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519Y1 -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 Google Patents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19Y1
KR200415519Y1 KR2020060005216U KR20060005216U KR200415519Y1 KR 200415519 Y1 KR200415519 Y1 KR 200415519Y1 KR 2020060005216 U KR2020060005216 U KR 2020060005216U KR 20060005216 U KR20060005216 U KR 20060005216U KR 200415519 Y1 KR200415519 Y1 KR 200415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sheet
layers
composite
rein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국
Original Assignee
(주)내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내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내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05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combinations of materials fully covered by groups E04C2/04 and E04C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형강판을 두 겹으로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작용을 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대해서 파형강판이 인장에 저항하고,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저항하여 구조물의 경간을 증대시키도록 한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은 한 겹으로 이루어진 파형강판이 서로 대향되면서 가운데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배치하고, 상기 일측의 파형강판과 타측의 파형강판간을 고장력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며, 상기 두 겹으로 체결된 파형강판내의 공간에 소정의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재를 삽입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두 겹,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Description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composit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파형강판을 두 겹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형강판 12: 공간
20: 고장력볼트 22: 너트
30: 충전재
S: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본 고안은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널이나 지중 라멘 교량 등의 공사에 사용되는 파형강판을 두 겹으로 보강하여 단면 강성을 증대시킨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 구조물은 두께 2.7∼7㎜의 강판을 150 ㅧ 50㎜의 크기를 가지는 파형으로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이 파형강판을 단순히 볼트로 체결하여 만든 구조물이다.
이 파형강판 구조물은 구조 자체가 연성구조물로서 부등침하 등에 유연하게 대응이 가능하여 기존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하는 호환성이 있으므로 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지하통로, 용수 또는 배수용 암거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하천을 횡단하는 소교량이나 골재 사이로, 수조 및 건축용 건자재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파형강판 구조물은 파형강판을 조립하여 완성하는 구조물이므로, 각각의 파형강판의 조합에 따라 그 구조물의 크기 및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파형강판 구조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겹의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이므로 경간이 커지게 되면, 이에 따라 휨모멘트 및 압축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압축력과 휨모멘트를 동시에 견딜 수 있는 단면성능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파형강판 구조물은 파형강판의 두께의 제한과 파형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단면성능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형강판을 두 겹으로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작용을 함으로써 어떠한 경우에도 발생하는 휨모멘트에 대해서 파형강판이 인장에 저항하고, 압축력은 콘크리트가 저항하여 구조물의 경간을 증대시키도록 한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은 한 겹으로 이루어진 파형강판이 서로 대향되면서 가운데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배치하고, 상기 일측의 파형강판과 타측의 파형강판간을 고장력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며, 상기 두 겹으로 체결된 파형강판내의 공간에 소정의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재를 삽입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파형강판을 두 겹으로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S)은 한 겹으로 이루어진 파형강판(10)이 서로 대향되면서 가운데에 일정한 공간(12)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배치하고, 상기 일측의 파형강판(10)과 타측의 파형강판(10)간을 고장력볼트(20)와 너트(22)로 체결하며, 상기 두 겹으로 체결된 파형강판(10)내의 공간(12)에 소정의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재(30)를 삽입하여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30)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소일시멘트, 발포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파형강판 구조물(S)은 파형강판(10) 고유의 단면성능 이상의 단면성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파형강판(10)을 두 겹으로 배치하고, 상기 두 겹으로 배치된 파형강판(10)내를 충전재(30)의 일종인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함으로써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이므로 파형강판(10)에서 필요한 단면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파형강판 구조물(S)은 콘크리트와 파형강판(10)이 합성된 파형강판 구조물(S)의 단면에 휨모멘트가 작용할 경우, 압축력은 모두 콘크리트가 작용하고, 인장력은 파형강판(10)에 작용하여 두 재료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제조방법은 한 겹으로 이루어진 파형강판(10)이 서로 대향되면서 가운데에 일정한 공간(12)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배치하고, 상기 일측의 파형강판(10)과 타측의 파형강판(10)간을 고장력볼트(20)와 너트(22)로 체결하여 전체적으로 반원호형 또는 아치형 단면형상 을 갖는 파형강판(10)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파형강판(10) 구조물의 내측 공간(12)에 소정의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재(30)를 충전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30)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소일시멘트, 발포우레탄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제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겹으로 파형강판(10)을 배치하고, 상기 파형강판(10)을 부식방지를 위해 아연도금된 고장력볼트(20) 및 너트(22)로 연결하며, 두 겹으로 배치된 파형강판(10)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S)을 제조함으로써, 강성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하중에 대한 저항은 폐합된 파형강판(10)내의 사다리꼴단면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와 파형강판(10)의 합성작용을 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휨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력은 파형강판(10)이 받도록 하여 장경간 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충전재(30)로 본 고안에서는 일반적인 콘크리트만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모르타르나, 소일시멘트 및 발포우레탄 수지 등을 현장여건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어떠한 한가지 재료에 대해서 본 고안을 국한하는 게 아님을 밝혀두며, 널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은 두 겹으로 보강된 파형강판과 콘크리트로 구성 및 제조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단축이 가능하며, 강성이 커서 장경간 지중구조물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한 겹으로 이루어진 파형강판(10)이 서로 대향되면서 가운데에 일정한 공간(12)이 형성되도록 두 겹으로 배치하고, 상기 일측의 파형강판(10)과 타측의 파형강판(10)간을 고장력볼트(20)와 너트(22)로 체결하며, 상기 두 겹으로 체결된 파형강판(10)내의 공간(12)에 소정의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재(30)를 삽입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30)는 콘크리트, 모르타르, 소일시멘트, 발포우레탄 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KR2020060005216U 2006-02-24 2006-02-24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KR200415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16U KR200415519Y1 (ko) 2006-02-24 2006-02-24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16U KR200415519Y1 (ko) 2006-02-24 2006-02-24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367 Division 2006-02-24 2006-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19Y1 true KR200415519Y1 (ko) 2006-05-03

Family

ID=4176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216U KR200415519Y1 (ko) 2006-02-24 2006-02-24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5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06B1 (ko) 2012-11-27 2013-05-14 (주) 렉스틸 보강 구조를 가진 파형강판 구조물 및 설치방법
KR200467854Y1 (ko) * 2013-03-25 2013-07-10 (주) 렉스틸 강합성 엠보싱 파형강판
KR20210047111A (ko) * 2019-10-21 2021-04-29 박기남 중공단열패널 및 이에 개재되는 에어포켓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106B1 (ko) 2012-11-27 2013-05-14 (주) 렉스틸 보강 구조를 가진 파형강판 구조물 및 설치방법
KR200467854Y1 (ko) * 2013-03-25 2013-07-10 (주) 렉스틸 강합성 엠보싱 파형강판
KR20210047111A (ko) * 2019-10-21 2021-04-29 박기남 중공단열패널 및 이에 개재되는 에어포켓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KR102321756B1 (ko) * 2019-10-21 2021-11-04 박기남 중공단열패널 및 이에 개재되는 에어포켓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749B1 (ko)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JP4675826B2 (ja) 橋梁ジョイント部の連続化構造
CN100458102C (zh) 钢板-混凝土组合衬砌
KR20070088341A (ko) 두 겹으로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형파형강판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15519Y1 (ko) 두 겹으로 보강된 합성형 파형강판 구조물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KR101415522B1 (ko) 신축 이음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장 슬래브가 연장된 교량
KR100763029B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보
CN108547316B (zh) 用于地下综合管廊的双层波纹钢结构
JP4709786B2 (ja) 合成セグメント
JP2010265623A (ja) 鋼床版の補強構造
JP2001280089A (ja) 高強度埋設型枠のコンクリート打設時の補強方法、及びトンネル壁の補修工法
KR102174574B1 (ko)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0728743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 교량
JP4663800B2 (ja) 煉瓦壁の補強方法
KR101213680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터널구조체
JP2698959B2 (ja) 地中連続壁の剛結継手
KR100768257B1 (ko) 곡면패널 라이닝
KR100798219B1 (ko) 하수관 이음부 보수 보강 공법
KR20040108255A (ko) 콘크리트 충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말뚝을 이용한 무조인트일체식 교대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3789412B2 (ja) 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用の埋設継手及び道路橋の埋設型ジョイント
JP3906414B2 (ja) 大変形追従性能を有するセメント複合構造体
KR200415325Y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 교량
KR20150018366A (ko) 콘크리트 플랜지와 강재 웨브 접합형 거더 시공방법
JP2002371795A (ja) 本体構造物の改修構造及び本体構造物の改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