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07A -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및 이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 Google Patents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및 이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07A
KR20200000107A KR1020180072002A KR20180072002A KR20200000107A KR 20200000107 A KR20200000107 A KR 20200000107A KR 1020180072002 A KR1020180072002 A KR 1020180072002A KR 20180072002 A KR20180072002 A KR 20180072002A KR 20200000107 A KR20200000107 A KR 20200000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assembly
fixing
stee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114B1 (ko
Inventor
김영목
Original Assignee
김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목 filed Critical 김영목
Priority to KR102018007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1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기둥(300)과 들보(400)의 조인트부를 수용지지구(100)와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형성되게 하되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조인트부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조인트부 외부로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노출되지 않아 한옥그대로의 전통가치가 유지되면서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한 전통적 조인트부 조립·축조와는 달리 기계적 제작에 의한 표준화ㆍ규격화가 가능하여 제작 및 축조가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및 이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Steel structure joining the joint of timber column and beam /and method locking firmly thereof}
본 발명은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및 이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목재기둥(300)과 들보(400)의 조인트부를 수용지지구(100)와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형성되게 하되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조인트부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조인트부 외부로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노출되지 않아 한옥그대로의 전통가치가 유지되면서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한 전통적 조인트부 조립·축조와는 달리 기계적 제작에 의한 표준화ㆍ규격화가 가능하여 제작 및 축조가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한옥이란 우리나라의 오랜 전통양식에 의하여 시공되는 건축물을 말한다. 전통한옥은 목재 건축이다. 목재 건축의 골조는 도1에서와 같이 수직부재인 기둥(C)과, 그리고 대들보, 중간보 등의 수평부재(H)가 서로 종횡으로 교차되어 하나의 골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그 특징이다. 목재 건축의 골조에서 수직부재인 기둥(C)과 수평부재인 보(대들보, 중간보 등)(H)의 접합부는 암수장부가 형성된 부재를 서로 짜 맞춤한 건축방식이다. 이와 같이 전통한옥은 그 골격이 목재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각 접합부가 암수장부에 의해 짜 맞춤되는 건축방식이다.
전통한옥의 짜 맞춤접합방식의 핵심은 바로 암수장부에 있다.
그런데 암수장부는 전적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암수장부는 정확성과 정교성이 그 생명이다, 암수장부의 정확성과 정교성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도의 숙련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더욱이 건조수축과 비틀림 현상이 목재가 갖는 특성임을 감안할 때 정확성과 정교함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암수장부에 의한 접합방식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이와 같이 수작업을 통한 암수장부의 짜 맞춤접합방식을 기본으로 이루어지는 전통한옥의 건축은 현대 건축과는 달리 신속성ㆍ효율성과는 거리가 먼 건축방식이다. 최근에는 개인의 개성화와 친환경의 중시에 힘입어 한옥에 대한 선호도가 크게 나아지고 있다. 그뿐 아니라 한옥의 수요도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파트와 같은 현대주거와는 달리 한옥은 외풍이 있어 좀 춥다든지 하는 등의 단점이 일반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그 원인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성과 정교함이 요구되는 암수장부에 의한 짜 맞춤접합방식으로 건축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목재의 수축이나 비틀림 현상으로 인해 정교한 짜 맞춤이 벌어지고, 그 벌어진 틈새가 외풍과 단열을 취약하게 하는 문제점이다. 한옥이 아파트와는 달리 생활에 다소 불편을 느끼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수작업을 통한 암수 장부에 의한 접합방식이므로 장인이라 하더라도 정확한 암수 장부의 형성 작업이 어렵고, 현대건축과는 달리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공사기간상의 문제점이 있고, 공사기간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이 커 건축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바로 그것이다.
⒜ 본 발명은 목재기둥(300)과 들보(400)의 조인트부를 수용지지구(100)와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형성되게 하되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조인트부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조인트부 외부로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노출되지 않아 한옥그대로의 전통가치가 유지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목재기둥과 들보에 각각 설치된 수용지지구(100)와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쐐기방식의 접합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이 방식의 접합구조와 함께 목재기둥과 들보도 공장에서 표준화ㆍ규격화가 가능하여 그 제작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그 조립구조가 간단하여 한옥골조축조가 경제적이 되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에 의한 쐐기방식은 조립고정이 견고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뿐 아니라 한옥그대로의 전통가치가 유지되면서도 수작업에 의존된 전통 조인트부 조립·축조와는 달리 기계적 제작에 의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이를 통해 한옥축조의 새로운 변화를 제공하고자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접합구에 있어서
목재기둥(300)에 설치되는 수용지지구(100)와,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들보(400)에 설치되는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를 형성하되 수용지지구(100)의 구조는 벽면부(110)와, 받침부(120)와, 그리고 측면부(130)로 둘러싸여져있으면서 상부와 들보방향으로 열린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이고, 볼트구멍(114)이 뚫려있는 벽면부(110)의 상단에 고정부(112)가 형성되며, 이때 고정부(112)는 벽면부(110)의 상단에서 직육면체의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측면부(130)의 내측에는 쐐기경사부(132a)를 갖는 쐐기부(132)와 쐐기삽입부(136)가 형성된 구조인 한편, 쐐기 조립구(200)의 구조는 상단 수평부(210)와, 수직 배면부(220)와, 그리고 수직 쐐기부(230)로 이루어지되 상단 수평부(210)에는 그 단부에 수직방향의 고정부(240)와 볼트구멍(212)이, 수직 배면부(220)에는 볼트구멍(222)이, 그리고 수직 쐐기부(230)에는 쐐기경사부(232a)가 형성된 구조이고,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의 쐐기 결합에 있어서는 쐐기삽입부(136)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와, 그리고 이에 삽입·대응되는 수직 쐐기부(230)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가 같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이다.
여기에다, 수용지지구(100)의 쐐기경사부(132a)와 이에 대응되는 쐐기 조립구(200)의 쐐기경사부(232a)의 기울기θ가 3~8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이다.
그뿐 아니라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고정부(112)와 쐐기 조립구(200)의 고정부(240)의 형상이 원호상이면서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하단에도 고정부(1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이다.
본 발명은 수용지지구(100)와 쐐기 조립구(200)에 의한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의 구조이다.
수용지지구(100)는 목재기둥(300)에, 그리고 쐐기 조립구(200)는 들보(400)에 각각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수직부재의 목재기둥(300)과 수평부재의 들보(400)가 서로 조립·고정된다. 이때 그 조립·고정은 쐐기고정방식이다. 쐐기고정방식에 의한 골조축조이다.
목재기둥(300)의 고정부 삽입홀(310)에 수용지지구(100)의 고정부(112)가 삽입된다. 수용지지구(100)의 고정부(112)는 상단 또는 상·하단에, 그리고 이에 삽입·대응되게 목재기둥(300)의 상단 또는 상·하단에 고정부 삽입홀(310)이 형성된다. 수용지지구(10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다.
여기에다 수용지지구(100)의 벽면부110)의 볼트구멍114)을 통해 목재기둥(300)에 체결볼트가 체결된다. 더욱 견고하게 수용지지구(100)가 고정된다.
들보(400)에 쐐기 조립구(200)의 고정도 이와 마찬가지다.
즉 쐐기 조립구(200)의 고정부(240)가 들보(400)의 상단 지지부(420)의 고정부 삽입홀(422)에 삽입된다. 또한 상단 수평부(210)의 볼트구멍(212)과 수직 배면부(220)의 볼트구멍(222)에 각각 체결볼트가 체결된다.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의 쐐기고정에 있어서는 쐐기삽입부(136)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와, 이에 삽입·대응되는 수직 쐐기부(230)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가 같게 형성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수용지지구(100)의 쐐기경사부(132a)와 이에 대응되는 쐐기 조립구(200)의 쐐기경사부(232a)의 경사각θ가 3~8도로 한 것도 쐐기고정을 위해서다.
경사각θ가 이보다 커지게 되면, 수용지지구(100)와 쐐기 조립구(200)가 커지게 되면서 이와 함께 목재기둥(300)과 들보(400)의 단면도 커지게 되어 비효율적 비경제적이 된다. 경사각θ가 3~8도가 바람직한 것은 목재단면의 경제성을 위해서다.
또한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고정부(112)와 쐐기 조립구(200)의 고정부(240)의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고정부(112)와 쐐기 조립구(200)의 고정부(240)는 목재기둥(300)과 들보(400)의 고정구 삽입홀(310)(410)에 삽입되는 것으로 원형 톱에 의해 고정구 삽입홀(310)(410)을 형성할 때 그 고정구 삽입홀(310)(410)의 원호 형상대로 목재기둥(300)과 들보(400)의 고정구(112)(240)형상도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의 용이성과 조립의 효율성을 위해서다.
본 발명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는 쐐기방식구조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는 목재기둥(300)의 수용지지구(100)와 들보(300)의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쐐기구조다.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는 강성이 큰 강재재질이 바람직하다.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의 쐐기방식은 전통 암수장부방식의 정교함과 정확함에 비견되는 방식이다. 정교함과 정확함이 양 방식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더라도 그 제작에 있어서는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방식은 전통 암수장부방식의 수작업과는 달리 공장 제작이 가능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그뿐 아니라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방식에 의해 목재기둥(300) 및 들보(300)의 표준화ㆍ규격화가 가능하여 전문가가 아닌 초보자라도 한옥건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목재기둥(300)과 들보(400)의 조인트부에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면서도 도2에서와 같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밖으로 보이지 않도록 조인트부 전체가 목재로 둘러싸임으로써 목재한옥외양그대로 유지되면서도 목재기둥(300) 및 들보(400)의 제작역시 규격화되도록 한 구성이다.
조인트부 밖으로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보이지 않도록 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에서와 같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목재기둥(300)과 들보(400)내부에서 조립되면서 그 외부는 목재기둥(300)의 대면부(320)와 들보(400)의 접면부(410)가 감싸는 구조이므로 대면부(320)와 접면부(410)에 의하여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목재기둥(300)의 고정부 삽입홀(310)에 수용지지구(100)의 고정부112)가 삽입된 상태는 목재기둥(300)의 대면부(320)의 경계선에 수용지지구(100)의 벽면부110)의 양 단부 수직선이 접면된 상태다. 목재기둥(300)의 양 단부에서 대면부(320)의 경계선까지의 폭 C는 이에 대응·접면되는 들보(400)의 접면부(410) 폭 C와 동일하다. 대면부(320)에 접면부(410)가 밀착됨으로써 그 내부의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조인트부가 됨으로써 순수한 목재한옥으로서 전통가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더욱이 그 조립이 용이하고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는 밖으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한옥의 전통가치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전통 암수장부방식과는 달리 공장 제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그 작업의 신속성 및 효율성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표준화ㆍ규격화가 가능하므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한옥골조를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본 발명은 목재기둥(300)과 들보(400)의 조인트부를 수용지지구(100)와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형성되게 하되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조인트부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조인트부 외부로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노출되지 않아 한옥그대로의 전통가치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고,
⒝ 목재기둥과 들보에 각각 설치된 수용지지구(100)와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가 쐐기방식의 접합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이 방식의 접합구조와 함께 목재기둥과 들보도 공장에서 표준화ㆍ규격화가 가능하여 그 제작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그 조립구조가 간단하여 한옥골조축조가 경제적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1] 수직의 목재기둥과 수평의 들보로 이루어진 전통한옥의 골조사시도
[도2] 본 발명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에 의한 목재기둥과 들보의 조인트의 접합부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3] 본 발명의 수용지지구(100)가 조립된 목재기둥과 이에 대응되는 쐐기 조립구가 결합된 들보의 분해 사시도
[도4] 도3의 다른 실시의 분해 사시도
[도5] 도3의 목재기둥의 수용지지구(100)와 이에 대응되는 들보의 쐐기 조립구의 분해 사시도
[도6] 도3의 목재기둥의 수용지지구(100)와 이에 대응되는 쐐기 조립구의 분해 사시도
[도7] 도6의 다른 실시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의 구성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수용지지구(100)의 구조는 벽면부(110)와, 받침부(120)와, 그리고 측면부(130)로 둘러싸여져있으면서 상부와 들보방향으로 열린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이고, 볼트구멍(114)이 뚫려있는 벽면부(110)의 상단에 고정부(112)가 형성되며, 이때 고정부(112)는 벽면부(110)의 상단에서 직육면체 구조의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측면부(130)의 내측에는 쐐기경사부(132a)를 갖는 쐐기부(132)와 쐐기삽입부(136)가 형성된 구조인 한편, 쐐기 조립구(200)의 구조는 상단 수평부(210)와, 수직 배면부(220)와, 그리고 수직 쐐기부(230)로 이루어지되 상단 수평부(210)에는 그 단부에 수직방향의 고정부(240)와 볼트구멍(212)이, 수직 배면부(220)에는 볼트구멍(222)이, 그리고 수직 쐐기부(230)에는 쐐기경사부(232a)가 형성된 구조이고, 이들 구조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를 제작하는 단계;
⒝ 목재기둥(300)에 고정부 삽입홀(310)을 형성하되 수용지지구(100)의 고정부112)가 고정부 삽입홀(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벽면부110)의 양단부 수직선이 대면부(320)의 경계선에 접면·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목재기둥(300)에 대응되는 들보(400)는 중심부(center)와, 그 양측에 접면부(410)와, 그리고 중심부(center)와 접면부(410)사이의 쐐기 조립구 삽입부(440)가 형성된 구조이되 그 중심부(center)는 고정부 삽입홀(423)을 갖는 상단 지지부(420)와 수직 지지부(430)로 이루어지고, 양측 접면부(410)의 폭이 C인 들보(400)를 형성하는 단계;
⒞ 목재기둥(300)의 고정부 삽입홀(310)에 수용지지구(100)의 고정부112)를 삽입하고, 벽면부110)의 볼트구멍114)에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한편, 들보(400)의 쐐기 조립구 삽입부(440)에 쐐기 조립구(200)의 수직 쐐기부(230)를 삽입하면서 상단 수평부(210)의 고정부(240)를 상단 지지부(420)의 고정부 삽입홀(423)에 삽입하고, 상단 지지부(420)의 볼트구멍(212)과 수직 지지부(430)의 볼트구멍(212)에 체결볼트에 의해 들보(400)와 체결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목재기둥(300)에 조립된 수용지지구(100)에 쐐기 조립구(200)가 조립된 들보(400)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여 목재기둥(300)에 들보(400)를 쐐기 결합시키는 단계;
⒠ 상기 ⒜단계~⒟단계를 반복하면서 순차적으로 목재기둥(300)에 들보(400)를 쐐기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 ⒜단계에서 수용지지구(100)의 쐐기삽입부(136)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와, 그리고 이에 삽입·대응되는 쐐기 조립구(200)의 수직 쐐기부(230)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가 같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이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고정부(112)와 쐐기 조립구(200)의 고정부(240)의 형상이 원호상이면서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하단에도 고정부(112)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한옥의 전통가치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전통 암수장부방식과는 달리 공장 제작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그 작업의 신속성 및 효율성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표준화ㆍ규격화가 가능하므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한옥골조를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W;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
100; 수용지지구(100),
110; 벽면부110), 112; 고정부112), 114; 볼트구멍114),
120; 받침부120),
130; 측면부130), 132; 쐐기부132), 132a; 쐐기경사부132a), 132b; 직각면경사부132b), 132c; 내측쐐기면 경사부132c), 136; 쐐기삽입부136),
200; 쐐기 조립구(200)
210; 상단 수평부(210), 212; 볼트구멍(212)
220; 수직 배면부(220), 222; 볼트구멍(222)
230; 수직 쐐기부(230), 232a; 쐐기경사부(232a)
240; 고정부(240),
300; 목재기둥(300), 310; 고정부 삽입홀(310), 320; 대면부(320),
400; 들보(400), 410; 접면부(410), 420; 상단 지지부(420), 422; 고정부 삽입홀(422), 423; 고정부 삽입홀(423), 430; 수직 지지부(430), 440; 쐐기 조립구 삽입부(440),

Claims (6)

  1.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접합구에 있어서
    목재기둥(300)에 설치되는 수용지지구(100)와,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들보(400)에 설치되는 쐐기 조립구(200)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를 형성하되 수용지지구(100)의 구조는 벽면부(110)와, 받침부(120)와, 그리고 측면부(130)로 둘러싸여져있으면서 상부와 들보방향으로 열린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이고, 볼트구멍(114)이 뚫려있는 벽면부(110)의 상단에 고정부(112)가 형성되며, 이때 고정부(112)는 벽면부(110)의 상단에서 직육면체의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측면부(130)의 내측에는 쐐기경사부(132a)를 갖는 쐐기부(132)와 쐐기삽입부(136)가 형성된 구조인 한편, 쐐기 조립구(200)의 구조는 상단 수평부(210)와, 수직 배면부(220)와, 그리고 수직 쐐기부(230)로 이루어지되 상단 수평부(210)에는 그 단부에 수직방향의 고정부(240)와 볼트구멍(212)이, 수직 배면부(220)에는 볼트구멍(222)이, 그리고 수직 쐐기부(230)에는 쐐기경사부(232a)가 형성된 구조이고,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의 쐐기 결합에 있어서는 쐐기삽입부(136)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와, 그리고 이에 삽입·대응되는 수직 쐐기부(230)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가 같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지지구(100)의 쐐기경사부(132a)와 이에 대응되는 쐐기 조립구(200)의 쐐기경사부(232a)의 기울기θ가 3~8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3. 제1항에 있어서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고정부(112)와 쐐기 조립구(200)의 고정부(240)의 형상이 원호상이면서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하단에도 고정부(1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4. ⒜ 수용지지구(100)의 구조는 벽면부(110)와, 받침부(120)와, 그리고 측면부(130)로 둘러싸여져있으면서 상부와 들보방향으로 열린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이고, 볼트구멍(114)이 뚫려있는 벽면부(110)의 상단에 고정부(112)가 형성되며, 이때 고정부(112)는 벽면부(110)의 상단에서 직육면체 구조의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측면부(130)의 내측에는 쐐기경사부(132a)를 갖는 쐐기부(132)와 쐐기삽입부(136)가 형성된 구조인 한편, 쐐기 조립구(200)의 구조는 상단 수평부(210)와, 수직 배면부(220)와, 그리고 수직 쐐기부(230)로 이루어지되 상단 수평부(210)에는 그 단부에 수직방향의 고정부(240)와 볼트구멍(212)이, 수직 배면부(220)에는 볼트구멍(222)이, 그리고 수직 쐐기부(230)에는 쐐기경사부(232a)가 형성된 구조이고, 이들 구조에 의해 강재 쐐기고정조립구(W)를 제작하는 단계;
    ⒝ 목재기둥(300)에 고정부 삽입홀(310)을 형성하되 수용지지구(100)의 고정부112)가 고정부 삽입홀(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벽면부110)의 양단부 수직선이 대면부(320)의 경계선에 접면·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목재기둥(300)에 대응되는 들보(400)는 중심부(center)와, 그 양측에 접면부(410)와, 그리고 중심부(center)와 접면부(410)사이의 쐐기 조립구 삽입부(440)가 형성된 구조이되 그 중심부(center)는 고정부 삽입홀(423)을 갖는 상단 지지부(420)와 수직 지지부(430)로 이루어지고, 양측 접면부(410)의 폭이 C인 들보(400)를 형성하는 단계;
    ⒞ 목재기둥(300)의 고정부 삽입홀(310)에 수용지지구(100)의 고정부112)를 삽입하고, 벽면부110)의 볼트구멍114)에 체결볼트를 체결하는 한편, 들보(400)의 쐐기 조립구 삽입부(440)에 쐐기 조립구(200)의 수직 쐐기부(230)를 삽입하면서 상단 수평부(210)의 고정부(240)를 상단 지지부(420)의 고정부 삽입홀(423)에 삽입하고, 상단 지지부(420)의 볼트구멍(212)과 수직 지지부(430)의 볼트구멍(212)에 체결볼트에 의해 들보(400)와 체결하는 단계;
    ⒟ 상기 ⒞단계의 목재기둥(300)에 조립된 수용지지구(100)에 쐐기 조립구(200)가 조립된 들보(400)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여 목재기둥(300)에 들보(400)를 쐐기 결합시키는 단계;
    ⒠ 상기 ⒜단계~⒟단계를 반복하면서 순차적으로 목재기둥(300)에 들보(400)를 쐐기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수용지지구(100)의 쐐기삽입부(136)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와, 그리고 이에 삽입·대응되는 쐐기 조립구(200)의 수직 쐐기부(230)의 상·하단 수평거리(a 및 b)가 같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고정부(112)와 쐐기 조립구(200)의 고정부(240)의 형상이 원호상이면서 수용지지구(100) 벽면부(110)의 하단에도 고정부(112)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KR1020180072002A 2018-06-22 2018-06-22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KR10219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02A KR102195114B1 (ko) 2018-06-22 2018-06-22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02A KR102195114B1 (ko) 2018-06-22 2018-06-22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762A Division KR20200136348A (ko) 2020-11-26 2020-11-26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07A true KR20200000107A (ko) 2020-01-02
KR102195114B1 KR102195114B1 (ko) 2020-12-24

Family

ID=6915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002A KR102195114B1 (ko) 2018-06-22 2018-06-22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1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807U (ja) * 1993-12-27 1995-07-21 清司 細川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梁接合構造
JP2005273254A (ja) * 2004-03-24 2005-10-06 Grand Form:Kk 木造建築用連結金物
JP2012046874A (ja) * 2010-08-24 2012-03-08 Seiji Hosokaw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及び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807U (ja) * 1993-12-27 1995-07-21 清司 細川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梁接合構造
JP2005273254A (ja) * 2004-03-24 2005-10-06 Grand Form:Kk 木造建築用連結金物
JP2012046874A (ja) * 2010-08-24 2012-03-08 Seiji Hosokawa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及び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の連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114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2700B2 (ko)
US20130259563A1 (en) Universal construction bracket method and apparatus
KR20200000107A (ko)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및 이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강재 쐐기접합방법
KR20200136348A (ko) 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쐐기조립구
JP2893580B2 (ja) 建築部材用継手装置
JPH10231561A (ja) 木質構造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具
KR102006253B1 (ko) 한옥목재기둥과 들보 조인트의 강재 접합조립구
JP3015714U (ja) 木造家屋の柱連結部の補強構造
JP2949417B2 (ja) 建築部材用継手装置
JPS5818509Y2 (ja) 笠木の継手構造
JPH09165831A (ja) 建築部材用継手装置
JP3126638U (ja) 木造住宅用連結金具
JP3355552B2 (ja) 建築仕口接合金物組体および該組体による建築仕口接合方法
JP2003239382A (ja) 集成材構法
JP2809430B2 (ja) 木質建築軸組構造
JP3538151B2 (ja) 軸組構造、躯体構造
JP3032928U (ja) 木造家屋におけるコーナー連結金具
JP6410367B2 (ja) 木造建築用補強金具
JPH10183824A (ja) 木造建築物の接合工法及び接合金具
JP4499530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梁接合方法
JP2926693B2 (ja) 木造建築物に於ける屋根パネル取付用棟木用接合金具
JPH0122803Y2 (ko)
JP2023152464A (ja) 接合金物、長尺梁材、及び長尺大断面構造材
JP3014661B2 (ja) 建造物用接合金具
JP5432326B2 (ja) 木造建築物用補強金具、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