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914A - 지폐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914A
KR20190131914A KR1020180056919A KR20180056919A KR20190131914A KR 20190131914 A KR20190131914 A KR 20190131914A KR 1020180056919 A KR1020180056919 A KR 1020180056919A KR 20180056919 A KR20180056919 A KR 20180056919A KR 20190131914 A KR20190131914 A KR 20190131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tape
drum
storage devic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771B1 (ko
Inventor
안병만
선동훈
최순호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7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8Rollers composed of several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축과 릴축 및 가이드롤러축의 평행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테이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폐 저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 저장 장치는, 지폐와 테이프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어진 테이프를 권취하는 릴; 상기 드럼과 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역크라운 형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지폐 저장 장치{Paper money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지폐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축과 릴축 및 가이드롤러축의 평행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테이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폐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지폐입출금기, 수표나 증서의 회수 발행기 등에는 지폐를 수납하고 방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지폐 저장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일례로 드럼에 테이프와 지폐를 감아서 수납하고, 릴을 감고 드럼을 되감아 지폐를 방출하고 테이프는 릴에 감는 방식으로 구성된 지폐 저장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이 드럼과 릴을 구비한 지폐 저장 장치는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 제작이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크기가 서로 다른 지폐의 저장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종래 드럼과 릴을 구비한 지폐 저장 장치는, 지폐와 함께 지폐의 양면을 협지하는 이중의 테이프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어진 테이프를 권취하는 릴을 포함한다. 상기 이중의 테이프의 일단은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은 두 개의 릴에 각각 고정된다.
지폐의 수납시, 지폐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드럼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두 개의 릴에 감겨 있던 테이프가 각각 되감겨 드럼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지폐입출구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그 양면이 상기 테이프에 각각 협지되어 드럼 측으로 이송되어, 드럼의 외주면에 테이프와 지폐가 함께 감기게 된다.
상기 드럼과 릴 사이에는 테이프의 경로를 전환하기 위해 테이프와 접촉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데, 드럼과 릴 및 가이드롤러의 각 중심에 결합되는 드럼축과 릴축 및 가이드롤러축의 평행도가 제작공차 또는 조립공차에 의해 상호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롤러와 접촉되는 테이프가 좌우로 요동함에 따라 테이프의 측단이 가이드롤러와 마찰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66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드럼축과 릴축 및 가이드롤러축의 평행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테이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폐 저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 저장 장치는, 지폐와 테이프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어진 테이프를 권취하는 릴; 상기 드럼과 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역크라운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의 양측단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함몰된 깊이가 점차 크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는 상기 테이프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마찰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릴과 테이프는 이중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중의 테이프 사이에 상기 지폐가 협지되고, 상기 이중의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테이프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상기 역크라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중의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테이프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럼과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하나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드럼과 릴에 각각 전달하기 위해 기어결합되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저장 장치에 의하면, 테이프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을 역크라운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외측면에 마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드럼축과 릴축 및 가이드롤러축의 평행도가 상호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테이프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 사출 성형 또는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므로,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 마찰부재를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저장 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저장 장치의 주요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저장 장치의 지폐 수납 초기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저장 장치의 지폐 수납 완료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저장 장치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가이드부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 저장 장치(1)는, 지폐의 폭 방향 중간부의 양면을 소정의 폭으로 협지하는 이중의 테이프(30,30a)와 그 사이에 협지되는 지폐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10)과, 상기 드럼(10)으로부터 풀어내어지는 테이프(30,30a)를 권취하는 릴(20,20a)과, 상기 드럼(10)과 릴(20,20a)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30,30a)와 접촉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40,40a)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P)가 투입되는 투입부에는 지폐(P)의 양면에 테이프(30,30a)가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협지롤러(50,50a)가 구비되고, 하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롤러(40a)와 협지롤러(50a) 사이에 테이프(30a)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중간롤러(6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0)에 일단이 고정된 테이프(30,30a) 중 지폐(P)의 상면을 협지하는 테이프(20)는 지폐 투입부 근방에 구비된 협지롤러(50)와 가이드롤러(40)를 거쳐서 그 타단이 릴(20)에 고정되고, 상기 지폐(P)의 하면을 협지하는 테이프(20a)는 지폐 투입부 근방에 구비된 협지롤러(50a)와 상기 복수의 중간롤러(61,62) 및 가이드롤러(40a)를 거쳐서 그 타단이 릴(20a)에 고정된다.
상기 드럼(10)의 하부 둘레에는 지폐(P)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하부가이드(7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상측에는 지폐(P)의 투입부를 형성하며 대향된 위치에 한 쌍의 상부가이드(80; 81,82)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가이드(70)에는 드럼(10)의 외주면 또는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테이프(30a)와 접촉되며 회전되는 핀치롤러(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10)과 릴(20,20a) 및 가이드롤러(40,40a)는, 각각 이들 중심에 결합된 드럼축(11)과 릴축(21,21a) 및 가이드롤러축(41,41a)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드럼축(11)과 릴축(21,21a) 및 가이드롤러축(41,41a)은 본체(1a)에 고정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드럼(10)으로 지폐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드럼(10)의 일방향(시계 방향) 회전 및 릴(20,20a)의 반대방향(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릴(20,20a)에 권취되어 있던 테이프(30,30a)가 풀어내어지고, 지폐(P)와 그 양면을 협지한 테이프(30,30a)가 함께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드럼(10)으로부터 지폐를 방출하는 경우에는, 드럼(10)의 반대 방향(반시계 방향) 회전 및 릴(20,20a)의 일방향(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드럼(10)에 권취되어 있던 지폐(P)와 테이프(30,30a)가 풀어내어지고, 지폐(P)는 한 쌍의 상부가이드(81,82) 사이에 형성되는 반송로를 통해 지폐 저장 장치(1)의 외부로 반송되고, 지폐(P)와 분리된 테이프(30,30a)는 각각 릴(20,20a)의 외주면에 권취된다.
한편,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폐 저장 장치(1)는, 상기 드럼(10)과 릴(20,20a)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90)는, 하나의 구동모터(91)와, 상기 구동모터(91)의 구동력을 상기 드럼(10)과 릴(20,20a)에 각각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92,93,94,95,96)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구동모터(91)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92)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92)에는 제1릴기어(93)와 제2릴기어(94)가 기어결합된다. 상기 제1릴기어(93)는 상측에 위치한 릴축(21)에 결합되고, 상기 제2릴기어(94)는 하측에 위치한 릴축(21a)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92)의 일측으로 구동모터(91)의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기어(92)와 대응하는 제2구동기어(미도시됨)가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기어에는 중계기어(95)가 기어결합되며, 상기 중계기어(95)에는 드럼축(11)에 결합된 드럼기어(96)가 기어결합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90)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구동모터(91)를 이용하여 드럼(10)과 릴(20,20a)을 동시에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드럼(10)과 릴(20,20a)의 회전을 위한 동력전달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테이프(30)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40-1)은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역크라운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역크라운 형상’은 상기 가이드롤러(4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에서 상기 가이드롤러(40)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함몰된 깊이가 점차 크게 형성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가이드롤러(40)의 회전중심’은 상기 가이드롤러축(41)의 중심 축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을 역크라운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드럼축(11)과 릴축(21,21a) 및 가이드롤러축(41)의 평행도가 상호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테이프(30)가 역크라운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에 역크라운 형상으로 변형되며 밀착되므로, 테이프(30)가 가이드롤러(40)의 측방향으로 요동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이었던 테이프의 양측단과 가이드롤러 간의 마찰에 의한 테이프의 파손이 방지되어, 테이프(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중앙에는 가이드롤러축(41)이 관통되고,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양측부와 가이드롤러축(41) 사이에는 가이드롤러(40)와 가이드롤러축(41)의 상대회전을 위한 베어링(43a,43b)이 결합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베어링(43a,43b)의 내륜은 가이드롤러축(41)에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43a,43b)의 외륜은 가이드롤러(40)에 고정되며, 상기 베어링(43a,43b)의 외륜과 내륜은 베어링 볼 등의 미끄럼수단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43a,43b)의 일측에는 베어링(43a,43b)의 내륜을 가이드롤러축(41)에 고정하기 위한 스냅링(44a,44b)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40-1)에는 상기 테이프(30)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마찰부재(42)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42)는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마찰부재(42)는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에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마찰부재(42)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40-1)에 끼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찰부재(42)를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40-1)에 사출 성형 또는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40-1)에 마찰부재(42)를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중의 테이프(30,30a) 중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테이프(30)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40-1)은 상기 역크라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중의 테이프(30,30a) 중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테이프(30a)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40a)의 외측면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드럼축(11)과 릴축(21,21a) 및 가이드롤러축(41)의 평행도가 상호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지폐의 수납 또는 방출 동작이 수행되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테이프(30)는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테이프(30a)에 비하여 좌우로 요동하는 폭이 크고 이에 따라 파손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상기 테이프(30)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40-1)은 역크라운 형상으로 구성한다.
이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테이프(30a)는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요동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테이프(30a)가 파손될 위험성이 낮으므로 가공이 용이하고 저가인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의 일정한 곡률을 갖는 가이드롤러(40a)로 구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도 8에서 도면부호‘H’는 일정한 곡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도 9에는 가이드롤러(40)의 외측면(40-1)이 역크라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에 결합된 마찰부재(42)의 외측면(42-1)과 테이프(30) 또한 역크라운 형상으로 변형되어 테이프(30)의 밀착력이 향상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지폐 저장 장치 1a : 본체
10 : 드럼 11 : 드럼축
20,20a : 릴 21,21a : 릴축
30,30a : 테이프 40,40a : 가이드롤러
40-1 : 가이드롤러의 외측면 41,41a : 가이드롤러축
42 : 마찰부재 42-1 : 마찰부재의 외측면
43a,43b : 베어링 44a,44b : 스냅링
50,50a : 협지롤러 61,62 : 중간롤러
70 : 하부가이드 71 : 핀치롤러
80,81,82 : 상부가이드 90 : 동력전달부
91 : 구동모터 92 : 구동기어
93 : 제1릴기어 94 : 제2릴기어
95 : 중계기어 96 : 드럼기어
P : 지폐

Claims (8)

  1. 지폐와 테이프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어진 테이프를 권취하는 릴;
    상기 드럼과 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며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테이프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된 역크라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상기 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의 양측단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함몰된 깊이가 점차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는 상기 테이프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마찰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저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저장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저장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에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저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과 테이프는 이중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중의 테이프 사이에 상기 지폐가 협지되고,
    상기 이중의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테이프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상기 역크라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중의 테이프 중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테이프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의 외측면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저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하나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드럼과 릴에 각각 전달하기 위해 기어결합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저장 장치.
KR1020180056919A 2018-05-18 2018-05-18 지폐 저장 장치 KR10208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919A KR102088771B1 (ko) 2018-05-18 2018-05-18 지폐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919A KR102088771B1 (ko) 2018-05-18 2018-05-18 지폐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914A true KR20190131914A (ko) 2019-11-27
KR102088771B1 KR102088771B1 (ko) 2020-03-13

Family

ID=6872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919A KR102088771B1 (ko) 2018-05-18 2018-05-18 지폐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7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135B1 (ko) * 1997-11-24 2000-04-15 윤종용 전자사진방식 프린팅장치용 가이드 롤러
JP2006069708A (ja) * 2004-08-31 2006-03-16 Glory Ltd 紙幣収納繰出装置
KR101098653B1 (ko) * 2010-07-15 2011-12-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일시저장장치
KR101166653B1 (ko) 2011-04-19 2012-07-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수납 방출 장치
KR20160021348A (ko) * 2014-08-14 2016-02-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수납 방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135B1 (ko) * 1997-11-24 2000-04-15 윤종용 전자사진방식 프린팅장치용 가이드 롤러
JP2006069708A (ja) * 2004-08-31 2006-03-16 Glory Ltd 紙幣収納繰出装置
KR101098653B1 (ko) * 2010-07-15 2011-12-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일시저장장치
KR101166653B1 (ko) 2011-04-19 2012-07-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수납 방출 장치
KR20160021348A (ko) * 2014-08-14 2016-02-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수납 방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771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7952B2 (ja) 媒体収納繰出装置
ES2762123T3 (es) Unidad para almacenamiento de billetes de banco
KR100747547B1 (ko) 각진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필름 이송 장치
KR20110015698A (ko) 지엽류 수납 배출 장치
US7543772B2 (en) Fishing line spool
JP2016013593A (ja) カッティングプロッタ
KR20190131914A (ko) 지폐 저장 장치
KR101166653B1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US10360749B2 (en) Bill separating and stacking unit
JP2013008342A (ja) 紙幣収納繰出装置
US20190073853A1 (en) Paper sheet accommodation apparatus and paper sheet accommodation method
JPS6335537B2 (ko)
US20190291997A1 (en) Paper sheet storage device and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WO2024018778A1 (ja) 媒体処理装置
JP201620213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816004B2 (ja) 紙幣収納繰出装置
JP2002012000A (ja) 修正膜転写具
JP3715121B2 (ja) 通帳頁めくり装置
JP3005455U (ja) 魚釣用リ−ル
JP2013006691A (ja) 紙幣収納繰出装置
JP2018122946A (ja) 搬送装置
US20160289035A1 (en) Bi-modal rollers
KR200203915Y1 (ko) 금전등록기의 감사용지 감김장치
JP2016062228A (ja) テープ巻取り式紙幣還流装置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2550811Y2 (ja) 紙葉ガイド用羽根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