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223A -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223A
KR20200000223A KR1020180072251A KR20180072251A KR20200000223A KR 20200000223 A KR20200000223 A KR 20200000223A KR 1020180072251 A KR1020180072251 A KR 1020180072251A KR 20180072251 A KR20180072251 A KR 20180072251A KR 20200000223 A KR20200000223 A KR 2020000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cutting
deriving
mov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434B1 (ko
Inventor
이문찬
박정호
이진수
신부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7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434B1/ko
Priority to US16/958,946 priority patent/US11415734B2/en
Priority to EP19823728.1A priority patent/EP3715922A4/en
Priority to PCT/KR2019/007472 priority patent/WO2019245312A1/ko
Priority to CN201980007802.6A priority patent/CN111587390B/zh
Priority to JP2020536639A priority patent/JP6968284B2/ja
Publication of KR2020000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은 (a) 점착층을 포함하며, 임의의 재단조건에 따라 재단된 재단면이 형성된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b) 가이드부에 편광판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을 제공하는 단계, (c) 가이드부 상에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 (d)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과 측정된 마찰력 값을 기초로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METHOD FOR DERIVING POLARIZER PROPER CUTTING CONDITION}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제 유출 판별기준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전체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도록 편광시켜 원하는 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의 양측에 부착된다.
편광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VA 소재로 이루어진 편광자층 (130), 편광자층(130)의 양면에 부착된 상·하부 지지체층(120, 140), 상부 지지체층(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온도 또는 습도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편광자층(13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층(110), 하부 지지체층(1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점착층(150), 그리고 점착층(1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점착층(150)을 보호하는 이형필름층(160)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편광판(100)은 현장의 생산라인에서 양산되어 적용 제품의 크기에 맞게 재단된 후 패널에 부착되는데, 편광판(100)을 재단하는 과정, 그리고 이송 설비(1)를 따라 편광판(100)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도 2와 같이 점착층(150)으로부터 점착제(151)가 유출될 수 있다. 특히, TV 패널에 사용되는 대형 편광판(100)의 경우에는 복수의 편광판(100)을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적층시킨 상태로 이송시킬 때 하부에 위치한 편광판(10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점착제(151) 유출이 더욱 문제된다.
편광판(100) 점착층(150)의 두께는 약 20㎛ 수준으로 재단 또는 이송 과정에서 편광판(100)으로부터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점착제(151)가 유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송 설비(1)는 한 번 고정 설치되면 변경이 어렵게 되어 이송 설비(1) 상으로 미량의 점착제(151)가 유출되는 것만으로도 편광판(100)이 부착 공정이나 클리닝 공정을 위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지 못하여 제품의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점착제 유출 정도를 개선하기 위해 점착제에 포함된 세그먼트 조성 비율을 변경하여 하드한 형태의 점착제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벌크 모듈러스(bulk modulus)의 증가에 따른 점착력 저하, 내구성 악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점착제 유출 정도는 점착제의 성분을 변경하는 것 이외에도 편광판의 재단면 형상(예를 들어, 테이퍼(Taper) 각도) 또는 편광판의 휨 내지 쳐짐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컬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의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은 (a) 점착층을 포함하며, 임의의 재단조건에 따라 재단된 재단면이 형성된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b) 가이드부에 편광판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을 제공하는 단계, (c) 가이드부 상에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 (d)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과 측정된 마찰력 값을 기초로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재단조건은 편광판의 양면 중 어느 일면과 편광판의 재단면이 이루는 재단각도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b) 단계는 편광판의 일단부에 형성된 컬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은 양면 중 어느 일면에 보호필름층이 위치하며, 다른 일면에 이형필름층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c) 단계는 편광판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바라보는 제1방향 또는 다른 일면이 바라보는 제2방향을 따라 편광판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e) 단계는 편광판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과 편광판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의 차이를 산출하여, 판별기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e) 단계는 산출된 마찰력 값의 차이가 판별기준에 따라 편광판으로부터 점착제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임의의 재단 조건을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으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은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의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에 따라 편광판 재단방식 및 재단면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편광판의 이송에 따른 점착제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광판의 적층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이송 설비 상의 점착제 유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편광판의 이동 상황을 모식화한 실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컬의 크기 조건이 상이한 경우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 마련된 편광판의 다양한 재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편광판 컬의 크기 조건 및 편광판의 재단면 형상 조건이 상이한 경우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7A 내지 7C의 측정 결과를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측정값의 차이로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보조가스 및 하단석션 압력에 따라 재단면을 통해 노출되는 편광판 점착제 층의 두께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편광판 재단 시 보조가스 및 하단석션 압력 변화에 따른 마찰력 측정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편광판의 이동 상황을 모식화한 실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의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151) 유출 여부 판별기준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a) 점착층(150)을 포함하며, 임의의 재단조건에 따라 재단된 재단면(170)이 형성된 편광판 (100)을 준비하는 단계(S100), (b) 가이드부(200)에 편광판(100)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 (100)을 제공하는 단계(S200), (c) 가이드부(200)상에서 편광판(100)을 이동시키는 단계(S300), (d) 편광판(100)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S400), 그리고 (e)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151) 유출 여부 판별기준과 측정된 마찰력 값을 기초로 편광판(100)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은 도 4에 따른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되었으며,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 또한 도 4의 실험 장치를 이용하였다.
도 4의 실험 장치는 실제 이송 설비(1) 상에서의 편광판(100)의 이동을 모식화 한 것으로서, 편광판(100), 가이드부(200), 그리고 가이드부(200)에 편광판(100)을 제공하는 편광판 제공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00)의 일면에는 글래스(210)가 형성될 수 있고, 편광판(100)의 일단부는 가이드부(200)의 글래스(210) 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편광판 제공부(300)는 편광판(10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클램프(310)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부(200)와 소정의 간격(l)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며, 도 4 기준으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이하에서는, 편광판 제공부(300)의 수직방향 이동은 상·하방향 이동을, 수평방향 이동은 좌·우방향 이동을 의미한다.
한편, 가이드부(200)와 편광판 제공부(300)는 편광판(100) 길이와 동일 하거나 편광판(100)의 길이보다 긴 간격(l)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 단계: 점착층을 포함하며, 임의의 재단조건에 따라 재단된 재단면이 형성된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S100)
(a) 단계는 점착층(150)을 포함하며, 임의의 재단조건에 따라 재단된 재단면(170)이 형성된 편광판(10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도 1과 같은 구조의 편광판(100)을 준비할 수 있다.
편광판(100)은 제조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규격과 실험 규모를 반영하여 이에 적합한 크기로 준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험을 위해 65인치 디스플레이 패널 규격(가로 143.97cm x 세로 80.90cm)의 비율을 적용하여, 가로 1.8cm x 세로 1.0cm 규격의 편광판(100)을 준비하였다.
본 발명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사용한 편광판(100)의 스펙은 [표 1]과 같다.
편광판(100): 1.8cm x 1cm(가로 x 세로)
전체 두께(단위: ㎛) 154 ± 20
보호필름층(PET) 70
상부 지지체층(TAC) 64
편광자층(PVA) 25
하부 지지체층(Acryl) 40
점착층(PSA) 25 ± 5
이형필름층(PET) 40
상기 표에서 상부 지지체층(TAC)은 기능성 코팅층(ASG5)을 포함한 두께로, 본 실험에서는 상부 지지체층(TAC) 60㎛, 기능성 코팅층 4㎛ 두께인 편광판을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된 편광판(100)은 임의의 재단조건에 따라 재단된 재단면 (170)이 형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재단면 (170) 형상(이하 '테이퍼 각도(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테이퍼 각도(θ)는 전술한 편광판(100)의 재단면(170) 형상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편광판(100)의 양면 중 어느 일면과 편광판(100)의 재단면(170)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편광판(100)의 양면 중 일면은 보호필름층(110) 이거나 이형필름층(160)일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 있어서 테이퍼 각도(θ)는 편광판(100)의 재단면(170)과 편광판(100)의 양면 중 이형필름층(160)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재단조건은 테이퍼 각도(θ)를 결정하는 레이저 조사방향 및 조사각을 의미할 수 있다.
편광판(100) 재단 시, 레이저 조사는 편광판(100)의 양면 중 어느 일면 측에서 다른 일면 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100)의 보호필름층(110)에서 이형필름층(160) 방향으로 레이저 조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테이퍼 각도(θ)는 90˚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의 (A), (B), (C)와 같은 편광판(100)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편광판(100)의 이형필름층(160)에서 보호필름층(110) 방향으로 레이저 조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테이퍼 각도(θ)는 9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의 (D), (E), (F)와 같은 편광판(10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테이퍼 각도(θ)의 조절은 레이저 조사각도를 달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임의의 재단조건은 점착층(150)의 두께를 조절하는 보조가스 또는 하단석션 압력의 세기를 의미할 수 있다. 편광판(100) 재단 시 보조가스 또는 하단석션 압력의 세기는 재단면(170)에 노출되는 편광판(100) 점착층(15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보조가스 및 하단석션 압력에 따라 재단면을 통해 노출되는 편광판 점착제 층의 두께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로서, 본 실험에서 보조가스는 N2를 사용하였으며, A에서 C로 갈수록 보조가스 및 하단석션의 압력을 증가시켰다. 도 9로부터, 편광판(100) 재단 시 보조가스 또는 하단석션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재단면(170)에 노출되는 편광판(100) 점착층(150)의 두께는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b) 단계: 가이드부에 편광판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을 제공하는 단계(S200)
(b) 단계는 가이드부(200)에 준비된 편광판(100)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100)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편광판 제공부(300)를 가이드부(200) 측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부(200)에 편광판(100)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편광판(100)을 제공한다. 이 때, 가이드부(200)에 제공되는 편광판(100)의 일단부는 편광판 (100)의 재단면(170)이고, 편광판(100)의 타단부는 클램프(31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실제 설비 상에서 편광판(100)이 가이드부에 제공될 때 편광판의 타단부가 고정된 클램프의 위치에 따라 편광판과 가이드부가 이루는 각도(이하 '컬의 크기(c)')가 상이해지고, 컬의 크기(c)에 따라 편광판(100) 양면의 밀림 정도가 상이해져,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컬의 크기(c)는 편광판(100)의 일단부를 포함하여 일단부로부터 직선 구간으로 취급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과 가이드부(200) 상의 접촉면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한다.
이에, 본 단계는 편광판 이송 시의 상황을 모식화하여 점착제(151) 유출을 일으킬 수 있는 편광판(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컬의 크기(c)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광판(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컬의 크기(c)를 15˚, 30˚, 및 50˚로 조절하면서 가이드부(200)에 편광판(100)을 제공하였다. 점착제(151)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재단조건은 컬의 크기(c)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c) 단계: 가이드부 상에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S300)
(c) 단계는 가이드부 상에서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편광판 (100)의 일단부가 가이드부(200)에 접하도록 제공된 후, 편광판 제공부(30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부(200) 상에서 편광판(100)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바라보는 제1방향 또는 다른 일면이 바라보는 제2방향을 따라 편광판(100)을 이동시킨다. 본 실험에서 편광판 제공부(300)는 가이드부(200) 상에서 편광판(100)을 300mm/min의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설정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은 가이드부(200)를 바라보는 편광판(100)의 일면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방향은 편광판(100)의 이형필름층(160)이 가이드부(200)를 바라보는 경우를, 제2방향은 편광판(100)의 보호필름층(110)이 가이드부(200)를 바라보는 경우를 의미한다.
실제 편광판(100)은 이송 설비(1) 상에서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험 장치도 편광판 제공부(300)를 기준위치(P)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광판(100)이 가이드부(200) 상에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d) 단계: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S400)
(d) 단계는 편광판(100)을 이동시키는 동안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편광판(100)이 가이드부(200)에 접하는 순간부터 가이드부(200)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였다.
마찰력 측정은 편광판 (100)의 이동방향에 따라 각각 이루어졌으며, 이하에서는 편광판(100)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측정된 마찰력 값을 'A', 제2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측정된 마찰력 값을 'B'라고 한다.
본 실험에서는 마찰력을 측정하기 위해 TA XT PLUS(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편광판 제공부(300)에 TA XT PLUS(Texture analyzer)를 설치하여 편광판 제공부(300)가 300mm/min의 이동속도로 이동할 때, TA XT PLUS (Texture analyzer)에 걸리는 힘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마찰력 값의 단위는 gf/cm이다.
(e) 단계: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과 상기 측정된 마찰력 값을 기초로 상기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단계(S500)
(e) 단계는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과 (d) 단계에서 측정된 마찰력 값을 기초로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은 서로 다른 Taper 각도(θ) 및 컬의 크기(c) 조건에서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측정된 마찰력 값들로부터 도출된 것으로서, 판별기준에 따르면 편광판(100)의 이동방향에 따라 측정된 마찰력 값의 차이(|A-B|)가 아래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점착제(151)의 유출이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식 1>
0 <|A-B|≤ 20
또한, 미리 정보화된 마찰력 데이터에 따르면 점착제(151) 유출 정도는 마찰력 차이(|A-B|)에 비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바, 마찰력 차이(|A-B|)가 클수록 해당 조건에서 편광판(100) 이동 시 점착제(151) 유출이 많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별기준은 편광판 (100)의 이동방향에 따른 가이드부(200)와 편광판(100) 사이에 작용하는 접촉 마찰력 차이를 반영한 것이다.
본 단계는 편광판(100)을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과 편광판(100)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의 차이를 산출하여, [식 1]에 따른 판별기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는 산출된 마찰력 값의 차이가 판별기준에 따라 편광판 (100)으로부터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재단 조건을 편광판(100)의 적정 재단 조건으로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 기준을 기초로 편광판(100)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동일한 편광판에 대하여 컬의 크기 조건이 상이한 경우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테이퍼 각도(θ)가 90˚인 편광판(100)에 대하여 컬의 크기(c)를 각각 15˚, 30˚, 50˚로 조절하면서 마찰력 값을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며, 실험 결과는 아래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컬의 크기(c) 제1방향 이동 시 마찰력(A) 제2방향 이동 시 마찰력(B) 마찰력 차이 (|A-B|) 적정 재단조건 여부
15 60.9 55.2 5.7 O
30 27.9 24.7 5.2 O
50 58.7 27 31.7 X
[표 2]에 따르면 동일한 재단조건으로 형성된 편광판(100)이라도 컬의 크기(c)에 따라 적정 재단 조건 여부가 상이해질 수 있다.
테이퍼 각도(θ)가 90˚인 편광판(100)의 경우, 컬의 크기(c)가 15˚ 및 30˚인 조건에서는 판별기준에 따라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컬의 크기(c)가 50˚인 조건에서는 점착제(151)가 유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는 조건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적정 재단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이송 설비(1)에서 가이드부(200)와 클램프(3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컬의 크기(c)가 15˚ 또는 30˚로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편광판(100)의 재단면 (170)이 90˚의 테이퍼 각도(θ)를 형성하도록 편광판(100) 재단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편광판 컬의 크기 조건 및 편광판의 재단면 형상 조건이 상이한 경우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편광판과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7A 내지 7C의 측정 결과를 편광판의 이동방향에 따른 마찰력 측정값의 차이로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 예로서, 편광판 재단 시 보조가스 및 하단석션 압력 변화에 따른 마찰력 측정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7C는 서로 상이한 테이퍼 각도(θ)를 갖는 복수의 편광판(100)에 대하여 컬의 크기(c)를 각각 15˚, 30˚, 50˚로 조절하면서 마찰력 값을 측정한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며, 실험 결과는 도 8에의 데이터와 함께 아래 [표 3] 내지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컬의 크기(c) - 15˚
테이퍼 각도 (θ) 제1방향 이동 시 마찰력(A) 제2방향 이동 시 마찰력(B) 마찰력 차이 (|A-B|) 적정 재단조건 여부
51 46.8 49.8 3 O
76 58 78.5 20.5 X
85 57.3 70.3 13 O
95 80.5 58.3 22.2 X
108 53.3 51.9 1.4 O
132 125.3 42.1 83.2 X
[표 3]에 따르면, 이송 설비(1)에서 가이드부(200)와 클램프(3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컬의 크기(c)가 15˚로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판별기준에 따라 테이퍼 각도(θ)가 51˚, 85˚, 및 108˚인 경우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컬의 크기(c)가 15˚로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테이퍼 각도(θ)를 51˚, 85˚, 및 108˚로 형성하는 재단 조건이 편광판 적정 재단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테이퍼 각도(θ)를 51˚ 또는 85˚로 재단하는 경우, 보호필름층(110) 측에서 이형필름층(160)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으며, 테이퍼 각도(θ)를 108˚로 재단하는 경우에는 이형필름층(160) 측에서 보호필름층(110)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방향에서 레이저를 조사하더라도 따라 형성된 테이퍼 각도(θ)에 따라 적정 재단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레이저 조사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야 한다.
컬의 크기(c) - 30˚
테이퍼 각도 (θ) 제1방향 이동 시 마찰력(A) 제2방향 이동 시 마찰력(B) 마찰력 차이 (|A-B|) 적정 재단조건 여부
51 42.8 40 2.8 O
76 50 65.7 15.7 O
85 57.5 64.6 7.1 O
95 96 43.5 52.5 X
108 97.2 38.9 58.3 X
132 74.3 38 36.3 X
[표 4]에 따르면, 이송 설비(1)에서 가이드부(200)와 클램프(3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컬의 크기(c)가 30˚로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판별기준에 따라 테이퍼 각도(θ)가 51˚, 76˚, 및 85˚인 경우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컬의 크기(c)가 30˚로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테이퍼 각도(θ)를 51˚, 76˚, 및 85˚로 형성하는 재단 조건이 편광판 적정 재단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테이퍼 각도(θ)를 51˚, 76˚ 또는 85˚로 재단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조사방향이 보호필름층(110) 측에서 이형필름층(160) 측으로 동일하며, 각각의 테이퍼 각도(θ)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각도에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컬의 크기(c) - 50˚
테이퍼 각도 (θ) 제1방향 이동 시 마찰력(A) 제2방향 이동 시 마찰력(B) 마찰력 차이 (|A-B|) 적정 재단조건 여부
51 39.9 62.9 23 X
76 36 40.8 4.8 O
85 41.7 50.9 9.2 O
95 63 35.5 27.5 X
108 60.3 33 27.3 X
132 38 36.9 1.1 O
[표 5]에 따르면, 이송 설비(1)에서 가이드부(200)와 클램프(3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컬의 크기(c)가 50˚로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판별기준에 따라 테이퍼 각도(θ)가 76˚, 85˚, 및 132˚인 경우 점착제(151)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컬의 크기(c)가 50˚로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테이퍼 각도(θ)를 76˚, 85˚, 및 132˚로 형성하는 재단 조건이 편광판 적정 재단 조건에 해당할 수 있다. 테이퍼 각도(θ)를 76˚ 또는 85˚로 재단하는 경우, 보호필름층(110) 측에서 이형필름층(160)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되 조사각도를 달리하여 재단할 수 있으며, 테이퍼 각도(θ)를 132˚로 재단하는 경우에는 이형필름층(160) 측에서 보호필름층(110) 측으로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조사방향을 변경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재단 시 보조가스 및 하단석션의 압력을 증가시켜 점착제(151) 유출 방지에 유리하도록 재단할 수 있다. 레이저 재단 시 보조가스 및 하단석션의 압력을 증가시킬수록 재단면 (170)에 노출되는 점착층(150)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점착제(151) 유출 정도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테이퍼 각도(*?*)가 95˚인 편광판을 재단함에 있어 보조가스를 사용한 경우 보조가스를 사지 않은 경우보다 점착제 유출 정도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은 편광판(100)과 가이드부(200) 사이의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151) 유출 여부 판별기준에 따라 편광판(100) 재단방식 및 재단면(170)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편광판(100)의 이송에 따른 점착제(151)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이송 설비 100: 편광판
110: 보호필름층 120: 상부 지지체층
130: 편광자층 140: 하부 지지체층
150: 점착층 151: 점착제
160: 이형필름층 170: 재단면
200: 가이드부 210: 글래스
300: 편광판 제공부 310: 클램프

Claims (7)

  1. (a) 점착층을 포함하며, 임의의 재단조건에 따라 재단된 재단면이 형성된 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b) 가이드부에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상기 편광판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가이드부 상에서 상기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단계;
    (d) 상기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편광판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마찰력 데이터로 미리 정보화된 점착제 유출 여부 판별기준과 상기 측정된 마찰력 값을 기초로 상기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조건은,
    상기 편광판의 양면 중 어느 일면과 상기 편광판의 재단면이 이루는 재단각도 조건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에 형성된 컬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양면 중 어느 일면에 보호필름층이 위치하며, 다른 일면에 이형필름층이 위치하는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편광판의 양면 중 어느 일면이 바라보는 제1방향 또는 다른 일면이 바라보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편광판을 이동시키는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편광판을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과 상기 편광판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측정된 마찰력 값의 차이를 산출하여, 상기 판별기준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산출된 마찰력 값의 차이가 상기 판별기준에 따라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점착제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재단 조건을 상기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으로 도출하는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KR1020180072251A 2018-06-22 2018-06-22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KR102568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51A KR102568434B1 (ko) 2018-06-22 2018-06-22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US16/958,946 US11415734B2 (en) 2018-06-22 2019-06-21 Method of deriving appropriate cutting conditions for cutting polarizing plate
EP19823728.1A EP3715922A4 (en) 2018-06-22 2019-06-21 METHOD OF DERIVING THE CORRECT CUTTING CONDITION OF A POLARIZING PLATE
PCT/KR2019/007472 WO2019245312A1 (ko) 2018-06-22 2019-06-21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CN201980007802.6A CN111587390B (zh) 2018-06-22 2019-06-21 得到用于适当切割偏光板的条件的方法
JP2020536639A JP6968284B2 (ja) 2018-06-22 2019-06-21 偏光板の適正裁断条件の導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251A KR102568434B1 (ko) 2018-06-22 2018-06-22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223A true KR20200000223A (ko) 2020-01-02
KR102568434B1 KR102568434B1 (ko) 2023-08-18

Family

ID=6898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251A KR102568434B1 (ko) 2018-06-22 2018-06-22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15734B2 (ko)
EP (1) EP3715922A4 (ko)
JP (1) JP6968284B2 (ko)
KR (1) KR102568434B1 (ko)
CN (1) CN111587390B (ko)
WO (1) WO2019245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5989B (zh) * 2021-06-10 2022-08-30 安徽光智科技有限公司 一种非粘接性的多片磨边滚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8439A (ja) * 2012-04-24 2013-11-07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13488A (ja) * 2013-04-24 2014-11-1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50066773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편광판 제조 시스템
KR20160020867A (ko) * 2014-08-14 2016-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텐션 조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 시스템
KR20170054403A (ko) * 2014-09-09 2017-05-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5331B2 (ja) * 1996-12-19 2007-01-3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
US6800378B2 (en) * 1998-02-19 2004-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reflection films for use with displays
EP1268699B1 (en) * 2000-12-21 2007-06-13 LG Chem Ltd. Acrylic adhesive compositions for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er film using the same
US7088511B2 (en) * 2003-02-12 2006-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polarizing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7076069A (ja) * 2005-09-12 2007-03-29 Fujifilm Corp 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9220285A (ja) * 2008-03-13 2009-10-01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
JP2011518063A (ja) * 2008-04-22 2011-06-2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接着物品
KR20100127954A (ko) * 2009-05-27 2010-12-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5609427B2 (ja) * 2010-08-25 2014-10-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子保護フィルム、ロール状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5184438A (ja) * 2014-03-24 2015-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7109739B (zh) * 2014-11-19 2020-09-29 三菱化学株式会社 含有粘合剂的无机纤维成型体的制造方法
KR102353621B1 (ko) * 2015-01-27 2022-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011748B2 (en) * 2015-03-31 2018-07-03 The Yokohama Rubber Co., Ltd. Adhesive composition
JP6725220B2 (ja) * 2015-07-31 2020-07-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用表面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301554B1 (ko) * 2015-08-07 2021-09-1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873623B2 (ja) * 2015-10-15 2021-05-1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の搬送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000824B1 (ko) * 2017-02-28 2019-07-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및 그 절단 방법
CN108017993A (zh) * 2017-12-29 2018-05-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光致失黏胶组合物、光致失黏胶膜层的制备方法和应用
KR102294142B1 (ko) * 2018-06-22 2021-08-26 산진 옵토일렉트로닉스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28439A (ja) * 2012-04-24 2013-11-07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13488A (ja) * 2013-04-24 2014-11-1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50066773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편광판 제조 시스템
KR20160020867A (ko) * 2014-08-14 2016-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텐션 조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 시스템
KR20170054403A (ko) * 2014-09-09 2017-05-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5922A1 (en) 2020-09-30
WO2019245312A1 (ko) 2019-12-26
CN111587390B (zh) 2022-03-11
US20200341177A1 (en) 2020-10-29
US11415734B2 (en) 2022-08-16
CN111587390A (zh) 2020-08-25
EP3715922A4 (en) 2021-07-07
JP2021509486A (ja) 2021-03-25
JP6968284B2 (ja) 2021-11-17
KR102568434B1 (ko)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993B2 (en) Roll of continuous web of optical film laminate with predefined slit lines,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595292B (zh) 曲面液晶顯示裝置
US6665043B1 (en) Bonding method and bonding device of substrate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853140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시스템
TW200304016A (en) Substrate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substrate detecting apparatus
JP2009058956A (ja) ペリクル付着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ペリクル付着方法
US11247422B2 (en) Optical element fabrication with optical scanner feedback
KR102294142B1 (ko) 편광판 점착제 유출 여부 또는 유출 정도의 정량화 방법
KR20200000223A (ko) 편광판의 적정 재단 조건 도출 방법
KR20200119780A (ko) 유리 기판군 및 그 제조 방법
WO2011152310A1 (ja) 積層体フィルムの切断装置および積層体フィルムの切断方法
KR101116321B1 (ko) 기판 정렬 방법
TW201515773A (zh) 對稱去角基板的方法及設備
KR20130097246A (ko) 광학 필름 칩의 커팅 장치 및 광학 필름 칩의 커팅 방법
JP6960232B2 (ja) リソグラフィ装置、および物品製造方法
JP2009155136A (ja) ガラス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1657184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230029821A (ko) 용제 적층된 리타더 스택의 정밀 제조를 위한 장비 및 공정
KR20170050608A (ko) 레이저 센서부를 이용한 기재의 결함 유무 검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통한 기재의 결함 유무 검출 방법
WO2023100695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TW201509632A (zh) 薄膜貼合裝置、光學顯示設備之生產系統及光學顯示設備之生產方法
US8853011B2 (en) Repairing method, repairing device, and repairing structure for disconnected defect
JP2020046663A (ja)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8014635A (ja) 液晶素子のセルギャップ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