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780A -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780A
KR20160137780A KR1020150071055A KR20150071055A KR20160137780A KR 20160137780 A KR20160137780 A KR 20160137780A KR 1020150071055 A KR1020150071055 A KR 1020150071055A KR 20150071055 A KR20150071055 A KR 20150071055A KR 20160137780 A KR20160137780 A KR 20160137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lip
group
li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883B1 (ko
Inventor
김진모
강수진
현승수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88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성젤 또는 크림젤 타입의 화장료 성분 내에 오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분산되어 있어 피부 도포시 캡슐이 깨지면서 오일의 보습력을 부여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캡슐에 의해 독특한 외관을 제공하고 다량 함유된 오일의 보습성을 제공하므로 우수한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Li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il micro-capsule}
본 발명은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성젤 또는 크림젤 타입의 화장료 성분 내에 오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이 분산되어 있어 피부 도포시 캡슐이 깨지면서 오일의 보습력을 부여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술은 신체의 다른 피부에 비해 얇고 피지선이 없으며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져 건조해지기 쉽다. 입술에 사용하는 립메이크업 조성물 즉,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및 립밤은 입술을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면서 입술을 보호하기 위하여 동ㆍ식물성 왁스, 에스테르계 오일 등의 유성 물질에 각종 영양성분, 유기 및 무기 안료들이 분산되어있다.
일반적으로 립스틱은 오일, 왁스, 및 색소 성분으로 구성된다. 이들 성분 중에서 왁스는 제품의 경도 유지 및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제품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왁스 성분으로 인하여 색상이 선명하게 발현되기 어렵고, 건조하기 쉬운 입술에 충분한 보습 효과를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립글로스는 유성 성분이 주성분이며 내부에 물을 함유할 수 없어 입술에 수성 성분과 보습 성분을 공급할 수가 없으며, 번들거리고 끈적이는 사용감을 갖는다. 즉, 립스틱 및 립글로스는 유성 성분들이 입술에 오일 막을 형성하여 수분의 증발을 막는 폐색효과에 의한 소극적인 보습성 향상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수성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립글로스가 개발되어 입술의 보습성을 적극적으로 향상시켜주고 색 발현성이 우수하며 끈적임 없는 사용감을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수성 성분으로만 이루어진 상기 립글로스는 수분 공급은 충분하나 유성 성분의 부재로 수분 증발 방지 효과는 부족하여 입술이 금방 매트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보습력을 부여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한편, 마이크로 캡슐은 의약품, 도료, 전자산업 및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반기술로서, 특히 의약품 및 화장품에 사용될 경우에는 약물의 초기 역가를 유지하는 가장 좋은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다(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58, 9, 1999).
화장품 제형에서 마이크로 캡슐화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 캡슐은 민감한 물질을 열화 과정으로부터 보호하고, 활성물질의 제어된 방출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캡슐화 기술은 교반(agitation)공정, 압착(compaction)공정, 레이어링(layering)공정, 및 구상체화(globulation)공정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세부적으로 교반 공정은 구형화(balling), 압착 공정은 압축(compression) 및 압출/구체화(extrusion/spheronization), 레이어링 공정은 용액/현탁액화(solution/suspension) 및 분말화(powder), 구상체화 공정은 분무 건조화(spray drying) 및 분무 응고화(spray congealing)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이크로 캡슐은 내부구조가 치밀하게 형성되어 캡슐 내 활성성분 함유량이 적고, 다공성 마이크로 캡슐의 경우에는 수용액 중에서 물이 캡슐 내부로 쉽게 침투하여 활성성분의 활성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마이크로 캡슐을 화장료 제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화장료에 대표적으로 존재하는 수분, 계면활성제, 빛 등의 주변 환경의 변수에 대한 마이크로 캡슐 자체의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내부에 포집된 활성성분의 안정성이 동시에 확보되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이 문제에 대하여 해결점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안정성, 보습력을 부여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오일 50~90중량부 및 수용성 고분자 10~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비극성 오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허용 가능한 파라핀계 탄화수소 오일, 올레핀계 탄화수소 오일,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계 오일 등이 있으며,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및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이러한 탄화수소계 오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및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이러한 실리콘계 오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야자유, 호호바유, 아몬드 오일, 포도씨오일, 허브 오일, 장미 오일, 코코넛 오일, 모링가 오일, 쌀겨 오일, 살구씨 오일, 해바라기 오일, 메도폼시드 오일 및 아비시니안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이러한 식물성 오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에스터류 오일은 C1215 알킬 옥타노에이트, 미리스틸락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올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올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올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이러한 에스터류 오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콜라겐, 젤라틴, 카라기난, 한천, 글루코만난, 스클레로글루칸, 시조피란, 제란감, 알긴산, 커드란, 펙틴, 히알루론산, 구아검, 아라비아검, 잔탄검 및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및 립밤제형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성 고분자 내부에 포집되어 마이크로 캡슐화된 오일은 수성젤 또는 크림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보존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캡슐에 의해 독특한 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일을 다량 함유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할 수 있어 오일의 보습성을 제공하므로 우수한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은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캡슐 벽재 내부에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50~9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5~8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의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이면 화장료 제형에 적용시 오일 함량이 낮아서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9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용성 고분자가 효과적으로 오일 입자를 캡슐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일은 극성 및/또는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류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비극성 오일이며, 화장료 조성물에 허용 가능한 파라핀계 탄화수소 오일, 올레핀계 탄화수소 오일,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계 오일 등이 있으며,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및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허용가능하고,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오일일 수 있으며,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야자유, 호호바유, 아몬드 오일, 포도씨오일, 허브 오일, 장미 오일, 코코넛 오일, 모링가 오일, 쌀겨 오일, 살구씨 오일, 해바라기 오일, 메도폼시드 오일 및 아비시니안 오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스터류 오일은 C1215 알킬 옥타노에이트(octanoate), 미리스틸락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올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올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올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유효 성분과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유효 성분의 효능에 대한 활성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효 성분은 미백 개선, 주름 개선, 노화 방지, 항산화 성분, 안료, 향료 등일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은 한방 생약, 허브, 과일, 채소, 콩과 식물, 효소 등에서 획득한 식물 및 동물 추출물,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단백질류, 펩티드류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고분자는 상기 오일을 캡슐화하여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오일의 산화 방지 및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콜라겐, 젤라틴 등의 단백질, 카라기난, 한천, 글루코만난(glucomannan), 스클레로글루칸, 시조피란(sizofiran), 제란감, 알긴산, 커드란, 펙틴, 히알루론산, 구아검, 아라비아검, 잔탄검,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등의 다당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콜라겐, 젤라틴, 카라기난, 한천,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가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균일하게 캡슐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용성 고분자의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10~3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캡슐 벽재의 두께가 얇아져서 효과적으로 오일을 포집할 수 없으며, 3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캡슐 벽재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서 피부에 도포 시 이물감이 느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은 예를 들면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과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상을 별도로 가온 용해시킨 후 혼합하여 건조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하여 오일 성분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를 유연화하기 위해 유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 성분은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디펜타에리스리틸트리-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이소스테아레이트/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코폴리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노나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및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에 충분한 보습 효과를 주기 위해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메칠글루세스-20, 글리세레스-26, 라피노오스, 소듐히알루로네이트, 솔비톨, 베타인, 자이리톨, 및 정제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에스테르계 액상 오일, 탄화수소계 액상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 색소, 변색 방지제, 산화 방지제, 중화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컬러 분산 및 광택이 우수한 오일을 기본으로 하되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합성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는 체질안료, 색소, 및 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및 립밤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 제조
아카시아 검 2g을 물 120g에 넣고 45℃로 가온하여 용해한 후, 콜라겐 20g을 물 120g에 넣고 50℃로 가온하여 완전히 녹인 후에, 아르간 오일 10g을 추가로 투입하여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었다.
상기 분산액을 호모 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1,200rpm으로 5분 동안 유화한 후, 40℃에서 1시간 동안 300~400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였다.
외피를 형성하고, 한 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하였다. 이후 약 100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수분산하여 보관하였다.
< 실시예 1~6 및 비교예 >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의 겔 타입의 립틴트 제형을 갖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원료 1과 2, 3, 4, 5 및 6을 평량하여 분산 용해하였다.
(2) 분산용해된 (1)에 점증제인 7 및 8을 투입하고 호모믹서 2500rpm 교반으로 충분히 혼합시켜 점증제가 충분히 팽윤되도록 분산시킨다.
(3) 방부제 9 및 10을 투입하여 분산시키고, 12, 13, 14 및 15를 원료 11에 선분산시킨 다음 분산된 (2)에 투입하여 호모믹서 2500rpm 교반으로 다시 충분히 혼합 분산시킨다.
(4) 16을 투입 및 혼합하여 점증효과가 나타나도록 호모믹서 2500rpm 교반으로 충분히 혼합 분산시킨다.
(5) 17 및 18 (실시예에서 투입, 비교예에서는 제외) 투입하여 패들 교반으로 고르게 분산시킨다.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2.000 12.000 12.000 12.000 12.000 12.000 12.000
3. 글리세린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4.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5. 트레할로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6. 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800 0.800 0.800 0.800 0.800 0.800 0.800
7. 카보머 0.250 0.250 0.250 0.250 0.250 0.250 0.250
8.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0.050 0.050 0.050 0.050 0.050 0.050 0.050
9. 1,2-헥산디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 페녹시에탄올 0.300 0.300 0.300 0.300 0.300 0.300 0.300
11. 정제수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12. 등색205호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13. 적색218호 0.250 0.250 0.025 0.250 0.250 0.250 0.250
14. 적색40호 0.020 0.020 0.020 0.020 0.020 0.020 0.020
15. 황색 4호 0.020 0.020 0.020 0.020 0.020 0.020 0.020
16. 트리에탄올아민 0.400 0.400 0.400 0.400 0.400 0.400 0.400
17. 조합향료 0.250 0.250 0.250 0.250 0.250 0.250 0.250
18. 오일함유 마이크로캡슐
(제조예 1)
1.000 3.000 5.000 10.000 15.000 20.000 -
(단위 : 중량%)
< 실험예 1> 품질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겔 타입의 립틴트 제품에 대하여 20~35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보습효과, 밀착력, 지속성, 및 착색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다.
각 항목들을 평가한 후 0점부터 5점까지의 점수를 주도록 하여 평균점수를 내서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보습효과
밀착력
지속성
착색력
1이하:X, 1~2.5:△, 2.5~4:○, 4이상:◎
상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보습효과, 밀착력, 지속성, 및 착색력이 모두 동등 이상의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0)

  1.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오일 50~90중량부 및 수용성 고분자 10~3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에스터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n-옥탄, n-노난, n-데칸, n-언데칸, n-도데칸, n-트리데칸, n-테트라데칸, n-펜타데칸, n-헥사데칸, n-헵타데칸, n-옥타데칸, 바세린, 파라핀, 세레신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 디메치콘코폴리올아세테이트,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 디메치콘올, 메칠폴리실록산, 메칠페닐폴리실록산, 디메치콘코폴리올메칠에테르, 메칠사이클로폴리실록산, 디메칠폴리실록산, 헥사메칠디실록산 및 카프릴릴메칠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야자유, 호호바유, 아몬드 오일, 포도씨오일, 허브 오일, 장미 오일, 코코넛 오일, 모링가 오일, 쌀겨 오일, 살구씨 오일, 해바라기 오일, 메도폼시드 오일 및 아비시니안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류 오일은 C1215 알킬 옥타노에이트, 미리스틸락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올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올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올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코코카프릴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레이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헥실라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콜라겐, 젤라틴, 카라기난, 한천, 글루코만난, 스클레로글루칸, 시조피란, 제란감, 알긴산, 커드란, 펙틴, 히알루론산, 구아검, 아라비아검, 잔탄검 및 아크릴레이트/에칠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입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및 립밤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71055A 2015-05-21 2015-05-21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96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055A KR101965883B1 (ko) 2015-05-21 2015-05-21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055A KR101965883B1 (ko) 2015-05-21 2015-05-21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780A true KR20160137780A (ko) 2016-12-01
KR101965883B1 KR101965883B1 (ko) 2019-04-05

Family

ID=5757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055A KR101965883B1 (ko) 2015-05-21 2015-05-21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88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405A (ko) * 2017-12-21 2019-07-01 탑월드(주) 비즈왁스와 동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953906A (zh) * 2017-12-24 2019-07-02 王忠良 一种天然木蜡基唇膏及其制备方法
KR20200016117A (ko) * 2018-08-06 2020-02-14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온 안정도가 높은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6210A (ko) * 2018-11-14 2020-05-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WO2020101327A1 (ko) * 2018-11-13 2020-05-22 한국화학연구원 천연 오일을 함유하는 미세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9884A (ko) 2018-11-22 2020-05-29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WO2020145495A1 (ko) * 2019-01-11 2020-07-16 한국콜마주식회사 수용성 추출물이 흡수된 화장용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8735B1 (ko) * 2020-02-03 2021-03-17 유해현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3587B1 (ko) * 2020-11-13 2021-06-10 주식회사 나노브릭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0497B1 (ko) 2021-07-02 2021-11-02 주식회사 미스티 립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482B1 (ko) * 2020-02-27 2020-05-28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안티폴루션 유화물이 담지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571A (en) * 1974-05-06 1976-03-30 Lanvin-Charles Of The Ritz, Inc. Lipstick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oils
US6231873B1 (en) * 1986-01-10 2001-05-15 Shiseido Company, Ltd Cosmetic containing fine soft microcapsules
KR20140011550A (ko) * 2012-07-12 2014-01-29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KR20140113727A (ko) * 2012-01-17 2014-09-24 로레알 O/w 유액 형태의 색상 변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571A (en) * 1974-05-06 1976-03-30 Lanvin-Charles Of The Ritz, Inc. Lipstick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oils
US6231873B1 (en) * 1986-01-10 2001-05-15 Shiseido Company, Ltd Cosmetic containing fine soft microcapsules
KR20140113727A (ko) * 2012-01-17 2014-09-24 로레알 O/w 유액 형태의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40011550A (ko) * 2012-07-12 2014-01-29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405A (ko) * 2017-12-21 2019-07-01 탑월드(주) 비즈왁스와 동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953906A (zh) * 2017-12-24 2019-07-02 王忠良 一种天然木蜡基唇膏及其制备方法
KR20200016117A (ko) * 2018-08-06 2020-02-14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온 안정도가 높은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2771152A (zh) * 2018-11-13 2021-05-07 韩国化学研究院 包含天然油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
WO2020101327A1 (ko) * 2018-11-13 2020-05-22 한국화학연구원 천연 오일을 함유하는 미세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771152B (zh) * 2018-11-13 2023-12-26 韩国化学研究院 包含天然油的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20200056210A (ko) * 2018-11-14 2020-05-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9884A (ko) 2018-11-22 2020-05-29 (주)아모레퍼시픽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7449A (ko) * 2019-01-11 2020-07-21 한국콜마주식회사 수용성 추출물이 흡수된 화장용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45495A1 (ko) * 2019-01-11 2020-07-16 한국콜마주식회사 수용성 추출물이 흡수된 화장용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286574A (zh) * 2019-01-11 2021-08-20 韩国科玛株式会社 包含吸收水溶性提取物的化妆用胶囊的化妆品组合物
KR102228735B1 (ko) * 2020-02-03 2021-03-17 유해현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3587B1 (ko) * 2020-11-13 2021-06-10 주식회사 나노브릭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0497B1 (ko) 2021-07-02 2021-11-02 주식회사 미스티 립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883B1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883B1 (ko)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WO2007006536A1 (de) Wasserfreie kosmetische zubereitung
KR102161465B1 (ko) 피부밀착력과 화장지속성이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530907B (zh) 油质体形式的o/w乳剂形式的变色组合物
KR102198258B1 (ko)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TWI462747B (zh) 透明或半透明組合物
EP3248588A1 (en) Makeup cosmetic
KR102261590B1 (ko) 수용성 추출물이 흡수된 화장용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6682B1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4149469A1 (en) Cosmetic formulation incorporating a uv-triggered self-healing material
CN108348425A (zh) 含壬酸酯的亲油性化妆品组合物
KR20160040070A (ko) 기능성 성분을 내포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CN104168873B (zh) 变色组合物
KR102130298B1 (ko) 유용성 페이스트 또는 겔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고형 비드의 제조방법
US20040096417A1 (en) Moringa esters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N108403535A (zh) 紫苏嫩叶提取物及其应用
KR101572985B1 (ko) 아스타잔틴-포함 액상 성분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CN115551474A (zh) 组合物
CN103211737A (zh) 一种含天然植物提取物和珍珠粉的焕颜修容霜组合物
KR101338503B1 (ko) 비중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248589A1 (en) Makeup cosmetic
KR102527894B1 (ko)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334447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KR20230174859A (ko) 컬러파우더의 캡슐 액정이 포함된 톤 업 기능의 세럼
JP6921504B2 (ja) メイクアップに使用するための固体化粧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