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693A - 차량 탑승 상황을 위한 통화 연결 전환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승 상황을 위한 통화 연결 전환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693A
KR20200000693A KR1020180072820A KR20180072820A KR20200000693A KR 20200000693 A KR20200000693 A KR 20200000693A KR 1020180072820 A KR1020180072820 A KR 1020180072820A KR 20180072820 A KR20180072820 A KR 20180072820A KR 20200000693 A KR20200000693 A KR 2020000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hands
state
free func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민
권익재
조성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693A/ko
Publication of KR2020000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04M1/7256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핸즈프리 기능이 실행될 때, 상황에 따라 최적의 시점에 휴대전화로 통화 연결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은, 탑승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의 전화 연결에 대한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상태, 상기 탑승자의 제2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의 행동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핸즈프리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탑승 상황을 위한 통화 연결 전환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HANDS FREE CONNECTION CONSIDERING VEHICLE ENVIRONMENT}
본 발명은 차량에서 핸즈프리 기능이 실행될 때, 상황에 따라 최적의 시점에 휴대전화로 통화 연결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출시되는 차량에 구비되는 헤드 유닛에는 블루투스 기반의 핸즈프리 기능이 기본적으로 지원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의 헤드 유닛과 페어링된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전화통화는 해당 이동 단말기 대신 차량에 구비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대신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특히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가 페어링될 경우 주의 분산 방지 차원에서 안전에도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핸즈프리 기능은 차량의 스피커를 이용하게 되는 바, 동승자 또한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듣게 되므로 이동 단말기 소지자의 의지에 관계없이 통화 내용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전화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소지자가 하차하고자 할 경우, 수동으로 핸즈프리 기능을 종료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최근 일부 차량에는 발렛 모드가 지원되는데, 여기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렛 모드란 운전자가 하차하여 발렛 요원에게 주차를 맡길 경우, 헤드 유닛의 디스플레이를 잠그는 등 발렛 요원의 헤드 유닛 조작을 제한하기 위한 기능을 의미한다. 만일, 핸즈프리 기능을 통한 전화 통화가 종료되기 전에 발렛 파킹을 제공하는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운전자가 하차 전 미리 발렛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가 아직 하차 전인 경우라도 발렛 모드가 활성화됨에 따라 블루투스 연결이 차단되므로 이동 단말기를 통한 전화 통화로 강제 전환되는 불편함이 있다. 물론, 발렛 모드가 활성화될 때 블루투스 연결을 유지해두더라도, 발렛 모드 활성화로 인해 실제 하차시점에서 헤드 유닛 조작을 통한 핸즈프리 기능 종료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행동 상황을 고려하여 핸즈프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 소지자의 행동에 기반하여 핸즈프리 기능을 종료하거나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은, 탑승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의 전화 연결에 대한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상태, 상기 탑승자의 제2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의 행동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핸즈프리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유닛은, 탑승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 연결에 대한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통신부; 상기 탑승자의 제2 상태 정보 및 차량의 제3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상태 정보, 상기 제2 상태 정보 및 상기 제3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의 행동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핸즈프리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탑승자의 행동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핸즈프리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탑승자가 핸즈프리 기능이 실행중일 때 실제 하차 상황이나 프라이버시를 희망하는 행동 상황을 검출하여 적절한 시점에 핸즈프리 기능이 종료되거나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제어 장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핸즈프리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상태 중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형태의 일례를, 도 4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시도 형태의 일례를, 도 5는 통화가 시도가 아닌 이동 단말기의 조작 형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핸즈프리 기능을 통한 전화 통화가 수행될 때, 헤드유닛과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소지자의 행동을 검출하고, 검출된 행동에 기반하여 최적의 시점에서 핸즈프리 기능을 종료시키거나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 수행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핸즈프리 기능의 종료는 더 이상 핸즈프리 기능을 이용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고, 프라이빗 모드는 해당 통화에 대해서 핸즈프리 모드로 전환하기 전까지는 이동 단말기를 통한 통화가 이루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된 후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다음에 연결되는 전화 통화에 대해서는 핸즈프리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모드 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이나 핸즈프리 기능의 종료 모두 현재 연결중인 전화 통화에 대하여 핸즈프리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족하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핸즈프리 제어 장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제어 장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제어 장치는 차량(100)과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감지부(110)와 헤드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은 차량과 운전자의 상태를 감지하며, 이를 위해 차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111), 시트에 가해지는 하중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에어백 시트 센서(113) 및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유닛(120)은 통신부(121), 스피커(123), 마이크(125), 탑승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127) 및 전술한 헤드유닛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1)는 무선통신부와 유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는 이동 단말기(200)의 무선통신부(210)와 적어도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부는 CAN, CAN-FD, 이더넷, LIN 등의 유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감지부(110)를 포함한 차량의 각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상술한 헤드유닛(120)의 통신부(121)와 적어도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3G/4G/5G/CDMA/GSM 등의 무선 이동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기지국과 전화 통화를 위한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210), 이동 단말기(20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220) 및 전술한 이동 단말기(200)의 각 구성요소를 포함한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220)는 이동 단말기(200) 주변의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유닛(120)의 통신부(121)와 이동 단말기(200)의 무선통신부(210)가 블루투스 페어링 등을 통해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동 단말기(200)의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호신호가 착신될 경우, 헤드 유닛(120)의 제어부(129)와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부(230) 각각의 제어를 통해 핸즈프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핸즈프리 기능이 수행될 경우, 이동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향은 스피커(123)를 통해 출력될 수 있으며, 마이크(125)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이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부(230)는 핸즈프리 기능이 수행될 때 센서부(220)를 통해 감지된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헤드유닛(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헤드유닛(120)은 차량(100)의 감지부(110)를 통해 감지된 탑승자의 동작 정보나 차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유닛(120)의 제어부(129)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 그리고 헤드 유닛(120)의 동작 상태 정보를 종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전환(즉, 핸즈프리 기능 비활성화)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제 차량(100)과 이동 단말기(200)에는 이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가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상술한 장치 구성을 기반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 기능의 제어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핸즈프리 기능을 제어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서는 차량(100)의 헤드유닛(120)과 이동 단말기(200)가 페어링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로 호신호가 착신되거나 헤드유닛(120)의 조작부(127)를 통해 전화를 걸 경우,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되면(S210의 yes), 단말기 상태, 운전자 상태 및 차량 상태가 각각 검출될 수 있다(S220A, S220B, S220C).
헤드유닛(120)의 제어부(129)는 단말기 상태, 운전자 상태 및 차량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핸즈프리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 조건의 만족 여부(즉, 핸즈프리 기능에 대한 비활성화 또는 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각 검출 단계(S220A, S220B, S220C)의 구체적인 검출 방법 및 종합적인 판단의 구체적인 예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판단 결과, 조건이 만족되면 핸즈프리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S240). 여기서, 핸즈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다고 함은 적어도 현재 수행중인 해당 통화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도록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되거나 핸즈프리 기능이 종료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단말기 상태, 운전자 상태 및 차량 상태를 검출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핸즈프리 기능 비활성화 조건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상태 중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들어올리는 형태의 일례를, 도 4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시도 형태의 일례를, 도 5는 통화가 시도가 아닌 이동 단말기의 조작 형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단말기 상태 검출 과정(S220A)을 설명한다.
단말기 상태 검출(S220A)은 이동 단말기(20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있는지 여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한 통화를 시도하는지 여부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들어올리는지 여부는 이동 단말기(200)의 가속 방향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가 일정한 방향으로 콘솔 박스 등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되다가 갑자기 상측(화살표 방향)으로 가속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통화 시도 여부는 근접 센서에 근접한 물체가 있을 때 이동 단말기의 배치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의 길이 방향(L)이 중력방향(G)과 이루는 각도 및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D)이 중력방향(G)과 이루는 각도 각각이 일반적인 사용자가 통화시 취할 때의 각도 범위에 해당하며, 근접 센서에 근접한 물체가 감지될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통화 시도를 희망하는 상태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각 단말기 상태 검출 방법은 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200)가 상측으로 가속된 후, 바로 근접 센서에 근접한 물체가 감지되며 이동 단말기의 배치 상태가 특정 각도 범위에 해당할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통화 시도를 희망하는 상태로 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가 상측으로 가속되나 근접 센서에 근접한 물체가 없거나 터치스크린 조작이 감지될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통화 시도를 희망하지 않는 상태로 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운전자 상태 검출 과정(S220B)은 카메라(115)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의 영상에서 이동 단말기(200)를 얼굴로 가져가는지 여부, 얼굴로 가져간 이동 단말기(200)를 다시 얼굴로부터 멀리하는지 여부, 이동 단말기(200)를 동승자가에 건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상태 검출 과정(S220B)은 에어백 시트 센서(113)를 통해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내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운전자 상태 검출 과정(S220B)은 운전자 뿐만 아니라 동승자에 대해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차량 상태 검출 과정(S220C)은 도어 센서(111)를 통해 차문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헤드 유닛(120)의 조작부(127)를 통해 발렛 모드 등 특정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검출 과정(S220A, S220B, S220C)을 조합하여 핸즈프리 기능 비활성화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인 각 검출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탑승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집어서 얼굴로 가져갈 경우, 핸즈프리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물론, 이동 단말기(200)를 손에 쥐더라도 얼굴로 가져가지 않고 직접 조작하는 경우(예컨대, 메신저 사용, 인터넷 검색,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에는 핸즈프리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얼굴로 가져가 핸즈프리 기능이 비활성화된 후, 통화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200)를 얼굴에서 멀리하는 경우 핸즈프리 기능이 다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아울러, 탑승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얼굴에 가져가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차문이 열리고 탑승자가 하차할 때까지는 핸즈프리 기능이 유지될 수도 있다. 또한, 탑승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손에 쥔 채로 얼굴에 가져가지는 않았으나, 하차하는 경우에는 핸즈프리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발렛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탑승자가 하차할 때까지는 핸즈프리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행동에 기반하여 핸즈프리 기능의 유지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최적 시점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정은 차량의 주행 여부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차량의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탑승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의 전화 연결에 대한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
    상기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상태, 상기 탑승자의 제2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의 행동 상황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핸즈프리 기능의 비활성화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핸즈프리 기능의 비활성화를 결정한 경우,
    상기 핸즈프리 기능을 종료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가 수행되는 프라이빗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를 시도하거나, 하차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핸즈프리 기능의 비활성화를 결정하도록 수행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근접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판단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치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조작 여부 및 상기 탑승자와의 근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는,
    상기 차량의 실내 카메라 및 에어백 시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판단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는,
    차문 개폐 여부 및 주차 예정시 헤드 유닛의 조작 기능을 제한하는 특정 기능의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판단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이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탑승자가 하차할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핸즈프리 기능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발렛 모드를 포함하는,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핸즈프리 기능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1. 차량용 헤드 유닛에 있어서,
    탑승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 연결에 대한 핸즈프리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1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제1 통신부;
    상기 탑승자의 제2 상태 정보 및 차량의 제3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상태 정보, 상기 제2 상태 정보 및 상기 제3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의 행동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핸즈프리 기능의 비활성화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 기능을 비활성화는,
    상기 핸즈프리 기능의 종료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통화가 수행되는 프라이빗 모드로의 전환을 포함하는, 헤드 유닛.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탑승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를 시도하거나, 하차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핸즈프리 기능의 비활성화를 결정하는, 헤드 유닛.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근접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헤드 유닛.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배치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조작 여부 및 상기 탑승자와의 근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실내 카메라 및 에어백 시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획득되는, 헤드 유닛.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상태 정보는,
    차문 개폐 여부 및 주차 예정시 헤드 유닛의 조작 기능을 제한하는 특정 기능의 설정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기능이 설정된 상태인 경우,
    상기 탑승자가 하차할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 핸즈프리 기능을 유지하는, 헤드 유닛.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발렛 모드를 포함하는, 헤드 유닛.
KR1020180072820A 2018-06-25 2018-06-25 차량 탑승 상황을 위한 통화 연결 전환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00000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20A KR20200000693A (ko) 2018-06-25 2018-06-25 차량 탑승 상황을 위한 통화 연결 전환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20A KR20200000693A (ko) 2018-06-25 2018-06-25 차량 탑승 상황을 위한 통화 연결 전환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693A true KR20200000693A (ko) 2020-01-03

Family

ID=6915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820A KR20200000693A (ko) 2018-06-25 2018-06-25 차량 탑승 상황을 위한 통화 연결 전환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6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21B1 (ko) * 2020-11-26 2022-05-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021127A1 (en) * 2021-08-20 2023-02-23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operating mode for an open vehicle tailgate ev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21B1 (ko) * 2020-11-26 2022-05-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021127A1 (en) * 2021-08-20 2023-02-23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operating mode for an open vehicle tailgate ev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6505B2 (en) Managing iOS-ba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by creative use of callkit API protocols
JP5747089B2 (ja) 車両内電子デバイス使用ブロッカー
US20100197359A1 (en) Automatic Detection of Wireless Phone
US8213962B2 (en) Vehicle computer link to mobile phone
US20140270243A1 (en) Mobile device to vehicle integration
KR20180095943A (ko)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와의 이동 디바이스 동기화 및 데이터 수집
KR20200000693A (ko) 차량 탑승 상황을 위한 통화 연결 전환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10904377B2 (en) Passenger operation network concurrent with vehicle operation
CN105083429A (zh) 电动平衡车的自动停车方法和装置
US20150163334A1 (en) Multimedia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hands-free service for vehicle
KR20110050275A (ko) 차량 관련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
JP2006352409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乗車位置情報通知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車載機器制御装置
CN107422740B (zh) 平衡调节方法及装置
EP3260345B1 (en) Method and device for safety driving
JP2015128915A (ja) 後席乗員モニタシステム及び後席乗員モニタ方法
JP2005236615A (ja) 車両用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情報報知方法
JP2009088611A (ja) 車載装置
JP2004140731A (ja) 車載用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102179099B1 (ko) 차량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장치
JP2003078607A (ja) 車載用電話システム、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KR102606286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소음 제어 방법
CN114979994A (zh) 车载电话隐私保护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012319B2 (ja) 車載用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および車載用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の制御方法
JP2008252722A (ja) ハンズフリー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448793B1 (ko) 음성신호기반 안전 운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