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159B1 -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159B1
KR101820159B1 KR1020170134240A KR20170134240A KR101820159B1 KR 101820159 B1 KR101820159 B1 KR 101820159B1 KR 1020170134240 A KR1020170134240 A KR 1020170134240A KR 20170134240 A KR20170134240 A KR 20170134240A KR 101820159 B1 KR101820159 B1 KR 10182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wire harness
bracket
alignment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327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7013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1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메인와이어하네스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보호하는 본체, 및 서브와이어하네스를 위치 가변 가능하게 정렬 안내하는 서브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분기와이어 또는 서브와이어의 와이어링 경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프로텍터에 정렬됨에 따라 차체 내부에서 최적의 와이어링 경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WIRING PROTECTOR}
본 발명은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와이어 또는 서브와이어의 와이어링 경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프로텍터에 정렬됨에 따라 차체 내부에서 최적의 와이어링 경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는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와이어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도록 한다.
특히,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 인해서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되고, 또한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서 파손되는 사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반드시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로 고정시켜야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에 대한 배경기술로서,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10-0128059호(발명의 명칭: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가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는 보조스트랩부를 구비하여 다수 가닥의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보조스트랩부로 인해 타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로텍터의 본체에 서브정렬안내부재의 조정을 통해 분기와이어 또는 서브와이어의 와이어링 경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최적의 와이어링 경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는: 메인와이어하네스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서브와이어하네스를 상기 메인와이어하네스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거나 또는 기울어지게 정렬 안내하는 서브정렬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정렬부는, 상기 본체에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브라켓; 상기 서브브라켓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를 정렬 안내하는 서브정렬안내부재; 및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의 배선 방향과 배선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가 상기 서브브라켓에 배치 설정 후 분리 가능하게 결합 안내하는 결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는, 상기 서브브라켓에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장되어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를 정렬하는 정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브라켓은 마주하는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바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는 상기 가이드바를 수용하여 상기 서브브라켓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둘레면에 수용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서브브라켓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끼움부; 및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에 정렬된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의 배치 방향을 설정 후 해당되는 상기 끼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의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 방향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끼움돌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프로텍터의 본체에 서브정렬안내부재의 조정을 통해 분기와이어 또는 서브와이어의 와이어링 경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최적의 와이어링 경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100)는 본체(200) 및 서브정렬부(300)를 포함한다.
본체(200)는 메인와이어하네스(10)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정렬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본체(2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본체(200)는 메인와이어하네스(10)를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본체(200)는 차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서브정렬부(300)는 본체(200)에 구비되어 서브와이어하네스(20)를 위치 가변 가능하게 정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브정렬부(300)는 서브와이어하네스(20)를 정렬 안내하는데, 서브와이어하네스(20)가 메인와이어하네스(10)와 축 방향으로 나란하거나 또는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정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브정렬부(300)는 서브브라켓(310), 서브정렬안내부재(320) 및 결속부(400)를 포함한다.
서브브라켓(310)은 축 방향이 본체(200)의 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도록, 본체(200)에 구비되다. 특히, 서브브라켓(310)은 본체(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서브브라켓(310)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본체(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브브라켓(310)은 본체(200)에 결합을 위해 양측에 레그(312)를 연장 형성된다. 레그(312)는 본체(200)의 측면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레그(3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서브정렬안내부재(320)는 서브브라켓(310)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서브와이어하네스(20)를 정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서브정렬안내부재(320)는 몸체(322) 및 정렬부재(324)를 포함한다.
몸체(322)는 서브브라켓(310)에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정렬부재(324)는 몸체(322)에서 연장되어 서브와이어하네스(20)를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정렬부재(324)는 밴드케이블이나, 서브와이어하네스(20)를 삽입 안내하는 링 형상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결속부(400)는 서브와이어하네스(20)의 정렬 방향을 가변 가능하도록, 서브정렬안내부재(320)가 서브브라켓(310)에 배치 설정 후 분리 가능하게 결합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브정렬안내부재(320)는 서브브라켓(310) 내측에서 서브와이어하네스(20)의 배선 방향이 설정된 후 결속부(400)에 의해 서브브라켓(310)에 결속된다.
여기서, 결속부(400)는 끼움부(410) 및 끼움돌부(420)를 포함한다.
끼움부(410)는 서브브라켓(310)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이때, 끼움부(410)는 홀 또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끼움부(410)의 크기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끼움돌부(420)는 서브브라켓(310)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끼움부(410) 에 삽입되도록 서브정렬안내부재(320)의 양측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다.
특히, 서브정렬안내부재(320)의 정렬부재(324)가 서브와이어하네스(20)를 정렬하고, 몸체(322)가 서브와이어하네스(20)의 배선 방향 및 배선 위치를 설정 후, 몸체(322)의 둘레면에 돌출된 끼움돌부(420)가 해당 위치의 끼움부(410)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몸체(32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된 채, 위치 고정된다.
물론, 끼움돌부(42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서브정렬안내부재(320)의 몸체(322)는 서브와이어하네스(20)의 장력 발생 방향에 의해 본체(200)의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는다. 그래서, 몸체(322)가 서브브라켓(310)으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브브라켓(310)은 마주하는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바(332)를 돌출 형성하고, 서브정렬안내부재(320)의 몸체(322)는 가이드바(332)를 수용하여 서브브라켓(31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둘레면에 수용홈부(334)를 형성한다.
즉, 몸체(322)는 가이드바(332)에 지지됨에 따라, 서브정렬안내부재(320)는 서브브라켓(310)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몸체(322)는 서브브라켓(310) 내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방향 설정이 용이하도록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몸체(322)는 평면상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끼움부(410)가 서브브라켓(310)의 마주하는 내측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됨에 따라, 서브정렬안내부재(320)는 서브브라켓(310)의 축 방향에 대해 다양한 위치로 이동 가능함으로써, 서브와이어하네스(20)의 배선 궤적과 배선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메인와이어하네스 20: 서브와이어하네스
100: 프로텍터 200: 본체
300: 서브정렬부 310: 서브브라켓
320: 서브정렬안내부재 322: 몸체
324: 정렬부재 332: 가이드바
334: 수용홈부 400: 결속부
410: 끼움부 420: 끼움돌부

Claims (3)

  1. 메인와이어하네스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보호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서브와이어하네스를 상기 메인와이어하네스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거나 또는 기울어지게 정렬 안내하는 서브정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정렬부는, 상기 본체에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브라켓; 상기 서브브라켓에 슬라이드 삽입되고,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를 정렬 안내하는 서브정렬안내부재; 및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의 배선 방향과 배선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가 상기 서브브라켓에 배치 설정 후 분리 가능하게 결합 안내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브라켓은 마주하는 내측면을 따라 가이드바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는 상기 가이드바를 수용하여 상기 서브브라켓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둘레면에 수용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브라켓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레그를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는,
    상기 서브브라켓에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연장되어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를 정렬하는 정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서브브라켓의 마주하는 내측면 각각에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끼움부; 및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에 정렬된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의 배치 방향을 설정 후 해당되는 상기 끼움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서브정렬안내부재의 상기 서브와이어하네스 방향 설정 상태를 유지하는 끼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20170134240A 2017-10-16 2017-10-16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82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240A KR101820159B1 (ko) 2017-10-16 2017-10-16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240A KR101820159B1 (ko) 2017-10-16 2017-10-16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224A Division KR101794337B1 (ko) 2016-06-22 2016-06-22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27A KR20180000327A (ko) 2018-01-02
KR101820159B1 true KR101820159B1 (ko) 2018-01-18

Family

ID=6100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240A KR101820159B1 (ko) 2017-10-16 2017-10-16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1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60Y1 (ko) 1996-12-24 2000-06-01 정몽규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 클립
JP3271179B2 (ja) 1997-04-01 2002-04-0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ーネスの組付構造
KR101091945B1 (ko) 2009-03-26 2011-12-08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하네스 고정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0660Y1 (ko) 1996-12-24 2000-06-01 정몽규 자동차의 와이어 고정 클립
JP3271179B2 (ja) 1997-04-01 2002-04-0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ーネスの組付構造
KR101091945B1 (ko) 2009-03-26 2011-12-08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하네스 고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27A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223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固定構造
US10243338B2 (en) Fixing structure for wiring material and wire harness
KR20130069030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CN108290531B (zh) 线缆引导装置、布线装置、安全气囊模块、方向盘及车辆
WO2017018178A1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20160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5416482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体、ワイヤハーネス配索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配索ユニットの組付方法
WO2011083807A1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CN111376847B (zh) 线束
KR101820158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820159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6793047B2 (ja) プロテクタ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794337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20190136296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JP697152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20100128059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1463164B1 (ko) 방향규제형 클리어런스 클립
KR101006471B1 (ko)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KR102228667B1 (ko) 굵기 가변식 와이어링 프로텍터
KR102277038B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장치
KR100971926B1 (ko)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프로텍터
KR102088894B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보호용 프로텍터
JP201512287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固定構造
KR102064450B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보호용 프로텍터
KR101850474B1 (ko) 와이어 고정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