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270A -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270A
KR20150019270A KR20130095911A KR20130095911A KR20150019270A KR 20150019270 A KR20150019270 A KR 20150019270A KR 20130095911 A KR20130095911 A KR 20130095911A KR 20130095911 A KR20130095911 A KR 20130095911A KR 20150019270 A KR20150019270 A KR 2015001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ant
joint
primer
steel wire
prefabricat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7228B1 (ko
Inventor
임인혁
Original Assignee
임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인혁 filed Critical 임인혁
Priority to KR20130095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2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2Compressable seals of solid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6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in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의 접합면에 프라이머를 선도포하고, 지수재를 부착시킨 후 실란트를 밀실되게 충진 경화시켜서 접합면 사이에 분리의 힘이 발생되더라도 실란트가 신축적으로 대응하여 방수 조인트가 유지되도록 한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립식 구조물이 접합될 각 접합면의 양면에 각기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프라이머가 도포된 한 면에 지수재를 2열로 나란하게 부착하는 단계와; 2열 지수재의 사이에 실란트를 우선적으로 충진하는 단계와; 조립식 구조물을 강선의 인장 또는 볼트 조임시켜 실란트가 2열 지수재의 사이에 압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충진 된 실란트가 경화되도록 한 후 구조물의 접합면 사이에 지수재가 1차로 물 유입을 차단하고, 2차로 실란트가 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Sealant preferred filling waterproofing method of prefabricated structure joint}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누수 차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합면에 프라이머를 우선적으로 도포하고, 지수재를 부착시킨 후 실란트틀 밀실되게 충진 경화시켜서 방수 조인트를 갖도록 한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콘크리트 구조물을 조립할 경우 흔히 부재와 부재 사이에 코킹을 하거나, 무수축 몰탈을 주입하거나, 2열의 지수재 사이로 실란트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코킹은 일반적으로 시공하는 방법이지만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파손 염려 및 내구성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무수축 몰탈 주입 방법은 신, 구 콘크리트의 접착에 의하여 접착이 완전히 되지 않고,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수재를 2열로 붙이고 2열 지수재 내측으로 실란트를 고압으로 주입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부재와 부재의 접합면이 평편할 경우 효과가 있으나 전단키 등 부재의 면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이 있을 경우는 2열 지수재가 각각의 부재에 밀착되지 않아 틈새로 실란트가 누출되어 지수재 사이에 실란트가 밀실하게 채워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완벽한 방수 조인트를 구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76242호로서, 콘크리트 패널과 콘크리트 패널용 방수기구 및 콘크리트패널의 조인트 방수방법이 있다. 이는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서로 다른 콘크리트 패널의 접합면을 방수처리하는 콘크리트 패널용 방수기구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콘크리트 패널의 접합면이 서로 맞닿을 때, 접합면으로부터 인접한 외측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되는 수팽창 지수재와; 상기 수팽창 지수재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제2고정편과; 상기 수팽창 지수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통공과 제2고정편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3통공으로 관통되어 콘크리트 패널이 서로 맞닿는 접합면 사이로 관통체결되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접합면으로 물이 침투하려 할 때, 물이 수팽창 지수재와 반응하게 되어 수팽창 지수재의 용적이 팽창함에 따라 고정홈에 수팽창 지수재가 더욱 밀착됨으로써 누수를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 부재간의 물리적인 분리의 힘에 의해 접합면의 이격이 발생될 경우 수팽창 지수재만으로는 누수를 차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309316호(조립식 박스 암거의 2중 방수 방법)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24650호(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장치) 한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92646호(콘크리트 구조물 연결용 지수 구조)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의 접합면에 프라이머를 선도포하고, 지수재를 부착시킨 후 실란트를 밀실되게 충진 경화시켜서 접합면 사이에 분리의 힘이 발생되더라도 실란트가 신축적으로 대응하여 방수 조인트가 유지되도록 한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의 접합면에 강제적인 압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지수재의 지수력이 향상되도록 한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립식 구조물이 접합될 각 접합면의 양면에 각기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프라이머가 도포된 한 면에 지수재를 2열로 나란하게 부착하는 단계와;
2열 지수재의 사이에 실란트를 우선적으로 충진하는 단계와;
조립식 구조물을 강선의 인장 또는 볼트 조임시켜 실란트가 2열 지수재의 사이에 압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충진된 실란트가 경화되도록 한 후 구조물의 접합면 사이에 지수재가 1차로 물 유입을 차단하고, 2차로 실란트가 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립식 구조물의 양쪽 접합면에 테이퍼를 가지고 일정 폭과 깊이로 함몰되어 있는 실란트 충진홈이 각기 형성되고, 각 실란트 충진홈에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강선 또는 볼트는 실란트 충진홈에 연통되어 있는 조립용 강선홀을 통해 설치되어 강선의 인장 또는 볼트 조임 시 실란트의 일부가 조립용 강선홀로 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에 의하면, 구조물의 접합면 사이에 물이 침투하게 되면, 지수재가 1차로 물 유입을 차단하고, 2차로 실란트가 물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이때 조립식 구조물의 접합면과 지수재의 사이에는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 있고 강선 또는 볼트의 장력으로 실란트에 압축력이 도입되어 실란트의 접합이 밀착되므로 물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조립식 구조물 간에 분리되는 힘이 발현되더라도, 실란트가 프라이머층을 통해 조립식 구조물의 접합면에 견고히 부착된 실란트가 자체의 신축력으로 늘어나며 저항하므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하구조물(지하주차장, 저류조)의 외벽 시공, 박스(BOX) 시공 등 누수 방지를 필요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접합부 조인트 방수 시공에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을 설명하는 시공 순서도.
도 3은 강선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조립식 구조물의 접합부에 압축력이 도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부분을 부분 절단된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도 1(가)와 같이 조립식 구조물(10,10)이 접합될 각 접합면(101)의 양면에 프라이머(12)가 각기 도포된다. 프라이머(12)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등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프라이머(12)는 1회 또는 그 이상의 도포로 형성되어 후술할 실란트(16)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프라이머(12)는 조립식 구조물(10,10)의 양쪽 접합면에 테이퍼를 가지고 일정 폭(w)과 깊이(h)로 함몰되어 있는 실란트 충진홈(102)에 도포된다. 프라이머(12)의 도포 두께는 접합면의 표면 조도에 따라 차이를 갖지만 예로 100㎛~0.5mm가 될 수 있다.
다음, 도 1(나)와 같이 프라이머(12)가 도포된 한 면에 지수재(14)를 2열로 나란하게 부착시킨다. 이때 지수재(14)는 프라이머(12)의 접착력에 의해 실란트 충진홈(102)의 상부 모서리에 접착된 상태로 부착 위치를 유지한다. 지수재(14)는 수팽창 고무 지수재 등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지수재(14)는 본 실시 예에서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단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다음, 도 1(다)와 같이 2열 지수재(14와 14)의 사이에 실란트(16)를 충진한다. 실란트(16)는 기밀, 수밀의 기능 외에 부재 상호간의 신축, 진동, 변형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상의 물질 또는 연질 혹은 액상 고무 조성물로 구성된다, 실란트(16)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변성 실리콘계, 폴리 설파이드계, 폴리 우레탄계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실란트(16)는 실란트 충진홈(102)을 포함하여 2열 지수재(14와 14)의 사이의 공간에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밀실하게 충진된다.
그 다음, 도 2(라)와 같이 조립식 구조물(10,10)을 접합시켜 일정한 시간을 두고 실란트(16)를 경화시킨다.
이후, 실란트(16)가 2열 지수재(14와 14) 사이에 압밀되도록 도 3과 같이 조립식 구조물(10,10)의 접합면을 강선(20)의 인장을 통해 밀착시킬 수 있다. 예로, 강선(20)은 실란트 충진홈(102)에 연통되어 있는 조립용 강선홀(104)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강선(20)의 인장시 실란트(16)의 일부가 조립용 강선홀(104)로 침입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강선(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게 된다. 강선(20)의 인장은 양단에 주지의 웨지 및 그 정착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강선(20)을 유압잭으로 긴장시킨 후 웨지를 정착장치에 고정시켜서 인장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강선(20)에 대체하여 볼트의 조임을 통해 실란트(16)가 2열 지수재(14와 14) 사이에 압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볼트의 조임은 양단 또는 일단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를 조여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에 의하면, 도 2의 (마)와 같이 구조물(10)(10)의 접합면 사이에 물(W)이 침투하게 되면, 지수재(14)가 1차로 물 유입을 차단하고, 2차로 실란트(16)가 물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조립식 구조물(10)의 접합면(101)과 지수재(14)의 사이에는 프라이머(12)층이 형성되어 있어 실란트(16)의 접합이 밀착되므로 실린트층으로 물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강선(20)의 인장이나 볼트 조임으로 지수재(14) 및 실란트(16)를 강제적으로 압착시켜 누수를 방지한다.
또한, 조립식 구조물(10)(10)간에 분리되는 힘이 발현되더라도, 실란트(16)가 프라이머(12)층을 통해 각각의 조립식 구조물(10)(10)의 접합면에 견고히 부착된 상태에서 그 자체의 신축력으로 늘어나며 저항하면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하주차장, 저류조 등의 지하구조물의 외벽 시공이나, 박스(BOX) 시공 등 누수 방지를 필요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접합부 조인트 방수 시공에 폭 넓게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조립식 구조물
102: 실란트 충진홈
12: 프라이머
14: 지수재
16: 실란트
20: 강선 또는 볼트

Claims (3)

  1. 조립식 구조물(10,10)이 접합될 각 접합면(101)의 양면에 각기 프라이머(12)를 도포하는 단계와;
    프라이머(12)가 도포된 한 면에 지수재(14)를 2열로 나란하게 부착하는 단계와;
    2열 지수재(14와 14)의 사이에 실란트(16)를 우선적으로 충진하는 단계와;
    조립식 구조물(10,10)을 강선(20)의 인장 또는 볼트 조임시켜 실란트(16)가 2열 지수재(14와 14)의 사이에 압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충진된 실란트(16)가 경화되도록 한 후 구조물의 접합면 사이에 지수재(14)가 1차로 물 유입을 차단하고, 2차로 실란트(16)가 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립식 구조물(10,10)의 양쪽 접합면에 테이퍼를 가지고 일정 폭과 깊이로 함몰되어 있는 실란트 충진홈(102)이 각기 형성되고, 각 실란트 충진홈(102)에 상기 프라이머(12)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선(20) 또는 볼트는 실란트 충진홈(102)에 연통되어 있는 조립용 강선홀(104)을 통해 설치되어 강선(20)의 인장 또는 볼트 조임시 실란트(16)의 일부가 조립용 강선홀(104)로 침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KR20130095911A 2013-08-13 2013-08-13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KR10149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911A KR101497228B1 (ko) 2013-08-13 2013-08-13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5911A KR101497228B1 (ko) 2013-08-13 2013-08-13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270A true KR20150019270A (ko) 2015-02-25
KR101497228B1 KR101497228B1 (ko) 2015-02-27

Family

ID=5257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5911A KR101497228B1 (ko) 2013-08-13 2013-08-13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1036A (zh) * 2017-09-22 2017-12-12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同质预制外墙孔洞封堵方法
CN115142562A (zh) * 2022-02-25 2022-10-04 上海奉贤建设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非渗油蠕变橡胶防水涂料的建筑防水节点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853B1 (ko) * 1999-05-20 2001-12-22 이계철 방수시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765360B1 (ko) 2001-05-31 2007-10-10 주식회사 케이티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20030002956A (ko) * 2001-07-03 2003-01-09 최춘식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지수관 설치공법
KR20130024650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1036A (zh) * 2017-09-22 2017-12-12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同质预制外墙孔洞封堵方法
CN115142562A (zh) * 2022-02-25 2022-10-04 上海奉贤建设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非渗油蠕变橡胶防水涂料的建筑防水节点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228B1 (ko) 201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RU250564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точечного крепления гидроизоляционной мембраны к гидросооружениям
KR101497228B1 (ko) 조립식 구조물 접합부의 실란트 선 충진 누수 차단 방법
JP2023158151A (ja) セグメント用止水部材及びセグメント用止水構造
KR20160046750A (ko) 구조물 연결부위의 누수차단용 신축이음재
KR101202372B1 (ko) 파형강판용 수밀결합구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JP5273663B2 (ja) 防食pcストランドを用いたアンカー構造とその構築方法、および複合アンカー部材
JP4294707B2 (ja) 壁面の防水装置と止水部材と連結金具と防水工法
JP5265323B2 (ja) 配管施工部の止水構造および止水配管方法
KR20042175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JP2006144534A (ja) 地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継手構造とその施工方法
KR10137897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펜션 조인트 보수공법
JP4537225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6420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쉬스 연결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3104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583986B1 (ko) 구조물의 신축이음 장치
KR101330024B1 (ko) 하수암거를 포함한 시설물용 차수형 신축이음장치
KR100903088B1 (ko) 피씨 암거 연결 시공방법
KR20042049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US20190195070A1 (en) Sealing profile for embedding into a moulding of curable material
KR20120065619A (ko) 방수제가 충진된 방수부재
JP7097634B2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のグラウトホール用止水構造
KR2016008061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음부를 여러 층으로 보수하는 방법
WO2007096934A1 (ja) クラック誘発止水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