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847B1 - 보수재 주입용 패커 - Google Patents

보수재 주입용 패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847B1
KR102116847B1 KR1020180070641A KR20180070641A KR102116847B1 KR 102116847 B1 KR102116847 B1 KR 102116847B1 KR 1020180070641 A KR1020180070641 A KR 1020180070641A KR 20180070641 A KR20180070641 A KR 20180070641A KR 102116847 B1 KR102116847 B1 KR 10211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hole
injection
repair materi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104A (ko
Inventor
이성미
Original Assignee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이성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이성미 filed Critical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8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보수재가 주입되는 관통공이 내측에 형성되며, 이 관통공 타단에는 내경이 확경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재와, 이 결합부재의 타단 나사부에 체결되며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결합부재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스틸볼과, 이 스틸볼을 관통공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탄성부재와, 결합부재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고무관과,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며, 보수재가 주입되는 주입공이 관통형성된 주입부를 포함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주입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며, 내부에 제1주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일단에 제1체결부가 형성된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제1체결부에 체결되도록 타단에 제2체결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2주입공이 형성된 분리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주입부를 고정부와 분리부로 분리구성하고, 고정와 분리부가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보수재 주입 후 분리부를 회전시켜 고정부로부터 분리부가 간단하게 해체되도록 하여 정착공에 밀착 취부된 고무관 등의 구성요소들과 정착공사이의 취부력, 결합력 약화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보수재 주입 후 보수재가 역류하여 정착공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수재 주입용 패커{PACKER}
본 발명은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부분적인 손상부위를 보강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보수재가 원활히 주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주입된 보수재의 역류 또는 누출을 방지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천공된 정착공에 취부된 상태에서 오랜기간이 경과하더라도 고무관이 변형되거나 정착공으로 누설되거나 보수재가 정착공으로 역류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로 우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표면 또는 내부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주로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이 내벽에 도포하였으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터널의 외벽이나 콘크리트로 타설된 옹벽의 배면 등에도 방수층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방수층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터널 등의 형성과 함께 이루어지게 되는바, 먼저 콘크리트를 일정 두께로 타설하여 구조물 또는 터널의 외형을 형성한 후 그 배면 또는 내벽에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주변의 흙을 덮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을 보호하게 된다.
근래 교량이나 건축물등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또는 부실시공으로 인하여 이들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이들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안전도의 진단 및 그에 따른 보수, 보강 및 방수등의 대책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일예로서, 온도의 변화나 지진의 발생 등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 및 날로 증가되는 교통량 등을 감안하지 않은 교량 등은 철저한 안전진단을 통하여 재설계 시공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노후 또는 잘못 시공된 기존 구조물들을 전면 파괴하고 신설구조물로 재설계 시공한다는 것은, 막대한 예산과 공기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존 교량을 재시공할 경우에는 극심한 교통의 정체 내지 마비현상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실현이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난점을 감안하고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과 취약점을 보완, 보강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부분적인 손상부위에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취부하여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보수재(또는 방수재)를 주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여기서, 도면부호 1은 노즐부, 1a는 나사부, 2는 고무관, 3은 결합부재, 3a는 관통공, 3b는 공간부, 4는 와샤, 5는 주입부, 6은 절단선, 7은 스프링, 8은 스틸볼이다.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는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의 뒤쪽 나사부(1b)에 결합부재(3)를 체결시키고, 이 결합부재(3)에는 고무관(2), 와샤(2)가 순차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그 내부가 중공된 중공관체의 주입부(5)가 결합부재(3)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 내부에는 보수재가 주입되도록 관통공(3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3a)에는 그 일부가 확장된 공간부(3b)를 갖는다. 이 공간부(3b)에는 스프링(7)과 스틸볼(8)이 결합부재(3) 뒤쪽의 관통공(3a)을 탄압하도록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개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는,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부분적인 손상부위를 드릴과 같은 별도의 기구로서 정착공(10)을 천공한 상태에서 노즐부(1)를 전방으로 하여 삽입된다.
이때, 상기 주입부(5)의 외주면에는 육각볼트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주입부(5)를 회전시켜 결합부재(3)에 계속 나사 결합시키면 고무관(4)이 도 3c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확장되어 구조물의 천공된 부분에 가압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입부(5) 외주면에는 절단선(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단선(6)이 구조물의 내측으로 약간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입부(5)의 후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보수재 주입기의 주입노즐이 연결되며 분사압력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의 보수재가 주입된다. 그러면, 이 보수재는 주입부(5)의 내부 및 결합부재(3) 내부의 관통공(3a)을 거쳐 콘크리트 구조물 속으로 주입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3b) 내에서 결합부재(3) 뒤쪽의 관통공(3a)을 탄압하고 있던 스프링(7)이 도 3b와 같이 압착되어 스틸볼(8)이 앞쪽으로 이동되면서 보수재가 노즐부(1) 전방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후, 주입노즐(미도시)을 분리하거나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상 주입부(5)의 절단선(6)을 이용하여이 주입부(5)를 절단하게 되면, 노즐부(1) 전방의 압력이 주입부(5) 후방의 압력보다 높아지게 되어 보수재가 거꾸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이 압력에 의하여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3b) 내부의 스틸볼(8)이 그 보다 직경이 작은 관통공(3a)과 밀착되어 이 관통공(3a)을 폐쇄시킴으로써 보수재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재 정착공(10)에 취부된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공(10) 외부로 노출된 주입부(5)의 절단선(6)을 커팅하여 분리시키는 작업을 실시할여야 한다.
결국, 상기 주입부(5)의 절단선(6)을 둔기로 강하게 내려쳐 절단시키거나, 팬치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주입부(5)를 파지한 후, 절단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주입부(5)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정착공(10)에 삽입 취부된 결합부재(3), 고무관(2), 노즐부(1) 등에 충격이 가해지므로, 정착공(10)에 취부된 상기한 구성요소들과 정착공(10) 내경면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게 되거나, 정착공(10)에 취부된 상기 구성요소들의 위치가 미세하게 틀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수재 주입 후 절단선(6)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주입부(5) 절단 후 곧바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드러나게 되는 것으로서, 정착공(10)으로부터 패커가 직접적으로 분리되는 문제보다는 정착공(10)과 고무관(2)의 취부구조 또는 결합구조가 헐거워지면서 주입된 보수재가 역류하여 정착공(10) 밖으로 누설되어 보수공사 후 보수효력이 상실됨으로써, 재보수 공사를 실시해야하는 문제점으로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착공에 취부된 패커를 이용하여 보수재를 주입한 후, 주입부에 강한 충격 등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정착공에서 외부로 노출된 주입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입부 분리 시 발생하였던 정착공 내부에서의 미세한 틈새발생과 결합구조의 약화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보수재가 역류하여 정착공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보수재가 주입되는 관통공(102a)이 내측에 형성되며, 이 관통공(102a) 타단에는 내경이 확경된 공간부(102b)가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 나사부(102c)가 형성된 결합부재(102)와, 이 결합부재(102)의 타단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노즐공(104a)이 형성된 노즐부(104)와, 상기 결합부재(102)의 공간부(102b)에 삽입되는 스틸볼(106)과, 이 스틸볼(106)을 관통공(102a)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탄성부재(108)와, 결합부재(102)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고무관(110)과, 상기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보수재가 주입되는 주입공(112a)이 관통형성된 주입부(112)를 포함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112)는, 상기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내부에 제1주입공(112a-1)이 관통형성되고, 일단에 제1체결부(112-A1)가 형성된 고정부(112-A)와, 상기 고정부(112-A)의 제1체결부(112-A1)에 체결되도록 타단에 제2체결부(112-B1)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2주입공(112a-2)이 형성된 분리부(11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02)에 고정부(112-A)를 체결시키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부(112-A)의 제1체결부(112-A1)에 체결된 분리부(112-B)의 제2체결부(112-B1)가 해체되도록 체결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무관(11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결합부재(102)의 외경으로 삽입되도록 삽입공(120c)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스토퍼(120a)가 돌출형성된 정착부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20a)는 결합부재(102)의 타측방향에서 일측방향을 향하여 점차 확경되는 경사면(120b)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입부를 고정부(112-A)와 분리부로 분리구성하고, 고정부(112-A)와 분리부가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로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보수재 주입 후 분리부를 회전시켜 고정부(112-A)로부터 분리부가 간단하게 해체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분리부를 고정부(112-A)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주입부에는 전혀 충격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정착공에 밀착 취부된 고무관 등의 구성요소들과 정착공사이에서 취부력, 결합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보수재 주입 후 보수재가 역류하여 정착공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고정부(112-A)와 분리부로 분리구성된 주입부는, 보수작업 완료 후 분리부가 고정부(112-A)로부터 분리된 후 수거되므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분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d는 종래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분해 사시도.
도 5a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작용단면도.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먼저 설명한 후 고정부(112-A)와 분리부(112-B)로 분리구성된 주입부(112)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의 구성 중 고무관(110), 결합부재(102), 스틸볼(106), 탄성부재(108), 노즐부(104)는 종래의 보수재 주입용 패커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102)는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보수재가 통과되는 관통공(102a)이 관통형성되며, 양단의 외경에는 각각 나사부(102c)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02)의 관통공(102a) 내경 타단에는 관통공(102a)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으로 이루어진 공간부(102b)가 확경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02)의 타단 외경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는 도 4,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04)가 체결되는 바, 상기 노즐부(104)에도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결합부재(102)에 체결되도록 나사부(104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02)의 공간부(102b)에는 스틸볼(106)이 삽입되고, 이 스틸볼(106)이 일측을 향하여 탄력지지되도록 도 4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02b)에 탄성부재(108)를 삽입설치하여 노즐부(104)에 의해 분리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후술하게 될 본 발명에 따른 주입부(112)를 통하여 보수재가 주입되고, 관통공(102a)을 경유하여 보수재가 노즐부(104)로 토출될 때를 제외하면, 탄성부재(108)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틸볼(106)이 관통공(102a)의 타단을 폐쇄하는 도 5a와 같은 상태를 항상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02)에 노즐부(104)가 체결되면, 결합부재(102)에는 도 4,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성형된 고무관(110)을 결합부재(102)에 삽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는 경우에 따라서 종래와 같이 결합부재(102)에 와셔(도 1, 도 2의 도면부호 4 참조)를 삽입하여 고무관(110)의 일단을 와셔가 받쳐주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부재(102)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와 노즐부(104)에 형성된 나사부(104b)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며,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아니므로, 나사결합되는 체결구조로서의 의미만을 부여하기 위하여 '나사부'라는 일반 명칭으로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02)의 타단에는 노즐부(104)와 스틸볼(106) 및 탄성부재(108)가 결합되고, 그 후단으로 고무관(110)이 결합부재(102)에 삽입된 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입부(112)를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체결시켜 결합구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주입부(112)는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2-A)와 분리부(112-B)로 분리구성된 구조로서, 고정부(112-A)의 일단에는 제1체결부(112-A1)가 형성되고, 고정부(112-A)의 타단에는 종래와 같이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측에는 제1주입공(112a-1)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부(112)의 분리부(112-B) 타단에는 고정부(112-A)의 제1체결부(112-A1)에 체결되도록 제2체결부(112-B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제1주입공(112a-1)과 연통되도록 제2주입공(112a-2)이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고정부(112-A)를 체결시킬 때, 고정부(112-A)의 제1체결부(112-A1)에는 분리부(112-B)의 제2체결부(112-B1)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부(112-A)가 결합부재(102)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결합부재(102)에 고정부(112-A)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분리부(112-B)를 고정부(112-A)에 체결시킬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도 4와 도 5a 등에서는 분리부(112-B)의 제2체결부(112-B1)는 숫나사로 표현되어 있으며, 고정부(112-A)의 제1나사부(102c)는 암나사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의 암나사와 숫나사는 서로 얼마든지 변경하여 체결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도 한정되지 않고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고정부(112-A)를 체결시킬 때, 체결(잠금)되는 방향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라면, 제2체결부(112-B1)와 제1체결부(112-A1)의 체결구조에서는, 분리부(112-B)의 제2체결부(112-B1)를 고정부(112-A)의 제1체결부(112-A1)에 체결(잠금)시키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며, 해체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으로 설계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무관(11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재(120)를 삽입시켜 고정부(112-A)로부터 분리부(112-B)를 분리시킬 때, 정착부재(120)가 정착공(114)에 강력하게 정착된 상태에서 분리부(112-B)가 분리되게 함과 동시에 분리부(112-B) 분리 시 결합부재(102), 고무관(110) 등의 미세한 움직임이라도 최대한 억제하여 정착공(114)과 고무관(110)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틈을 미연에 방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착부재(120)는, 결합부재(102)의 외경으로 삽입되도록 삽입공(120c)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스토퍼(120a)가 돌출형성된 구조로서, 도 4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20a)는 결합부재(102)의 타측방향에서 일측방향을 향하여 점차 확경되는 경사면(120b)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를 정착공(114)에 삽입시킨 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2-A)를 회전시켜 결합부재(102)에 고정부(112-A)가 더 깊게 체결되게 함으로써, 고무관(110)이 노즐부(104)와 고정부(112-A) 또는 와셔(선택적으로 채택, 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팽창하게 하는 바, 이때, 상기 공구는 고정부(112-A)까지 삽입된 상태이므로, 고정부(112-A)와 분리부(112-B)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수만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112-B)는 고정부(112-A)가 잠금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해체되는 체결구조이므로, 고정부(112-A)가 결합부재(102)에 강력하게 체결된다 하더라도 최초 체결된 상태보다 더 강하게 체결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112-A)가 결합부재(102)의 일정위치보다 더 깊에 체결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재(120)의 스토퍼(120a)가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면서 정착공(114) 내경면에 압입 또는 간섭되면서 결합부재(102)와 고무관(11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커가 정착공(114)에 취부된 후, 보수재를 고압으로 주입시키는 주입노즐(도시하지 않음)을 분리부(112-B)에 연결하여 보수재를 주입시킨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가 고정부(112-A)로부터 벗어나 분리부(112-B)만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위치 조정을 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112-B)의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12-A)의 체결(잠금)방향이 분리부(112-B)의 해체방향이므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2-A)를 체결(잠금)시키던 회전방향으로 분리부(112-B)만을 회전시키면, 도 6d와 같이 분리부(112-B)만 고정부(112-A)로부터 분리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서는, 주입부(112)를 분리시킬 때, 결합부재(102), 고무관(110), 노즐부(104)에 최소한의 충격이라도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주입부(112)를 고정부(112-A)와 분리부(112-B)로 분리구성하되, 고정부(112-A)와 분리부(112-B)가 체결되도록 하며, 이때, 고정부(112-A)의 체결(잠금)방향은 분리부(112-B)의 해체방향과 동일하도록 제조함으로써, 분리부(112-B) 해체 시 가해지는 회전력이 고정부(112-A)가 해체되는 방향으로의 어떠한 회전력도 작용하지 않게 되며, 특히, 정착부재(120)가 더욱 더 강력하게 정착공(114)에 정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분리부(112-B)를 고정부(112-A)에서 안정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2 : 결합부재 102a : 관통공
102b : 공간부 102c : 나사부
104 : 노즐부 104a : 노즐공
104b : 나사부
106 : 스틸볼 108 : 탄성부재
110 : 고무관 112 : 주입부
112a : 주입공 112a-1 : 제1주입공
112a-2 : 제2주입공
112-A : 고정부 112-A1 : 제1체결부
112-B : 분리부 112-B1 : 제2체결부
114 : 정착공
120 : 정착부재 120a : 스토퍼
120b : 경사면 120c : 삽입공

Claims (4)

  1. 보수재가 주입되는 관통공(102a)이 내측에 형성되며, 이 관통공(102a) 타단에는 내경이 확경된 공간부(102b)가 형성되고, 양단 외경에 나사부(102c)가 형성된 결합부재(102)와, 이 결합부재(102)의 타단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노즐공(104a)이 형성된 노즐부(104)와, 상기 결합부재(102)의 공간부(102b)에 삽입되는 스틸볼(106)과, 이 스틸볼(106)을 관통공(102a)으로 탄력지지하도록 된 탄성부재(108)와, 결합부재(102)의 외경으로 삽입되는 원통형 고무관(110)과, 상기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보수재가 주입되는 주입공(112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102)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102c)에 체결되며, 내부에 제1주입공(112a-1)이 관통형성되고, 일단에 제1체결부(112-A1)가 형성된 고정부(112-A)와, 상기 고정부(112-A)의 제1체결부(112-A1)에 체결되도록 타단에 제2체결부(112-B1)가 형성되며, 내부에 제2주입공(112a-2)이 형성된 분리부(112-B)로 이루어진 주입부(112)를 포함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에 있어서,
    상기 고무관(11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결합부재(102)의 외경으로 삽입되도록 삽입공(120c)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스토퍼(120a)가 돌출형성되며, 이 스토퍼(120a)는 결합부재(102)의 타측방향에서 일측방향을 향하여 점차 확경되는 경사면(120b)으로 형성된 정착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재 주입용 패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0641A 2018-06-20 2018-06-20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10211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41A KR102116847B1 (ko) 2018-06-20 2018-06-20 보수재 주입용 패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41A KR102116847B1 (ko) 2018-06-20 2018-06-20 보수재 주입용 패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04A KR20190143104A (ko) 2019-12-30
KR102116847B1 true KR102116847B1 (ko) 2020-06-10

Family

ID=6910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41A KR102116847B1 (ko) 2018-06-20 2018-06-20 보수재 주입용 패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8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182A (ja) * 2001-06-06 2002-12-18 Nippon Grease Nipple Kk 流体注入プラグ
KR101093733B1 (ko) * 2011-07-05 2011-12-19 삼원특수(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63Y1 (ko) * 1996-11-08 2000-06-01 주형식 그라우팅 패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182A (ja) * 2001-06-06 2002-12-18 Nippon Grease Nipple Kk 流体注入プラグ
KR101093733B1 (ko) * 2011-07-05 2011-12-19 삼원특수(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용 패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04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7662B2 (ja) 既設覆工物の補修方法
KR101851646B1 (ko)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0797818B1 (ko) 제거식 락볼트의 선단정착구
KR100825484B1 (ko) 정착식 네일링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25392B1 (ko)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2116847B1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EP3577279B1 (en) Injection tool and a method for injection
CN106245767A (zh) 一种采用单面连接螺栓的钢管柱与钢梁端板连接节点
KR101502600B1 (ko) 스트롱 앵커
KR101639702B1 (ko) 락볼트
KR101029320B1 (ko) 암반 파쇄대구간 보강을 위한 록볼트 및 이를 이용한 암반파쇄대구간 보강방법
KR102116853B1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KR10118072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위한 보수액 주입용 패커
JP200951028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亀裂補修用パッカー
KR102143338B1 (ko) 보수재 주입용 패커
JP6884663B2 (ja) 既設構造物の補修・補強方法
KR200393588Y1 (ko) 인발력 저항 링을 갖는 터널시공용 락볼트
JP4931766B2 (ja) ロックボルト用ナット
KR101110274B1 (ko) 재활용 코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 공법
KR102379212B1 (ko) 앵커 볼트
KR200428250Y1 (ko) 인장재 제거용 앵커체
KR20080105665A (ko) 앵커볼트
KR100361960B1 (ko) 다목적 앙카
KR20020027443A (ko) 앵커공법용 인장재 해체장치
KR20050031078A (ko) 비고정식 견인부를 갖는 앵커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