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785A -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785A
KR20160144785A KR1020150081391A KR20150081391A KR20160144785A KR 20160144785 A KR20160144785 A KR 20160144785A KR 1020150081391 A KR1020150081391 A KR 1020150081391A KR 20150081391 A KR20150081391 A KR 20150081391A KR 20160144785 A KR20160144785 A KR 2016014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hysiologically active
active substance
cosmetic composition
encaps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239B1 (ko
Inventor
오한선
정영수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주)뷰티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뷰티화장품 filed Critical (주)뷰티화장품
Priority to KR102015008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23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 또는 유화제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계면활성제 등의 특유의 끈적임이나 이취가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정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경제적이고 간편한 공정으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고정을 제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품의 생산비용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NING ENCAPSULATED PHYSIOLOGICAL ACTIVATION MATERI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 개발되고 개선됨에 따라 소비자의 니즈(Needs) 또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용성분이나 유효성분(예 : 레티놀, 토코페롤 등)이 어떻게 사용되어졌느냐, 또는 유해성분이나 금지원료(예 : 계면활성제, 미네랄오일, 트리에탄올아민, 파라벤 등)가 첨가되지는 않았는지 꼼꼼하게 살펴보는 소비문화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미백, 주름방지 등의 생리활성 효과를 갖는 성분의 보호 및 사용자의 피부에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인체에 치명적으로 유해한 성분으로 알려진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생리활성물질을 캡슐화 하는 기술개발 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한편, 계면활성제 등의 유해물질을 배제하고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활용될 수 있는 원리는 하기의 두 가지 이다.
첫째, 계면장력은 일반적인 물질이 기체, 액체 고체 3가지 상으로 존재하는데, 이중 2가지 상의 경계면을 계면이라고 하며, 이러한 경계면을 최소화 하려는 힘을 계면장력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경계면을 최소화 하려는 힘의 최종 종착지는 완벽한 원형의 구체가 될 것이다(도 1).
둘째, 온도에 따른 상 변이 현상(도 2)에 대하여 설명하면, 물질은 일반적으로 온도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예로 들면,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관찰 가능한 물의 경우 0℃ 미만일 경우에는 고체상태로 존재하며, 100℃ 초과일 경우에는 기체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가온하여 녹인 액상 파라핀을 틀에 부어 심지를 꽂으면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양초가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필요성이 대두되었던 인체에 치명적으로 유해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술한 두 가지 원리를 활용하여 개발하게 되었다.
한편, 캡슐화된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2214호(캡슐화된 카본블랙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10-0997641호(분자캡슐화 된 붉나무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등의 유해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등의 유해성분을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고 경제적인 공정으로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화장료 조성물의 베이스로 사용되는 수화물 및 생리활성물질과 열-연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화물을 제조한 후 수화물에 유화물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냉각이 이루어지면 수화물과 유화물의 계면장력에 의해 구형의 캡슐을 형성하게 된다.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캡슐은 상온에서 고체이며, 피부에 적용시 체온과 마찰열, 압력에 의해 녹는 체온 감응형 열-연화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캡슐은 피부에 적용되기 전 까지는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며, 피부표면에 적용시에 체온, 마찰열 및 압력에 의해 캡슐이 녹고 파열됨에 따라 함유하고 있던 생리활성물질을 방출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의 구성물질은 미네랄오일(mineral oil), 디메치콘(dimethicone), 사이클로헥사실록산(cyclohexasiloxane),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아르간오일(argan oil), 동백오일(camellia japonica oil), 올리브오일(oilve oil), 비즈왁스(bees wax),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파라핀(paraffin),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코코아버터(cocoa butter), 쉐어버터(shea butter), 망고씨드버터,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세레신왁스(ceresin wax),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팔미틱애씨드(palmitic acid),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물질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캡슐은 피부에 적용 시 잘 녹아 도포 될 수 있도록 녹는점이 30℃ 내지 60℃ 사이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캡슐의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녹는점이 37℃ 이상이 되도록 하고, 상용성 및 발림성을 고려하면 녹는점이 47℃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생리활성물질은 레티놀(retinol), 토코페롤(tocopherol), 아르간트리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강황오일(Curcuma Aromatica Root Oil), 호오스팻(Horse Fat)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1) 정제수 또는 추출수에 글리세린(glycerin), 베타인(betaine), 판테놀(panthenol), 트레할로스(trehalose),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아데노신(adenosine),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acrylates), 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uimpolyacrylates), 폴리쿼터늄(polyquaterium)-10,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polycyloydimethyl taurate/VP copolymer),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hydroxyethyl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분산시켜 수화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2) 생리활성물질과 열-연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3) 상기 수화물 및 유화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4) 상기 (3)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1)단계의 수화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추출수는 알로에 추출수, 녹차 추출수, 선인장 추출수, 장미꽃 추출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조된 수화물을 6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로 가열하는 것이다.
또한 (1)단계에서 제조되는 수화물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것일 수 있고, 색상을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수용성 염료를 사용하여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수용성 염료로는 황색5호, 청색1호, 적색225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2)단계의 유화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생리활성물질은 레티놀(retinol), 토코페롤(tocopherol), 아르간트리커넬오일(Argania Spinosa Kernel Oil), 강황오일(Curcuma Aromatica Root Oil), 호오스팻(Horse Fat)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고, 열-연화성 물질은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올리브오일, 비즈왁스, 카나우바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파라핀,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코코아버터, 쉐어버터, 망고씨드버터, 폴리에틸렌, 세레신왁스,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제조된 유화물을 6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로 가열하는 것이다.
또한 (2)단계에서 제조되는 유화물은 반투명 또는 투명한 것일 수 있고, 색상을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유용성 염료를 사용하여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유용성 염료로는 녹색202호, 적색225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정제 또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계면활성제 등의 특유의 끈적임이나 이취가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경제적이고 간편한 공정으로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을 제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품의 생산비용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계면장력의 예시(연잎의 물방울)이다.
도 2 는 물질의 상변화 도표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공정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고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에 대한 모식도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고, 구체적인 제조공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4에 나타낸 제조공정에 따라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수화물의 제조
알로에 추출수(aloe barbadensis leaf extract)에 글리세린(glycerin), 베타인(betaine), 판테놀(panthenol), 트레할로스(trehalose),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아데노신(adenosine), 카보머(carbomer)를 용해시킨 후 65℃로 가열하여 수화물을 제조하였다.
(2) 유화물의 제조
폴리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poly C10-30 alkyl acrylate),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테트라헥실데실 아스코베이트(tetrahexyldecyl ascorbate), 레티놀(retino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향료(fragrance)를 혼합하고, 65℃로 가열하여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3) 수화물와 유화물을 혼합
상기 (1)에 의해 준비된 수화물에 상기 (2)에 의해 준비된 유화물을 서서히 투입하여 200rpm 조건의 패들믹서로 교반해 주었다.
(4) 냉각, 중화 및 첨가물의 첨가
상기 (3)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30℃로 냉각시킨 후에 트로메타민(tromethamine), 1,2-헥사디올(1,2-hexanediol), 오이추출물(cucumis sativus fruit extract), 감자추출물(solanum tuberosum pulp extract)로 이루어진 첨가물을 투입한 후 패들믹서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중화과정은 하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카보머 0.46%를 중화하기 위하여 상기 첨가물 중에 트로메타민 0.35% 함께 사용하였고, 중화온도 조건은 캡슐 생성이 완료되고 캡슐이 안정화 될 수 있도록 30℃ 이하의 온도에서 중화반응을 진행하며, 트로메타민을 포함하는 첨가물이 충분히 섞일 수 있도록 5 내지 10분간 교반해 주었다.
한편, 수화물, 유화물, 첨가제의 목록과 구체적인 함량비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원료명 함량(%)
수화물 1 알로에 추출수(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85.277
2 글리세린(glycerin) 5.000
3 베타인(betaine) 1.000
4 판테놀(panthenol) 0.100
5 트레할로스(trehalose) 0.500
6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20
7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2.000
8 아데노신(adenosine) 0.040
9 카보머(carbomer) 0.460
유화물 10 폴리C10-30알킬 아크릴레이트
(poly C10-30 alkyl acrylate)
0.500
1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0.500
12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칠헥사노에이트
(pentaerythrityl tetraethylhexanoate)
0.500
13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3.000
14 테트라헥실데실 아스코베이트
(tetrahexyldecyl ascorbate)
0.001
15 레티놀(retinol) 0.001
16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001
17 향료(fragrance) 0.050
첨가물 18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350
19 1,2-헥사디올(1,2-hexanediol) 0.500
20 오이추출물(cucumis sativus fruit extract) 0.100
21 감자추출물(solanum tuberosum pulp extract) 0.1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1)

  1.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열-연화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화성 물질은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올리브오일, 비즈왁스, 카나우바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파라핀,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코코아버터, 쉐어버터, 망고씨드버터, 폴리에틸렌, 세레신왁스,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녹는점은 37 내지 4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레티놀, 토코페롤, 아르간트리커넬오일, 강황오일), 호오스팻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1) 정제수 또는 추출수에 글리세린, 베타인, 판테놀, 트레할로스, 디소듐이디티에이, 나이아신아미드, 아데노신, 카보머, 아크릴레이트, 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쿼터늄-10,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분산시켜 수화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2) 생리활성물질과 열-연화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화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3) 상기 수화물 및 유화물을 혼합하는 단계와,
    (4) 상기 (3)단계에 의해 제조된 혼합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수화물을 6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생리활성물질은 레티놀, 토코페롤, 아르간트리커넬오일, 강황오일, 호오스팻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열-연화성 물질은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아르간오일, 동백오일, 올리브오일, 비즈왁스, 카나우바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파라핀, 폴리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코코아버터, 쉐어버터, 망고씨드버터, 폴리에틸렌, 세레신왁스, 스테아릭애씨드, 팔미틱애씨드, 세테아릴알코올, 세틸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유화물을 6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11. 제6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81391A 2015-06-09 2015-06-09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0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391A KR101701239B1 (ko) 2015-06-09 2015-06-09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391A KR101701239B1 (ko) 2015-06-09 2015-06-09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785A true KR20160144785A (ko) 2016-12-19
KR101701239B1 KR101701239B1 (ko) 2017-02-02

Family

ID=5773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391A KR101701239B1 (ko) 2015-06-09 2015-06-09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2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685A (zh) * 2018-10-24 2020-05-19 福建省梦娇兰日用化学品有限公司 一种含马油成分的儿童润肤霜
KR20200083776A (ko)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피티 오일분산형 이중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일분산형 이중캡슐
US20210029620A1 (en) * 2017-05-26 2021-01-28 Qualcom Incorporated Millimeter wave directional discovery signal design
US11185492B2 (en) 2018-12-14 2021-11-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445B1 (ko) * 1996-09-17 1999-02-01 이능희 화장료용 이중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48725A (ko) * 2001-12-13 2003-06-2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비타민 씨 안정화 캡슐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KR100654841B1 (ko) * 2005-06-27 2006-12-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부유사구조 및 조성을 갖고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촉진하는 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40011550A (ko) * 2012-07-12 2014-01-29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445B1 (ko) * 1996-09-17 1999-02-01 이능희 화장료용 이중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48725A (ko) * 2001-12-13 2003-06-2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비타민 씨 안정화 캡슐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KR100654841B1 (ko) * 2005-06-27 2006-12-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부유사구조 및 조성을 갖고 생리활성물질의 경피흡수를촉진하는 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나노입자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40011550A (ko) * 2012-07-12 2014-01-29 애경산업(주) 화장료용 오일 캡슐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29620A1 (en) * 2017-05-26 2021-01-28 Qualcom Incorporated Millimeter wave directional discovery signal design
US11711747B2 (en) * 2017-05-26 2023-07-25 Qualcomm Incorporated Millimeter wave directional discovery signal design
CN111166685A (zh) * 2018-10-24 2020-05-19 福建省梦娇兰日用化学品有限公司 一种含马油成分的儿童润肤霜
US11185492B2 (en) 2018-12-14 2021-11-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US11612559B2 (en) 2018-12-14 2023-03-28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US11883524B2 (en) 2018-12-14 2024-01-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KR20200083776A (ko)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케이피티 오일분산형 이중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일분산형 이중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239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JP6704897B2 (ja) カプセル化材料を含有する分散体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組成物
US9629790B2 (en) Stabilization of cosmetic compositions
KR102506973B1 (ko)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701239B1 (ko) 캡슐화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5883B1 (ko)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H0348604A (ja) 非親水性、リポイド状物質のスフィロイドを懸濁状で含む水性ゲル化粧用組成物
KR102480183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273972A2 (en) Ternary and quaternary wax-resin composites for use i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KR20200083776A (ko) 오일분산형 이중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일분산형 이중캡슐
JP3483543B2 (ja) ハイドロゲル粒子
KR102013619B1 (ko)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22174041A (ja) 界面活性剤フリー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
CN1615116A (zh) 油包水型乳化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乳化化妆料
KR101448847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7049858A (zh) 一种天然可食用口红
CN108498450B (zh) 一种高渗透性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JP4964739B2 (ja) 毛髪化粧料
KR101428474B1 (ko)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0440B1 (ko) 아데노신 및 유용성 감초 추출물의 리포좀 기술을 이용한안정화 기술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제조방법
KR100279073B1 (ko)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337010B1 (ko) 고함량 오일을 안정화시킨 반투명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01728B1 (ko)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102572589B1 (ko)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75094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저점도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