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156A -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156A
KR20190135156A KR1020180060255A KR20180060255A KR20190135156A KR 20190135156 A KR20190135156 A KR 20190135156A KR 1020180060255 A KR1020180060255 A KR 1020180060255A KR 20180060255 A KR20180060255 A KR 20180060255A KR 20190135156 A KR20190135156 A KR 20190135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apsule
amorphous
amorphous shape
ph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0935B1 (ko
Inventor
어성찬
박성일
서병휘
신화영
황준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06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935B1/ko
Priority to CN201910452948.3A priority patent/CN110538090B/zh
Publication of KR20190135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수상부를 포함하고 지용성 활성 성분은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내 포집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오일 캡슐 형상이 비정형이고 이물감이 없는 우수한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TYPICAL OIL CAPSULES,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명세서에는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많은 종류의 지용성 활성 성분이 주름 개선, 보습 강화, 항산화 등과 같은 우수한 효능으로 인해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공기 또는 수분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변색 및/또는 변취가 일어나고, 역가가 감소되어 효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와 같은 지용성 활성 성분은 탁월한 주름 방지 효능을 갖고 있지만, 빛, 열, 공기, 수분에 의해 쉽게 파괴되는 불안정한 성질로 인하여 그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이와 같은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산화 방지제를 적용한 안정화 기술, 다공성 실리카 또는 포스포리피드를 적용한 물리적 흡착 기술, 고분자 중합 방식으로 캡슐 벽재를 적용한 안정화 기술, 하나 이상의 유방성 액정을 이용한 유화 안정화 기술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안정화 기술들은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는 향상시켰으나, 아직 다양한 화장료 제형에서 안정적이고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하였다. 예를 들면, 안정성 측면에서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의 산화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 산소, 자외선, 수분 등의 차단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며, 산화 방지제의 과다 사용은 피부 자극과 같은 독성을 발현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교 캡슐 벽재를 적용한 기술의 경우 안정성이 향상되더라도 캡슐 내부의 활성 성분이 캡슐 벽재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여 피부에서의 효능 발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1550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캡슐은 평균 1 내지 5 mm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용성 활성 성분은 오일 캡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용성 활성 성분은 지용성 비타민, 세라마이드, 탄소수 12 내지 36의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피토스핑고신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오일 캡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덱스트린계 오일 점증제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덱스트린 라우레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스테아레이트 및 덱스트린 베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캡슐은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오일 캡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캡슐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와,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단계는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단계는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80 내지 90 ℃의 유상부를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1차 분산시킨 다음 냉각 후 2차 분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우수한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을 갖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우수한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을 갖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캡슐 내부의 지용성 활성 성분이 캡슐 벽재 외부로 유출되어 부드럽게 도포되고 지용성 활성 성분의 안정도가 높아 피부에서 충분한 효능 발휘가 일어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비정형의 오일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외관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좌측 사진은 비교예 1의 화장료, 우측 사진은 실시예 1의 화장료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형성하는 것인, 비정형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유상부와 수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상부는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유상부는 오일 캡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용성 활성 성분"은 물에 녹지 않고 기름에 용해되는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주름 개선, 탄력 증진, 보습, 항산화, 미백, 향취 등의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정형"은 일정한 형태나 형식이 없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캡슐 형상이 구형을 갖는 것과 달리 캡슐 형상이 구형에 한정되지 않고 불규칙적인 임의의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일 캡슐"은 상온 및 상압의 상태에서 물과 혼합 시 물을 포함하는 수상과 상이 분리되며, 내부에 지용성 활성 성분을 포집하고 캡슐 내부와 외부 사이의 물질 전달을 차단 또는 억제하는 구조의 담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캡슐 형상이 구형을 갖는 것과 달리, 캡슐 형상을 구형에 한정하지 않고 크키가 크고 다양한 모양의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을 포함한다. 상기 비정형의 오일 캡슐은 종래 캡슐 대비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포집되는 지용성 활성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입자가 작아서 이물감이 많이 느껴지는 문제를 해소하였다. 또한, 높은 지용성 활성 성분의 함량을 가지면서도 외부 환경에 의한 변색, 변취 등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정형 오일 캡슐은 평균 1 내지 5 mm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비정형 오일 캡슐은 평균 1 mm 이상, 1.5 mm 이상, 2 mm 이상, 2.5 mm 이상, 3 mm 이상, 3.5 mm 이상 또는 4 mm 이상이면서 평균 5 mm 이하, 4.5 mm 이하, 4 mm 이하, 3.5 mm 이하 또는 3 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평균은 하나의 캡슐에서 최단 길이와 최장 길이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평균은 복수 개의 캡슐에서 최장 길이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정형 오일 캡슐 중 80% 이상, 85% 이상, 90% 또는 95% 이상의 비정형 오일 캡슐이 평균 1 내지 5 mm의 크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 0.5 내지 3 중량%, 0.5 내지 2.5 중량%, 0.5 내지 2 중량%, 1 내지 3 중량%, 1 내지 2.5 중량% 또는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킨, 에센스 또는 젤 타입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약 1 중량%의 유상부를 함유하는 한계점이 있는 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최대 3 중량%까지 유상부의 함량을 증가시킨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지용성 특징을 갖는 각종 비타민, 향 등의 유용성 성분들을 계면활성제 없이 제형 내 안정화하고 외부 환경에 의한 변색, 변취 등의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부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7 내지 9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용성 활성 성분은 유상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어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갖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지용성 활성 성분은 유상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또는 5 중량% 이상이면서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용성 활성 성분은 지용성 비타민, 세라마이드, 탄소수 12 내지 36의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피토스핑고신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F, 비타민 K 및 비타민 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포 간 지질 성분인 천연 세라마이드와 이와 유사한 화학 구조 및 효능을 갖는 유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유사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와 유사한 화학 구조 및 효능을 갖는 합성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유사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와 피부 장벽 보호 기능, 수분 보유 기능, 각질층 보호 기능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사 세라마이드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팔미타미드 엠이에이 (Hydroxypropyl Bispalmitamide MEA)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라우라미드 엠이에이 (Hydroxypropyl Bislauramide MEA) 중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수 12 내지 36의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은 포화 또는 불포화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탄소수 12 내지 36의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은 아스코빌 라우레이트, 아스코빌 미리스테이트,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빌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빌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리놀리에이트, 글리세릴 아라키도네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토코페릴 리놀리에이트 및 토코페릴 니코티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유상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어 크기가 크고 비정형을 갖는 오일 캡슐을 형성하고 캡슐 이물감이 없는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유상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이면서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덱스트린계 오일 점증제인 것일 수 있다. 헥토라이트와 같은 광물계 또는 왁스계 오일 점증제의 경우 점증력과 투명도가 떨어지고 경도가 낮아 투명한 외관이나 비정형 오일 캡슐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아미노산계 오일 점증제의 경우 녹는점이 110 ℃ 이상이기 때문에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80 내지 90 ℃의 유상부를 투입하여 비정형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조건에 부합되지 않고 경도가 너무 높아 비정형 오일 캡슐을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비정형 오일 캡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녹는점이 90 ℃ 이하, 70 내지 90 ℃, 또는 8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덱스트린 라우레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스테아레이트 및 덱스트린 베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비정형 오일 캡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덱스트린 팔미테이트가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제형의 경우 유상부를 왁스로 경화시키며 상용성이나 제형 안정성이 낮은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하지 않는 반면, 본 명세서에 따른 비정형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상부는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면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캡슐의 이물감 없이 빠르게 캡슐이 깨지면서 피부에 부드럽게 도포되는 비정형 오일 캡슐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유상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유상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이면서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및 디페닐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는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정형 오일 캡슐은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비정형 오일 캡슐은 35 ℃ 이상, 36 ℃ 이상, 37 ℃ 이상, 38 ℃ 이상, 39 ℃ 이상 또는 40 ℃ 이상이면서 45 ℃ 이하, 44 ℃ 이하, 43 ℃ 이하, 42 ℃ 이하, 41 ℃ 이하 또는 40 ℃ 이하의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정형 오일 캡슐은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80 내지 90 ℃의 유상부를 투입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정형 오일 캡슐은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1차 분산시킨 다음 냉각 후 2차 분산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 에센스 또는 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비정형 오일 캡슐의 제조방법으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와,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정형 오일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비정형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와,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정형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유상부와 수상부는 각각 0.5 내지 3 : 97 내지 99.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단계는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단계는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80 내지 90 ℃의 유상부를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1차 분산시킨 다음 냉각 후 2차 분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아지/패들믹서로 1차 분산시킨 다음 냉각 후 호모믹서로 2차 분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80 내지 90 ℃의 유상부를 투입하여 1차 분산시킨 다음 냉각 후 2차 분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분산은 500 내지 1,500 rpm의 속도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2차 분산은 500 rpm 이상, 600 rpm 이상, 700 rpm 이상, 800 rpm 이상, 900 rpm 이상, 1,000 rpm 이상, 1,100 rpm 이상, 1,200 rpm 이상 또는 1,300 rpm 이상이면서 1,500 rpm 이하, 1,400 rpm 이하, 1,300 rpm 이하, 1,200 rpm 이하, 1,100 rpm 이하, 1,000 rpm 이하, 900 rpm 이하, 800 rpm 이하 또는 700 rpm 이하의 속도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분산은 120초 이하 동안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2차 분산은 5초 내지 120초 동안 실시하여 캡슐 크기가 작아지거나 내용물이 탁해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모두 3회 이상의 반복실험을 통해 실험결과를 비교한 것으로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수상부와 유상부를 제조한 후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80 ℃의 유상부를 투입하여 아지/패들믹싱으로 1차 분산시켰다. 이후, 냉각시킨 다음, 1,000 rpm으로 호모믹싱하여 2차 분산시켜 실시예 1 내지 3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되, 1,500 rpm으로 호모믹싱하여 2차 분산시켜 실시예 4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수상부
물(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5 0.05 0.05 0.05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11 0.11 0.11 0.11
프로판디올(Propanediol) 6 6 6 6
글리세린(Glycerin) 4 4 4 4
잔탄검(Xanthan Gum) 0.05 0.05 0.05 0.05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8 0.08 0.08 0.08
카보머(Carbomer) 0.13 0.13 0.13 0.13
유상부
토코페롤(d-델타-토코페롤) 0.05 0.1 0.05
글리세릴 리놀리에이트*글리세릴 아라키도네이트*아스코빌 팔미테이트(Glyceryl Linoleate*Glyceryl Arachidonate*Ascorbyl Palmitate) 0.05 0.1 0.05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0.05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팔미타미드 엠이에이(Hydroxypropyl Bispalmitamide MEA) 0.05
스쿠알란(Squalane) 0.5 0.5 2.0 0.5
디메치콘(Dimethicone) 0.2 0.2 0.4 0.2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0.2 0.2 0.4 0.2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4의 화장료는 지용성 활성 성분을 오일 캡슐 내 포집하여 안정적인 캡슐 제형을 구현하였다. 유상부를 수상부에 분산시킨 다음 냉각하여 유상부를 더욱 경화시킨 후, 저속으로 호모믹싱을 하여 경화된 유상부를 비정형으로 쪼개어 독특한 외관을 갖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캡슐 제형은 시간 및 온도 변화에도 깨지지 않고 변색되지 않는 장기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물감이 없고 발림성이 부드러운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에 의하면, 종래 유화 제품에만 적용되었던 유용성 활성 성분인 피토스핑고신과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팔미타미드 엠이에이의 함량을 투명한 외관을 갖는 캡슐 함유 제형에서 각각 0.05 중량%까지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는 오일 캡슐의 크기가 크고 비정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의 화장료는 비정형의 오일 캡슐을 형성하되 호모믹싱 속도를 증가시킨 결과 오일 캡슐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수상부와 유상부를 제조한 후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80 ℃의 유상부를 투입하여 아지/패들믹싱으로 분산시켜 비교예 1 내지 4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단위(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수상부
물(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5 0.05 0.05 0.05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11 0.11 0.11 0.11
프로판디올(Propanediol) 6 6 6 6
글리세린(Glycerin) 4 4 4 4
잔탄검(Xanthan Gum) 0.05 0.05 0.05 0.05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8 0.08 0.08 0.08
카보머(Carbomer) 0.13 0.13 0.13 0.13
유상부
토코페롤(d-델타-토코페롤) 0.05 0.05 0.05 0.1
글리세릴 리놀리에이트*글리세릴 아라키도네이트*아스코빌 팔미테이트(Glyceryl Linoleate*Glyceryl Arachidonate*Ascorbyl Palmitate) 0.05 0.05 0.05 0.1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팔미타미드 엠이에이(Hydroxypropyl Bispalmitamide MEA)
스쿠알란(Squalane) 0.5 0.5 0.5 0.5
디메치콘(Dimethicone) 0.2 0.2 0.2 0.2
덱스트린 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 0.2 0.4 0.05 0.2
그 결과,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는 비정형이 아닌 종래 일반적인 오일 캡슐 형상인 구형의 오일 캡슐 제형을 형성하였다. 오일 점증제 함량을 유상의 33.3 중량%로 증량한 비교예 2의 화장료는 내용물 토출 시 캡슐 이물감이 존재하여 사용감이 떨어졌고, 오일 점증제 함량을 유상의 5.9 중량%로 감소시킨 비교예 3의 화장료는 캡슐 크기가 감소하였다. 비교예 4의 화장료는 지용성 활성 성분 함량을 유상의 18.1 중량%로 증량한 것으로 오일부 경화도가 매우 낮아 캡슐 크기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캡슐이 변색되어 경시 안정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5 내지 6.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되, 46 내지 56 ℃의 수상부에 80 ℃의 유상부를 투입하여 비교예 5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되, 24 내지 34 ℃의 수상부에 80 ℃의 유상부를 투입하여 비교예 6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수상부 온도가 45 ℃를 초과하는 경우 캡슐 크기가 작아질 뿐만 아니라 비정형의 캡슐 형상을 구현할 수 없었고, 수상부 온도가 35 ℃ 미만일 경우 80 ℃인 유상부가 표면에서 바로 굳어 서로 뭉쳐져 분산이 어렵고 캡슐 제형을 형성하기 어려웠다.
실험예 .
상기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화장료에 대해 경시 안정성을 관찰하기 위해 각각 30 ℃, 45 ℃, 60 ℃, 5 ℃, -15 ℃ 챔버에 넣어 4주 동안 관찰하였다 (안정, 변화 없음 : - 표시).
30℃ 45℃ 60℃ 5℃ -15℃
실시예 1 - - - - -
실시예 2 - - - - -
실시예 3 - - - - -
실시예 4 - 수상이 탁해짐 수상이 탁해짐 - -
비교예 1 - - - - -
비교예 2 캡슐 뜸
(floating)
캡슐 뜸
(floating)
캡슐 뜸
(floating)
- -
비교예 3 - - - - -
비교예 4 캡슐 변색 캡슐 변색 캡슐 변색 캡슐 변색 캡슐 변색
비교예 5 캡슐 뜸
(floating)
캡슐 뜸
(floating)
캡슐 뜸
(floating)
캡슐 뜸
(floating)
-
비교예 6 - 수상이 탁해짐 수상이 탁해짐 - -
이상,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은 평균 1 내지 5 mm의 크기를 갖는 것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활성 성분은 오일 캡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용성 활성 성분은 지용성 비타민, 세라마이드, 탄소수 12 내지 36의 지방산 에스터 화합물, 피토스핑고신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오일 캡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덱스트린계 오일 점증제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점증제는 덱스트린 라우레이트,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덱스트린 스테아레이트 및 덱스트린 베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은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오일 캡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은 왁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 중량%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것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와, 지용성 활성 성분 및 오일 점증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단계는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것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는 단계는 35 내지 45 ℃의 수상부에 80 내지 90 ℃의 유상부를 투입하는 것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하여 1차 분산시킨 다음 냉각 후 2차 분산시키는 것인, 비정형 모양의 오일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060255A 2018-05-28 2018-05-28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255A KR102610935B1 (ko) 2018-05-28 2018-05-28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910452948.3A CN110538090B (zh) 2018-05-28 2019-05-28 无定形油胶囊、包含其的组合物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255A KR102610935B1 (ko) 2018-05-28 2018-05-28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56A true KR20190135156A (ko) 2019-12-06
KR102610935B1 KR102610935B1 (ko) 2023-12-08

Family

ID=6870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255A KR102610935B1 (ko) 2018-05-28 2018-05-28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0935B1 (ko)
CN (1) CN1105380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589B1 (ko) * 2020-11-20 2023-09-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635A (ja) * 1994-05-30 1996-02-20 Chiba Seifun Kk W/o型マイクロカプセル状エマルジョン。
KR20010049883A (ko) * 1999-07-27 2001-06-15 겜마 아키라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JP2010047493A (ja) * 2008-08-19 2010-03-04 Septem Soken:Kk 微少カプセル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30012434A (ko) * 2011-07-25 2013-0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상으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11550A (ko) 2012-07-12 2014-01-29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KR20170005143A (ko) * 2014-05-28 2017-01-11 로레알 케라틴 물질의 메이크업 및 케어를 위한 화장 조성물
KR20170143103A (ko) * 2016-06-20 2017-12-29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가 포집된 매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80634B (zh) * 2004-07-02 2010-11-24 株式会社资生堂 含有油性粒子的外用组合物
KR100787328B1 (ko) * 2006-05-11 2007-12-18 (주)아모레퍼시픽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655346B1 (ko) * 2009-11-27 2016-09-08 (주)아모레퍼시픽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42958B1 (ko) * 2013-08-08 2013-12-18 (주)바이오제닉스 수난용성 물질을 이용한 안정한 삼중층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20170105381A (ko) * 2016-03-09 2017-09-19 주식회사 풀무원 피부개선 기능 성분을 함유하는 고급 지방 알콜 베이스의 온라인 크리스탈 캡슐 에멀젼 제조 공정 및 이를 기초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635A (ja) * 1994-05-30 1996-02-20 Chiba Seifun Kk W/o型マイクロカプセル状エマルジョン。
KR20010049883A (ko) * 1999-07-27 2001-06-15 겜마 아키라 마이크로 캡슐 및 그 제조방법
JP2010047493A (ja) * 2008-08-19 2010-03-04 Septem Soken:Kk 微少カプセル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30012434A (ko) * 2011-07-25 2013-0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상으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11550A (ko) 2012-07-12 2014-01-29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KR20170005143A (ko) * 2014-05-28 2017-01-11 로레알 케라틴 물질의 메이크업 및 케어를 위한 화장 조성물
KR20170143103A (ko) * 2016-06-20 2017-12-29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가 포집된 매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935B1 (ko) 2023-12-08
CN110538090B (zh) 2023-08-08
CN110538090A (zh)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655346B1 (ko)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KR101738793B1 (ko) 슬러리 분말 화장품 조성물 및 방법
JP569538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1557369B1 (ko)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3974A (ko) 활성제를 함유하는 실리콘 소포체
KR102610935B1 (ko)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96664A (ko) 실리콘중수형 유화액 및 이를 포함하는 유성 화장료 조성물
JP2012136455A (ja) ジェル状組成物
KR20150116939A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KR100501728B1 (ko)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137909A (ja) 収斂化粧料
KR20200128840A (ko)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6279B1 (ko) 유화 안정성이 향상된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667B1 (ko) 발포성 필오프 팩용 화장료 조성물
JP3634139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7158152B2 (ja) 自己乳化型浴用剤組成物
KR20120049590A (ko)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습감이 증진된 립메이크업 조성물
KR102211754B1 (ko)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4442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EP4349320A1 (en) Multilayer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KR102453889B1 (ko)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2003212751A (ja) ゲル組成物および水中油(o/w)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