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721B1 -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721B1
KR101760721B1 KR1020160138166A KR20160138166A KR101760721B1 KR 101760721 B1 KR101760721 B1 KR 101760721B1 KR 1020160138166 A KR1020160138166 A KR 1020160138166A KR 20160138166 A KR20160138166 A KR 20160138166A KR 101760721 B1 KR101760721 B1 KR 10176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t
hole
injection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귀
Original Assignee
이인귀
(주)나노지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귀, (주)나노지오이엔씨 filed Critical 이인귀
Priority to KR102016013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부에 주름관이 설치되고 밀봉된 상태에서 1차 주입호스를 통하여 그라우트가 주름관 내부 선단부터 충진되면서 에어(air)를 밀어내며 상부까지 밀실하게 완충된 후, 2차 주입호스에서 분사장치를 통하여 천공홀로 압력분사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슬라임 배출이 용이하고, 절리면에 그라우트가 침투하여 밀실한 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앵커 및 네일링 내부와 천공홀 내의 정착부에 대한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는 천공 장비를 이용하여 사면이나 지반에 일정 길이를 갖는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S1)와; 선단이 밀봉된 주름관을 관통하여 주름관의 하측에 위치하고 그 후단은 천공홀의 외부에 노출되는 1차 주입호스와, 선단이 밀봉된 헤드캡을 통과하여 분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주름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2차 주입호스와, 헤드캡에 연결 설치되며 2차 주입호스에서 배출되는 그라우트를 분사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분사 몸체의 걸림턱을 하측으로 길게 형성하여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배출구멍을 형성하며, 탄성 스프링의 하단을 받침대의 고정홈에 설치하고 탄성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돌기가 막고 있던 배출구멍을 개방하면서 분사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사장치를 갖는 앵커 및 네일링을 천공홀에 삽입하는 앵커 및 네일링 삽입단계(S2)와; 1차 주입호스를 통해 주름관 내부에 주입된 그라우트를 2차 주입호스를 통해 분사 몸체의 배출구멍 쪽으로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그라우트 주입단계(S3)와; 2차 주입호스에 배출된 그라우트가 배출구멍을 막고 있는 개폐구에 분사되어 개폐구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는 개폐구 개방단계(S4)와; 개방된 배출구멍을 통해 유입된 그라우트는 분사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천공홀 내부 전체에 그라우트가 충진 완료되는 그라우트 완료단계(S5)와; 그라우트가 완료되면,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폐구가 상승하면서 개방된 배출구멍을 막아 밀폐시키는 개폐구 밀폐단계(S6)와; 주름관 및 천공홀에 주입된 그라우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천공홀의 입구에 가시설 또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양생 및 구조물 설치단계(S7)와; 천공홀(5)의 외부로 배출된 인장재에 별도의 인장기를 설치하여 인장을 실시하여 정착하고 두부를 마감 처리하는 인장 및 마감단계(S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The fuser unit is increased to improve adhesion and grouting Ground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부에 주름관이 설치되고 밀봉된 상태에서 1차 주입호스를 통하여 그라우트가 주름관 내부 선단부터 충진되면서 에어(air)를 밀어내며 상부까지 밀실하게 완충된 후, 2차 주입호스에서 분사장치를 통하여 천공홀로 압력분사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슬라임 배출이 용이하고, 절리면에 그라우트가 침투하여 밀실한 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앵커 및 네일링 내부와 천공홀 내의 정착부에 대한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인장형 타입 앵커의 장점은 그라우트 강도가 낮더라도(약 180kg/㎠ 이상) 앵커력을 확보하는데 큰 문제가 없으나, 정착장을 유지하기 위해 인장재(강봉, 강선, 강연선 등)의 최소길이가 필요하므로 소요 정착장보다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압축형 타입 앵커는 전장에 걸쳐 압축응력만 발생하므로 인장균열 발생이 작고, 정착장의 길이가 인장재(강봉, 강선, 강연선 등)의 부착강도와 상관이 없으므로 소요 정착장을 만족하는 길이만 사용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그라우트 품질관리가 철저해야 하며(약 240kg/㎠ 이상) 그라우트 강도가 낮을 경우나 압축형 정착체가 천공홀 바닥에 위치하여 편심으로 인한 순간적 압축파괴가 발생하여 앵커력이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착체를 구성하는 주름관과 내부의 인장재를 일체화시켜, 앵커체와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켜 인장재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정착체와 그라우트의 부착력과 단부의 압축력이 동시에 작용하도록 만들었으며, 천공홀에 가라앉아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정착체 외경이 크므로 주변마찰력으로 충분하게 앵커력을 확보할 수 있다.
외국의 사례는 지상에서 프리그라우트를 실시하여 정착장을 확보하고 시공하는게 통상적이지만 본 기술은 천공홀 내에서 정착체와 그라우트 구근을 동시에 만들어 공사비와 공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로건설, 주택단지 조성, 수로 및 제방공사 등의 각종 토목공사의 시행과정에는 절토 작업을 수반하게 되는데, 절토 작업을 통해 형성된 절개지는 그 자체적인 지지력이 취약하고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절개지에는 지반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앵커 및 네일링을 하게 되는데, 앵커 및 네일링은 전단파괴가 우려되는 지반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 지반의 유해한 변형을 극소화하는 장점이 있어 시공하는 사례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시공되고 있는 앵커 및 네일링은 지반 앵커(Ground anchor)는 장착하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암반 앵커(Rock anchor)와 토사 앵커(Soil anchor) 쏘일 네일링(Soil Nailing) 등으로 분류되며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타이백(Tieback) 또는 타이다운(Tiedown) 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앵커 및 네일링은 주입되는 그라우트 압력에 따라 저압형 앵커와 고압형 앵커로 분류된다. 또 그라우트체에 긴장력이 가해지는 방식에 따라 인장형 또는 압축형으로 분류되며 종래는 인장형 타입이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인장형 타입은 긴장 장착시 진행성 파괴에 의해 인발 저항력이 앵커 및 네일링 길이에 비례하지 않고 상당히 감소되는 단점을 갖고 있으며, 지반 구속압이 적은 토사지반 긴장 정착시 그라우트체가 인발 되거나 파괴되는 약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앵커 및 네일링 시공시 시공상의 불확실성과 작업자의 숙련에 따라 획일성이 없고, 지하에 매설되는 앵커 및 네일링의 방수능력이 떨어져 그 기능상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근자에 많이 사용하는 압축형 타입은 인장형 타입에 비하여 부식 방지등 성능이 우수하여 영구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압축형 타입의 단점으로는 그라우트 품질 불량시 인발 저항력이 저하되고 토사지반에 설치시 슬라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시공하면 그라우트에 대한 불량이 생길 우려가 많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0729667호인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단에는 인장앵커(A)를 형성시키고 상단에는 압축앵커(B)를 형성시켜 인장앵커(A)와 압축앵커(B)의 중앙부를 일체로 결합하여 하나의 앵커로 구성함하여 복합형 앵커(C)로 된 것이다.
상기 인장앵커(A) 부분과 압축앵커(B) 부분이 일체화되는 구성 중심부에는 분할받침(50)에 의한 것으로, 분할받침(50)의 구조는 상광하협상의 테이퍼 형상의 분할구멍(51)을 복수 개로 대향되게 형성하며 분할구멍(51)의 선단에는 암나사(52)를 만들어 인장앵커(A)의 기능을 한다.
상기와 동일한 분할받침(50)에 있어 상광하협상의 테이퍼 형상의 분할구멍(51)의 사이 공간면에 상협하광의 테이퍼로 된 분할구멍(51a)을 복수 개로 대향되게 하고 하단 입구부에 암나사(52a)를 만들어 압축앵커(B)의 기능으로 사용되게 하였다. 이의 분할받침(50) 상단에 단턱(53)을 만들고 외둘레에 숫나사(54)를 만들어 인장과 압축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복합형 앵커(C)에 있어 인장앵커(A)로 구성되는 부분은 하부의 앵커 헤드캡(1)과 중간부의 분할받침(50) 까지가 인장 기능을 한다.
그리고 중간부의 분할받침(50)에서 상단부의 정착구(44)를 지난 끝의 강선(20a)까지가 압축앵커(B)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복합형 앵커는 압축앵커(B) 부분에 토출된 그라우트 공급 호오스(30)를 통해 그라우트가 주입되면 주입되는 그라우트가 계속 그라우트 공급호오스(30)를 타고 아래로 주입되다가 하단부분이 앵커 헤드캡(1)의 관통로(11)의 끝단에 도달하면 그라우트 분사공(10)을 통해 앵커 헤드캡(1)의 외부로 배출되어 앵커 헤드캡(1)을 매몰시킨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앵커 헤드캡(1)이 외부에서 매몰됨과 동시에 그라우트 호오스 결합용 안내관(12)측 상측에 뚫린 그라우트 공급호오스(30)의 그라우트 분사구멍(31)으로도 그라우트가 분사되어 주름관(80)의 내부 공간부(81)에도 그라우트가 충전된다.
이와 같이 충전되는 그라우트가 분할받침(50)을 지나 압축앵커(B)를 구성하고 있는 곳까지 올라오게 되면 그라우트가 강관(70)의 구멍(72)을 통해 강관(70) 내부로 유입되어 충진되면 강관(70) 내부에 충진되어지다 강관(70) 내부에 다소의 압력이 가해게되면 내부 호오스(32)를 통해 외부로 압이 유출되며 내부 공간에서 안정적인 충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선등록 특허는 헤드캡에 형성된 그라우트 호오스 결합용 안내관에 개폐 밸브가 없어 천공홀 내의 지하수가 주름관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정착장 내의 그라우트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729667호(2007.06.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부에 주름관이 설치되고 밀봉된 상태에서 1차 주입호스를 통하여 그라우트가 주름관 내부 선단부터 충진되면서 에어(air)를 밀어내며 상부까지 밀실하게 완충된 후, 2차 주입호스에서 분사장치를 통하여 천공홀로 압력분사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슬라임 배출이 용이하고, 절리면에 그라우트가 침투하여 밀실한 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앵커 및 네일링 내부와 천공홀 내의 정착부에 대한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이 증대되는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공 장비를 이용하여 사면이나 지반에 일정 길이를 갖는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S1)와; 선단이 밀봉된 주름관을 관통하여 주름관의 하측에 위치하고 그 후단은 천공홀의 외부에 노출되는 1차 주입호스와, 선단이 밀봉된 헤드캡을 통과하여 분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주름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2차 주입호스와, 헤드캡에 연결 설치되며 2차 주입호스에서 배출되는 그라우트를 분사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분사 몸체의 걸림턱을 하측으로 길게 형성하여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배출구멍을 형성하며, 탄성 스프링의 하단을 받침대의 고정홈에 설치하고 탄성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돌기가 막고 있던 배출구멍을 개방하면서 분사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사장치를 갖는 앵커 및 네일링을 천공홀에 삽입하는 앵커 및 네일링 삽입단계(S2)와; 1차 주입호스를 통해 주름관 내부에 주입된 그라우트를 2차 주입호스를 통해 분사 몸체의 배출구멍 쪽으로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그라우트 주입단계(S3)와; 2차 주입호스에 배출된 그라우트가 배출구멍을 막고 있는 개폐구에 분사되어 개폐구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는 개폐구 개방단계(S4)와; 개방된 배출구멍을 통해 유입된 그라우트는 분사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천공홀 내부 전체에 그라우트가 충진 완료되는 그라우트 완료단계(S5)와; 그라우트가 완료되면,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폐구가 상승하면서 개방된 배출구멍을 막아 밀폐시키는 개폐구 밀폐단계(S6)와; 주름관 및 천공홀에 주입된 그라우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천공홀의 입구에 가시설 또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양생 및 구조물 설치단계(S7)와; 천공홀(5)의 외부로 배출된 인장재에 별도의 인장기를 설치하여 인장을 실시하여 정착하고 두부를 마감 처리하는 인장 및 마감단계(S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차 주입호스를 통하여 앵커 및 네일링의 내부에 그라우트를 충진한 후, 연속적으로 2차 주입호스를 통하여 천공홀 전체에 그라우트가 충진되므로 앵커 및 네일링 내부 와 천공홀 내의 정착부에 대한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 주입호스를 통하여 그라우트를 주입시 분사 몸체의 배출구멍을 막고 있는 개폐구가 개방되면서 압력분사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슬라임 배출이 용이하고, 절리면에 그라우트가 침투하여 밀실한 주입이 이루어지며, 주입 완료한 후 원위치로 돌아가 배출구멍을 막아 앵커 및 네일링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4~5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
도 6~7은 본 발명의 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9는 본 발명의 네일링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4 이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분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8~9는 본 발명의 네일링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은 천공 단계(S1)와, 앵커 및 네일링 삽입단계(S2)와, 그라우트 주입단계(S3), 개폐구 개방단계(S4), 그라우트 완료단계(S5), 개폐구 밀폐단계(S6), 양생 및 구조물 설치단계(S7), 인장 및 마감단계(S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천공 단계(S1)는,
천공 장비를 이용하여 사면이나 지반에 일정 길이를 갖는 천공홀(6)을 형성한다.
상기 앵커 및 네일링 삽입단계(S2)는,
첨부된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재(2)에 일정 간격으로 간격재(3)를 설치하고 조임 밴드(4)로 결속한다. 그리고 인장재(2)의 선단에 엔드캡(7)을 설치하고 엔드캡(7)의 상면에 주름관(5)을 설치한다.
상기 주름관(5)은 정착부 구간에만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인장재(2)에 일정 간격으로 간격재(3)를 갖는 앵커 및 네일링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지된 상태에서 주름관(5)의 상단 내부에 밀봉재(8)인 에폭시나 우레탄을 채워 완전히 밀봉한다. 또한, 밀봉재(8)는 고무 패킹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차 주입 호스(120)는 그 선단이 주름관(5)의 상단을 통과하여 주름관(5)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게 하고, 후단은 천공홀(6)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2차 주입호스(125)는 그 선단이 엔드캡(7)을 통과하여 분사 몸체(130)의 통로(137)에 위치하게 되고, 후단은 주름관(5)의 내부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엔드캡(7)의 내부에는 밀봉재(8)인 에폭시나 우레탄을 채워 완전히 밀봉 처리하고 2차 주입 호스(120)가 밀봉재(8)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엔드캡(7)의 선단에는 분사장치(180)를 체결하고, 분사장치(180)의 분사 몸체(130)에 2차 주입호스(125)를 고정 설치한다.
상기 분사장치(180)는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사 몸체(130)와 받침대(140)와, 개폐부(150)와, 고정볼트(160) 및 고정너트(170)로 구성한다.
상기 분사 몸체(130)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내부 통로(137)를 가지며, 외면에 외부로 돌출된 다수 개의 보강 돌기(131)를 형성하고, 하측 외면에 원형 구멍인 분사공(132)을 서로 대칭되게 형성한다.
상기 분사 몸체(130)의 내부 중간 부분에 원형의 배출구멍(133)을 갖는 걸림턱(134)을 형성하고, 분사 몸체(130)의 내부의 상단과 하단에 나사산(135)(136)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대(140)는 분사 몸체(130)보다 지름이 넓은 받침판(141)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상향 돌출되면서 상면 중앙에 고정홈(142)을 갖는 결합 돌기(144)를 형성하며, 결합 돌기(144)의 외면에 나사산(143)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 돌기(144)의 나사산(143)을 분사 몸체(130)의 하단 나사산(136)에 나사 결합하여 분사 몸체(130)의 통로(137)를 밀폐한다.
상기 개폐부(150)는 탄성 스프링(151)과, 탄성 스프링(151)의 상단에 체결되는 개폐 돌기(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 돌기(153)는 상면이 라운드 처리되고 하측 면에 외부로 돌출된 체결 돌기(152)를 갖는다.
상기 체결 돌기(152)의 외면에 탄성 스프링(151)이 체결된 상태에서 개폐 돌기(153)의 상면을 배출구멍(133)에 밀착시키고 탄성 스프링(151)의 하단을 받침대(140)의 고정홈(142)에 고정 설치한다.
즉, 체결 돌기(152)가 탄성 스프링(151)의 탄성에 의해 배출구멍(133)을 막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볼트(160)는 외면에 나사산(163)이 형성된 결합돌기(164)의 상단에 턱(162)을 형성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삽입공(16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볼트(160)를 엔드캡(7)의 내부에 삽입하여 턱(162)을 고정한 후 외부로 배출된 결합돌기(164)에 고정너트(170)를 체결한 후에 분사 몸체(130)의 상단 나사산(135)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볼트(160)와 고정너트(170)를 이용하여 분사 몸체(130)와 엔드캡(7)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분사 장치(180)와 1차 주입호스(120) 및 2차 주입호스(125)가 설치된 앵커(100)를 사면이나 지반에 일정 길이를 갖는 천공홀(6) 내부로 삽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일링은 주름관(5)을 천공홀(6)의 내부 전체 면에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 상단에 밀봉재(8)인 에폭시나 우레탄을 채워 밀봉 처리한다.
그리고 주름관(5)의 선단에 엔드캡(7)의 설치하고, 엔드캡(7)의 선단에 분사장치(180)를 체결한다. 상기 주름관(5)의 내부에는 1, 2차 주입호스(120)(125)를 체결한다.
이때 피복되지 않은 상태의 강연선(2)이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그립(191)을 고정 설치한 강연선(2)이 주름관(5)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강연선(2)에 고정 설치된 그립(191)은 그라우트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형철근, 강봉 등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이형철근, 강봉 등은 주름관(5) 내부에 설치되므로 별도의 방식, 방청에 대한 처리 없이 영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강연선(2)과 이형철근, 강봉(2')은 1,2차 주입호스(120)(125)에 밴딩 처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그라우트 주입단계(S3)는,
첨부된 도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공홀(6)의 외부로 노출된 1차 주입호스(120)에 그라우트를 주입하면, 1차 주입호스(120)를 통하여 그라우트가 주름관(5)의 내부 정착장 하부부터 충진되면서 에어(air)를 밀어내며 상부까지 밀실하게 채워진다.
상기 그라우트(9)가 주름관(5)의 상부까지 채우진 후에 2차 주입호스(125)의 내부로 그라우트(9)가 유입되고 하측으로 이동하다가 개폐구(150)의 개폐 돌기(153) 상면 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개폐구 개방단계(S4)는,
2차 주입호스(125)로 배출된 그라우트(9)가 첨부된 도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출구멍(133)을 밀폐하고 있는 개폐 돌기(150)의 상면에 분사되면, 탄성 스프링(151)의 탄성에 의해 개폐 돌기(150)를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배출구멍(133)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천공홀(6)로 압력분사주입이 이루어지므로 슬라임 배출이 용이하고, 절리면에 그라우트(9)가 침투하여 밀실한 주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그라우트 완료단계(S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배출구멍(133)을 통해 유입되는 그라우트(9)는 분사 몸체(130)의 외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분사공(132)을 통해 천공홀(7) 내부 전체에 그라우트(9)가 채워진다.
상기 개폐구 밀폐단계(S6)는,
그라우트(9) 주입이 완료되면 개폐 돌기(150)가 탄성 스프링(151)의 탄성에 의해 개방된 배출구멍(133)에 삽입되어 배출구멍(133)을 밀폐하게 된다.
이때, 천공홀(7) 내부의 지하수 등이 분사 장치(18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라우트(9)는 배출구멍(133)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분사 몸체(130) 외부로 배출되어 그라우트(9)가 천공홀(7)의 내부에 고르게 주입되어 부착력이 증대 된다.
상기 양생 및 구조물 설치단계(S7)는,
주름관(5) 내부 및 천공홀(5) 내부에 주입된 그라우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천공홀(5)의 입구에 가시설 또는 구조물을 설치한다.
상기 인장 및 마감단계(S8)는,
천공홀(5)의 입구에 가시설 또는 구조물을 설치한 후에 인장재(2)에 별도의 인장기를 설치하고 인장한 후 정착한다. 인장을 완료한 후에 천공홀(5)의 두부를 마감 처리한다.
120:1차 주입호스 125:2차 주입호스
130:분사 몸체 132:배출공
133:배출구멍 134:걸림턱
140:받침대 141:받침판
142:고정홈 143:나사산
144:결합 돌기 146:받침돌기
150:개폐구 151:탄성 스프링
152:체결 돌기 153:개폐 돌기
160:고정볼트 170:고정너트
180:분사장치

Claims (1)

  1. 천공 장비를 이용하여 사면이나 지반에 일정 길이를 갖는 천공홀을 형성하는 천공단계(S1)와;
    선단이 밀봉된 주름관을 관통하여 주름관의 하측에 위치하고 그 후단은 천공홀의 외부에 노출되는 1차 주입호스와, 선단이 밀봉된 헤드캡을 통과하여 분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단이 주름관의 내부에 위치하는 2차 주입호스와, 헤드캡에 연결 설치되며 2차 주입호스에서 배출되는 그라우트를 분사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분사 몸체의 걸림턱을 하측으로 길게 형성하여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단에 배출구멍을 형성하며, 탄성 스프링의 하단을 받침대의 고정홈에 설치하고 탄성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돌기가 막고 있던 배출구멍을 개방하면서 분사 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사장치를 갖는 앵커 및 네일링을 천공홀에 삽입하는 앵커 및 네일링 삽입단계(S2)와;
    1차 주입호스를 통해 주름관 내부에 주입된 그라우트를 2차 주입호스를 통해 분사 몸체의 배출구멍 쪽으로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그라우트 주입단계(S3)와;
    2차 주입호스에 배출된 그라우트가 배출구멍을 막고 있는 개폐구에 분사되어 개폐구가 탄성 스프링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개방되는 개폐구 개방단계(S4)와;
    개방된 배출구멍을 통해 유입된 그라우트는 분사 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천공홀 내부 전체에 그라우트가 충진 완료되는 그라우트 완료단계(S5)와;
    그라우트가 완료되면,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폐구가 상승하면서 개방된 배출구멍을 막아 밀폐시키는 개폐구 밀폐단계(S6)와;
    주름관 및 천공홀에 주입된 그라우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천공홀의 입구에 가시설 또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양생 및 구조물 설치단계(S7)와;
    천공홀(5)의 외부로 배출된 인장재에 별도의 인장기를 설치하여 인장을 실시하여 정착하고 두부를 마감 처리하는 인장 및 마감단계(S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KR1020160138166A 2016-10-24 2016-10-24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KR10176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66A KR101760721B1 (ko) 2016-10-24 2016-10-24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66A KR101760721B1 (ko) 2016-10-24 2016-10-24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721B1 true KR101760721B1 (ko) 2017-07-24

Family

ID=5942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166A KR101760721B1 (ko) 2016-10-24 2016-10-24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7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52B1 (ko) * 2010-11-02 2011-07-29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Pc강연선을 이용한 쏘일네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1656249B1 (ko) * 2015-09-16 2016-09-09 김동세 개폐식 3중관 그라우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852B1 (ko) * 2010-11-02 2011-07-29 주식회사 아이콘텍이앤씨 Pc강연선을 이용한 쏘일네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1656249B1 (ko) * 2015-09-16 2016-09-09 김동세 개폐식 3중관 그라우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179B1 (ko) 밀폐 주입식 그라운드 앵커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US5775849A (en) Coupler for ducts used in post-tension rock anchorage systems
KR101070072B1 (ko) 이중 팩커를 이용한 강관 다단 동시그라우팅 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MX2011009483A (es) Perno de friccion.
KR101353882B1 (ko) 근접 병설 터널의 필라부 선보강 및 굴착 시공 방법
KR20180103776A (ko) 강관과 철근을 이용한 사면 보강구조 및, 그 방법
KR100729667B1 (ko) 인장 및 압축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형 앵커
JP2024505110A (ja) 大変形、定抵抗及び支持機能を有するグラウト注入用アンカーケーブル
KR101052852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쏘일네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KR101633505B1 (ko) 지보재
KR100638645B1 (ko) 다단 그라우팅용 락 앵커
KR101760721B1 (ko) 정착부 부착력 증대와 그라우트가 개선된 지반보강공법
KR100908085B1 (ko) 지반밀착형 압력식 쏘일 네일 구조 및 이에 의한 지반보강공법
KR101639702B1 (ko) 락볼트
KR102269636B1 (ko) 지반 보강용 네일링 조립체
US20230094882A1 (en) Basalt fiber anchoring system with accurate sectioned grouting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102522769B1 (ko) 터널 및 지반보강용 고강도 gfrp 중공바의 정착 시공방법 및 그 시공장치
KR101169222B1 (ko) 볼록 지압 너트와 오목홈을 갖는 판넬의 결합구조
US20180291582A1 (en) Anchor having fixing device at side of pressure plate to depress land slop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0944199B1 (ko) 다철근 네일을 병용한 피씨 앵커체 구조
KR100776620B1 (ko) 바타입 앵커
KR100823603B1 (ko) 영구앵커체
KR101974397B1 (ko) 파형관 보강 앵커 구조
KR102028393B1 (ko) 파형관 보강 앵커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