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439A - 산소, 수소 및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전자 밸브 - Google Patents

산소, 수소 및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전자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439A
KR20190132439A KR1020197031097A KR20197031097A KR20190132439A KR 20190132439 A KR20190132439 A KR 20190132439A KR 1020197031097 A KR1020197031097 A KR 1020197031097A KR 20197031097 A KR20197031097 A KR 20197031097A KR 20190132439 A KR20190132439 A KR 20190132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valve
core
valve seat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475B1 (ko
Inventor
료지 이찌야마
히데미쯔 오오카
히로키 야지마
Original Assignee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와 콘트롤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27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the fuel being gas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4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an obturating member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not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7/045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an obturating member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not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the member being a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72One-way valve the valve member being a diaphrag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90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2M2200/9015Elastomeric or plastic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 F02M63/0017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밸브체의 주성분을,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로 하고, 밸브체의 JIS K 6253 경도를 50∼90으로 조정하고, 밸브체의 인장 강도를 10∼35MPa로 조정하고, 밸브체의 절단시 신장을 100∼500%로 조정해 둔다. 밸브시트를,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해 둔다.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는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를 0.1배∼0.3배의 범위 내로 조정하고, 밸브체의 직경을 1.5배∼3.0배의 범위 내로 조정하고, 밸브체의 두께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하고, 밸브시트의 돌출 높이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하고,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을 2.0배∼5.0배로 조정해 둔다.

Description

산소, 수소 및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전자 밸브
본 발명은, 유로 내를 흐르는 산소, 수소 및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전자 밸브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연료 전지용의 전자 밸브는, 유로 내를 흐르는 산소와 수소와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53223호는, 그러한 내구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밸브체(弁體)를 알루미늄으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 전자 밸브의 구조로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53223호에 개시된 직동형의 구조(밸브체 주위가 가스 저류(貯留) 공간으로 되어 있다) 외에도,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95428호에 개시된 다이어프램형의 구조(밸브체 주위가 다이어프램부로 되어 있다)도 알려져 있다.
상술한 대로, 종래의 기술 문헌으로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53223호, 특개2002-195428호를 들 수 있다.
특개2006-153223호 특개2002-195428호
본건 발명자에 의한 각종 실험의 결과, 밸브체를 알루미늄으로 구성하는 것보다도, 밸브체의 주성분을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로 하는 편이, 산소와 수소와 물이 임의의 순서로 반복해서 통류(通流)하는 경우의 내구성이 높은 전자 밸브를 실현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것이 지견(知見)되었다.
그래서, 본건 발명자는, 산소와 수소와 물이 임의의 순서로 반복해서 통류한다고 하는 용도에 있어서, 수백 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긴 연속 동작시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는 전자 밸브의 상세한 설계에 대해서, 더욱더 검토를 거듭해 왔다.
그러한 시행 착오와 각종 실험을 반복하는 중에, 본건 발명자는,
[1] 밸브체의 주성분을,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로 하는 것
[2] 밸브체의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를 50∼90으로 조정해 두는 것,
[3] 밸브체의 인장 강도를 10∼35MPa로 조정해 두는 것,
[4] 밸브체의 절단시 신장(elongation)을 100∼500%로 조정해 두는 것,
[5] 밸브시트(弁座)를,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해 두는 것,
[6]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는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를 0.1배∼0.3배의 범위 내로 조정해 두는 것,
[7]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체의 직경(다이어프램형의 경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직경)을 1.5배∼3.0배의 범위 내로 조정해 두는 것,
[8]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체의 두께(다이어프램형의 경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두께)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해 두는 것,
[9]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시트의 돌출(盛上, protruding) 높이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해 두는 것,
[10]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을 2.0배∼5.0배로 조정해 두는 것
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수백 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긴 연속 동작시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지견에 근거해서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소와 수소와 물이 임의의 순서로 반복해서 통류한다고 하는 용도에 있어서, 수백 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긴 연속 동작시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는 전자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 코어와, 전자력의 작용을 받으면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상기 고정 코어측과는 반대측 단부(端部)에 마련된 밸브체와,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 코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통모양부와, 상기 통모양부의 상기 고정 코어측과는 반대측에 접속되고, 상기 밸브체가 착좌(着座) 가능한 고리모양으로 돌출된 밸브시트를 가지는 가스 유로 형성 부재와,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상기 이동 코어를 멀리 떼어놓는 방향으로 가압(urging)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해서 착좌시키는 것이 가능한 탄성체와, 상기 이동 코어에 상기 전자력을 작용시켜,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이동 코어를 상기 고정 코어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코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모양부 및/또는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이동 코어의 상기 밸브체 주위에,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가스 도입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의 외측 영역에, 가스 배출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과 상기 가스 배출로는, 상기 고정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와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 연통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를 주성분으로서 가지고 있으며,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50∼90이고, 인장 강도가 10∼35MPa이고, 절단시 신장이 100∼500%이고, 상기 밸브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상기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는, 0.1배∼0.3배의 범위 내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체의 직경은, 1.5배∼3.0배의 범위 내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체의 두께는, 0.3배 이상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시트의 돌출 높이는, 0.3배 이상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은, 2.0배∼4.0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밸브체의 주성분을,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로 하는 것
[2] 밸브체의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를 50∼90으로 조정해 두는 것,
[3] 밸브체의 인장 강도를 10∼35MPa로 조정해 두는 것,
[4] 밸브체의 절단시 신장을 100∼500%로 조정해 두는 것,
[5] 밸브시트를,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해 두는 것,
[6]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는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를 0.1배∼0.3배의 범위 내로 조정해 두는 것,
[7]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체의 직경을 1.5배∼3.0배의 범위 내로 조정해 두는 것,
[8]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체의 두께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해 두는 것,
[9]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시트의 돌출 높이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해 두는 것,
[10]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을 2.0배∼5.0배로 조정해 두는 것
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백 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긴 연속 동작시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본건 발명자에 의한 지견에 의하면, 상기 밸브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를 100부로 해서, 5∼30부의 MT 카본 블랙이 첨가 배합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구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본건 발명자에 의한 지견에 의하면, 상기 밸브체는,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6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구성이 보다 높아진다.
혹은, 본 발명은, 고정 코어와, 전자력의 작용을 받으면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상기 고정 코어측과는 반대측 단부에 마련된 밸브체와,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 코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통모양부와, 상기 통모양부의 상기 고정 코어측과는 반대측에 접속되고, 상기 밸브체가 착좌 가능한 고리모양으로 돌출된 밸브시트를 가지는 가스 유로 형성 부재와,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상기 이동 코어를 멀리 떼어놓는 방향으로 가압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해서 착좌시키는 것이 가능한 탄성체와, 상기 이동 코어에 상기 전자력을 작용시켜,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이동 코어를 상기 고정 코어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코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모양부 및/또는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에는, 상기 밸브체의 외주부에 마련된 다이어프램부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모양부 및/또는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고리모양으로 돌출된 밸브시트 주위에,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가스 도입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의 외측 영역에, 가스 배출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과 상기 가스 배출로는, 상기 고정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와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 연통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를 주성분으로서 가지고 있으며,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50∼90이고, 인장 강도가 10∼35MPa이고, 절단시 신장이 100∼500%이고, 상기 밸브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상기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는, 0.1배∼0.3배의 범위 내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직경은, 1.5배∼3.0배의 범위 내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두께는, 0.3배 이상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시트의 돌출 높이는, 0.3배 이상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은, 2.0배∼5.0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밸브체의 주성분을,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로 하는 것
[2] 밸브체의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를 50∼90으로 조정해 두는 것,
[3] 밸브체의 인장 강도를 10∼35MPa로 조정해 두는 것,
[4] 밸브체의 절단시 신장을 100∼500%로 조정해 두는 것,
[5] 밸브시트를,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해 두는 것,
[6]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는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를 0.1배∼0.3배의 범위 내로 조정해 두는 것,
[7]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체의 상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직경을 1.5배∼3.0배의 범위 내로 조정해 두는 것,
[8]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체의 상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두께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해 두는 것,
[9]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시트의 돌출 높이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해 두는 것,
[10]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을 2.0배∼5.0배로 조정해 두는 것
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백 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긴 연속 동작시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또한, 상기 밸브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를 100부로 해서, 5∼30부의 MT 카본 블랙이 첨가 배합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구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 이 경우도, 상기 밸브체는,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6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구성이 보다 높아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밸브체의 주성분을,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로 하는 것
[2] 밸브체의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를 50∼90으로 조정해 두는 것,
[3] 밸브체의 인장 강도를 10∼35MPa로 조정해 두는 것,
[4] 밸브체의 절단시 신장을 100∼500%로 조정해 두는 것,
[5] 밸브시트를,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해 두는 것,
[6]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마련되는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를 0.1배∼0.3배의 범위 내로 조정해 두는 것,
[7]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체의 직경(다이어프램형의 경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직경)을 1.5배∼3.0배의 범위 내로 조정해 두는 것,
[8]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체의 두께(다이어프램형의 경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두께)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해 두는 것,
[9]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밸브시트의 돌출 높이를 0.3배 이상으로 조정해 두는 것,
[10]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을 2.0배∼5.0배로 조정해 두는 것
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백 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긴 연속 동작시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자 밸브의 밸브폐색(閉弁)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자 밸브의 밸브개방(開弁)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자 밸브의 밸브폐색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자 밸브의 밸브개방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자 밸브의 밸브폐색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자 밸브의 밸브개방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자 밸브(1)는, 고정 코어(10)와, 전자력의 작용을 받으면 고정 코어(10)에 대해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코어(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코어(20)의 고정 코어(10)와는 반대측 단부에, 밸브체(25)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체(25)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구체적으로는, 상품명 「다이 엘 G-902」)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당해 삼원계 불소 고무를 100부로 해서 5∼30부의 MT 카본 블랙이 첨가 배합된 후, 가황(加硫)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구체적인 특성값의 1예는,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69이고, 인장 강도가 22.7MPa이고, 절단시 신장이 375%이다. 본건 발명자에 의한 각종 실험 결과에 의하면, 밸브체(25)의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는 50∼90, 특히 바람직하게는 60∼70, 밸브체(25)의 인장 강도는 10∼35MPa, 밸브체(25)의 절단시 신장은 100∼500%의 범위인 것이 호적(好適)하다.
그리고, 고정 코어(10)에는, 이동 코어(20)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모양부(31)가 고정되어 있다. 통모양부(31)의 고정 코어(10)와는 반대측에, 밸브체(25)가 착좌하는 고리모양의 밸브시트(33)를 가지는 가스 유로 형성 부재(30)가 접속되어 있다. 밸브시트(33)는, 스테인리스 스틸제로서, 당해 밸브시트(33)의 외측 영역으로부터 고정 코어(10)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모양부(31)와 가스 유로 형성 부재(30)는, 2개의 스페이서 부재(36a, 36b), 링 코어 부재(37), 링 부재(38), 및, O링(39)을 거쳐 접속되어 있다. 당연히, 양자의 접속의 구체적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밸브시트(33)의 내측 영역에, 단면(斷面)이 원형인 가스 도입구멍(32)(가스 도입로)이 마련되어 있다. 가스 도입구멍(32)은, 밸브체(25)가 밸브시트(33)에 착좌함으로써, 통상시에는 폐색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도입구멍(32)에는, 당해 가스 도입구멍(32)에 수소, 산소, 및, 물을 임의의 순서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밸브시트(33)의 외측 영역에, 가스 배출구멍(35)(가스 배출로)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 코어(10)와 이동 코어(20) 사이에는, 고정 코어(10)에 대해서 이동 코어(20)를 멀리 떼어놓는 방향으로 가압해서 밸브체(25)를 밸브시트(33)에 착좌시키는 스프링(15)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15)은, 마찬가지 기능을 하는 다른 종류의 탄성체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이동 코어(20)에 전자력을 작용시켜, 스프링(1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 코어(20)를 고정 코어(10)에 접근시킴으로써, 밸브체(25)를 밸브시트(33)(가스 도입구멍(32))로부터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코일부(23)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 코일부(23)는, 배선을 거쳐,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통모양부(31) 및 가스 유로 형성 부재(30)는, 이동 코어(20)의 밸브체(25) 주위에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34)을 가지고 있다. 가스 저류 공간(34)은, 밸브시트(33)의 축선 둘레로 회전 대칭인 원통모양을 가지고 있다. 가스 저류 공간(34)의 고정 코어(10)측과는 반대측 단부면(端面)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시트(33)를 제외하고 평탄하며, 밸브시트(33)의 돌출 높이를 규정하고 있다.
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 저류 공간(34)과 가스 배출구멍(35)은, 고정 코어(10)와 이동 코어(20)와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즉, 스프링(15)의 신축 상태의 여하에 관계없이), 서로의 연통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도입구멍(32)의 내경이, 2.3㎜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2.0∼4.0㎜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해 가스 도입구멍(32)의 내경을 기준으로 해서, 각 부재의 치수가 조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25)의 직경은, 가스 도입구멍(32)의 내경의 2.0배(1.5배∼3.0배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밸브체(25)의 두께는, 가스 도입구멍(32)의 내경의 0.7배(0.3배 이상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밸브시트(33)의 돌출 높이는, 가스 도입구멍(32)의 내경의 0.7배(0.3배 이상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34)의 내경은, 4.0배(2.0배∼5.0배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코일부(23)에 의해서 이동 코어(20)가 이동하는 거리는, 가스 도입구멍(32)의 내경의 0.2배(0.1배∼0.3배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시에 있어서는, 고정 코어(10)와 이동 코어(20)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서, 고정 코어(10)에 대해서 이동 코어(20)가 멀리 떼어놓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밸브체(25)가 밸브시트(33)에 착좌해서 가스 도입구멍(32)은 닫혀 있다.
밸브개방 지령이 입력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를 거쳐 전자 코일부(23)가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전자 코일부(23)는, 이동 코어(20)에 전자력을 작용시켜, 스프링(1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 코어(20)를 고정 코어(10)에 접근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밸브체(25)가 가스 도입구멍(32)으로부터 떨어지고, 전자 밸브(1)가 개방된다.
그 다음에, 밸브폐색 지령이 입력되어, 전자 코일부(23)의 구동이 정지되면, 전자력이 소실되기 때문에 이동 코어(20)는 다시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서 고정 코어(10)로부터 떼어놓아진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25)가 다시 밸브시트(33)에 착좌해서 가스 배출구멍(32)이 닫혀진다.
통류 매체의 흐름에 주목하면, 통상시에 있어서 가스 도입구멍(32) 내에 공급되고 있는 가스(수소 내지는 산소)나 물은, 가스 도입구멍(32)이 밸브체(25)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는 경우, 가스 배출구멍(32)으로 통류할 수가 없다.
밸브개방 지령이 입력되어, 전자 코일부(23)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서, 밸브체(25)가 밸브시트(33)로부터 떨어지면, 가스 도입구멍(32) 내에 공급되고 있던 가스(수소 내지는 산소)나 물이, 가스 저류 공간(34)를 거쳐 가스 배출구멍(35)으로 통류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 밸브(1)의 각 부의 치수 상의 조정과, 전술한 바와 같은 밸브체(25)의 재료 선택 내지는 특성값의 조정이 합치어(서로 어울려서), 특히 산소와 수소와 물이 임의의 순서로 반복해서 통류한다고 하는 용도(예를 들면 연료 전지용의 전자 밸브)에 있어서, 수백 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긴 연속 동작시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자 밸브의 밸브폐색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된 전자 밸브의 밸브개방 상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자 밸브(101)도, 고정 코어(110)와, 전자력의 작용을 받으면 고정 코어(110)에 대해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코어(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동 코어(120)의 고정 코어(110)와는 반대측 단부에, 밸브체(125)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밸브체(125)도, 제1 실시형태의 밸브체(25)와 마찬가지로,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구체적으로는, 「다이 엘 G-902」)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당해 삼원계 불소 고무를 100부로 해서 5∼30부의 MT 카본 블랙이 첨가 배합된 후, 가황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구체적인 특성값의 1예는,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69이고, 인장 강도가 22.7MPa이고, 절단시 신장이 375%이다. 본건 발명자에 의한 각종 실험 결과에 의하면, 밸브체(125)에 대해서도,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는 50∼90, 특히 바람직하게는 60∼70, 인장 강도는 10∼35MPa, 절단시 신장은 100∼500%의 범위인 것이 호적하다. (이들 특성값은, 밸브체(125)의 성형 전의 상태(소재의 상태)와 성형 후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상위(相違)하지 않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밸브체(125)는, 외주부에 다이어프램부(125d)가 마련되어 있고, 당해 다이어프램부(125d)의 둘레가장자리부가, 후술하는 가스 유로 형성 부재(130) 및 링 부재(138)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코어(110)에는, 이동 코어(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모양부(131)가 고정되어 있고, 통모양부(131)의 고정 코어(110)와는 반대측에, 밸브체(125)가 착좌하는 고리모양의 밸브시트(133)를 가지는 가스 유로 형성 부재(130)가 접속되어 있다. 밸브시트(133)는, 스테인리스 스틸제로서, 당해 밸브시트(133)의 외측 영역으로부터 고정 코어(110)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모양부(131)와 가스 유로 형성 부재(130)는, 스페이서 부재(136), 링 코어 부재(137), 및, 링 부재(138)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당연히, 양자의 접속의 구체적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밸브시트(133)의 내측 영역에, 단면이 원형인 가스 도입구멍(132)(가스 도입로)이 마련되어 있다. 가스 도입구멍(132)은, 밸브체(125)가 밸브시트(133)에 착좌함으로써, 통상시에는 폐색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도입구멍(132)에는, 당해 가스 도입구멍(132)에 수소, 산소, 및, 물을 임의의 순서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밸브시트(133)의 외측 영역에, 가스 배출구멍(135)(가스 배출로)이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고정 코어(110)와 이동 코어(120) 사이에는, 고정 코어(110)에 대해서 이동 코어(120)를 멀리 떼어놓는 방향으로 가압해서 밸브체(125)를 밸브시트(133)에 착좌시키는 스프링(115)이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115)은, 마찬가지 기능을 하는 다른 종류의 탄성체로 치환될 수 있다.
한편, 이동 코어(120)에 전자력을 작용시켜, 스프링(11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 코어(120)를 고정 코어(110)에 접근시킴으로써, 밸브체(125)를 밸브시트(133)(가스 도입구멍(132))로부터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코일부(123)가 마련되어 있다. 전자 코일부(123)는, 배선을 거쳐,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통모양부(131) 및 가스 유로 형성 부재(130)는, 밸브시트(133) 주위에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134)을 가지고 있다. 가스 저류 공간(134)은, 밸브시트(133)의 축선 둘레로 회전 대칭인 원통모양을 가지고 있다. 가스 저류 공간(134)의 고정 코어(110)측과는 반대측 단부면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시트(133)를 제외하고 평탄하며, 밸브시트(133)의 돌출 높이를 규정하고 있다.
또,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 저류 공간(134)과 가스 배출구멍(135)은, 고정 코어(110)와 이동 코어(120)와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즉, 스프링(115)의 신축 상태의 여하에 관계없이), 서로 연통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도입구멍(132)의 내경이, 2.3㎜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2.0∼4.0㎜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도, 당해 가스 도입구멍(132)의 내경을 기준으로 해서, 각 부재의 치수가 조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체(125)의 다이어프램부(125d)의 내측 영역의 직경은, 가스 도입로(132)의 내경의 2.0배(1.5배∼3.0배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밸브체(125)의 다이어프램부(125d)의 내측 영역의 두께는, 가스 도입구멍(132)의 내경의 0.7배(0.3배 이상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밸브시트(133)의 돌출 높이는, 가스 도입구멍(132)의 내경의 2.0배(0.3배 이상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134)의 내경은, 4.0배(2.0배∼5.0배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코일부(123)에 의해서 이동 코어(120)가 이동하는 거리는, 가스 도입구멍(132)의 내경의 0.2배(0.1배∼0.3배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로 조정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시에 있어서는, 고정 코어(110)와 이동 코어(120)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115)의 가압력에 의해서, 고정 코어(110)에 대해서 이동 코어(120)가 멀리 떼어놓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밸브체(125)가 밸브시트(133)에 착좌해서 가스 도입구멍(132)은 닫혀 있다.
밸브개방 지령이 입력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를 거쳐 전자 코일부(123)가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전자 코일부(123)는, 이동 코어(120)에 전자력을 작용시켜, 스프링(11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이동 코어(120)를 고정 코어(110)에 접근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밸브체(125)의 다이어프램부(125d)가 변형해서, 밸브체(125)가 가스 도입구멍(132)으로부터 떨어지고, 전자 밸브(101)가 개방된다.
그 다음에, 밸브폐색 지령이 입력되어, 전자 코일부(123)의 구동이 정지되면, 전자력이 소실되기 위해 이동 코어(120)는 다시 스프링(115)의 가압력에 의해서 고정 코어(110)로부터 멀리 떼어놓아진다. 이것에 의해, 밸브체(125)의 다이어프램부(125d)가 변형해서, 밸브체(125)가 다시 밸브시트(133)에 착좌하여 가스 배출구멍(132)이 닫혀진다.
통류 매체의 흐름에 주목하면, 통상시에 있어서 가스 도입구멍(132) 내에 공급되고 있는 가스(수소 내지는 산소)나 물은, 가스 도입구멍(132)이 밸브체(125)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는 경우, 가스 배출구멍(132)으로 통류할 수가 없다.
밸브개방 지령이 입력되어, 전자 코일부(123)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서, 밸브체(125)가 밸브시트(133)로부터 떨어지면, 가스 도입구멍(132) 내에 공급되고 있던 가스(수소 내지는 산소)나 물이, 가스 저류 공간(134)을 거쳐 가스 배출구멍(135)으로 통류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 밸브(101)의 각 부의 치수 상의 조정과, 전술한 바와 같은 밸브체(125)의 재료 선택 내지는 특성값의 조정이 합치어(서로 어울려서), 특히 산소와 수소와 물이 임의의 순서로 반복해서 통류한다고 하는 용도(예를 들면 연료 전지용의 전자 밸브)에 있어서, 수백 시간 이상이라고 하는 매우 긴 연속 동작시의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 전자 밸브
10: 고정 코어
15: 스프링
20: 이동 코어
23: 전자 코일부
25: 밸브체
30: 가스 유로 형성 부재
31: 통모양부
32: 가스 도입구멍
33: 밸브시트
34: 가스 저류 공간
35: 가스 배출구멍
36a, 36b: 스페이서 부재
37: 코어 링 부재
38: 링 부재
39: O링
101: 전자 밸브
110: 고정 코어
115: 스프링
120: 이동 코어
123: 전자 코일부
125: 밸브체
125d: 다이어프램부
130: 가스 유로 형성 부재
131: 통모양부
132: 가스 도입구멍
133: 밸브시트
134: 가스 저류 공간
135: 가스 배출구멍
136: 스페이서 부재
137: 코어 링 부재
138: 링 부재

Claims (8)

  1. 고정 코어와,
    전자력의 작용을 받으면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상기 고정 코어측과는 반대측 단부에 마련된 밸브체와,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 코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통모양부와,
    상기 통모양부의 상기 고정 코어측과는 반대측에 접속되고, 상기 밸브체가 착좌 가능한 고리모양으로 돌출된 밸브시트를 가지는 가스 유로 형성 부재와,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상기 이동 코어를 멀리 떼어놓는 방향으로 가압(urging)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해서 착좌시키는 것이 가능한 탄성체와,
    상기 이동 코어에 상기 전자력을 작용시켜,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이동 코어를 상기 고정 코어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코일부
    를 구비하고,
    상기 통모양부 및/또는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이동 코어의 상기 밸브체 주위에,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가스 도입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의 외측 영역에, 가스 배출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과 상기 가스 배출로는, 상기 고정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와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 연통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를 주성분으로서 가지고 있으며,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50∼90이고, 인장 강도가 10∼35MPa이고, 절단시 신장(elongation)이 100∼500%이고,
    상기 밸브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상기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는, 0.1배∼0.3배의 범위 내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체의 직경은, 1.5배∼3.0배의 범위 내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체의 두께는, 0.3배 이상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시트의 돌출 높이는, 0.3배 이상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은, 2.0배∼5.0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를 100부로 해서, 5∼30부의 MT 카본 블랙이 첨가 배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6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도입로에 대해서, 수소, 산소, 및, 물을 공급하는 공급 기구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5. 고정 코어와,
    전자력의 작용을 받으면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의 상기 고정 코어측과는 반대측 단부에 마련된 밸브체와,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 코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통모양부와,
    상기 통모양부의 상기 고정 코어측과는 반대측에 접속되고, 상기 밸브체가 착좌 가능한 고리모양으로 돌출된 밸브시트를 가지는 가스 유로 형성 부재와,
    상기 고정 코어에 대해서 상기 이동 코어를 멀리 떼어놓는 방향으로 가압해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에 대해서 착좌시키는 것이 가능한 탄성체와,
    상기 이동 코어에 상기 전자력을 작용시켜, 상기 탄성체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이동 코어를 상기 고정 코어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로부터 개방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코일부
    를 구비하고,
    상기 통모양부 및/또는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에는, 상기 밸브체의 외주부에 마련된 다이어프램부의 둘레가장자리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통모양부 및/또는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고리모양으로 돌출된 밸브시트 주위에,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의 내측 영역에, 가스 도입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가스 유로 형성 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의 외측 영역에, 가스 배출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과 상기 가스 배출로는, 상기 고정 코어와 상기 이동 코어와의 상대 위치에 관계없이 연통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를 주성분으로서 가지고 있으며,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50∼90이고, 인장 강도가 10∼35MPa이고, 절단시 신장이 100∼500%이고,
    상기 밸브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전자 코일부에 의해서 상기 이동 코어가 이동하는 거리는, 0.1배∼0.3배의 범위 내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직경은, 1.5배∼3.0배의 범위 내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다이어프램부에 대한 내측 영역의 두께는, 0.3배 이상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밸브시트의 돌출 높이는, 0.3배 이상이고, 상기 가스 배출로의 내경에 대해서, 상기 고리모양의 가스 저류 공간의 내경은, 2.0배∼5.0배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비닐리덴 플루오로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삼원계 불소 고무를 100부로 해서, 5∼30부의 MT 카본 블랙이 첨가 배합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JIS K 6253에서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 A에 의해 측정되는 경도가 60∼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도입로에 대해서, 수소, 산소, 및, 물을 공급하는 공급 기구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밸브.
KR1020197031097A 2017-04-03 2018-04-03 산소, 수소 및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전자 밸브 KR102414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73850 2017-04-03
JP2017073850A JP6153684B1 (ja) 2017-04-03 2017-04-03 酸素、水素及び水に対する耐久性を有する電磁弁
PCT/JP2018/014261 WO2018186393A1 (ja) 2017-04-03 2018-04-03 酸素、水素及び水に対する耐久性を有する電磁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439A true KR20190132439A (ko) 2019-11-27
KR102414475B1 KR102414475B1 (ko) 2022-06-28

Family

ID=5921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097A KR102414475B1 (ko) 2017-04-03 2018-04-03 산소, 수소 및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전자 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8816B2 (ko)
EP (1) EP3608568B1 (ko)
JP (1) JP6153684B1 (ko)
KR (1) KR102414475B1 (ko)
CN (1) CN110475996B (ko)
TW (1) TWI665402B (ko)
WO (1) WO2018186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7826B (zh) * 2018-11-07 2021-12-21 伸和控制工业股份有限公司 调温系统
JP7447414B2 (ja) 2019-09-26 2024-03-12 ニデックパワートレイ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弁
DE102019215285A1 (de) * 2019-10-04 2021-04-08 Robert Bosch Gmbh Brennstoffzellenschließsystem
US20220395939A1 (en) * 2019-12-18 2022-12-15 Shinwa Controls Co., Ltd Method of attaching diaphragm member to diaphragm boss and robot arm apparatus configured to attach diaphragm member to diaphragm boss
EP4299958A1 (de) * 2022-06-13 2024-01-03 Innovatherm Prof. Dr. Leisenberg GmbH & Co. KG Ventil und verfahren zum betrieb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539A (en) * 1992-04-13 1993-12-14 Trw Inc. Hydraulic shaft seal
EP0942214A1 (en) * 1996-12-01 1999-09-15 FUJIKIN Inc. Fluid control valve and fluid supply/exhaust system
JP2002195428A (ja) 2000-12-27 2002-07-10 Shinwa Controls Co Ltd ダイヤフラム型電磁弁
JP2006153223A (ja) 2004-11-30 2006-06-15 Keihin Corp 燃料電池用集積型弁装置
KR100723396B1 (ko) * 2005-12-02 2007-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봉지재,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EP2765159A1 (en) * 2011-09-30 2014-08-13 Daikin Industries, Ltd. Crosslinkable fluorine rubber composition, fluorine rubber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5133573A1 (ja) * 2014-03-05 2015-09-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フッ素ゴム成形品
US20170037973A1 (en) * 2012-12-28 2017-02-0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France Seal for a valve and valve incorporating such a se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97A (zh) * 1993-08-26 1994-04-13 梧州市火柴厂 自保持微功耗膜片式直流电磁阀
US20070241298A1 (en) 2000-02-29 2007-10-18 Kay Herbert Electromagnet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uid flow
US6409147B1 (en) * 2000-06-13 2002-06-25 Thomas M. Kenny Thermally operated valve for automatically modulating the flow of fluids
JP5239857B2 (ja) * 2006-06-23 2013-07-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パーオキサイド架橋用フッ素ゴム組成物およびゴム積層体の製造方法
FR2922984B1 (fr) * 2007-10-31 2013-09-27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Vanne ayant un joint rigide
IT1395777B1 (it) * 2009-09-09 2012-10-19 Elbi Int Spa Gruppo elettrovalvolare per il controllo del flusso di un fluido,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lavatrici
KR101537179B1 (ko) * 2011-01-05 2015-07-15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소 고무 성형품
EP3263869B1 (en) * 2016-06-30 2023-05-03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Metering valv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9539A (en) * 1992-04-13 1993-12-14 Trw Inc. Hydraulic shaft seal
EP0942214A1 (en) * 1996-12-01 1999-09-15 FUJIKIN Inc. Fluid control valve and fluid supply/exhaust system
JP2002195428A (ja) 2000-12-27 2002-07-10 Shinwa Controls Co Ltd ダイヤフラム型電磁弁
JP2006153223A (ja) 2004-11-30 2006-06-15 Keihin Corp 燃料電池用集積型弁装置
KR100723396B1 (ko) * 2005-12-02 2007-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봉지재,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EP2765159A1 (en) * 2011-09-30 2014-08-13 Daikin Industries, Ltd. Crosslinkable fluorine rubber composition, fluorine rubber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70037973A1 (en) * 2012-12-28 2017-02-0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France Seal for a valve and valve incorporating such a seal
WO2015133573A1 (ja) * 2014-03-05 2015-09-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フッ素ゴム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53684B1 (ja) 2017-06-28
CN110475996B (zh) 2021-06-15
EP3608568B1 (en) 2023-01-25
KR102414475B1 (ko) 2022-06-28
US20190376611A1 (en) 2019-12-12
EP3608568A4 (en) 2020-12-30
CN110475996A (zh) 2019-11-19
TW201837355A (zh) 2018-10-16
US11098816B2 (en) 2021-08-24
JP2018179019A (ja) 2018-11-15
TWI665402B (zh) 2019-07-11
WO2018186393A1 (ja) 2018-10-11
EP3608568A1 (en) 202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439A (ko) 산소, 수소 및 물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는 전자 밸브
CN107110381B (zh) 自动对准的阀密封件
KR102107330B1 (ko) 전자 밸브
US9194501B2 (en) Pressure balanced spring loaded overtravel sealing apparatus
US10534379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EP3658807B1 (en)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valves
US20180038317A1 (en) Gas fuel supply apparatus
JP7197132B2 (ja) レギュレータ
US9856992B2 (en) Solenoid valve
KR102244779B1 (ko) 가스밸브장치
KR20150063398A (ko) 잔류압력 밸브 장치 및 이런 장치를 포함하는 밸브와 실린더
JP4633489B2 (ja) 軽操作水栓
JP2008064255A (ja) パイロット式流調弁
EP3043114B1 (de) Regelventilvorrichtung
US9684315B2 (en) Control valve
WO2018233911A1 (de) Proportionalventil zum steuern eines gasförmigen mediums
JP2018040480A (ja) 湯水混合弁
US20130098488A1 (en) High pressure polymer valve plug components and systems
JP2005282838A (ja) 電磁弁
JP2005157913A (ja) 圧力調整器
DE102017206389A1 (de) Proportionalventil zum Steuern eines gasförmigen Mediums
JP2017155879A (ja) 減圧弁とそれを備えた等圧弁と気体混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