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550A -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550A
KR20140011550A KR1020120076090A KR20120076090A KR20140011550A KR 20140011550 A KR20140011550 A KR 20140011550A KR 1020120076090 A KR1020120076090 A KR 1020120076090A KR 20120076090 A KR20120076090 A KR 20120076090A KR 20140011550 A KR20140011550 A KR 20140011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cosmetic
capsule
oil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택
구형서
조인식
김승태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2007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1550A/ko
Publication of KR2014001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5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캡슐은 액상 오일 및 상기 액상 오일을 포집하는 왁스 형태의 외피 지질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 캡슐의 직경이 0.1 내지 10 mm이고, 상기 액상 오일이 액상 오일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의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캡슐 입자 간의 응집 및 합일이 적고, 개선된 피분 안전성 및 유효 성분의 안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Oil capsule composition for an cosmetic}
본 발명은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존 제품과는 시각적인 차이를 보이는 형태의 화장품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캡슐을 함유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어 소비자들에게 판매되고 있다. 현재 화장품 산업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거대 크기의 캡슐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2357호에 개시된 화장료용 캡슐 조성물과 같이 대부분 카라기난과 한천을 이용한 것들 혹은 제 10-0814034호에 개시된 알긴산 나트륨과 알칼리 금속염을 이용한 것들이다. 하지만 이런 캡슐들은 가압 붕괴성이 좋지 않고 캡슐이 붕괴되고 나서 캡슐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수용성 고분자들로 구성이 되어 피부에 흡수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런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된 캡슐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크로크기(0.01~5mm)의 지질 캡슐 입자의 화장료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입자 간의 응집이나 합일이 일어나기 쉽고, 제형의 장기 안정도가 나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자간 응집이나 합일의 발생이 적어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키고, 피부 안전성 및 유효 성분 안정화 효과가 우수한 거대 크기의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은;
i) 액상 오일 및
ii) 상기 액상 오일을 포집하는 왁스 형태의 외피 지질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 캡슐의 직경이 0.1 내지 10 mm이고,
상기 액상 오일은 액상 오일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의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오일과 왁스 형태의 지질 성분의 적절한 조합비율로 오일 캡슐을 구성하고, 외상이 물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에서 캡슐 입자 간의 응집이나 합일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 오일 캡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일반 캡슐과 달리 고분자 폴리머 성분의 사용 없이 오일 캡슐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오일 캡슐의 녹는 온도를 사람의 체온과 유사하게 하여 피부 위에 도포 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일반 에멀젼 시스템과 달리 무계면활성제의 에멀젼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피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산화되기 쉬운 효능 성분을 조성물의 외상, 특히 수상과의 접촉면이 상대적으로 적은 거대 크기의 캡슐 입자 안에 함유시킴으로써 효능 성분의 활성을 장기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크기인 0.1~10mm의 오일 캡슐 입자로 구성된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을 이용하여 독특한 외관 및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지질 성분 및 액상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 캡슐은 액상 오일; 및 상기 액상 오일을 포집하는 외피로서, 왁스 형태의 외피 지질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액상의 오일을 왁스 형태의 지질로 캡슐화함으로써 큰 입자 크기에도 불구하고 캡슐 안정도가 우수하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 거대 크기의 캡슐에 의해 독특한 외관을 제공하고, 계면 활성제의 사용 없이 오일 캡슐 조성물을 형성하므로 계면 활성제로 인한 피부 장벽 손상을 방지하여 피부 안전성이 높다. 상기 오일 캡슐은 조성물의 외상, 특히 수성 성분 간의 접촉 면적이 적어 효능 성분의 장기간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캡슐은 직경이 0.1 mm 내지 10 mm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0.1 내지 1 mm일 수 있고, 0.3 내지 1 mm일 수 있고, 5 내지 10 mm일 수 있고, 또는 5.5 내지 10 mm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캡슐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거대 입자로 형성되어 독특한 외관을 부여하고 조성물 내의 외상과 상대적으로 적은 접촉면적을 형성하여 산화되기 쉬운 효능 성분의 활성을 장기간 안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캡슐의 직경이 10 mm를 초과하면 피부에 도포 시 잘 깨지지 않아 사용에 불편을 줄 수 있고, 0.1 mm 미만이면 표면적이 증가되어 유효 물질 안정도가 낮아 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액상 오일은 상기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4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액상 오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화장료 제형에 적용시 오일 함량이 낮아서 유분감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40.0 중량% 초과하면, 왁스 형태의 지질 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오일 입자를 캡슐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 오일은 비극성 오일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비극성 오일 및 극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극성 오일은 상기 액상 오일 총 중량에 대해 50.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오일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오일 캡슐이 형성되지 않거나 고온에서 오일캡슐의 합일이 일어나서 제형 안정성이 낮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액상 오일은 극성 및/또는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류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비극성 오일이며, 화장료 조성물에 허용 가능한 파라핀계 탄화수소 오일, 올레핀계 탄화수소 오일,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계 오일 등이 있으며,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및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스터류 오일은 C12∼15 알킬 옥타노에이트(octanoate), 미리스틸락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올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올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올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카프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허용가능하고,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오일일 수 있으며,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야자유, 호호바유, 아몬드 오일, 포도씨오일, 허브 오일(라벤더, 로즈힙, 캐모마일 등), 장미 오일, 코코넛 오일, 모링가 오일, 쌀겨 오일, 살구씨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상 오일은 유효 성분과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유효 성분의 효능에 대한 활성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효 성분은 미백 개선, 주름 개선, 노화 방지, 항산화 성분 등일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은 한방 생약, 허브, 과일, 채소, 콩과 식물, 효소 등에서 획득한 식물 및 동물 추출물,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단백질류, 펩티드류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질 성분은 실온에서 고체 상태인 지질 및 유사 지질 물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왁스 형태의 지질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왁스 형태의 지질 성분은 높은 녹는점으로 인하여 오일 입자가 고온에서 응집 및 합일 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를 높여 주는 효과가 있고, 동시에 피부에 도포 시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밀랍 및 라놀린 왁스 등의 동물계 왁스; 세레신 왁스, 파라핀 왁스 및 마이크로스탈라인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왁스; 비즈 왁스, 에스파르토 왁스, 캐스터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멀티 왁스, 칸델릴라 왁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라놀린 왁스, 밀랍, 세레신 왁스, 파라핀 왁스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일 수 있다.
상기 지질 성분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질 성분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오일 입자를 충분히 캡슐화하지 못해 제형 안정도가 나빠지게 되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왁스 형태의 지질 성분의 과다 사용으로 딱딱한 오일 캡슐이 만들어져 화장료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수상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상 점증제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수상 점증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오일 입자의 응집을 막을 수 있을 정도의 점도를 가질 수 없고, 5.0 중량% 초과하면 제형 점도가 너무 높아 화장료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수상 점증제는 카보머, 스클레로튬검,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외상으로 액상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성분은 상기 조성물의 잔량으로 포함되고, 화장료에 적용가능한 수성 및 유성 용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성 용매로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제형을 제공한다. 상기 제형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폼, 오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 경피투여형 제형, 파우더, 바디세정제, 샴푸, 린스, 치약, 구강청정제, 정발제 및 패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항의 유상 파트를 별도 용기에서 70℃로 가열 용해시킨 후 균질화기로 분산시켜 유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B 항의 수상 파트를 70℃로 가열 용해시킨 다음, 상기 A항의 유상파트를 B 항의 수상 파트에 각각 천천히 첨가하여 70℃에서 혼합 한 이후 C항의 성분을 첨가하여 오일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각 조성물을 기밀 용기에 채우고 냉각기를 사용하여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항의 유상 파트에서 지질 성분을 변화시키고, B 항의 수상 파트를 이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일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실시예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




세레신 왁스 2
비즈 왁스 2
베헤닐알코올 2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
테트라데칸 20 20 20 20 20
B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 5 5 5 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 0.5 0.5 0.5 0.5
C 수산화 칼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오일 캡슐(크기, mm) 0.7~ 0.9 0.7 ~ 0.9 0.1 이하 X X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비교예 2 및 3은 오일 캡슐이 형성되지 않았고 비교예 1은 캡슐이 형성되었지만 크기가 0.1 mm 이하의 작은 크기의 캡슐로 형성되었다. 이는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와 세토스테아릴 알코올이 탄화수소계 왁스 보다 친수성이 뛰어나서 오일 캡슐 형성 시 표면을 외상인 물로부터 완벽히 피막시키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1~2로 제조된 조성물의 캡슐은 직경 0.7 ~ 0.9 mm의 구상으로 제조되었다. 따라서 친수성를 지닌 지방산 알코올이나 지방산 보다는 탄화수소계 왁스 성분이 구상 캡슐 제조에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내지 5> 및 <비교예 4 내지 6>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항의 유상 파트에서 액상 오일을 변화시키고, B 항의 수상 파트를 이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일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A 세레신 왁스 2 2 2 2 2 2
테트라데칸 10 10 10
디메치콘 20 10
트리글리세라이드 20 10
코코 카프릴레이트 20 10
B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 5 5 5 5 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 0.5 0.5 0.5 0.5 0.5
C 수산화 칼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오일 캡슐(크기, mm) X X X 0.3~ 0.4 0.5~ 0.6 0.5~ 0.6
표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비교예 4 내지 6은 오일 캡슐이 형성되지 않았다. 하지만 비극성 오일인 테트라데칸을 전체 오일 중량%의 50% 이상 혼합하여 적용한 실시예 3 내지 5는 캡슐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리콘 오일, 에스터류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류의 오일이 캡슐의 표면을 구성하는 왁스 지질 성분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실시예 3 내지 5의 오일 캡슐 크기가 다른 것은 오일과 왁스 지질 성분과의 상용성 의 크기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디메치콘 같은 실리콘 오일은 다른 종류의 오일 보다 탄화수소계 오일과 상용성이 좋지 않다.
<실시예 6 내지 7>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항의 유상 파트 및 B 항의 수상 파트를 이용하였고, 유효 물질인 L-아스코빅산은 유화 직전 유상 파트의 혼합물에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일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A항의 유상 파트 및 B 항의 수상 파트를 이용하고, 화장료용 계면활성제로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라를 유상 파트의 혼합물에 첨가한 것 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일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비교예
7
실시예 6 실시예
7
A 세레신 왁스 2 2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테트라데칸 15 15 20
디메치콘 5 5 5
B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 5 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5 0.5 0.5
C 수산화 칼륨 정량 정량 정량
D L-아스코빅산 5 5 5
오일 캡슐(크기, mm) 0.001 5 5.5
<실험예 1 : 입자 크기에 따른 유효 성분 안정화 효과 실험>
기능성 화장료 성분으로 널리 알려진 L-아스코빅산은 미백 효과가 매우 뛰어고, 화장품 성분으로 적용 시 미백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빛, 산소, 열 등에 의해 산화 반응이 일어나기 쉽고, 가수분해 안전성이 지극히 나빠 물을 포함하는 제형에 적용 시 활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에 L-아스코빅산 함유 시, 일반 조성물에 비해 어느 정도 유효 성분 안정화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였다.
표 3의 실시예 6 및 7과 비교예 7을 50 ℃ 온도 보관 조건 하에서 유효 물질 안정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유효 물질의 고온 안정도가 약 1.5배 정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6 및 7의 표면적이 비교예 7의 표면적 보다 106 배 내지 그 이상 작기 때문에 외상인 물 속에 녹아 있는 활성 산소에 의해서 산화 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낮은 것으로 예상된다.
유효 물질 안정도
(30일 경과 후 제형 내 잔존율, %)
실시예 6 98
실시예 7 99
비교예 7 68
<실험예 2: 계면활성제 사용 여부에 따른 피부 자극 비교 실험>
민감성 피부의 성인 남, 녀 30명에게 비교예 7 및 실시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코 주변 부위에 도포하게 한 후 피부 자극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자극 없음을 0 점으로 하고 자극이 가장 심한 정도를 5 점으로 하여 자극 정도를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를 보면, 비교예 7에 비해 실시예 6이 더욱 적은 피부 자극을 유발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부 장벽을 손상시켜 피부자극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계면활성제가 실시예 6에는 함유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예 6 비교예 7
자극값 0.6 1.3
<실시예 8> 유연화장수 제형
하기의 표 6에 제시한 바와 같은 성분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유연화장수 제형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실시예 8
A 세레신 왁스 2
테트라데칸 15
디메치콘 5
B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3
부틸렌글라이콜 5
카보머 0.1
C 수산화 칼륨 정량
D 향료 정량
E 방부제 정량
<실시예 9> 에센스 제형
하기의 표 7에 제시한 바와 같은 성분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에센스 제형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실시예 9
A 세레신 왁스 2
테트라데칸 15
디메치콘 5
B 정제수 To 100
잔탄검 0.1
글리세린 5
베타인 0.5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3
C 수산화 칼륨 정량
D 향료 정량
E 방부제 정량
<실시예 10> 크림 제형
하기의 표 8에 제시한 바와 같은 성분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실시예 10
A 세레신 왁스 2
테트라데칸 15
스쿠알란 5
디메치콘 5
B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5
부틸렌글라이콜 5
베타-글루칸 1
카보머 0.3
스클레로튬검 0.5
C 수산화 칼륨 정량
D 향료 정량
E 방부제 정량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은 눈에 보일 정도의 거대 크기 (0.1 ~ 10 mm)의 오일 캡슐 입자를 제공하고, 상기 오일 캡슐은 왁스 형태의 지질로 액상 오일을 캡슐화함으로써 큰 입자 크기에도 불구하고 안정한 제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거대 크기로 인하여 차별화된 외관을 나타낼 수 있고, 무계면활성제 시스템으로 인한 피부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거대 크기의 오일 캡슐 입자는 유효 성분의 적용시, 유효 성분과 수상의 접촉면적을 크게 줄여주고 유효 성분의 용출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줌으로써 기존 일반 화장료에 비해 탁월한 유효 성분 안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은;
    i) 액상 오일 및
    ii) 상기 액상 오일을 포집하는 왁스 형태의 외피 지질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 캡슐의 직경이 0.1 내지 10 mm이고,
    상기 액상 오일은 액상 오일 총 중량에 대해 50 중량%의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류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오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내지 4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형태의 지질 성분은 밀납 및 라놀린 왁스의 동물계 왁스; 및 세레신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파라핀 왁스의 탄화수소계 왁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형태의 지질 성분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점증제는 카보머, 스클레로튬검,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점증제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캡슐은 미백 개선, 주름 개선, 노화 방지 및 항산화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효 성분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폼, 오일, 팩, 파우더, 바디세정제, 샴푸, 린스, 치약, 구강청정제, 정발제 및 패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
KR1020120076090A 2012-07-12 2012-07-12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KR20140011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090A KR20140011550A (ko) 2012-07-12 2012-07-12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090A KR20140011550A (ko) 2012-07-12 2012-07-12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550A true KR20140011550A (ko) 2014-01-29

Family

ID=5014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090A KR20140011550A (ko) 2012-07-12 2012-07-12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1550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780A (ko) * 2015-05-21 2016-12-01 한국콜마주식회사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4785A (ko) * 2015-06-09 2016-12-19 (주)뷰티화장품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9272A (ko) * 2017-09-12 2019-03-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간편한 친환경 캡슐형 화장품 용기
KR20190118786A (ko) * 2018-04-11 2019-10-21 이원목 마크로캡슐 운송을 위한 포장방법
KR20190135156A (ko) 2018-05-28 2019-12-06 (주)아모레퍼시픽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6210A (ko) * 2018-11-14 2020-05-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CN111246833A (zh) * 2017-12-18 2020-06-05 Lvmh研究公司 具有琼脂壳胶囊的液体化妆品
KR20200083776A (ko)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피티 오일분산형 이중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일분산형 이중캡슐
KR102223008B1 (ko) * 2020-09-22 2021-03-04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US10966506B2 (en) 2018-10-30 2021-04-06 Rea Innovations, Inc. Dual-piston appliance for processing of cosmetic formulations
US11497692B2 (en) 2019-10-15 2022-11-15 Rea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lending solid-shell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and blendable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USD986498S1 (en) 2020-03-04 2023-05-16 Rea Innovations, Inc. Cosmetic appliance
US11660578B2 (en) 2019-10-15 2023-05-30 Rea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lending solid-shell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and blendable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780A (ko) * 2015-05-21 2016-12-01 한국콜마주식회사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4785A (ko) * 2015-06-09 2016-12-19 (주)뷰티화장품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9272A (ko) * 2017-09-12 2019-03-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가 간편한 친환경 캡슐형 화장품 용기
CN111246833A (zh) * 2017-12-18 2020-06-05 Lvmh研究公司 具有琼脂壳胶囊的液体化妆品
CN111246833B (zh) * 2017-12-18 2024-01-26 Lvmh研究公司 具有琼脂壳胶囊的液体化妆品
KR20190118786A (ko) * 2018-04-11 2019-10-21 이원목 마크로캡슐 운송을 위한 포장방법
KR20190135156A (ko) 2018-05-28 2019-12-06 (주)아모레퍼시픽 비정형 오일 캡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66506B2 (en) 2018-10-30 2021-04-06 Rea Innovations, Inc. Dual-piston appliance for processing of cosmetic formulations
KR20200056210A (ko) * 2018-11-14 2020-05-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3776A (ko)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피티 오일분산형 이중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일분산형 이중캡슐
US11497692B2 (en) 2019-10-15 2022-11-15 Rea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lending solid-shell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and blendable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US11660578B2 (en) 2019-10-15 2023-05-30 Rea Innov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lending solid-shell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and blendable cosmetic ingredient capsules
USD986498S1 (en) 2020-03-04 2023-05-16 Rea Innovations, Inc. Cosmetic appliance
KR102223008B1 (ko) * 2020-09-22 2021-03-04 한국콜마주식회사 캡슐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1550A (ko)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474210B1 (ko)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0787328B1 (ko)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JP5953376B2 (ja) エマルション化されたハイドロ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4999B1 (ko) 오르가노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오르가노겔 마스크 팩
KR101965883B1 (ko)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6038334B2 (ja) 可変的な透明度を有する水中油型のオルガノゲル化粧料組成物
KR102002283B1 (ko) 병풀 추출물의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76966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091435A1 (en) Deodorant and antiperspirant controlled release system
KR20170033483A (ko) 화장품용 천연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3537A (ko) 고함량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A024823B1 (ru) Безводные композиции антиперспиранта
KR101592307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84836B1 (ko) 유용성 효능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6979B1 (ko)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6664A (ko) 실리콘중수형 유화액 및 이를 포함하는 유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30298B1 (ko)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KR101620294B1 (ko) 실온 충진이 가능한 고경도 화장료 조성물
WO2001003664A1 (en) Stabilized ascorbic acid,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GB2527726A (en) Topical composition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207849A (ja) 口唇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