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692A -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692A
KR20190143692A KR1020180071522A KR20180071522A KR20190143692A KR 20190143692 A KR20190143692 A KR 20190143692A KR 1020180071522 A KR1020180071522 A KR 1020180071522A KR 20180071522 A KR20180071522 A KR 20180071522A KR 20190143692 A KR20190143692 A KR 2019014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impact force
door
pai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667B1 (ko
Inventor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스
Priority to KR102018007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6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인너패널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있어서, 빔본체는 길이를 따라 이격된 형태로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서 타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요입부로 구성되되, 상기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그 중앙 부근에 구성되어 충격력을 1차로 흡수하는 메인충격흡수부,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그 양단 부근에 구성되어 브라켓에 의해 상기 인너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납작부, 및 상기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상기 메인충격흡수부와 상기 납작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충격력을 2차로 흡수하는 한 쌍의 보조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차체의 측면 추돌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도어 내부에 분산 소멸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도어의 경량화에도 일조할 수 있는 빔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Impact Prevention Beam for Car Door}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 각각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체의 측면 추돌에 대한 도어 패널의 침입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도어 경량화에 일조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 충격 빔(1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의 인너패널(IP) 내부에 횡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차체의 측면 추돌에 따른 충격력에 의해 도어의 파편물이 탑승자 내부의 공간으로 침입되는 현상을 억제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물론, 도어 임팩트 빔(10)은 상기 도어(D)로서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위치된 프론트 도어 및 후방 탑승석에 위치된 리어 도어에 설치되는 것은 당연한데, 이러한 도어 임팩트 빔(10)은 통상 환봉 형상의 빔(11)과, 상기 빔(11)의 양단을 도어(D)의 인너패널(IP)의 양측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12)(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 임팩트 빔(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측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F)의 작용 시, 도어 자체의 침입량은 다소 억제되나, 양측 브라켓(12)(12')과 비교적 거리가 먼 중앙부(M)는 충돌에 의한 변형이 비교적 크게 일어나며, 이로 인해 빔(10)의 중앙부(M)가 먼저 밴딩이 일어나는 경우, 도어(D) 내측으로의 침입량이 과도하여 승차자의 허벅지 부분 상해치를 가중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도어 임팩트 빔(10)은 빔(11)의 소재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도어(D)의 경량화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결국 궁극적을 차량의 연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빔(11)은 하나의 환봉 형상이면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관계로, 차체의 측면 추돌에 따른 충격력이 매우 클 경우 환봉의 휨성 및 탄력 부족으로 환봉이 파단되어 탑승자를 위협하는 흉기물로 돌변될 수 있다.
즉, 상기 빔(11)은 차체의 측면 추돌 시에 그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어(D)에 충격력이 크게 전달될 수밖에 없고, 이는 결국 도어(D)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충돌물이 탑승자의 공간으로 침입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로 초래되고 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특허문헌들은 도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빔 관련 기술들임을 참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 등록특허 제10-1808072호(등록일 2017. 12. 06) 특허문헌 002 : 등록특허 제10-1425825호(등록일 2014. 07. 28) 특허문헌 003 : 등록특허 제10-1326974호(등록일 2013. 11. 01) 특허문헌 004 : 등록특허 제10-1745004호(등록일 2017. 06. 01) 특허문헌 005 : 등록특허 제10-1090707호(등록일 2011. 12. 01)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빔본체의 중앙 부근 및 그 중앙의 좌우 인접 부근을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적 특징으로 구성되게 하고, 빔본체의 소재를 복합 소재로 구성되게 하여, 탑승자의 안전 및 도어의 경량화에 일조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은, 도어의 인너패널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있어서, 빔본체는 길이를 따라 이격된 형태로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서 타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요입부로 구성되되, 상기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그 중앙 부근에 구성되어 충격력을 1차로 흡수하는 메인충격흡수부,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그 양단 부근에 구성되어 브라켓에 의해 상기 인너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납작부, 및 상기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상기 메인충격흡수부와 상기 납작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충격력을 2차로 흡수하는 한 쌍의 보조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메인충격흡수부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마주보는 이웃한 구조로 형성되어 충격력을 1차로 흡수하는 한 쌍의 흡수블록, 및 상기 한 쌍의 흡수블록의 모서리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져 상기 흡수블록에 의해 흡수된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다수의 분산편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한 쌍의 보조충격흡수부는, 상호 인접한 이웃 위치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며 다수로 형성되어 충격력을 2차로 흡수하는 다수의 흡수핀, 및 상기 흡수핀들의 외주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져 상기 흡수핀들에 의해 흡수된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다수의 분산편들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분산편들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충격흡수부를 포함한 상기 한 쌍의 보조충격흡수부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에 걸쳐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충격력을 분산 전달하는 보강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편들과 상기 보강테가 집결되어 만나는 개별 각 이격 지점에는 전달된 충격력을 빔본체의 전체면으로 퍼트리며 소멸시키는 개별소멸포인트들이 더 형성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일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은, 빔본체의 중앙 부위와 그 중앙의 좌우 부위에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적 흡수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차체의 측면 추돌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도어에 효율적으로 분산하여 소멸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은, 차체의 측면 추돌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빔본체의 구조적 흡수 구성뿐만 아니라 빔본체의 소재를 복합 소재로 구성되게 하여 빔본체의 소재 경량화와 함께 휨성과 탄력성의 향상에 따라, 빔본체의 파단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더욱이 빔본체가 기존 빔처럼 흉기물로 돌변되는 현상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은, 차체의 측면 추돌시 그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도어 내부에서 분산 소멸시킴으로써, 충격물이 탑승자의 탑승 공간으로 침임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은, 빔본체의 복합 소재 기반에 의해 도어의 경량화에 일조할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 차체의 연비 향상에까지 일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임팩트 빔이 적용된 도어 패널의 배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어 임팩트 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 빔이 적용된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충격흡수 빔의 일 측 부위를 나타낸 실물사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충격흡수 빔의 타 측 부위를 나타낸 실물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D)에 구성된 인너패널(IP)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를 위해 빔본체(110)의 양단 부위 즉 후술될 납작부(130)(130') 부위를 인너패널(IP)의 양측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브라켓(미도시)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100)의 빔본체(110)의 일 측 부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근에 구성된 메인충격흡수부(111), 양단 부위에 구성된 납작부(130)(130'), 및 상기 메인충격흡수부와 상기 납작부의 사이 부근에 각각 구성된 보조충격흡수부(121)(12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납작부(130)(130')는 상기 빔본체(110)의 양단 부위로서 상기 납작부(130)는 예컨대 상기 빔본체(110)의 일단 부위에 구성되는 한편, 상기 납작부(130')는 예컨대 상기 빔본체(110)의 타단 부위에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납작부(130)(130')는 평평하면서도 넓은 면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빔본체(110)에는 그 길이에 걸쳐 즉 일단에 구성된 상기 납작부(130)에서부터 타단에 구성된 상기 납작부(130')에 이르기까지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110a)(110b)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한 쌍의 돌출부(110a)(110b)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0a)(110b) 사이로는 오목하게 함몰된 요입부(110c)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요입부(110c)는 상기 납작부(130)(130')의 구성이 없는 상기 보조충격흡수부(121)의 주변 근처 부위에서부터 상기 메인충격흡수부(111)를 거쳐 상기 보조충격흡수부(121')의 주변 근처 부위에 이르기까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빔본체(110)에는 상기 보조충격흡수부(121)에서부터 상기 메인충격흡수부(111)를 거쳐 상기 보조충격흡수부(121')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에 격자 형상의 보강테(110d)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인충격흡수부(11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흡수블록(112)로 구성될 수 있되, 이러한 한 쌍의 흡수블록(112)은 상호 간에 근접된 상태로 이웃한 위치에 있으면서 각 모서리 부위에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분산편(113)들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흡수블록(112)은 예컨대 그 형태에 있어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한 쌍의 흡수블록(112)은 상호 간에 근접되어 이격되어 있으나, 가로 세로로 교차한 교차편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교차편들에 대한 부호는 미표기되었으나, 도면 4에서 충분히 교차편들의 구성 파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보조충격흡수부(121)(121')는 여러 개로 이루어진 흡수핀(122)들로 구성될 수 있되, 이러한 흡수핀(122)들은 상호 간에 근접된 상태로 이웃한 위치에 있으면서 개별 상기 흡수핀(122)들을 중심축으로 x 자형의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분산편(123)들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흡수핀(122)들은 개별적으로 예컨대 그 형태에 있어 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들 원 형상의 개별 흡수핀(122)들로부터 X 자형의 방사상으로 분산편(123)들이 뻗어있는 구조가 된다.
더욱이, 상기 흡수블록(112)의 분산편(113)들 및 상기 흡수핀(122)들의 분산편(123)들과 보강테(110d)가 서로 집결되어 만나는 개별소멸포인트(P)의 지점들이 형성될 수 있는바, 이러한 개별소멸포인트(P)들은 상기 메인충격흡수부(111) 및 상기 보조충격흡수부(121)(121') 및 상기 보강테(110d)들으로 통해 전달된 외부 충격력을 최종적으로 집결시켜 빔본체(110)의 전체 면으로 퍼트려 소멸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개별소멸포인트(P)는 도 4에서도 표시되어 있으나 구체적으로 빔본체(110)의 타 측 부위에 해당되는 도 5와 같이 돌출부(110a)(110b)의 내부 안쪽 면에서도 확연하게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충격흡수부(111) 및 상기 보조충격흡수부(121)(121') 및 보강테(110d)는 상기 빔본체(110)에 일체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빔본체(110)는 복합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폴리우레탄 수지와 강화유리섬유 및 티타늄의 혼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진공 주입 가공 공정을 통한 폴리우레탄 수지는 강화유리섬유를 매우 효과적으로 빨아들여 그 내구력 향상과 더불어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빔본체(110)의 복합 소재에 있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는 25 내지 30 중량부, 강화유리섬유는 40 내지 45 중량부, 및 티타늄은 25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30 중량부 및 상기 강화유리섬유의 4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도어에 설치되는 빔의 강직도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25 중량부 및 상기 강화유리섬유의 40 중량부를 미달할 경우, 빔본체의 강직도에는 큰 무리가 없으나 빔본체의 내구력이 저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와 상기 강화유리섬유가 상기의 중량부 범위에 국한될 경우에 도어에 설치되는 빔의 강직도 및 내구력이 모두 동시에 만족될 수 있다. 강직도는 휨 모멘트의 의미로서 차체의 추돌 발생에 따른 충격력을 도어에 설치된 빔이 적정한 수준으로 흡수함과 동시 빔의 반발력도 동시 만족하는 의미의 용어로 해석되어야 하며, 내구력은 응력을 의미하는 용어로 차체의 추돌 발생에 따른 충격력에 의해 도어에 설치된 빔의 변형력 의미의 용어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용 충격흡수 빔(100)의 빔본체(110)에 대한 충격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D)의 방향으로 외부 추돌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빔본체(110)의 메인충격흡수부(111)의 부위로 충격력이 오거나 혹은 보조충격흡수부(121)(121')의 부위로 충격력이 전달될 수 있다.
만일, 메인충격흡수부(111)의 부위로 충격력이 전달되면, 한 쌍의 흡수블록(112)은 1차적으로 충격력을 먼저 흡수하게 되고, 이러한 상기 흡수블록(112)의 충격력 흡수 과정에서 충격력은 분산편(113)들을 통하여 보강테(110d)들을 경유하여 보조충격흡수부(121)(121')의 흡수핀(122)들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충격력의 일부는 상기 보조충격흡수부(121)(121')의 흡수핀(122)으로 전달되기전 상기 분산편(113)들을 통하여 상기 보강테(110d)들과 집결된 개별소멸포인트(P)에서 빔본체(110)의 전체면으로 퍼지며 소멸될 수 있다.
물론, 일부 소멸된 충격력 외의 나머지 충격력은 상기 보강테(110d)들을 통하여 충격보조흡수부(121)(121')의 흡수핀(122)들로 전달되고, 이에 상기 흡수핀(122)들은 이어 2차적으로 그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고, 이러한 상기 흡수핀(122)들의 충격력 흡수 과정에서 충격력은 분산편(123)들을 통하여 보강테(110d)들과 집결된 개별소멸포인트(P)에서 최종적으로 빔본체(110)의 전체면으로 퍼지며 소멸될 수 있다.
만일, 보조충격흡수부(121)(121')의 부위로 충격력이 전달되면, 개별 흡수핀(122)들은 1차적으로 충격력을 먼저 흡수하게 되고, 이러한 상기 흡수핀(122)들의 충격력 흡수 과정에서 충격력은 분산편(123)들을 통하여 보강테(110d)들을 경유하여 메인충격흡수부(111)의 흡수블록(112)들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충격력의 일부는 상기 메인충격흡수부(111)의 흡수블록(112)으로 전달되기 전, 상기 분산편(123)들을 통하여 상기 보강테(110d)들과 집결된 개별소멸포인트(P)에서 빔본체(110)의 전체면으로 퍼지며 소멸될 수 있다.
물론, 일부 소멸된 충격력 외의 나머지 충격력은 상기 보강테(110d)들을 통하여 메인충격흡수부(111)의 흡수블록(112)들로 전달되고, 이에 상기 흡수블록(112)들은 이어 2차적으로 그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며, 이러한 상기 흡수블록(112)들의 충격력 흡수 과정에서 충격력은 분산편(113)들을 통하여 보강테(110d)들과 집결된 개별소멸포인트(P)에서 최종적으로 빔본체(110)의 전체 면으로 퍼지며 소멸될 수 있다.
즉, 충경력은 상술된 빔본체(110)의 구성들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수 분산되면서 도어(D)의 인너패널(IP) 방향으로 최종 소멸되는 관계로, 빔본체(110)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는 빔본체(110)의 파손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고 그 수리 및 교체율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탑승자들의 신체 상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 실시 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일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아니되며,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충격방지 빔(100) 빔본체(110)
돌출부(110a)(110b) 요입부(110c)
보강테(110d)
메인충격흡수부(111)
흡수블록(112) 분산편(113)
보조충격흡수부(121)
흡수핀(122) 분산편(123)
납작부(130)(130')
개별소멸포인트(P)

Claims (4)

  1. 도어의 인너패널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에 있어서, 빔본체는 길이를 따라 이격된 형태로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서 타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요입부로 구성되되,
    상기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그 중앙 부근에 구성되어 충격력을 1차로 흡수하는 메인충격흡수부;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그 양단 부근에 구성되어 브라켓에 의해 상기 인너패널에 고정 설치되는 납작부; 및
    상기 빔본체의 길이를 따라 상기 메인충격흡수부와 상기 납작부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충격력을 2차로 흡수하는 한 쌍의 보조충격흡수부;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충격흡수부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서 마주보는 이웃한 구조로 형성되어 충격력을 1차로 흡수하는 한 쌍의 흡수블록; 및
    상기 한 쌍의 흡수블록의 모서리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져 상기 흡수블록에 의해 흡수된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다수의 분산편;
    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조충격흡수부는,
    상호 인접한 이웃 위치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며 다수로 형성되어 충격력을 2차로 흡수하는 다수의 흡수핀; 및
    상기 흡수핀들의 외주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져 상기 흡수핀들에 의해 흡수된 충격력을 분산시키는 다수의 분산편;
    들을 더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편들과 연결되어 상기 메인충격흡수부를 포함한 상기 한 쌍의 보조충격흡수부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에 걸쳐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충격력을 분산 전달하는 보강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편들과 상기 보강테가 집결되어 만나는 개별 각 이격 지점에는 전달된 충격력을 빔본체의 전체면으로 퍼트리며 소멸시키는 개별소멸포인트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KR1020180071522A 2018-06-21 2018-06-21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KR102092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522A KR102092667B1 (ko) 2018-06-21 2018-06-21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522A KR102092667B1 (ko) 2018-06-21 2018-06-21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92A true KR20190143692A (ko) 2019-12-31
KR102092667B1 KR102092667B1 (ko) 2020-03-24

Family

ID=6905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522A KR102092667B1 (ko) 2018-06-21 2018-06-21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1684A1 (en) * 2020-06-30 2022-01-06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door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a vehicle during a roof crush
WO2022001659A1 (en) * 2020-06-30 2022-01-06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vehicle door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a door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6648A (ko) 2021-12-23 2023-06-30 오토크루 주식회사 차량 도어 충격 방지용 보호구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143A (ja) * 1994-02-18 1995-08-29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衝撃エネルギー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H10935A (ja) * 1996-06-14 1998-01-06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3403249B2 (ja) * 1994-07-29 2003-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構造
JP2005231552A (ja) * 2004-02-20 2005-09-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ドア構造
KR20070102717A (ko) * 2005-01-24 2007-10-19 신벤션 아게 금속 함유 복합 물질
KR20080098540A (ko) * 2006-03-23 2008-11-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시스템
KR101090707B1 (ko) 2009-10-29 2011-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그 제조방법
KR101326974B1 (ko) 2012-10-04 2013-11-13 (주) 지.에이 테크 내구성과 체결력 강화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KR101425825B1 (ko) 2014-03-10 2014-08-05 (주)아산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및 그 제조방법
CN104029648A (zh) * 2013-03-04 2014-09-10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的车门结构
US20150123423A1 (en) * 2012-06-14 2015-05-07 Nifco Inc. Load-transmitting member and vehicle door attachment structure thereof
KR101745004B1 (ko) 2011-09-23 2017-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101808072B1 (ko) 2015-12-11 2017-12-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유닛 및 그 제작 방법
US20180141415A1 (en) * 2016-11-21 2018-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reinforcing beam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143A (ja) * 1994-02-18 1995-08-29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衝撃エネルギー吸収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3403249B2 (ja) * 1994-07-29 2003-05-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構造
JPH10935A (ja) * 1996-06-14 1998-01-06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5231552A (ja) * 2004-02-20 2005-09-0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ドア構造
KR20070102717A (ko) * 2005-01-24 2007-10-19 신벤션 아게 금속 함유 복합 물질
KR20080098540A (ko) * 2006-03-23 2008-11-10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도어 시스템
KR101090707B1 (ko) 2009-10-29 2011-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빔 및 그 제조방법
KR101745004B1 (ko) 2011-09-23 2017-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US20150123423A1 (en) * 2012-06-14 2015-05-07 Nifco Inc. Load-transmitting member and vehicle door attachment structure thereof
KR101326974B1 (ko) 2012-10-04 2013-11-13 (주) 지.에이 테크 내구성과 체결력 강화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 빔
CN104029648A (zh) * 2013-03-04 2014-09-10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的车门结构
KR101425825B1 (ko) 2014-03-10 2014-08-05 (주)아산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072B1 (ko) 2015-12-11 2017-12-1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유닛 및 그 제작 방법
US20180141415A1 (en) * 2016-11-21 2018-05-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reinforcing be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1684A1 (en) * 2020-06-30 2022-01-06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door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a vehicle during a roof crush
WO2022001659A1 (en) * 2020-06-30 2022-01-06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vehicle door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a do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667B1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3692A (ko)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JP2001233147A (ja) バンパビーム構造
US11970214B2 (en) Vehicle body for electrical vehicle
KR20200119527A (ko) 차량의 전방 지지체
KR20170009017A (ko) 차량의 플로어바디
JP5062956B2 (ja) 自動車用外板部材
US10780921B2 (en) Vehicle frame structure
KR100832790B1 (ko)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KR102069682B1 (ko) 리어 백빔 구조
JP2004090910A (ja) 対人保護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およびバンパー補強材
KR102049581B1 (ko) 폐단면 리어 백빔 구조
US9493134B2 (en) Motor vehicle rollover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KR102344315B1 (ko)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JP6972908B2 (ja) フロントバンパ構造
KR20220067157A (ko) 차량의 사이드 충격 완화 구조
KR101880118B1 (ko) 차량용 도어패널
JP2005238836A (ja) Frp構造体
JP2006273199A (ja) 車体骨格の補強構造
WO2012153601A1 (ja) 車体前部構造体
KR101357608B1 (ko) 충돌에너지 흡수력이 우수한 범퍼빔용 스테이
JP7152982B2 (ja) 車両前部構造
KR200151685Y1 (ko) 자동차의 도어 완충부재
KR20020086370A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100828815B1 (ko) 차체 측면보강구조
KR20140092553A (ko) 자동차용 범퍼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