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296A -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296A
KR20190136296A KR1020180061819A KR20180061819A KR20190136296A KR 20190136296 A KR20190136296 A KR 20190136296A KR 1020180061819 A KR1020180061819 A KR 1020180061819A KR 20180061819 A KR20180061819 A KR 20180061819A KR 20190136296 A KR20190136296 A KR 20190136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cable
cable tie
vehicle body
bod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007B1 (ko
Inventor
윤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061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00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방향설정결합부를 통해 차체고정부와 케이블타이를 슬라이드 결합시 케이블타이에 구속되는 와이어 하네스와 타부품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차체패널에 형성된 설치홀부에 삽입 고정되는 차체고정부와, 상기 차체고정부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서 구속시키는 케이블타이 및 상기 케이블타이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상기 차체고정부와 상기 케이블타이를 결합하는 방향설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WIRE HARNESS FIXING BAND CABLE}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설정결합부를 통해 차체고정부와 케이블타이를 슬라이드 결합시 케이블타이에 구속되는 와이어 하네스와 타부품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를 비롯한 많은 전장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엔진룸 내에 구비된 센서는 대부분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있어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각종의 밴드 케이블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밴드 케이블은 스트랩부재가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서 고정시킨 후에 차체패널에 고정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를 차체패널에 조립시킨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차체패널에 조립된 상태에서 타부품과의 간섭되거나 와이어 하네스의 설계 변경시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변경시킬 수 없어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의 변경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0525호(2014.05.21 등록, 발명의 명칭: 와이어 하네스 밴드클립)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향설정결합부를 통해 차체고정부와 케이블타이를 슬라이드 결합시 케이블타이에 구속되는 와이어 하네스와 타부품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차체패널에 형성된 설치홀부에 삽입 고정되는 차체고정부와, 상기 차체고정부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서 구속시키는 케이블타이 및 상기 케이블타이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상기 차체고정부와 상기 케이블타이를 결합하는 방향설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설정결합부는 상기 차체고정부에 구비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경로제공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블타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레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레일부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수용시 마찰제공부에 의해 임의적인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마찰제공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 및 상기 제1요철부와 합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구비되는 제2요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방향설정결합부를 통해 차체고정부와 케이블타이를 슬라이드 결합시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W)가 협소한 공간에서 타부품과 간섭되거나 와이어 하네스(W)의 설계 변경시 불필요한 비용과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고정부(10), 케이블타이(20) 및 방향설정결합부(30)를 포함한다.
차체고정부(10)는 차체패널에 형성된 설치홀부(H)에 삽입 고정되고, 케이블타이(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장착부재(11) 및 지지부재(12)를 포함한다.
이때, 장착부재(11)는 차체패널에 형성된 설치홀부(H)에 삽입시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며, 진입 완료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설치홀부(H)에 걸림 지지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2)는 장착부재(11)에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방향설정결합부(30)를 통해 케이블타이(20)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블타이(20)는 차체고정부(10)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W)를 감아서 구속시키는 것으로서, 결합부재(21) 및 스트랩부재(22)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합부재(21)는 방향설정결합부(30)를 통해 차체고정부(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어 하네스(W)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결합부재(21)에는 안착된 와이어 하네스(W)가 스트랩부재(22)에 감싸지도록 스트랩부재(22)의 단부가 통과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부(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트랩부재(2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부가 삽입홀부(22)에 삽입시 와이어 하네스(W)를 감싼다.
이러한 스트랩부재(22)는 삽입홀부(21a)에 삽입시 이탈방지부(23)의해 삽입홀부(21a)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이탈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23)는 스트랩부재(22)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3a) 및 결합돌기(23a)를 걸림 지지하도록 삽입홀부(22)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3b)를 포함한다. 이때, 결합돌기(23a)와 걸림돌기(23b)는 서로 엇갈리게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즉, 스트랩부재(22)에 구비된 결합돌기(23a)는 스트랩부재(22)를 결합부재(21)의 삽입홀부(21a)에 삽입시킬 경우 삽입홀부(21a)에 형성된 걸림돌기(23b)를 거치면서 지나가다가 스트랩부재(22)의 삽입이 완료되면 걸림돌기(23b)에 걸려서 고정된다.
한편, 방향설정결합부(30)는 케이블타이(20)가 와이어 하네스(W)의 배선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차체고정부(10)와 케이블타이(20)를 결합한다.
이러한 방향설정결합부(30)는 경로제공부(31) 및 슬라이드레일부(32)를 포함한다. 경로제공부(31)는 차체고정부(10)의 지지부재(12)에 구비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라이드홈부(31a)가 형성된다. 슬라이드레일부(32)는 슬라이드홈부(31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케이블타이(20)의 결합부재(21)에 구비된다. 즉, 슬라이드레일부(32)는 슬라이드홈부(31a)에서 분리되어 다른 슬라이드홈부(31a)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의 배선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홈부(31a)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와이어 하네스(W)가 협소한 공간에서 타부품과 간섭되거나 와이어 하네스(W)의 설계 변경시 불필요한 비용과 작업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레일부(32)는 슬라이드홈부(31a)에 수용시 마찰제공부(33)에 의해 임의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이러한 마찰제공부(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일부(32)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33a) 및 제1요철부(33a)와 합치되도록 슬라이드홈부(31a)에 구비되는 제2요철부(33b)를 포함한다.
즉, 제1요철부(33a)와 제2요철부(33b)가 합치된 상태에서 제1요철부(33a)가 제2요철부(33b)를 넘어서는 힘 이하의 외력이 슬라이드레일부(32)에 가해질 경우에는 슬라이드레일부(32)가 슬라이드홈부(31a)에서 슬라이드 이동 방지되고, 제1요철부(33a)가 제2요철부(33b)를 넘어서는 힘 이상의 외력이 슬라이드레일부(32)에 가해질 경우에는 슬라이드레일부(32)가 슬라이드홈부(3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고정부 11: 장착부재
12: 지지부재 20: 케이블타이
21: 결합부재 22: 스트랩부재
30: 방향설정결합부 31: 경로제공부
31a: 슬라이드홈부 32: 슬라이드레일부
33: 마찰제공부 33a: 제1요철부
33b: 제2요철부

Claims (4)

  1. 차체패널에 형성된 설치홀부에 삽입 고정되는 차체고정부;
    상기 차체고정부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감아서 구속시키는 케이블타이; 및
    상기 케이블타이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상기 차체고정부와 상기 케이블타이를 결합하는 방향설정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설정결합부는,
    상기 차체고정부에 구비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경로제공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블타이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레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레일부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수용시 마찰제공부에 의해 임의적으로 이동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4. 상기 마찰제공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형성되는 제1요철부; 및
    상기 제1요철부와 합치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구비되는 제2요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20180061819A 2018-05-30 2018-05-30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207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19A KR102077007B1 (ko) 2018-05-30 2018-05-30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19A KR102077007B1 (ko) 2018-05-30 2018-05-30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296A true KR20190136296A (ko) 2019-12-10
KR102077007B1 KR102077007B1 (ko) 2020-02-13

Family

ID=6900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19A KR102077007B1 (ko) 2018-05-30 2018-05-30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0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233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와이어링용 클립장치
KR102408509B1 (ko) * 2021-01-27 2022-06-13 주식회사 경신 회전각도 조절형 밴드케이블
KR20220146751A (ko) * 2021-04-23 2022-11-02 주식회사 경신 설치각도 조절형 고정클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445A (ko) *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밴드 케이블
KR101400525B1 (ko) * 2008-04-15 2014-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밴드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525B1 (ko) * 2008-04-15 2014-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밴드클립
KR20130066445A (ko) *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밴드 케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7233A (ko) * 2020-01-02 2021-07-12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와이어링용 클립장치
KR102408509B1 (ko) * 2021-01-27 2022-06-13 주식회사 경신 회전각도 조절형 밴드케이블
KR20220146751A (ko) * 2021-04-23 2022-11-02 주식회사 경신 설치각도 조절형 고정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007B1 (ko)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6296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JP6848823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支持部材、支持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支持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の支持構造
US10457227B2 (en) Wiring structure
JP2015000619A (ja) ドア用配線装置
JP2019088153A (ja) プロテクタおよび配索構造
CN112825422B (zh) 电缆绑扎装置
KR101820160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5881211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WO2015019830A1 (ja) 結束バンドの取付構造
KR20180121456A (ko) 배선용 클립
JP6742854B2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1479188B2 (en) Apparatus for limiting movement of wiring harness
KR101820158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20180043136A (ko)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클립
KR101988647B1 (ko) 정션박스의 내부회로 배선용 지그장치
KR102112156B1 (ko) 프로텍터
JP2007330005A (ja) プロテクタ、電線の配索方法および配索構造
JP2017127122A (ja) 電線固定構造
KR20210087233A (ko) 차량의 와이어링용 클립장치
KR20190074613A (ko) 더블 밴드 케이블
KR102362332B1 (ko) 두께 조절형 밴드 케이블
KR102507035B1 (ko) 와이어링 번들 가이드장치
KR102484837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 케이블
KR101820159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850474B1 (ko) 와이어 고정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