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587B1 -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587B1
KR102263587B1 KR1020200152279A KR20200152279A KR102263587B1 KR 102263587 B1 KR102263587 B1 KR 102263587B1 KR 1020200152279 A KR1020200152279 A KR 1020200152279A KR 20200152279 A KR20200152279 A KR 20200152279A KR 102263587 B1 KR102263587 B1 KR 102263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microcapsule
cosmetic composition
magnetic particles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정
최유진
주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to KR102020015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25Semi-permanent tattoos, stencils, e.g. "permanent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7Magnetic materials; Paramagne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용 매질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마이크로캡슐은 투명성 고분자로 구성되는 캡슐벽과, 화장료용 오일, 자성입자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색상이나 패턴, 투과도 또는 광택 효과 등을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은 색상이나 투명도, 광택 등이 미리 정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여러 색상이 화장료를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투명도나 진하기 등을 맞추어야 한다. 색상 변화가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7476호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컬러 체인지 마이크로캡슐을 깨뜨려 색상을 변화시키는 구조로서 한 번 색상이 변화하면 다시 다른 색상으로의 변경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나 머리카락 등에 바른 후에 색상이나 패턴, 투과도 또는 광택 효과 등을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일 예는, 화장료용 매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투명성 고분자로 구성되는 캡슐벽; 상기 마이크로캡슐 내 화장료용 오일; 및 상기 화장료용 오일 내 분산되어 있는 자성입자;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의 일 예는, 화장료용 오일에 플레이크 형태의 자성입자를 분산한 액상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액상과 캡슐벽을 구성할 고분자를 초음파, 교반, 진동, 고전압 인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혼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및 화장료용 매질과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나 머리카락 등에 바른 후 자기장 또는 전기장을 인가하여 색상이나 패턴, 투과도, 광택 효과 등을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문신용으로 사용하거나 스티커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마이크로캡슐의 변화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료 조성물(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캡슐(110)과 화장료용 매질(150)을 포함한다.
화장료용 매질(150)은 투명, 불투명 또는 색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장료용 매질(150)은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용 매질(150)에 포함되는 안료는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보다 작은 1~50㎛가 될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입자(120), 캡슐벽(130) 및 화장료용 오일(140) 등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캡슐(110)은 2~20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110)은 동일 모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입자를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모양의 복수의 자성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벽(130)은 투명성 고분자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캡슐벽(130)은 젤라틴(Gelatin), 알지네이트(Alginate), 에틸 셀룰로스(Ethyl cellulos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멜라민-포름알데히드(Melamine-formaldehyde), 폴리비닐 피리딘(Poly vinyl pyridi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우레탄(Uretha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성 고분자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캡슐벽(130)은 구성 물질에 따라 고온 조건, 저온 조건, 자외선 조건, 이온성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경화될 수 있다. 캡슐벽(130)은 사용되는 투명성 고분자의 농도 또는 종류에 따라 연질(soft) 또는 경질(hard)의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자성입자(120)는 플레이크(flake) 등과 같은 판상형태, 구 형태, 클러스터 행태, 코어-셀(Core-Shell) 형태 또는 이들과 유사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성입자(120)는 10nm~150㎛의 직경 또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일 예로 플레이크 형태의 복수의 자성입자를 포함한 마이크로캡슐(110)을 도시하고 있다.
자성입자(12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자기장 또는 전기장에 따라 이동 또는 회전 등이 가능하도록 자성 또는 전하를 갖는 입자로서 마이스로캡슐(110) 내 화장료용 오일(140)에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다.
자성입자(120)는 철(Fe), 니켈(Ni), 코발트(Co), 티타늄(Ti), 카본(C), 아연(Zn), 황(S), 금(Au), 은(Ag), 바륨(Ba), 스트론듐(Sr), 납(Pb), 알루미늄(Al), 텅스텐(W), 몰리브덴(Mo) 등의 원소 또는 이들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자성입자(120)는 상자성체 또는 초자성체 물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자성입자(120)는 유기 화합물, 착화합물, 배위화합물 등에 의해 표면이 가공(또는 코딩) 된 입자일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110) 내 화장료용 오일(140)은 썬플라워(Sunflower), 그레이프씨드(Grapeseed), 로즈힙(Rosehip), 아르간, 올리브 등의 천연 오일, 화장품용 정제수(water), 에탄올(Ethanol), 아이소파라핀오일(Isoparaffin oil), 2-에틸 헥실옥시 스테아레이트, C12-C15, 알코홀벤조에이트,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 또는 그 혼합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장료용 오일은 투명하거나 색을 나타낼 수 있다.
마이크로캡슐(110)은 자성입자(120)와 화장료용 오일(140)을 포함하는 액상을 캡슐공정에서 캡슐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캡슐(110)은 자성입자(120)가 분산되어 있는 화장료용 오일(140)과 캡슐벽(130) 물질로 사용될 고분자가 용융되어 있는 용제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초음파, 교반, 진동, 고전압 인가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마이크로캡슐의 변화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이크로캡슐(210,310) 내 판상 형태의 자성입자(220,320)가 각각 하나씩 존재하는 경우를 간략하게 도식화하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화장료 조성물(200)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면 마이크로캡슐(210) 내 자성입자(220)는 인가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회전 또는 이동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화장료용 매질(150)이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었다면, 입사광은 화장료 조성물(200)과 마이크로캡슐(210)을 대부분 통과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뒷부분에 존재하는 매체(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을 바른 피부나 머리카락 등)에 의해 반사된다. 따라서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 상태가 되며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캡슐(310) 내 자성입자(3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사광의 대부분은 마이크로캡슐(310)의 자성입자(320)에 의해 반사된다. 자성입자가 플레이크 형태인 경우에, 플레이크에 의한 광택(glitter) 효과가 나타난다.
다른 실시 예로, 화장료용 매질(150)이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를 포함하고 있다면, 안료에 의해 반사되는 제1 파장의 광 비율과 마이크로캡슐(210,310) 내 자성입자(220,320)에 의해 반사되는 제2 파장의 광 비율을 조절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자성입자(220)가 세로로 배열하면 입사광의 대부분은 화장료용 매질의 안료에 의해 제1 파장의 광이 반사된다. 그러나 도3과 같이 자성입자(320)가 가로로 배열하면 안료에 의해 반사되는 제1 파장의 광의 비율이 줄어들고 자성입자에 의해 반사되는 제2 파장의 광의 비율이 늘어난다. 안료에 의해 반사되는 제1 파장의 광 비율과 마이크로캡슐의 자성입자에 의해 반사되는 제2 파장의 광 비율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은 다른 색상을 나타내거나 광택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안료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비율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한 자성입자의 회전 및 이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화장료용 매질(150)에 존재하는 안료에 의한 발색 효과가 잘 나타나도록 안료의 크기를 마이크로캡슐(210,310)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료는 마이크로캡슐(210) 사이의 빈 틈에 존재하여 마이크로캡슐을 통과한 입사광이 마이크로캡슐(210) 사이에 위치한 안료에 의해 반사되어 발색 효과가 잘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과 같이 마이크로캡슐(110) 내 복수의 자성입자(120)가 존재하는 경우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복수의 자성입자(120) 사이의 간격 또는 배열을 조절하여 각 마이크로캡슐(110)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화장료용 오일(140)에 자성입자(120)를 분산한 액상을 제조한다(S400). 액상과 캡슐벽(130)을 구성할 고분자를 초음파, 교반, 진동, 고전압 인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혼합하여 마이크로캡슐(110)을 생성한다(S410). 그리고, 화장료용 매질(150)과 마이크로캡슐(110)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생성한다(S42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에 그림(500)을 그린 경우이다. 화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그림(500)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도 2와 같이 마이크로캡슐 내 자성입자를 수직방향으로 배열시키면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상태가 되어 그림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반면, 화장료 조성물에 자기장을 인가하여 도3과 같이 마이크로캡슐의 자성입자를 수평방향으로 배열시키면, 입사광이 자성입자에 의해 반사되어 그림(500)이 나타난다.
도 6을 참조하면, 피부와 머리카락에 본 실시 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바른 후 자기장을 인가하여 광택효과 또는 색상 변화를 연출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화장료용 매질;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성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투명성 고분자로 구성되는 캡슐벽;
    상기 마이크로캡슐 내 화장료용 오일; 및
    상기 화장료용 오일 내 분산되어 있는 하나의 판상형태의 자성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캡슐 내 자성입자는 자기장 또는 전기장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자성입자가 회전하여 배열한 방향에 따라 상기 화장료용 매질에 의한 제1 파장의 광 반사 비율과 상기 마이크로캡슐 내 자성입자에 의한 제2 파장의 광 반사 비율에 해당하는 색상을 나타내고,
    상기 화장료용 매질에 존재하는 안료에 의한 발색효과가 잘 나타나도록 상기 화장료용 매질의 안료를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보다 작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입자는 판상형 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용 매질은 투명물질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어 상기 마이크로캡슐 내 자성입자가 수직방향으로 배열하면 투명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장료용 오일에 플레이크 형태의 자성입자를 분산한 액상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액상과 캡슐벽을 구성할 고분자를 초음파, 교반, 진동, 고전압 인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혼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생성하는 단계; 및
    화장료용 매질과 상기 마이크로캡슐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00152279A 2020-11-13 2020-11-13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3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79A KR102263587B1 (ko) 2020-11-13 2020-11-13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79A KR102263587B1 (ko) 2020-11-13 2020-11-13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587B1 true KR102263587B1 (ko) 2021-06-10

Family

ID=7637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279A KR102263587B1 (ko) 2020-11-13 2020-11-13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58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729A (ko) * 2012-01-17 2014-09-24 로레알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50017796A (ko) * 2013-08-07 2015-02-23 주식회사 나노브릭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액상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KR20160007476A (ko) * 2012-11-30 2016-01-20 로레알 컬러 체인지 조성물
KR20160137780A (ko) * 2015-05-21 2016-12-01 한국콜마주식회사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4963A (ko) * 2014-04-09 2017-01-11 아트 코스메틱스 에스알엘 자기장을 적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라로 제조된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44411A (ko) * 2015-09-03 2018-05-02 로레알 적어도 하나의 반사제의 오일 분산액을 캡슐화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의 관리 및/또는 메이크업을 위한 수성 에멀젼
KR20190022427A (ko) * 2018-12-20 2019-03-06 주식회사 나노브릭 색 가변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2418A (ko) * 2018-08-27 2019-03-06 주식회사 나노브릭 색 가변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2061B1 (ko) * 2020-04-17 2020-11-23 주식회사 나노브릭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네일 아트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3729A (ko) * 2012-01-17 2014-09-24 로레알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60007476A (ko) * 2012-11-30 2016-01-20 로레알 컬러 체인지 조성물
KR20150017796A (ko) * 2013-08-07 2015-02-23 주식회사 나노브릭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액상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KR20170004963A (ko) * 2014-04-09 2017-01-11 아트 코스메틱스 에스알엘 자기장을 적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칼라로 제조된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7780A (ko) * 2015-05-21 2016-12-01 한국콜마주식회사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4411A (ko) * 2015-09-03 2018-05-02 로레알 적어도 하나의 반사제의 오일 분산액을 캡슐화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의 관리 및/또는 메이크업을 위한 수성 에멀젼
KR20190022418A (ko) * 2018-08-27 2019-03-06 주식회사 나노브릭 색 가변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2427A (ko) * 2018-12-20 2019-03-06 주식회사 나노브릭 색 가변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2061B1 (ko) * 2020-04-17 2020-11-23 주식회사 나노브릭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네일 아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Designing structural-color patterns composed of colloidal arrays
Nam et al. Photonic Janus balls with controlled magnetic moment and density asymmetry
KR0134948B1 (ko) 시각(視角)에 의해 칼라가 결정되는 안료, 그 제조방법 및 그 사용
CN102645812B (zh) 电泳元件和显示装置
KR101042263B1 (ko) 자성 입자를 이용한 광 투과 조절 방법,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880703B1 (ko) 반사형 표시 입자, 반사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9976B1 (ko) 자성 입자를 이용한 표시 방법, 필름 및 표시 장치
Eshkalak et al. Overview of electronic ink and methods of production for use in electronic displays
Fukui Development of new cosmetics based on nanoparticles
WO2010003654A1 (de) Mikrokapsel, mikrokapseln umfassendes system, verfahren zur zustandsänderung von zumindest einer mikrokapsel sowie vorrichtung hierzu
KR102263587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522180A (ja) ナノパーティクルを用いる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
Li et al. Noniridescent structural color from enhanced electromagnetic resonances of particle aggregations and its applications for reconfigurable patterns
JP3572045B2 (ja) 磁気ディスプレー
KR102247054B1 (ko) 색 가변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981796A1 (en) Composite p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ersonal care product, particles for personal ca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personal care goods, and composition for personal care
JP7027306B2 (ja) 金属被覆異形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金属被覆異形樹脂粒子の配列膜及びその製造方法、粒子群、並びに粒子配列膜の製造方法
He et al. Structural color printing and evaluation based on 3D printing
KR102182061B1 (ko)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네일 아트 방법
JP2001122741A (ja) 化粧料
DE10200749A1 (de) Harzpulver für eine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 Hautreinigungsmittel und ein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und Verwendung des Pulvers,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es Pulvers
Kim et al. Highly Stable Microcapsules of Colloidal Photonic Ink in Nonpolar Medium for Full Color E‐Skin Device
CN112533574B (zh) 动态化妆产品
KR102344492B1 (ko) 상 분리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76570B (zh) 电泳显示装置、显示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