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156B1 -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156B1
KR102112156B1 KR1020180159516A KR20180159516A KR102112156B1 KR 102112156 B1 KR102112156 B1 KR 102112156B1 KR 1020180159516 A KR1020180159516 A KR 1020180159516A KR 20180159516 A KR20180159516 A KR 20180159516A KR 102112156 B1 KR102112156 B1 KR 102112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protector
seating groove
connecting member
bin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15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방향설정연결부가 바디부에서 인출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함으로써, 배선 작업시 와이어 하네스가 다른 부품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프로텍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프로텍터는 차체에 마운팅 고정되어 와이어 하네스가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의 인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되는 방향설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텍터{PROTECTOR}
본 발명은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설정연결부가 바디부에서 인출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함으로써, 배선 작업시 와이어 하네스가 다른 부품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룸 등의 내부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으며,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와이어 하네스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여 각 기능 부품에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배선을 세트화한 것을 말하며,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차량의 주행 진동으로 인해 유동되어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키는 등 차량의 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종 서포트(Support) 부재, 예를 들어 클립이나 프로텍터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프로텍터는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한 채 차체에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프로텍터에서 인출되는 와이어 하네스가 다른 부품에 간섭될 경우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방향을 제어할 수 없어 배선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903호(2017.06.30. 등록, 명칭: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방향설정연결부가 바디부에서 인출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함으로써, 배선 작업시 와이어 하네스가 다른 부품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프로텍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는 차체에 마운팅 고정되고, 와이어 하네스가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의 인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되는 방향설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설정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어 결속부재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안착홈부에 각도 변경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각도변경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변경안내부는 상기 안착홈부에 형성되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부에는 복수의 고정홀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재에는 상기 고정홀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돌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속부재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시 상기 결속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결속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는 방향설정연결부가 바디부에서 인출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경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바디부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배선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 하네스가 다른 부품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으므로, 배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에서 방향설정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에서 방향설정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 및 방향설정연결부(20)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차체에 마운팅 고정되고, 와이어 하네스(W)가 축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바디부(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텍터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와이어 하네스(W)가 축 방향으로 통과 가능하게 배선되도록 양측이 개방 형성된다.
즉, 바디부(10)는 와이어 하네스(W)를 수용시 심한 접힘이나 굴곡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체로부터 와이어하네스(W)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커버부(11) 및 베이스플레이트부(1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1)는 와이어 하네스(W)의 일부를 감싸면서 수용하도록 하측과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커버부(112)의 형상 및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부(12)는 커버부(11)의 개방된 하측을 커버한다. 그래서, 베이스플레이트부(12)는 커버부(11)의 개방된 하측을 덮어 와이어 하네스(W)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부(12)는 커버부(11)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방향설정연결부(20)는 바디부(10)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W)의 인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와이어 하네스(W)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안착홈부(21), 연결부재(22) 및 각도변경안내부(2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안착홈부(21)는 바디부(10)에 함몰 형성된다. 즉, 안착홈부(21)는 커버부(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연결부재(22)가 와이어 하네스(W)와 연결 가능하게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연결부재(22)는 안착홈부(21)에 안착되고, 결속부재(30)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W)와 연결되도록 가장자리에 연장부(22a)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결속부재(3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나 케이블타이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부재(22)는 와이어 하네스(W)가 배선될 방향에 대응하는 각도로 안착홈부(21)에 안착된 후에 결속부재(30)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W)와 연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연장부(22a)는 결속부재(30)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W)와 연결시 결속부재(30)를 수용하여 결속부재(30)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홈부(2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결속부재(30)는 차량이 주행할 때 발생된 진동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W)가 흔들리더라도 와이어 하네스(W)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W)와 연장부(22a)를 연결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도변경안내부(23)는 연결부재(22)가 안착홈부(21)에 각도 변경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한다. 즉, 각도변경안내부(23)는 와이어 하네스(W)가 배선될 방향으로 연결부재(22)의 연장부(22a)가 배치되도록 안내하고, 연결부재(22)가 안착홈부(21)에 안착시 연결부재(22)의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W)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변경안내부(23)를 통해 연결부재(22)가 안착홈부(21)에 안착되는 각도에 따라 바디부(10)에서 인출된 부위를 방향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경로 변경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텍터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배선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각도변경안내부(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부(21)에 형성되는 삽입홀부(23a) 및 삽입홀부(23a)에 회전 방지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연결부재(22)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재(23b)를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홀부(23a)에는 복수의 고정홀부(23c)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 형성되고, 끼움부재(23b)에는 상기 고정홀부(23c)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돌부(23d)가 구비된다.
즉, 고정돌부(23d)가 고정홀부(23c)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연결부재(22)의 연장부(22a)의 단부가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돌부(23d)가 고정홀부(23c)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22)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연결부재(22)를 위치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홀부(23a)의 둘레면에는 제1걸림부(23e)가 구비되고, 끼움부재(23b)의 둘레면에는 제1걸림부(23e)에 걸림 지지되는 제2걸림부(23f)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걸림부(23e)와 제2걸림부(23f)는 상호 간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홀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즉, 제1걸림부(23e)가 홀 형태로 형성되면 제2걸림부(23f)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제1걸림부(23e)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면 제2걸림부(23f)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써, 끼움부재(23b)는 차량의 주행 진동으로 인해 와이어하네스(W)가 유동하더라도 제1걸림부(23e)와 제2걸림부(23f)에 의해 삽입홀부(23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바디부 11: 커버부
12: 베이스플레이트 20: 방향설정연결부
21: 안착홈부 22: 연결부재
22a: 연장부 23: 각도변경안내부
23a: 삽입홀부 23b: 끼웁부재
23c: 고정홀부 23d: 고정돌부
23e: 제1걸림부 23f: 제2걸림부
30: 결속부재

Claims (4)

  1. 차체에 마운팅 고정되고, 와이어 하네스가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의 인출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되는 방향설정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설정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에 안착되고, 결속부재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되도록 연장부가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안착홈부에 각도 변경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각도변경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경안내부는,
    상기 안착홈부에 형성되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부에는 복수의 고정홀부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에는 상기 고정홀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고정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속부재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와 연결시 상기 결속부재를 수용하여 상기 결속부재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텍터.
KR1020180159516A 2018-12-11 2018-12-11 프로텍터 KR10211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16A KR102112156B1 (ko) 2018-12-11 2018-12-11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516A KR102112156B1 (ko) 2018-12-11 2018-12-11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156B1 true KR102112156B1 (ko) 2020-05-18

Family

ID=7091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516A KR102112156B1 (ko) 2018-12-11 2018-12-11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1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219A (ja) * 1997-11-25 1999-06-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219A (ja) * 1997-11-25 1999-06-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981B2 (ja) リンク用ハーネス配索構造
JP4674175B2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KR20130069030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2007221897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の固定構造
JP2015000619A (ja) ドア用配線装置
JP6825879B2 (ja) プロテ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JP2015053753A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5668613B2 (ja) 経路維持部材付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9088153A (ja) プロテクタおよび配索構造
KR102112156B1 (ko) 프로텍터
KR20190136296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JP2008230352A (ja) パネル取付け用ハーネス保護部材
JP5648592B2 (ja) 経路維持部材付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112154B1 (ko) 와이어링 프로텍터
JP2016082738A (ja) ハーネスプロテクタ
JP2018191383A (ja) ワイヤハーネス用外装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
JP6117077B2 (ja) グロメット
KR101850476B1 (ko) 와이어 고정용 프로텍터
KR101820158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7420305B2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484837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 케이블
JP6868457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102088894B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보호용 프로텍터
KR20180026434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102064449B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보호용 프로텍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