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102A - 보수재 주입용 패커 - Google Patents

보수재 주입용 패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102A
KR20190143102A KR1020180070639A KR20180070639A KR20190143102A KR 20190143102 A KR20190143102 A KR 20190143102A KR 1020180070639 A KR1020180070639 A KR 1020180070639A KR 20180070639 A KR20180070639 A KR 20180070639A KR 20190143102 A KR20190143102 A KR 20190143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tube
injection
coupling member
hole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853B1 (ko
Inventor
이성미
Original Assignee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이성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이성미 filed Critical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85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수재가 주입되는 관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이 관통공 타단에는 내경이 확경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재와, 이 결합부재의 타단 나사부에 체결되며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스틸볼과, 이 스틸볼을 관통공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탄성부재와, 결합부재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고무관과,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며, 보수재가 주입되는 주입공이 관통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고무관의 외경에 삽입설치되어 고무관 외경을 부분적으로 압박 또는 결속하여 고무관이 변질될 경우 주입된 보수재의 누설압력에 의해 고무관이 해체되거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수재 주입 후 고무관이 변질되거나 삭게 되더라도 분할 팽창된 고무관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분할 팽창된 고무관이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정착공에 긴밀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수재의 누설압력에 대항하게 하여 고무관의 누설 및 보수재의 누설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수재 주입용 패커{PACKER}
본 발명은 보수재가 주입되는 관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이 관통공 타단에는 내경이 확경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재와, 이 결합부재의 타단 나사부에 체결되며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스틸볼과, 이 스틸볼을 관통공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탄성부재와, 결합부재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고무관과, 결합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며, 보수재가 주입되는 주입공이 관통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수재 주입 후 고무관이 변질되거나 삭게 되더라도 분할 팽창된 고무관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분할 팽창된 고무관이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정착공에 긴밀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수재의 누설압력에 대항하게 하여 고무관의 누설 및 보수재의 누설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우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표면 또는 내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주로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이 내벽에 도포하였으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터널의 외벽이나 콘크리트로 타설된 옹벽의 배면 등에도 방수층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방수층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터널 등의 형성과 함께 이루어지게 되는바, 먼저 콘크리트를 일정 두께로 타설하여 구조물 또는 터널의 외형을 형성한 후 그 배면 또는 내벽에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주변의 흙을 덮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을 보호하게 된다.
근래 교량이나 건축물등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또는 부실시공으로 인하여 이들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이들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안전도의 진단 및 그에 따른 보수, 보강 및 방수등의 대책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일 예로서, 온도의 변화나 지진의 발생 등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 및 날로 증가되는 교통량 등을 감안하지 않은 교량 등은 철저한 안전진단을 통하여 재설계 시공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노후 또는 잘못 시공된 기존 구조물들을 전면 파괴하고 신설구조물로 재설계 시공한다는 것은, 막대한 예산과 공기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존 교량을 재시공할 경우에는 극심한 교통의 정체 내지 마비현상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실현이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난점을 감안하고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과 취약점을 보완, 보강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부분적인 손상부위에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취부하여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보수재(또는 방수재)를 주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여기서, 도면부호 1은 노즐부, 1a는 나사부, 2는 고무관, 3은 결합부재, 3a는 관통공, 3b는 공간부, 4는 와샤, 5는 주입부, 6은 절단선, 7은 스프링, 8은 스틸볼이다.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는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의 뒤쪽 나사부(1b)에 결합부재(3)를 체결시키고, 이 결합부재(3)에는 고무관(2), 와샤(2)가 순차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그 내부가 중공된 중공관체의 주입부(5)가 결합부재(3)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 내부에는 보수재가 주입되도록 관통공(3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3a)에는 그 일부가 확장된 공간부(3b)를 갖는다. 이 공간부(3b)에는 스프링(7)과 스틸볼(8)이 결합부재(3) 뒤쪽의 관통공(3a)을 탄압하도록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개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는,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부분적인 손상부위를 드릴과 같은 별도의 기구로서 천공을 한 상태에서 노즐부(1)를 전방으로 하여 삽입된다.
이때, 상기 주입부(5)의 외주면은 육각 볼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주입부(5)를 회전시켜 결합부재(3)에 계속 나사 결합시키면 고무관(4)이 도 3b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확장되어 구조물의 천공된 부분에 가압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5) 외주면에는 절단선(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단선(6)이 구조물의 내측으로 약간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입부(5)의 후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보수재 주입기의 주입노즐이 연결되며 분사압력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보수재가 주입된다. 그러면, 이 보수재는 주입부(5)의 내부 및 결합부재(3) 내부의 관통공(3a)을 거쳐 콘크리트 구조물 속으로 주입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3b) 내에서 결합부재(3) 뒤쪽의 관통공(3a)을 탄압하고 있던 스프링(7)이 도 3c와 같이 압착되어 스틸볼(8)이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보수재가 노즐부(1) 전방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후, 주입노즐(미도시)을 분리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상 주입부(5)의 절단선(6)을 이용하여이 주입부(5)를 절단하게 되면, 노즐부(1) 전방의 압력이 주입부(5) 후방의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어 보수재가 거꾸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이 압력에 의하여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3b) 내부의 스틸볼(8)이 그 보다 직경이 작은 관통공(3a)과 밀착되어 이 관통공(3a)을 폐쇄시킴으로써 보수재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재 정착공에 취부된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는, 통상적으로 4, 5년이 경과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공의 내경면에 압착되어 보수재의 역류 및 패커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고무관(2)이 변질되거나 삭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패커의 노즐부(1)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주입된 보수재의 압력이 더 높기 때문에 보수재가 고무관(2)을 주입부(5)측으로 가압하면서 고무관(2)이 정착공으로부터 누설되고, 결국, 고무관(2)이 누설된 틈새로 보수재마저 누설되어 보수공사 후 보수효력이 상실됨으로써, 재보수 공사를 실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패커를 정착공에 취부시킬 때, 결합부재에 삽입되는 고무관이 원주방향으로 팽창되게 하더라도 팽창되는 부분이 분할된 상태로 다수 개의 부분이 팽창되게 함과 동시에 고무관이 팽창될 때 서로 강력하게 결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고무관이 변질되거나 삭게 되어 보수재의 압력이 고무관에 작용한다 하더라도 분할 팽창된 고무관이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정착공에 긴밀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면서 보수재의 누설압력에 대항하여 고무관의 누설 및 보수재의 누설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보수재가 주입되는 관통공(102a)이 내측에 형성되며, 이 관통공(102a) 타단에는 내경이 확경된 공간부(102b)가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 나사부(102c)가 형성된 결합부재(102)와, 이 결합부재(102)의 타단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노즐공(104a)이 형성된 노즐부(104)와, 상기 결합부재(102)의 공간부(102b)에 삽입되는 스틸볼(106)과, 이 스틸볼(106)을 관통공(102a)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탄성부재(108)와, 결합부재(102)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고무관(110)과, 상기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보수재가 주입되는 주입공(112a)이 관통형성된 주입부(112)를 포함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있어서, 상기 고무관(110)의 외경에 삽입설치되어 고무관(110) 외경을 부분적으로 압박 또는 결속하여 고무관(110)이 변질될 경우 주입된 보수재의 누설압력에 의해 고무관(110)이 해체되거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고무관(110)의 외경으로 삽입고정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구조로 이루어진 코일스프링(1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고무관(110)의 외경으로 삽입고정되며, 그물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 매쉬망(124)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0)는, 금속사, 합성섬유사, 와이어, 금속사와 합성섬유사가 혼합된 혼합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보수재 주입 후 고무관이 변질되거나 삭게 되어 보수재의 압력이 고무관에 작용한다 하더라도 분할 팽창된 고무관이 고정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이 분할 팽창된 고무관이 서로 결속된 상태에서 정착공에 긴밀하게 압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보수재의 누설압력에 대항하게 하여 고무관의 누설 및 보수재의 누설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제1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제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제2실시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을 먼저 설명한 후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요지인 고정부재(1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는 주입부(112), 고무관(110), 결합부재(102), 스틸볼(106), 탄성부재(108), 노즐부(104)가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상기 주입부(112)는 도 5a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보수재가 주입되는 주입공(112a)이 관통형성되며, 결합부재(102)는 보수재가 통과하는 관통공(102a)이 내측에 형성되고, 양단의 외경에는 각각 나사부(102c)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02)의 관통공(102a) 내경 타단에는 관통공(102a)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02b)가 확경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02)의 타단 외경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는 도 4, 도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04)가 체결되는 바, 상기 노즐부(104)는 도 5a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결합부재(102)에 체결되도록 나사부(104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02)의 공간부(102b)에는 스틸볼(106)이 삽입되고, 이 스틸볼(106)이 일측을 향하여 탄력지지되도록 도 5a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02b)에 탄성부재(108)를 삽입설치하여 노즐부(104)에 의해 분리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주입부(112)를 통하여 보수재가 주입되고, 관통공(102a)을 경유하여 보수재가 노즐부(104)로 토출될 때를 제외하면, 탄성부재(108)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틸볼(106)이 관통공(102a)의 타단을 폐쇄하는 도 5a, 도 8과 같은 상태를 항상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02)에 노즐부(104)가 체결되면, 결합부재(102)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성형된 고무관(110)을 결합부재(102)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고무관(11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선택적으로 와셔(114)를 삽입한 후, 주입부(112)를 결합부재(102)의 일측 외경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체결시켜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도 4에 도시도힌 바와 같이 고무관(110)을 결합부재(102)에 삽입시킨 후, 고무관(110)의 외경으로 고정부재(120)를 도 5a와 같이 삽입시켜 고정부재(120)가 고무관(110)의 외경면에 밀착되면서 탄력적으로 압박하거나 결속하게 한 후, 와셔(114)와 주입부(112)가 결합부재(102)에 결합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고정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구조로 이루어진 코일스프링(122)이며, 코일스프링(122)은 원형으로 감겨진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양단에서 압축될 때 탄성력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외경이 확경될 때에는 축경되려하는 조임력에 해당하는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부(112)가 결합부재(102)에 체결될 때, 일정 위치보다 더 깊게 체결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114)와 노즐부(104) 사이에 위치된 고무관(110)이 외경으로 팽창하게 되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22)은 축경되려 하는 탄성력이 발생하므로 고무관(110)을 압박하거나 조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가 설치된 후 오랜기간이 경과하여 고무관(110)이 변질되거나 삭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코일스프링(122)이 고무관(110)의 외경을 압박하거나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무관(110)이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코일스프링(122)는 고무관(1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이므로, 누설되는 또는 누설되려하는 고무관(11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관(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고무관(110a)과 후방 고무관(110b)과 같이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된 구조로 마련하고, 이 고무관(11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120)를 삽입시켜 고무관(110)의 누설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패커가 정착공에서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실시예의 고정부재(120)(코일스프링(122))는 금속사, 합성섬유사, 와이어, 금속사와 합성섬유사가 혼합된 혼합사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02)에 삽입되는 고무관(110)의 외경에 그물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 매쉬망(124)을 삽입고정한 것으로서, 상기 매쉬망(124)이 고무관(110)의 외경에 피복되는 구조로 이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주입부(112)를 결합부재(102)에 체결할 때, 일정위치 이상 더 깊게 체결되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무관(110)이 외경으로 확경되면서 팽창되는 데,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쉬망(124)이 고무관(110)의 팽창력을 부분적으로 억제시키기 때문에 매쉬망(124)의 그물눈을 통해서만 팽창됨과 동시에 매쉬망(124)도 신창시키게 되므로, 다수 개의 호형이 형성되어 울퉁불퉁한 또는 볼록볼록한 형상으로 팽창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정착공 내경면에는 매쉬망(124)의 그물눈으로 팽창된 다수 개의 팽창부가 정착공의 내경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고무관(110)에 의해 신장된 매쉬망(124)도 정착공의 내경면에 밀착되므로, 보수재의 압력에 의하여 정착공으로부터 패커가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주입된 보수재의 누설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오랜 기간이 경과하여 고무관(110)이 재질적으로 변질되거나 삭는 현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주입된 보수재의 압력에 의해서 고무관(110)이 정착공 외부로 밀리거나 누설되려 할 때, 매쉬망(124)이 전체적으로 긴장된 상태에서 고무관(110)을 파지, 고정하므로, 고무관(110)의 누설현상이 방지되므로, 고무관(110)의 1차적 누설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보수재의 2차적 누설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관(110)의 외경면 전체를 매쉬망(124)이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02)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고무관(110)을 전방 고무관(110a)과 후방 고무관(110b)으로 분리시킨 후 결합부재(102)에 삽입시키되, 전, 후방 고무관(110a)(110ㅠ) 중 어느 하나의 외경, 전면, 후면을 모두 감싸거나 외경을 포함하여 전면 또는 후면만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매쉬망(124)을 전, 후방 고무관(110a)(110b) 중 어느 하나에 삽입시키는 구조를 채택하여 패커를 정착공에 삽입시킬 때, 매쉬망(124)이 고무관(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강력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고무관(110) 중 어느 하나의 고무관(110)은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팽창되고, 다른 하나의 고무관(110)은 다수 개로 분할 팽창하는 이중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패커를 취부시킬 수 있으며, 더욱 안정적으로 고무관(110)의 누설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실시예의 고정부재(120)(매쉬망(124))을, 금속사, 합성섬유사, 와이어, 금속사와 합성섬유사가 혼합된 혼합사 중 어느 하나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2 : 결합부재 102a : 관통공
102b : 공간부 102c : 나사부
104 : 노즐부 104a : 노즐공
104b : 나사부
106 : 스틸볼 108 : 탄성부재
110 : 고무관 110a : 전방 고무관
110b : 후방 고무관
112 : 주입부
112a : 주입공 114 : 와셔
120 : 고정부재 122 : 코일스프링
124 : 매쉬망

Claims (4)

  1. 보수재가 주입되는 관통공(102a)이 내측에 형성되며, 이 관통공(102a) 타단에는 내경이 확경된 공간부(102b)가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 나사부(102c)가 형성된 결합부재(102)와, 이 결합부재(102)의 타단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노즐공(104a)이 형성된 노즐부(104)와, 상기 결합부재(102)의 공간부(102b)에 삽입되는 스틸볼(106)과, 이 스틸볼(106)을 관통공(102a)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탄성부재(108)와, 결합부재(102)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고무관(110)과, 상기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보수재가 주입되는 주입공(112a)이 관통형성된 주입부(112)를 포함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있어서,
    상기 고무관(110)의 외경에 삽입설치되어 고무관(110) 외경을 부분적으로 압박 또는 결속하여 고무관(110)이 변질될 경우 주입된 보수재의 누설압력에 의해 고무관(110)이 해체되거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고정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고무관(110)의 외경으로 삽입고정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코일구조로 이루어진 코일스프링(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상기 고무관(110)의 외경으로 삽입고정되며, 그물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 매쉬망(1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금속사, 합성섬유사, 와이어, 금속사와 합성섬유사가 혼합된 혼합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1020180070639A 2018-06-20 2018-06-20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10211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39A KR102116853B1 (ko) 2018-06-20 2018-06-20 보수재 주입용 패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39A KR102116853B1 (ko) 2018-06-20 2018-06-20 보수재 주입용 패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02A true KR20190143102A (ko) 2019-12-30
KR102116853B1 KR102116853B1 (ko) 2020-06-10

Family

ID=69102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39A KR102116853B1 (ko) 2018-06-20 2018-06-20 보수재 주입용 패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1396A (zh) * 2020-01-17 2020-05-15 深圳市创智联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带可拆卸式喷头的涂装喷涂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256U (ko) * 1996-11-08 1998-08-05 주형식 그라우팅 패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256U (ko) * 1996-11-08 1998-08-05 주형식 그라우팅 패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1396A (zh) * 2020-01-17 2020-05-15 深圳市创智联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带可拆卸式喷头的涂装喷涂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853B1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2568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ой стен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апряженных опалубо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 трубчатая распорка для связывания конструкции опалубки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ой стены
JP6770783B2 (ja) 中間定着具及び中間定着具の装着方法
KR20190143102A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JP4294707B2 (ja) 壁面の防水装置と止水部材と連結金具と防水工法
US7003921B2 (en) Expansion joint and reinforcement connection method using the expansion joint
US10648332B2 (en) Injection tool and a method for injection
KR20010039525A (ko)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JP2009249967A (ja) 水路補修板および既設水路の補修方法および補修水路
KR100704609B1 (ko) 복합 기능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암거의 구조
KR101110274B1 (ko) 재활용 코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 공법
JPH101961A (ja) 既設マンホールにおける側面孔の修繕または増設工事用の筒形孔付き取付板
KR20190143103A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200428250Y1 (ko) 인장재 제거용 앵커체
KR200415519Y1 (ko)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CN111945903A (zh) 一种防水穿墙套管结构及其制造工艺
KR102116847B1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100592808B1 (ko) 암벽을 밀봉시키는 장치 및 암벽을 보강 및 밀봉시키는 장치
KR10210869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난연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8295B1 (ko) 터널 보수보강용 준불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보수보강 시공방법
KR101760721B1 (ko)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KR20150019270A (ko)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CN219974516U (zh) 一种波纹板-喷射混凝土隧道复合初支结构
KR102285578B1 (ko) Psc 교량용 외부강선 쉬스관의 그라우팅 충진불량 보수방법
KR102105152B1 (ko) 라멘 구조물 안정화 및 구조내력 보강공법
JP2003082994A (ja) トンネル補修用構造材及びトンネル補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