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531A -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531A
KR20190142531A KR1020180069556A KR20180069556A KR20190142531A KR 20190142531 A KR20190142531 A KR 20190142531A KR 1020180069556 A KR1020180069556 A KR 1020180069556A KR 20180069556 A KR20180069556 A KR 20180069556A KR 20190142531 A KR20190142531 A KR 20190142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lamp
cam shaft
die holder
cl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732B1 (ko
Inventor
김대근
윤기철
Original Assignee
김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근 filed Critical 김대근
Priority to KR102018006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7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8Loading or unload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이 얹혀 고정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다이홀더에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금형의 둘레측 부위를 파지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를 회전 동작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의 구동에 의한 클램프의 회전 동작시 상기 동작부에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금형의 위치 결정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더욱 신속한 금형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의 안내 및 클램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 for Quick die change}
본 발명은 신속 교환 금형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신속한 금형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의 안내 및 클램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가공은 금속판을 서로 대향되는 상하 혹은, 양측에 배치된 암, 수의 두 금형 사이에 위치시킨 후 어느 한 금형의 동작을 통해 상기 금속판을 소성 변형시켜 원하는 형상의 제품으로 만드는 가공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상기한 프레스 가공의 자동화 및 고속화를 위해 신속 교환 금형 기술(QDC:Quick Die Change System)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속한 금형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신속 교환 금형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09-0008662호, 등록특허 제10-1752907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신속 교환 금형에서는 신속한 자동 클램핑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통상 유압을 이용한 자동 클램핑 장치가 주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의 경우 금형을 다이의 상면 중 정위치에 정확히 놓인 상태에서 클램핑되어야 함에 따라 상기 금형을 정위치에 놓이도록 배치하는 장치와 이렇게 정위치에 놓인 금형을 클램핑하는 장치가 서로 구분되어 제공되며, 이로써 그 동작이 연속적이지 못함에 따라 신속한 금형 교체가 이루어질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속 교환 금형의 클램핑 장치는 유압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계속적인 유압의 제공이 이루어져야만 할 뿐 아니라, 이러한 유압의 사용을 위한 유압 시스템의 추가 구축 등과 같은 부가적인 대형 장비의 제공이 요구되었던 단점이 있다.
특히, 유압을 이용하는 실린더로 클램핑하는 장치의 경우 그 클램핑 방향을 향해 실린더가 배치되어야 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가 다이홀더를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밖에 없었고, 이로써 기기의 상하 높이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9-0008662호 등록특허 제10-1752907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신속한 금형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의 안내 및 클램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에 따르면 금형이 얹혀 고정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다이홀더에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금형의 둘레측 부위를 파지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를 회전 동작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의 구동에 의한 클램프의 회전 동작시 상기 동작부에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금형의 위치 결정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는 일측 끝단은 상기 다이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은 상기 다이홀더에 얹힌 금형을 파지하는 파지단과, 상기 파지단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상기 다이홀더 내부로 수용되게 설치되어 가압력 혹은, 복원력을 제공받는 동작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부는 상기 클램프를 이루는 동작단의 전방에서 상기 동작단을 밀어 클램프를 회전시키는 푸시블럭과, 상기 클램프를 이루는 동작단의 후방에서 상기 동작단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복원부재와, 둘레면에 상기 푸시블럭에 연결되는 편심캠이 형성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캠축과, 상기 회전캠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캠축은 링크부재에 의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결정핀의 하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스플라인홈이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축의 둘레면에는 상기 위치결정핀의 스플라인홈이 맞물리는 스플라인돌기가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캠축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핀이 승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금형의 정위치 이동과 클램핑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신속한 금형 교체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모터(회전모터)와 스프링(복원부재)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클램핑의 유지를 위한 유압 제공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없어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회전모터와 클램프를 다이홀더에 내장시키는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노출 구조의 최소화에 의한 클램핑 장치의 손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프레스 금형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를 하형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중 어느 한 클램프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중 클램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중 클램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중 푸시블럭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중 회전캠축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중 위치결정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의 동작에 의한 금형 클램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각각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금형기기를 이루는 상형 및 하형 모두에 제공되면서 해당 상형 및 하형의 다이홀더(10,20)에 장착되는 상부금형(1) 및 하부금형(2)을 각각 클램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단순히 상형 및 하형과 같이 설치 위치에 따른 차이만 있을 뿐 그 구조는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시에는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가 하형에 설치되는 구성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함과 더불어 방향 역시 하형에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프레스 금형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를 하형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크게 클램프(100)와, 동작부(200) 및 위치결정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클램프(100) 및 위치결정핀(300)은 상기 동작부(200)의 구동에 의해 동시에 동작되면서 금형(하부금형)(2)의 위치 결정 및 클램핑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클램프(100)는 금형(2)의 클램핑을 위해 제공되는 부위로써, 다이홀더(20)에 설치되면서 상기 금형(2)의 둘레측 부위를 파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이홀더(20)는 금형(2)이 얹혀 고정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부위이며, 상기 클램프(100)는 상기 다이홀더(2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100)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단(110)과 동작단(120)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이 파지단(110)과 동작단(120) 간의 연결 부위에 힌지핀(130)이 설치되면서 상기 다이홀더(20)에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파지단(110)은 일측 끝단이 상기 다이홀더(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은 상기 다이홀더에(20) 얹힌 금형(2)을 파지하도록 이루어진 부위이고, 상기 동작단(120)은 상기 파지단(110)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상기 다이홀더(20) 내부로 수용되게 설치되어 가압력 혹은, 복원력을 제공받는 부위이다.
특히, 상기 파지단(110)의 타측 끝단 저면(금형을 파지하는 면)에는 금형(2)의 파지시 해당 파지단(110)의 모서리에 금형(2)의 표면이 긁히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지돌기(111)가 돌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파지돌기(111)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동작단(120)의 양측면에는 후술될 동작부(200)의 푸시블럭(210)이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홈(121)이 요입 형성(첨부된 도 5 참조)된다.
또한, 상기 다이홀더(20)의 상면에는 상기 클램프(100)의 동작단(120)이 수용되면서 동작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동작홈(21)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동작단(120)의 후면에는 장착홈(122)이 요입 형성(첨부된 도 3 참조)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작부(200)는 상기 클램프(100)를 회전 동작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동작부(200)는 상기 클램프(100)를 이루는 동작단(120)의 전방에서 상기 동작단(120)을 밀어 클램프(100)를 회전시키는 푸시블럭(210)과, 상기 클램프(100)를 이루는 동작단(120)의 후방에서 상기 동작단(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복원부재(220)와, 둘레면에 상기 푸시블럭(210)에 연결되는 편심캠(231)이 형성되면서 다이홀더(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캠축(230)과, 상기 회전캠축(230)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블럭(210)은 상기 동작단(120)의 전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후방측 양단은 상기 동작단(1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21)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첨부된 도 6 참조)되면서 상기 동작단(120)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푸시블럭(210)의 전면(편심캠과 맞닿는 면)에는 상기 회전캠축(230)의 편심캠(231)이 밀착되도록 라운드진 안착홈(2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원부재(220)는 후단이 다이홀더(20)의 동작홈(21) 내벽면에 접촉됨과 더불어 선단은 클램프(100)를 이루는 동작단(120) 후면의 장착홈(122) 내에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동작단(120)의 후방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복원되면서 상기 동작단(120)을 전방으로 밀어 파지단(110)에 의한 금형(2)의 클램핑이 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전캠축(230)은 회전 동작에 의한 편심캠(231)의 회전으로써 상기 푸시블럭(210)을 전진 혹은, 후진시키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240)는 설정된 각도 혹은, 설정된 회전수만큼 모터축(24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비엘디씨모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모터(240)는 상기 회전캠축(230)과 직결되게 설치되면서 회전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상기 회전모터(240)가 다이홀더(2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에 따른 손상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모터(240)가 상기 다이홀더(20)의 내부로 수용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모터(240)와 상기 회전캠축(230)은 링크부재(250)에 의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회전캠축(230)의 끝단 둘레에는 확장플랜지(232)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250)의 일측 끝단은 상기 확장플랜지(232)의 어느 한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은 상기 회전모터(240)의 모터축(241) 둘레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의 경우 상기 링크부재(250)는 상기 확장플랜지(232)와의 연결 부위가 위치되는 지점에 따라 상기 모터축(241)의 둘레를 관통하는 거리가 달라지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탄력부재(251)에 의해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결정핀(300)은 금형(2)이 다이홀더(20)의 상면 중 정위치에 정확히 놓일 수 있게 보조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결정핀(300)은 상기 동작부(200)의 구동에 의한 클램프(100)의 회전 동작시 상기 동작부(200)에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금형(2)에 형성된 위치 결정홀(2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결정핀(300)의 하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스플라인홈(310)이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축(230)의 둘레면에는 상기 위치결정핀(300)의 스플라인홈(310)이 맞물리는 스플라인돌기(2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상기 회전캠축(2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이 회전캠축(230)에 맞물린 위치결정핀(300)이 승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캠축(230)은 금형(2)의 폭 방향(도 1을 참조해 볼 때 전후 방향)측 두 모서리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스플라인돌기(233)는 상기 회전캠축(230)의 둘레면 중 복수의 개소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핀(300)은 두 개(혹은,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되면서 상기 회전캠축(230)에 동시에 맞물려 동작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에 의해 금형(2)이 클램핑되는 과정에 대하여 첨부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홀더(20)의 상면에 금형(2)을 로딩시킨다.
이의 경우, 상기 금형(2)은 별도의 로딩 장치에 의해 상기 다이홀더(20)의 상면 중 금형 고정 영역에 얹히도록 로딩된다. 이때, 위치결정핀(300)은 다이홀더(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금형(2)의 로딩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속 교환 금형의 클램핑 장치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로딩된 금형(2)을 클램핑하게 된다.
즉, 클램핑 장치의 동작 제어에 의해 동작부(200)를 이루는 회전모터(240)가 구동되고, 이러한 회전모터(240)의 구동에 의한 동작력은 링크부재(250)를 통해 회전캠축(230)으로 제공되면서 상기 회전캠축(23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며, 계속해서 상기한 회전캠축(230)의 회전 동작에 의한 푸시블럭(210)의 전진 이동(클램프의 동작단을 향한 이동)에 의해 클램프(100)의 기울어짐(첨부된 도 12 및 도 13 참조)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클램프(100)를 이루는 파지단(110)에 의한 금형(2)의 파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클램프(100)에 의한 클램핑 동작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위치결정핀(300)에 의한 금형(2)의 정위치 유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동작부(120)의 동작에 따른 회전캠축(230)의 회전에 의해 이 회전캠축(230)에 스플라인 구조로 맞물려 있던 각 위치결정핀(300)이 상승되어 금형(2)의 위치 결정홀(2a)에 삽입되면서 상기 금형(2)이 정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로써, 상기 금형(2)이 정위치에 놓임과 동시에 클램프(100)에 의한 클램핑이 이루어지면서 해당 다이홀더(20)의 상면에 정확히 안착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금형(2)을 교환하기 위해 다이홀더(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전술된 금형(2)의 장착 과정과는 역순으로 그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즉, 상기 동작부(200)의 동작에 따른 회전캠축(230)의 역 회전에 의해 이 회전캠축(230)에 스플라인 구조로 맞물려 있던 각 위치결정핀(300)가 하강되어 금형(2)의 위치 결정홀(2a)로부터 분리됨과 더불어 상기한 회전캠축(230)의 역회전 동작에 의한 푸시블럭(210)의 후퇴 이동(클램프의 동작단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을 향한 이동)에 의해 클램프(10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복원부재(220)에 의한 복원력으로 클램프(100)에 의한 금형(2)의 파지가 해제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금형(2)의 정위치 이동과 클램핑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신속한 금형(2) 교체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방식이 아닌 모터(회전모터)와 스프링(복원부재)을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클램핑의 유지를 위한 유압 제공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없어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는 회전모터(240)와 클램프(100)를 다이홀더(20)에 내장시키는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노출 구조의 최소화에 의한 클램핑 장치의 손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2. 금형 20. 다이홀더
21. 동작홈 100. 클램프
110. 파지단 111. 파지돌기
120. 동작단 121. 결합홈
130. 힌지핀 200. 동작부
210. 푸시블럭 211. 안착홈
220. 복원부재 230. 회전캠축
231. 편심캠 232. 확장플랜지
233. 스플라인돌기 240. 회전모터
241. 모터축 250. 링크부재
251. 탄력부재 300. 위치결정핀
310. 스플라인홈

Claims (5)

  1. 금형이 얹혀 고정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다이홀더에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금형의 둘레측 부위를 파지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를 회전 동작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작부;
    상기 동작부의 구동에 의한 클램프의 회전 동작시 상기 동작부에 연동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금형의 위치 결정홀에 삽입되는 위치결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일측 끝단은 상기 다이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타측 끝단은 상기 다이홀더에 얹힌 금형을 파지하는 파지단과,
    상기 파지단의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면서 상기 다이홀더 내부로 수용되게 설치되어 가압력 혹은, 복원력을 제공받는 동작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클램프를 이루는 동작단의 전방에서 상기 동작단을 밀어 클램프를 회전시키는 푸시블럭과,
    상기 클램프를 이루는 동작단의 후방에서 상기 동작단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복원부재와,
    둘레면에 상기 푸시블럭에 연결되는 편심캠이 형성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캠축과,
    상기 회전캠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캠축은 링크부재에 의해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위치결정핀의 하측 둘레면에는 복수의 스플라인홈이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캠축의 둘레면에는 상기 위치결정핀의 스플라인홈이 맞물리는 스플라인돌기가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캠축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핀이 승강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KR1020180069556A 2018-06-18 2018-06-18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KR10209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56A KR102093732B1 (ko) 2018-06-18 2018-06-18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556A KR102093732B1 (ko) 2018-06-18 2018-06-18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531A true KR20190142531A (ko) 2019-12-27
KR102093732B1 KR102093732B1 (ko) 2020-05-22

Family

ID=6906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556A KR102093732B1 (ko) 2018-06-18 2018-06-18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7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235B1 (ko) * 1992-09-23 1994-09-09 최평순 프레스 기계용 금형세트
KR200407772Y1 (ko) * 2005-11-21 2006-02-03 이금례 금형 고정용 클램프
KR20090008662A (ko) 2007-07-18 2009-01-22 산양전기주식회사 정밀도를 향상시킨 신속 교환 금형
KR101752907B1 (ko) 2015-11-27 2017-07-03 주식회사 삼미정공 자동 압착기용 급속 금형 교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235B1 (ko) * 1992-09-23 1994-09-09 최평순 프레스 기계용 금형세트
KR200407772Y1 (ko) * 2005-11-21 2006-02-03 이금례 금형 고정용 클램프
KR20090008662A (ko) 2007-07-18 2009-01-22 산양전기주식회사 정밀도를 향상시킨 신속 교환 금형
KR101752907B1 (ko) 2015-11-27 2017-07-03 주식회사 삼미정공 자동 압착기용 급속 금형 교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732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2852B2 (en) Trunnion mountable fixture
CN105983929B (zh) 定位装置
US519732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ending a metal tube of a small diameter
FR2873945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transport d'une piece
KR20190142531A (ko) 신속 교환 금형용 클램핑 장치
KR20050084905A (ko) 툴 교환장치 및 툴
CN205765034U (zh) 一种用于平板电脑壳的夹具
KR101948785B1 (ko) 원 웨지 센터링 유압 척
CN218312110U (zh) 一种用于高精度cnc加工的转台夹具
EP0811463B1 (en) Mobile rest equipment for a workpiece with variable distance support arms for automatic production lines
CN215036934U (zh) 一种led箱体拼装对齐工装
CN111515714B (zh) 工件保持工具
EP1220738A1 (fr) Machine automatique d'assemblage de cadres
KR101566636B1 (ko) 티브이 하부 스탠드 프레임용 벤딩장치
KR101141684B1 (ko) 패널 얼라인 장치
KR101197447B1 (ko) 셋팅성능이 우수한 다단 단조기
KR100464812B1 (ko) 브이홈 가공장치
JP2573759B2 (ja) 基板の位置決め装置
KR200271388Y1 (ko) 브이홈 가공장치
CN217263253U (zh) 一种定位翻转装置
CN108972405A (zh) 定位装置
CN216152241U (zh) 拆解装置
JP7219636B2 (ja) プレート傾転機
CN214980265U (zh) 一种机床加工零件用工装夹具
CN220278964U (zh) 一种锚垫板定位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