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085U - 음식물보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085U
KR20200001085U KR2020180005310U KR20180005310U KR20200001085U KR 20200001085 U KR20200001085 U KR 20200001085U KR 2020180005310 U KR2020180005310 U KR 2020180005310U KR 20180005310 U KR20180005310 U KR 20180005310U KR 20200001085 U KR20200001085 U KR 20200001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ing element
food
body portion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호
Original Assignee
유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호 filed Critical 유기호
Priority to KR2020180005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085U/ko
Publication of KR20200001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0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A47J41/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comprising heat or cold producing means, i.e. energy transfer from outside the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A47J41/0044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comprising heat or cold storing elements or material, i.e. energy transfer within the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the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음식물보온장치에 있어서, 요형(凹形)의 발열체탑재공간이 형성된 발열체용기바디부와,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감겨 형성된 발열체용기컬링부를 갖는 발열체탑재용기와; 상기 발열체탑재공간보다 큰 깊이를 갖는 요형(凹形)의 보호용기공간이 형성된 보호용기바디부와 상기 보호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이 상기 보호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가 상기 보호용기공간에 진입하고 상기 체결플랜지가 상기 발열체용기컬링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에 일체로 결합된 보호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원부분의 구조가 간단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보온장치{Device for Keeping Food Warm}
본 고안은 음식물보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찌게, 탕과 같이 끓여 먹는 음식물, 돼지고기, 편육과 같이 굽거나 쪄먹는 음식물 등과 같이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조리하여 취식하는 음식물은 온도가 내려가면 식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는 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음식물보온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음식물보온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음식물보온장치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요형(凹形)의 용기안착홈(110a)이 형성된 지지베이스(110)와, 용기안착홈(110a)의 바닥면에 설치된 요형(凹形)의 음식물탑재용기(131)와, 지지베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열전유닛소자(141), 환기팬(142) 및 전원공급부(143)를 갖고 있다.
음식물탑재용기(131)는 금속판, 도자기 또는 돌판과 같은 열전달 특성이 양호한 재질로 제작된다.
열전유닛소자(141)는 전원공급부(143)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열을 방출하거나 열을 흡수하도록 동작한다.
환기팬(142)은 열전유닛소자(141) 주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동작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음식물보온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된 음식물이 탑재된 음식물탑재용기(131)를 용기안착홈(110a)의 바닥면에 설치한다.
다음에 열전유닛소자(141)에 동작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원공급부(143)를 조작한다.
열전유닛소자(141)에 동작전압이 인가되면 열전유닛소자(141)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탑재용기(131)에 탑재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음식물보온장치에 따르면, 열전유닛소자(141)이 용기안착홈(110a)의 바닥면 아래쪽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열전유닛소자(141)에서 방출되는 열 중 일부는 음식물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열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열전유닛소자(141)에서 방출되는 열이 용기안착홈(110a)의 바닥면을 통과해서 음식물탑재용기(131)에 전달되기 때문에 음식물에 전달되는 열량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열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을 발생시시키기 위해 열전유닛소자(141), 환기팬(142) 및 전원공급부(143)가 필요하기 때문에 열원부분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안착홈(110a)의 바닥면이 음식물탑재용기(131)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있어 지지베이스(110)의 상단 부분의 높은 온도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0661호(공개일자: 2005년 09월 14일, 발명의 명칭: 보온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음식물보온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원부분의 구조가 간단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음식물보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음식물보온장치에 있어서, 요형(凹形)의 발열체탑재공간이 형성된 발열체용기바디부와,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감겨 형성된 발열체용기컬링부를 갖는 발열체탑재용기와; 상기 발열체탑재공간보다 큰 깊이를 갖는 요형(凹形)의 보호용기공간이 형성된 보호용기바디부와 상기 보호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이 상기 보호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가 상기 보호용기공간에 진입하고 상기 체결플랜지가 상기 발열체용기컬링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에 일체로 결합된 보호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보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음식물탑재용기에 탑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는 상면에 안착돌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돌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발열체용기컬링부에 결합된 지지링을 더 포함하고; 상면에 음식물탑재면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상기 안착돌부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탑재면이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안착돌부가 진입하고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에 지지되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음식물탑재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재료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음식물용기에 조리된 음식물을 그대로 넣은 채로 본 고안 장치를 사용하여 보온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는 상면에 안착돌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돌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발열체용기컬링부에 결합된 지지링을 더 포함하고; 저면에 상기 안착돌부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용기안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안착돌부가 진입하고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에 지지되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음식물용기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의 일부 또는 전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호용기의 측면 외표면에 결합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더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보호용기와 상기 발열체탑재용기 사이 공간에 충진된 보온재료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요형(凹形)의 발열체탑재공간과 발열체용기컬링부를 갖도록 발열체탑재용기를 형성하는 한편, 발열체탑재공간보다 큰 깊이를 갖는 요형(凹形)의 보호용기공간이 형성된 보호용기를 체결플랜지가 발열체용기컬링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발열체탑재용기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발열체탑재공간은 밀폐상태가 되고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은 직접 음식물탑재용기에 전달됨) 열원부분의 구조가 간단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음식물탑재용기와 보호용기가 분리되어 있음).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
도4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5, 도6 및 도7은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용기받침부의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종래의 음식물보온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탑재용기(10)와, 발열체탑재용기(10)의 하측에 설치된 보호용기(20)와, 발열체탑재용기(10)의 상측에 설치된 음식물탑재용기(31)와, 보호용기(20)의 측면 외표면에 결합된 손잡이(32)와, 보호용기(20)와 발열체탑재용기(10) 사이 공간에 충진된 보온재료층(33)을 갖고 있다.
발열체탑재용기(10)는 요형(凹形)의 발열체탑재공간(10a)이 형성된 발열체용기바디부(11)와, 발열체용기바디부(1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감겨 형성된 발열체용기컬링부(12)와, 발열체용기컬링부(12)에 결합된 지지링(13)을 갖고 있다.
지지링(13)은 상면에 안착돌부(13a)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지지링(13)은 안착돌부(13a)가 상측을 향하도록 발열체용기컬링부(12)에 결합된다.
보호용기(20)는 발열체탑재공간(10a)보다 큰 깊이를 갖는 요형(凹形)의 보호용기공간(20a)이 형성된 보호용기바디부(21)와, 보호용기바디부(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플랜지(22)를 갖고 있다.
체결플랜지(22)는 컬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플랜지(22)는 판체 등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보호용기(20)는 발열체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이 보호용기바디부(21)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발열체용기바디부(11)가 보호용기공간(20a)에 진입하고, 체결플랜지(22)가 발열체용기컬링부(12)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발열체탑재용기(10)에 일체로 결합된다.
음식물탑재용기(31)는 깊이가 작은 요형(凹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음식물탑재용기(31)의 바닥면이 음식물탑재면(31b)의 기능을 한다. 음식물탑재용기(31)는 요형(凹形)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음식물탑재용기(31)는 저면에 안착돌부(13a)에 대응하는 안착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음식물탑재용기(31)는 음식물탑재면(31b)이 발열체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고 지지링(13)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음식물탑재용기(31)의 설치는 안착홈(31a)에 안착돌부(13a)가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보온재료층(33)은 숯과 소금의 혼합물, 탄소알갱이가 첨가된 스티로폼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온재료층(33)은 보호용기(20)를 발열체탑재용기(10)에 일체로 결합하기 전에 보호용기(20)와 발열체탑재용기(10) 사이 공간에 충진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보온장치의 사용방법을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식물탑재용기(31)를 발열체탑재용기(10)로부터 분리한다(도5 참조).
다음에 발열체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에 발열체(201)를 안착시킨다(도6 참조). 발열체(201)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발열체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에 물을 넣는다(도6 참조).
다음에 조리된 음식물이 탑재된 음식물탑재용기(31)를 발열체탑재용기(10)의 상측에 설치한다(도7 참조).
발열체(201)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탑재용기(31)에 탑재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열체탑재용기(10)의 상측에 음식물탑재용기(31)를 설치하고 있으나,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탑재용기(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음식물용기받침부(41)를 설치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음식물용기받침부(41)는 저면에 안착돌부(13a)에 대응하는 안착홈(41a)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용기안착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음식물용기받침부(41)는 발열체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고 안착홈(41a)에 안착돌부(13a)가 진입하고 발열체탑재용기(10)에 지지되도록 발열체탑재용기(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용기안착공(41b)에는 냄비와 같은 음식물용기(202)가 조리된 음식물을 넣은 채로 설치된다(도9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요형(凹形)의 발열체탑재공간(10a)과 발열체용기컬링부(12)를 갖도록 발열체탑재용기(10)를 형성하는 한편, 발열체탑재공간(10a)보다 큰 깊이를 갖는 요형(凹形)의 보호용기공간(20a)이 형성된 보호용기(20)를 체결플랜지(22)가 발열체용기컬링부(12)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발열체탑재용기(10)에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발열체탑재공간은 밀폐상태가 되고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은 직접 음식물탑재용기에 전달됨) 열원부분의 구조가 간단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음식물탑재용기와 보호용기가 분리되어 있음).
그리고 상면에 안착돌부(13a)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지지링(13)을 발열체용기컬링부(12)에 결합하는 한편,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31a)에 안착돌부(13a)가 진입하도록 발열체탑재용기(10)의 상측에 음식물탑재용기(31)를 설치함으로써, 음식물탑재용기(31)에 탑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안착공(41b)이 형성된 음식물용기받침부(41)를 발열체탑재용기(10)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식재료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음식물용기(202, 냄비 등)에 조리된 음식물을 그대로 넣은 채로 본 고안 장치를 사용하여 보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용기(20)의 측면 외표면에 손잡이(32)를 결합함으로써, 장치의 일부 또는 전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호용기(20)와 발열체탑재용기(10) 사이 공간에 보온재료층(33)을 충진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더 줄일 수 있게 된다.
10 : 발열체탑재용기 11 : 발열체용기바디부
12 : 발열체용기컬링부 13 : 지지링
20 : 보호용기 21 : 보호용기바디부
22 : 체결플랜지 31, 131 : 음식물탑재용기
32 : 손잡이 33 : 보온재료층
110 : 지지베이스 141 : 열전유닛소자
142 : 환기팬

Claims (5)

  1.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음식물보온장치에 있어서,
    요형(凹形)의 발열체탑재공간이 형성된 발열체용기바디부와,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감겨 형성된 발열체용기컬링부를 갖는 발열체탑재용기와;
    상기 발열체탑재공간보다 큰 깊이를 갖는 요형(凹形)의 보호용기공간이 형성된 보호용기바디부와 상기 보호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이 상기 보호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가 상기 보호용기공간에 진입하고 상기 체결플랜지가 상기 발열체용기컬링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에 일체로 결합된 보호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보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탑재용기는 상면에 안착돌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돌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발열체용기컬링부에 결합된 지지링을 더 포함하고;
    상면에 음식물탑재면이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 상기 안착돌부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탑재면이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안착돌부가 진입하고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에 지지되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음식물탑재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보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탑재용기는 상면에 안착돌부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돌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발열체용기컬링부에 결합된 지지링을 더 포함하고;
    저면에 상기 안착돌부에 대응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용기안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체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안착돌부가 진입하고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에 지지되도록 상기 발열체탑재용기의 상측에 설치되는 음식물용기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보온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기의 측면 외표면에 결합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보온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기와 상기 발열체탑재용기 사이 공간에 충진된 보온재료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보온장치.


KR2020180005310U 2018-11-19 2018-11-19 음식물보온장치 KR202000010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10U KR20200001085U (ko) 2018-11-19 2018-11-19 음식물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310U KR20200001085U (ko) 2018-11-19 2018-11-19 음식물보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085U true KR20200001085U (ko) 2020-05-27

Family

ID=708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310U KR20200001085U (ko) 2018-11-19 2018-11-19 음식물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0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175A (ko) 2020-09-01 2022-03-08 최상민 음식물 보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175A (ko) 2020-09-01 2022-03-08 최상민 음식물 보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69822B (zh) 便携式烹饪装置
US5727448A (en) Electric rice cooker
US3869595A (en) Insulated heated lunch box
KR20200001085U (ko) 음식물보온장치
KR101497267B1 (ko)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TWI772541B (zh) 電鍋
JP5076369B2 (ja) 電気炊飯器
JP3128647U (ja) 多機能鍋
KR101269345B1 (ko) 보온 뚜껑 어셈블리
JP2009254722A (ja) 電気炊飯器
KR101778880B1 (ko) 고효율 구조의 전기로스터
JP6197167B2 (ja) 電気炊飯器
KR20050090661A (ko) 보온 용기
JP5316524B2 (ja) 電気炊飯器
JPS631845B2 (ko)
KR20090014736A (ko) 전기 찜기
JP6161585B2 (ja) 電気炊飯器
CN212117833U (zh) 烹饪器具
KR200149674Y1 (ko) 전기보온밥솥의 뚜껑
JP5527459B2 (ja) 電気炊飯器
JP2008259557A (ja) 電気炊飯器
KR101279200B1 (ko) 음식 조리 또는 보온 뚜껑
JP3098798U (ja) 遠赤外線放射食品保温器
JP3073354U (ja) 遠赤外線加熱調理具
JP2001346695A (ja) 加熱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