 체류한 배출 짚의 중량이 드로퍼 스프링(67)에 의한 설정 중량을 초과하면, 배출 짚 중량에 따라 하강 요동하여 체류시키고 있던 배출 짚을 포장에 낙하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낙하 규제 레버(66)의 상단측은,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상방에 마련된 지지 프레임(71)에 기체 횡폭 방향의 회전 지지축(72)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낙하 규제 레버(66)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에 의해 회전 지지축(72)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간헐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 조작되고, 배출 짚 낙하 경로의 상부를 개폐한다.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버(70)는 기체 횡폭 방향의 지지 바(73)를 통해 지지 프레임(71)에 지지되어 있다. 안내판(69) 및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는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후방부 커버(31B)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커버(31B)의 양 횡단부에, 안내판(69) 및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를 지지 가능한 설치부(74)가 구비되어 있다. 안내판(69)의 좌측단부,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의 회전 지지축(68a)의 좌측단부 및 드로퍼 스프링(67)의 각각을 지지하는 좌측의 지지 프레임(75)의 상단측 부분이 후방부 커버(31B)의 좌측의 설치부(74)에 연결되어 있다. 안내판(69)의 우측단부 및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의 회전 지지축(68a)의 우측단부의 각각을 지지하는 우측의 지지 프레임(75)의 상단측 부분이 후방부 커버(31B)의 우측의 설치부(74)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지지 프레임(75)은, 도 6,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축(40b)을 후방부 커버(31b)에 설치하는 설치 부재(40c) 상에 겹치고, 설치 부재(40c)와의 조인트에 의해 후방부 커버(31B)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배출 짚 드로퍼(11) 중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 및 안내판(69)은 후방부 커버(31B)가 상태 변경될 때, 후방부 커버(31B)와 함께 이동하는 상태로 후방부 커버(31B)에 지지되어 있다.
〔탈곡 장치 및 배출 짚 절단 장치의 구동에 대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5)의 동력이 탈곡 장치(9)로 전달되고, 탈곡 장치(9)로부터 배출 짚 절단 장치(10)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엔진(5)의 출력축의 동력이 벨트 전동 기구(76)를 통해 탈곡 장치(9)의 입력 케이스(77)로 전달된다. 입력 케이스(77)에 입력된 동력이 벨트 전동 기구(78)를 통해 급동(18) 및 배출 짚 반송 장치(16)로 전달된다. 입력 케이스(77)에 입력된 동력이 벨트 전동 기구(79)에 의해 제1 부풍구(24), 풍구(23), 1번 스크루 컨베이어(27), 제2 부풍구(25), 2번 스크루 컨베이어(29), 요동 선별 장치(22), 분리 드럼(21), 배진 팬(26) 및 탈곡 피드 체인(15)의 각각으로 전달된다. 배진 팬(26)의 입력축(26a)이 무단 회동 벨트(80)에 의해 구동축(34a)의 입력 풀리(94)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배진 팬(26)의 입력축(26a)의 동력이 구동날체(34)로 전달된다. 구동날체(34)의 동력이 출력 스프로킷(90), 무단 회동 체인(64), 중계 스프로킷(91), 중계 기어(92) 및 받침날체 구동 기어(93)를 통해 받침날체(35)로 전달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벽(31L)의 횡외측에, 후방부 커버(31B)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81)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부(81)는 좌측벽(31L)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부재(87)에 지지되어 있다. 검출부(81)는 후방부 커버(31B)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면, 탈곡 장치(9)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방부 커버(31B)를 폐쇄 상태로 상태 변경한 경우, 후방부 커버(31B)의 자유 단부측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검출 대상부(82)가 무단 회동 체인(64) 등을 덮고 있는 횡커버(83)의 관통 구멍을 통해 횡커버(83)의 내부에 들어가 검출부(81)에 근접한다. 검출부(81)는 검출 대상부(82)가 검출부(81)에 설정 거리까지 근접함으로써 온 상태로 전환되고, 검출 대상부(82)가 검출부(81)로부터 설정 거리를 초과하여 이격됨으로써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검출부(81)는 온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후방부 커버(31B)가 폐쇄 상태라고 검출하고, 오프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후방부 커버(31B)가 폐쇄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부(81)와 제어 장치(84)가 연계되고, 제어 장치(84)와 엔진 정지 장치(85)가 연계되어 있다. 제어 장치(84)에는 엔진 정지 제어부(86)가 구비되어 있다. 엔진 정지 제어부(86)는 후방부 커버(31B)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부(81)에 의해 검출되면, 검출부(81)로부터의 검출 정보를 기초로, 엔진(5)을 정지시켜야 할 신호를 엔진 정지 장치(85)에 출력하여 엔진 정지 장치(85)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구동날체(34)의 짚 막힘을 제거하거나, 구동날체(34)를 점검하거나 하는 등의 경우, 배출 짚 드로퍼(11)의 좌우 한 쌍의 낙하 규제 레버(66)의 각각을, 도 6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낙하 규제 레버(66)와 회전 지지축(72)의 연결축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상승 요동한 후퇴 자세로 하고, 배출 짚 드로퍼(11)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레버(70)의 각각을, 도 6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버(70)와 지지 바(73)과의 연결축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상승 요동한 후퇴 자세로 하고, 케이스(31)의 후방측에 후방부 커버(31B)를 개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한다.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면, 후방부 커버(31B)의 로크 볼트(39)에 의한 폐쇄 상태에서의 위치 유지를 해제하고, 후방부 커버(31B)를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한다. 즉, 후방부 커버(31B)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립 탱크측으로 요동한 개방 상태로 하거나, 혹은 연결 구조(37)에 있어서의 상하의 피봇축(40b)을 피봇 보스(40a)로부터 빼내어 후방부 커버(31B)를 케이스 본체(31A)로부터 떼어낸 개방 상태로 한다. 세단 짚 배출 장치(12)의 전체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후방부 커버(31B)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탈곡 장치(9)가 구동되고 있던 상태로 하여 후방부 커버(31B)를 개방 상태로 해도, 후방부 커버(31B)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이 검출부(81)에 의해 검출되어 엔진(5)이 정지되고, 탈곡 장치(9)의 구동이 정지되고, 또한 배출 짚 절단 장치(10)의 구동이 정지된다. 후방부 커버(31B)를 개방 상태로 하면, 구동날체(34)가 후방에 개방되고, 구동날체(34)를 케이스(31)로부터 취출하지 않아도, 구동날체(34)를 후방으로부터 개구(36)를 통해 청소하거나, 점검하거나 할 수 있다. 후방부 커버(31B)를 개방 상태로 하면, 배출 짚 드로퍼(11) 중 안내판(69) 및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가 후방부 커버(31B)와 함께 이동하고, 안내판(69) 및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를 장해물이 되지 않는 상태로 하여 구동날체(34)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다. 후방부 커버(31B)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프레임(31C)에 부착된 진애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구동날체(34)의 절단날(34b)을 교환하는 경우, 구동날체(34)의 청소나 점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방부 커버(31B)를 개방 상태로 하여 개구(36)를 개방한다. 우측 베어링 케이스(43)의 연결 볼트(45)에 의한 우측벽(31R)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고, 연결부(51)의 연결 볼트(53)에 의한 좌측벽(31L)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고 좌측 베어링 케이스(50)의 좌측벽(31L)에 대한 연결을 해제한다. 우측 베어링 케이스(43) 및 좌측 베어링 케이스(50)의 연결 해제를 할 수 있으면, 구동축(34a)의 우측단부를 우측 베어링 케이스(43)와 함께 우측벽(31R)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면, 요동 지지체(55a)가 요동하고,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요동 지지체(55a) 및 지지축(56)을 통해 좌측벽(31L)에 지지된 채의 상태에서 구동축(34a)이 지지축(56)의 축심 P3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구동날체(34)가 돌출 상태로 된다. 이때, 구동축(34a)이 수평 유지 기구(59)에 의해 수평 자세로 유지되면서 요동하고, 또한 구동축(34a)이 가이드 기구(65)에 의한 이동 안내를 받으면서 요동하고, 구동축(34a)을 매끄럽고, 또한 쉽게 요동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무단 회동 체인(64)을 구동축(34a)에 권회한 채로 구동축(34a)을 요동 조작해도, 구동축(34a)을 지나치게 요동시켜 무단 회동 체인(64)의 비틀림이 허용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구동축(34a)의 요동이 규제 기구(61)에 의해 규제되어, 무단 회동 체인(64)을 파손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무단 회동 벨트(80)를 풀지 않고 구동축(34a)을 요동 조작해도, 무단 회동 벨트(80)가 지나치게 비틀어지는 것이 규제 기구(61)에 의해 방지된다. 구동날체(34)가 돌출 상태로 되면, 구동축(34a)의 우측단부가 개구(36)로부터 케이스(31)의 후방측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구동날체(34)를 케이스(31)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케이스(31)의 외부에 있어서, 교환해야 할 절단날(34b)을 구동축(34a)의 우측단으로부터 빼낼 수 있고, 장착해야 할 새로운 절단날(34b)을 구동축(34a)에 우측단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다.
구동날체(34)를 케이스(3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좌측 베어링 케이스(50)로부터 연결부(51)를 분리하고, 구동축(34a)의 좌측벽(31L)으로부터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우측 베어링 케이스(43)의 우측벽(31R)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고, 구동축(34a)의 우측벽(31R)으로부터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구동축(34a)의 분리가 가능한 상태로 되면, 커버(48)를 떼어내어 관통 구멍(47)을 개방한다. 관통 구멍(47)을 개방할 수 있으면, 구동축(34a)의 우측단부를 설치 구멍(44)으로부터 관통 구멍(47)을 통해 요입부(49)에 하강시킨다. 그러면, 구동축(34a)이 우측 하향 자세로 되고, 구동축(34a)과 요입부(49)의 바닥 부분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간극이 생기면, 구동축(34a)을 우측벽측에 가깝게 하면서, 구동축(34a)의 우측단부가 요입부(49)를 통해 케이스(31)의 외부로 나오도록 구동축(34a)을 이동 조작함으로써, 구동날체(34)를 케이스(3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부 커버(31B)를 요동 및 탈착에 의해 개폐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요동과 탈착의 어느 한쪽에서만 개폐되는 구성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후방부 커버(31B)가 곡립 탱크측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을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후방부 커버(31B)가 곡립 탱크측과 반대측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후방부 커버(31B)가 슬라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피봇부(40)가 상하 2개소에 마련된 예를 나타냈지만, 3개소 이상으로 마련해도 된다. 또한, 피봇축(40b)이 후방부 커버(31B)에 지지되고, 피봇 보스(40a)가 케이스 본체(31A)에 지지되는 피봇부(40)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피봇축(40b)이 케이스 본체(31A)에 지지되고, 피봇 보스(40a)가 후방부 커버(31B)에 지지되는 피봇부(40)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의 피봇 보스(40a)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를 하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의 피봇 보스(40a)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보다 깊게 한 예를 나타냈지만, 하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의 걸림 결합 깊이를 상측의 피봇부(40)에 있어서의 피봇축(40b)의 걸림 결합 깊이보다 깊게 하여 실시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짚 드로퍼(11) 및 세단 짚 배출 장치(12)가 마련된 예를 나타냈지만, 배출 짚 드로퍼(11) 및 세단 짚 배출 장치(12)의 어느 한쪽만을 마련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배출 짚 드로퍼(11) 및 세단 짚 배출 장치(12)의 양쪽을 마련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또한, 배출 짚 드로퍼(11)를 마련하는 경우, 안내판(69) 및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만을 후방부 커버(31B)에 지지하는 것은 아니고, 안내판(69), 배출 짚 드로퍼 본체(68), 낙하 규제 레버(66) 및 가이드 레버(70) 모두를 후방부 커버(31B)에 지지하여 실시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좌측벽(31L)에 지지되면서, 구동축(34a)의 우측단부가 케이스(3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구동날체(34)를 상태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구동축(34a)의 우측단부가 우측벽(31R)에 지지되면서, 구동축(34a)의 좌측단부가 케이스(31)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구동날체(34)를 상태 변경하고, 구동축(34a)에 대하여 좌측단부로부터 절단날(34b)을 삽입 발출하는 구성을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유지 기구(59), 규제 기구(61) 및 가이드 기구(65)가 각각에 공용의 부재[요동 지지체(55a), 케이스측 부재(60)]에 의해 구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각각의 전용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6)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유지 기구(59), 규제 기구(61) 및 가이드 기구(65)가 마련된 예를 나타냈지만, 수평 유지 기구(59), 규제 기구(61) 및 가이드 기구(65)의 어느 하나만, 혹은 임의의 둘만 마련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수평 유지 기구(59), 규제 기구(61) 및 가이드 기구(65) 모두를 마련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47)을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관통 구멍(47)을 마련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8)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부(81)를 마련한 예를 나타낸, 검출부(81)를 마련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9)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날체(34)가 사용 상태와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구동날체(34)를 사용 상태와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10)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날체(34)가 사용 상태와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구동날체(34)를 사용 상태와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하는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 실시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탈곡 장치의 전후 방향을 기체 전후 방향으로 설정된 콤바인 외에, 탈곡 장치의 전후 방향이 기체 횡방향으로 설정된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5 : 엔진
9 : 탈곡 장치
10 : 배출 짚 절단 장치
13 : 곡립 탱크
31 : 케이스
31A : 케이스 본체
31B : 후방부 커버
31L : 측벽(좌측벽)
31R : 측벽(우측벽)
33 : 안내 부재
34 : 구동날체
34a : 구동축
34b : 절단날
35 : 받침날체
35a : 절단축
35b : 받침날
39 : 로크 기구(로크 볼트)
40 : 피봇부
40a : 피봇 보스
40b : 피봇축
41 : 지지 부재
47 : 관통 구멍
48 : 커버
55 : 요동 기구
55a : 구동축측 부재(요동 지지체)
56 : 지지축
57 : 축지지 부재
58 : 축지지 부재
59 : 수평 유지 기구
60 : 케이스측 부재
61 : 규제 기구
62 : 긴 구멍
64 : 규제 핀
68 : 배출 짚 드로퍼(배출 짚 드로퍼 본체)
69 : 배출 짚 드로퍼(안내판)
74 : 설치부
81 : 검출부
D1 : 지지축의 외경
D2 : 지지축의 외경
D3 : 지지축의 외경
P2 : 피봇 축심
P3 : 축심

Claims (19)

  1.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절단축 및 상기 절단축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절단날에 대응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상기 구동날체 및 상기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날체는, 상기 구동축의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좌우의 측벽에 지지된 사용 상태와,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가 상기 좌우의 측벽의 한쪽에 지지되면서,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구동날체의 상기 상태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요동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부를 기체 상하 방향의 지지축의 축심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하는 축지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상부 및 하부에 대응시켜 마련됨과 함께 상기 지지축에 외부 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 중, 상기 상측의 축지지 부재와 상기 하측의 축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경이, 상기 지지축 중, 상기 상측의 축지지 부재 및 상기 하측의 축지지 부재에 내부 끼움되는 부분의 외경보다도 큰, 콤바인.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날체가 상태 변경될 때에 상기 구동축의 수평 자세를 유지하는 수평 유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권회된 무단 회동 체인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요동하는 구동축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축측 부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케이스측 부재와, 상기 구동축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측 부재의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요동 범위를 설정하는 긴 구멍과, 상기 긴 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걸림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측 부재의 다른 쪽에 지지된 규제 핀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축이 요동할 때, 상기 구동축측 부재와 상기 케이스측 부재가 서로 대향하는 면이 미끄럼 접촉하는, 콤바인.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후방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방부를 폐색하는 후방부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는,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부터 막는 폐쇄 상태와,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에 노출시키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타단부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구동축의 하방으로 빼냄을 가능하게 하는 관통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 구멍을 덮는 커버가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
  11.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절단축 및 상기 절단축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절단날에 대응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상기 구동날체 및 상기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 후방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방부를 폐색하는 후방부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는,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부터 막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의한 절단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와 기체 횡폭 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마련되고,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에, 당해 후방부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 탱크측의 횡단측 부분에 마련됨과 함께 기체 상하 방향을 따르는 피봇 축심을 갖는 피봇부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는, 상기 피봇 축심을 요동 지지점으로 한 요동에 의해 상기 폐쇄 상태와 상기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콤바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부에,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후방부 커버의 한쪽에 마련된 피봇 보스와,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후방부 커버의 다른 쪽에 마련되고, 상기 피봇 보스에 찔러 넣어 걸림 결합하는 피봇축이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를 상기 폐쇄 상태로 위치 유지하는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피봇 보스와 상기 피봇축의 한쪽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부가 상하 복수 개소에 마련되고,
    상기 상하 복수 개소의 피봇부의 각각은, 상기 피봇축과 상기 피봇 보스의 한쪽이 상기 피봇축과 상기 피봇 보스의 다른 쪽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결합 분리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하에 인접하는 상기 피봇부에 있어서, 하측의 피봇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의 상기 피봇 보스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와, 상측의 피봇부에 있어서의 상기 피봇축의 상기 피봇 보스에 대한 걸림 결합 깊이가 상이한, 콤바인.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유입하도록 안내하는 제1 안내 상태와,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상기 케이스의 후방 외측으로 유출하도록 안내하는 제2 안내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한 안내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에,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제2 안내 상태일 때에, 상기 케이스의 후방 외측으로 유출한 배출 짚을 설정량씩 배출하는 배출 짚 드로퍼를 지지 가능한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짚 드로퍼가, 상기 후방부 커버가 상태 변경될 때에 상기 후방부 커버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7.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절단 처리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지지된 복수의 절단날을 갖는 구동날체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한 절단축 및 상기 절단축에 지지됨과 함께 상기 절단날에 대응하는 복수의 받침날을 갖는 받침날체와, 상기 구동날체 및 상기 받침날체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 후방부가 개방된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방부를 폐색하는 후방부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는,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부터 막고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에 의한 절단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구동날체를 후방으로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후방부 커버의 개폐 상태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후방부 커버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면, 상기 탈곡 장치의 구동을 정지하는, 콤바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는,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콤바인.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로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후방부 커버가 폐쇄 상태가 아닌 것을 검출하면, 상기 엔진을 정지하는, 콤바인.
KR1020190072831A 2018-06-26 2019-06-19 콤바인 KR202000015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1160A JP6976223B2 (ja) 2018-06-26 2018-06-26 コンバイン
JP2018121158A JP6978382B2 (ja) 2018-06-26 2018-06-26 コンバイン
JPJP-P-2018-121160 2018-06-26
JPJP-P-2018-121158 2018-06-26
JP2018121159A JP7023193B2 (ja) 2018-06-26 2018-06-26 コンバイン
JPJP-P-2018-121159 2018-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03A true KR20200001503A (ko) 2020-01-06

Family

ID=6900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31A KR20200001503A (ko) 2018-06-26 2019-06-19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01503A (ko)
CN (1) CN1106376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43549A (zh) * 2022-12-13 2023-03-28 张俊 一种农业秸秆处理再利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2774A (en) * 1969-04-29 1971-02-17 Ernst Weichel Improvements in drives for reaper cutting mechanisms
JPS6117930U (ja) * 1984-07-09 1986-02-01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排ワラ処理装置
JPS61139149U (ko) * 1985-02-20 1986-08-28
JPH0543646Y2 (ko) * 1985-07-26 1993-11-04
JPH0520540U (ja) * 1991-08-26 1993-03-19 株式会社四国製作所 デイスクカツターの回転軸支持構造
JP3857870B2 (ja) * 2000-09-22 2006-12-13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排藁処理装置
CN104541748B (zh) * 2005-12-02 2018-09-07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
CN201541496U (zh) * 2009-11-09 2010-08-11 湖州思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纵向轴流联合收割机秸秆还田切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43549A (zh) * 2022-12-13 2023-03-28 张俊 一种农业秸秆处理再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37614B (zh) 2023-06-13
CN110637614A (zh)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9043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KR20200001503A (ko) 콤바인
JP6324011B2 (ja) コンバイン
KR101499403B1 (ko) 탈곡 장치
JP6837393B2 (ja) 収穫機
JP4528724B2 (ja) コンバイン
JP6978382B2 (ja) コンバイン
JP7159426B2 (ja) コンバイン
JP6976223B2 (ja) コンバイン
JP7023193B2 (ja) コンバイン
JP2015065879A (ja) コンバイン
JP7042725B2 (ja) 作業機
JP6991118B2 (ja) コンバイン
JP2022179690A5 (ko)
JP6980629B2 (ja) コンバイン
WO2019003831A1 (ja) 収穫機
JP7155380B2 (ja) コンバイン
CN110933997B (zh) 脱粒装置及联合收割机
JP3914550B2 (ja) 脱穀装置
JP2005102562A (ja) コンバイン
JP6692286B2 (ja) 排ワラ切断装置
JP2020048421A (ja) コンバイン
JP4088228B2 (ja) コンバイン
JP4528511B2 (ja) コンバイン
JP2015065880A (ja) 普通型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