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547B1 - 각진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필름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각진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필름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547B1
KR100747547B1 KR1020027011188A KR20027011188A KR100747547B1 KR 100747547 B1 KR100747547 B1 KR 100747547B1 KR 1020027011188 A KR1020027011188 A KR 1020027011188A KR 20027011188 A KR20027011188 A KR 20027011188A KR 100747547 B1 KR100747547 B1 KR 10074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ula
handheld device
application member
applica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5202A (ko
Inventor
후츠마허빈프리드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빅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빅
Publication of KR20030015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48Work traversing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nipulator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접착성의, 덮개 또는 착색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2)을 작용면(4) 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핸드헬드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핸드헬드 장치는 그 내부에 필름 공급원(6)이 배열되어 있는 하우징(5)과, 이 하우징(5)의 개구(9)를 통과하여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부재(8)를 구비하며, 이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하우징(5)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 섹션(8c)과 어플리케이션 단부(8a)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2)은 공급원(6)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부재(8)까지 연장한다. 구성을 소형화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단부(8a)가 베어링 섹션(8c)에서부터 연장하며, 어플리케이션 단부(8a)와 베어링 섹션(8c)은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필름 접근 측부(30a)를 향해 벌어진 사이 부분이 서로 둔각(W)을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각진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필름 이송 장치{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AND HAVING AN ANGULAR APPLICATION MEMBER}
[기술분야]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핸드헬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러한 유형의 핸드헬드 장치가 유럽 특허 공보 제0 507 818 B1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공지의 핸드헬드 장치(도 9 참조)는 하우징의 개구를 통과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부재(application member)를 포함하며, 이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측방향의 종방향 웹(a lateral longitudinal web)에 의해 판 형상의 어플리케이션 본체에 연결되는 곡선형의 볼록 부분 형태의 회전축을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 형태의 스파튜라(spatula)가 어플리케이션 본체의 외측을 향하고 있는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데, 이 스파튜라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공급 스풀로부터 스파튜라의 릿지(ridge)까지 외측으로 연장하여 이곳에서 굴절되어 다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권치 스풀(take-up spool)까지 내측으로 연장하는 백킹 테이프(backing tape)용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어플리케이션 단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공지된 형상에 있어서, 스파튜라는 회전축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즉 한쪽으로 치우쳐, 작동 모드에서 핸드헬드 장치가 작용면 상에 배치되도록 또는 접촉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본체의 전방 단부 연장부로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은 종방향 웹 상에서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베어링 부분의 이에 대응하여 곡선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베어링 홈 내에 장착되는데, 이 상태에서 베어링 홈의 측면 가장자리 사이의 간극이 종방향 웹의 두께보다 크다. 그 결과, 이렇게 형성된 어플리케이션 부재용 베어링은 둘레 방향으로 어느 정도 여유가 있으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범위 내에서 측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하여 측방향으로 경사진 작용면에 맞춰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핸드헬드 장치의 취급이 용이 해지며, 이 경우에 스파튜라 또한 작용면이 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우 또는 핸드헬드 장치가 경사면에 적용되는 경우 작용면에 맞춰질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에 대하여 스파튜라가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됨에 따라, 이 공지된 장치는 그러한 오프셋에 의해 유발되는 비교적 큰 구성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이러한 유형의 핸드헬드 장치에는 바람직하지 못한데, 그 이유는 특히, 하우징 개구 영역에서의 그러한 큰 형상은 도포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야 하는 때에, 예를 들어 코팅을 작용면의 소정의 표면 섹션 상에만 도포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가려지기 때문이다. 또한, 공지의 장치는 복잡하고 값비싼 제조와 조립을 유발하는 복잡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결국 높은 생산비를 야기한다. 문제의 핸드헬드 장치는 통상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제품이므로, 생산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간단한 구조와 조립이 요구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핸드헬드 장치에 있어서, 그 하우징이 어플리케이션 부재 영역에서 소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핸드헬드 장치의 생산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저렴하게 제조 및 조립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점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핸드헬드 장치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어플리케이션 단부는 베어링 섹션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며, 이 어플리케이션 단부와 베어링 섹션은 서로 둔각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구성이 단순해지며 재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통상적인 핸드헬드 장치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베어링 섹션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된 추가의 어플리케이션 본체 부분이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공간이 남으므로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야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야 개선의 결과, 예를 들어, 필름을 소정 영역에 도포하는 경우, 그러한 도포 영역을 보다 잘 볼 수 있어,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도 핸드헬드 장치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베어링 섹션의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어플리케이션 단부와 그 릿지로부터 초래하는 인간 공학적인 장점은 유지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것은 절곡부 또는 곡선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보다 적은 재료를 사용한 덕택에 무게가 보다 가벼워지고, 이에 따라 인간 공학적인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무게 절감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특히, 쐐기형 스파튜라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단부를 갖는 어플리케이션 부재에 적합한데, 스파튜라는 얇은 릿지부까지 평평하게 또는 쐐기형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용면 상에서의 그 위치가 가시적으로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필름을 작용면에 정확하게 도포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핸드헬드 장치에 있어서, 그 자유 단부는 스파튜라에 의해 형성되며, 이 스파튜라 영역에는 필름이 스파튜라의 릿지에서 활주 순환하는 중에 측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것을 항상 보장하도록 필름용의 측방향 가이드가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작동 중에 필름이 그 사이에서 활주하도록 측면 안내 웹을 스파튜라의 넓은 측면부 양쪽에 배열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이 독립 청구항 3에 따른 핸드헬드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이 장치의 유리한 개선점들이 그와 관련한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독립 청구항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파튜라의 각각의 넓은 측면부에 하나씩의 안내 웹이 배치되지만, 이들 웹은 한쪽의 넓은 측면부 상의 안내 웹이 측방향 안내부를 형성하고 다른쪽의 넓은 측면부 상의 다른 하나의 안내 웹은 필름의 다른쪽에 대한 안내부를 형성하도록 필름의 양측에 배열되는 경우 충분한 안내 작용이 보장된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이것은 재료 절감뿐만 아니라, 필름이 기질에 정확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도포 지점의 시야를 개선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안내 웹을 구비한 스파튜라는 Z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안내 웹은 공통의 횡단면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특징은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제조를 야기하여 또 다른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된 개선된 선회 안내 및 축방향 위치 설정을 보장한다.
유럽 공보 제0 507 818 B1호로부터 공지된 핸드헬드 장치에 있어서는, 어플 리케이션 부재가 제한된 회전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중력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항상 스파튜라를 지지하는 그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본체가 아랫방향을 향하도록 위치 설정되며, 이것은 스파튜라가 전체적으로 핸드헬드 장치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게 만들어 취급을 어렵게 한다. 이것은 특히, 필름이 경사진 작용면 상에 도포되는 경우 스파튜라가 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작용면에 적용되도록 하며, 단 한번 어플리케이션 부재로 작용면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작용면에 평행한 위치로 밀리게 된다. 상기 특허에 따른 구조의 또 다른 단점은,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그 회전 정지부 상에 놓인 경우, 필름을 도포하기 위한 핸드헬드 장치의 이동 동안 스파튜라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거의 방지할 수 없어 필름 도포를 저해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유형의 핸드헬드 장치를 그 필름 도포가 용이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부재용의 회전 이동 정지부가 탄성적으로 유연성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항상 핸드헬드 장치와 작용면 사이의 차이에 맞춰, 그 측방향 제한 영역 내에서 위치 설정될 수 있어, 항상 완전한 또는 선형적인 도포가 보장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 운동 정지부는 그 측면 선회 단부 영역에서의 탄성을 보장하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중심이 탄성력에 의해 그 중앙 회전 위치에 맞춰진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그 측방향으로의 자유로운 회전이 보장되며 이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맞춰질 수 있긴 하지만 항상 핸드헬드 장치에 대하여 규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단 하나의 스프링이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중앙으로의 센터링을 보장할 수 있는 경우에는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해지며, 이 경우 스프링은 그 자유 단부 섹션이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상태로 어플리케이션 부재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또는 그 자유 단부가 어플리케이션 부재 상에 배치되는 상태로 하우징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골격 내에서, 이러한 스프링은 나선형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 및 이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 다른 장점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장치의 측면도 및 도 2의 선 I-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 II-II을 따라 절단한 핸드헬드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핸드헬드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그 전방 대각선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변형예의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또 다른 변형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그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장치의 전방 단부 부분의 변형된 형태를 도 2에서와 같이 단면도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변형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8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2는 또 따른 변형예의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부재의 평면도이다.
[실시예]
예를 들어, 백킹 테이프(backing tape;3)로부터 작용면(4) 상으로 필름(2)을 이송하기 위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된 핸드헬드 장치는 하우징(5)과, 이 하우징(5) 내에 배열되어 있는 백킹 테이프(3) 및/또는 필름(2)용 공급원(6),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장치(7)를 주요 부품으로 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개구(9)의 영역에서 하우징(5)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하여 연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부재(8)를 구비하고, 하우징(5)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단부(8a)까지 백킹 테이프(3) 및/또는 필름(2)이 연장되고 있다.
상기 공급원(6)은 그 위에 백킹 테이프(3) 및/또는 필름(2)이 권취되어 있는 공급 스풀(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백킹 테이프(3)가 있는 경우, 필름(2)은 공급 스풀(11)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부재(8)까지 연장하는 테이프 섹션(3a)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백킹 테이프(3)가 있는 경우, 테이프 부분(3b)이 연장되는 테이크업 스풀(take-up spool;13)이 또한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러한 테이프 부분은 어플리케이션 단부(8a)의 릿지(ridge;8)의 둘레를 돌아 테이크업 스풀(1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있다.
하우징(5)은 그 사용 위치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손바닥 크기의 평평한 하우징으로서, 어플리케이션 부재(8) 및/또는 개구(9)를 향해 바람직하게는 쐐기 형상으로 테이퍼지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부재(8)는 하우징(5)의 테이퍼진 단부 부분의 회전식 베어링(16)에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베어링 섹션(8c)과, 어플리케이션 단부(8a)를 형성하는 스파튜라(spatula;8d)로 구성되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파튜라는 베어링 섹션(8c)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되어, 개구(9)와 마주하는 베어링 섹션(8c)의 전방 단부로부터 개구(9)를 통과하여 그 릿지(8b)가 넓은 측면부(14,15)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상태로 하우징(5)의 테이퍼진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스파튜라(8d)는 쐐기형으로, 그 꼭지점 또는 릿지(8b)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파튜라(8d)의 중간부 또는 전방 단부 부분에는, 측방향 안내 웹(web;17)이 양 웨지면(wedge surface;8e)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열되어 있는데, 그 각각의 웹은 필름 및 백킹 테이프와 적어도 같거나 보다 넓은 폭을 갖는 안내 홈(18)의 경계를 이루어 필름(2) 및 백킹 테이프(3)가 그 안쪽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단부(8a)의 폭이 베어링 섹션(8c)의 폭보다 넓고, 그 내측 단부가 베어링 섹션(8c)을 향해 테이퍼지고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단부(8a)가 베어링 섹션(8c)보다 얇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베어링 섹션(8c) 상에 어플리케이션 단부(8a)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전이 섹션(transition section)의 적어도 일측에 볼록한 부분(bulge;19)이 제공된다(도 3).
어플리케이션 단부(8a)는 도포 측부 또는 필름/테이프에 접근하는 측부를 향해 곡선형으로 또는 각지게 연장하며, 어플리케이션 단부(8a)와 베어링 섹션(8c)이 대략 120°내지 170°의 둔각(W), 특히 약 150°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단부(8a)가 개구(9)의 평면에 대략 직각을 이루는 도포 방향(A)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어링 섹션(8c)은 도포 방향(A)과는 예각을 이룬다. 하우징(5)은 2개의 하우징 부분(5a,5b)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부분은 넓은 측면부(14,15)에 평행하게 그 중앙이나 한쪽에서 연장하는 분할 이음매(21)에서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잠금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드래그 베어링(drag bearing;16)이 하우징(5)의 넓은 측면부쪽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4개의 베어링 웹(22,23)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웹의 자유단에는 베어링 섹션(8c)의 형상에 맞춰진 베어링 외피 형상의 베어링 홈(24,25)이 마련되어, 베어링 섹션이 그 내부에서 자유로이 회전 또는 선회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식 베어링(16)은 어플리케이션 부재(8)를 그 반경 방향 및 축방향 양방향으로 지탱한다. 축방향 지탱과 관련하여서는, 베어링 섹션(8c) 상에, 특히 내측 베어링 웹(23) 상에 그 베어링 웹(23)의 회전 홈(25)에 맞물리는 베어링 링과 같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어링 숄더(bearing shoulder;8f)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공급 스풀(11)과 테이크업 스풀(13)은 백킹 테이프(3) 및/또는 필름(2)이 일 평면 내에서 순환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으며,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을 향해 벌어진 테이프 섹션(12a,12b) 사이의 각이 예각(W1)을 이루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옆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스풀들(11,13)의 사이에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후술되는 특징을 갖는 구동 연결부(26)가 제공되어 있다. 각 경우에, 스풀들(11,13)의 사이에서 작동하는 구동 연결부(26)는 유효 권취 직경이 큰지 작은지와 무관하게 공급 스풀(11)의 원주 속도보다 빠른 유효 원주 속도로 테이크업 스풀을 구동시킨다. 그러한 구동 동안에는, 테이크업 스풀(13)이 백킹 테이프(3) 및/또는 필름(2)을 항상 팽팽하게 유지하려고 한다 할지라도 그러한 팽팽함을 제한하는 통합적인 구동 미끄러짐이 보장된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루프의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필름(2)과 백킹 테이프(3)가 찢어지지 않도록 인장 응력을 제한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 연결부(26)는 활주 결합체, 예를 들어 공지된 바와 같은 기어식 활주 결합체(geared sliding coupl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필름(2)을 작용면(4) 상에 도포하기 위한 작동 모드에서, 핸드헬드 장치(1)는 어플리케이션 단부(8a)와 작용면(4)이 대략 45°의 각도(W2)를 이루어 그 릿지(8b)가 기질 상에 놓이도록 수동으로 배치되어 화살표(27)의 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해서, 작용면(4) 상에서의 필름(2)의 분리 후 테이프 섹션(12a)이 자동으로 벗겨져 뒤쪽으로 감겨진다.
어플리케이션 부재(8)는 제한된 한도 내에서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도 1과 도 3에 도시된 쌍방 화살표(20) 참조), 핸드헬드 장치(1)가 각을 이루며 적용되는 경우 또는 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작용면(4) 상에 배치되는 경우 회전 축선(10)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작용면(4)의 위치에 맞춰질 수 있으며, 결국 자동적으로 작용면(4)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한 각 측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탄력적으로 유연성이 있는 부재로서의 정지부(28)에 의해 억제되어, 작동 중에 핸드헬드 장치(1)가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측방향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 장치가 릿지(8b)의 측면 모서리 상에 놓여 필름의 도포를 저해하는 일없이 탄성적으로 휘어져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정지부(28)는 예를 들어, 휘기 쉬운 스프링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 하나의 스프링 부재(29)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회전 방향(도시하지 않음)으로 작용하는 2개의 정지부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에 작용하고 있으며, 또는 어플리케이션 부재(8) 상에 배치되어, 하우징(5)에 배열된 둘레 방향으로 작용하는 2개의 정지부(28)들 사이에 맞물려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29)는, 예를 들어 베어링 섹션(8c)으로부터 동축으로 내측으로 돌출되는 판 스프링으로서, 하우징 부분(5a,5b), 특히 그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정지 웹(31)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릿지(8b)로 작용면(4)을 가압할 때 어플리케이션 부재(8) 상에 토오크가 가해지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부재(8)가 측방향 회전 운동을 따라갈 수 있도록 판 스프링이 비틀림 운동을 수행하는데, 즉 판 스프링이 긴장되어 중앙의 시작 위치로 다시 이동되어 토오크를 제거하게 된다. 다른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토오크의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이 자 동적으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부재(8)를 그 중심 위치로 탄력적으로 맞추는 탄성적인 중심 설정 장치(32)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릿지(8b)와 작용면(4)이 측방향으로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부재(8)는 복원 탄성력에 대항하여 야기된 압력 하에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취급이 보다 간편해지고, 필름 도포 성능이 향상되며, 장치가 릿지(8b)의 모서리에 측방향으로 놓일 위험이 감소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2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스프링 부재(29)가 베어링 섹션(8c)으로부터 축방향이 아닌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2개의 정지 웹(31)이 하우징 부분(5a,5b) 상에서 갈라져 나와 배열되고,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판 스프링으로서 형성된 스프링의 단부 부분과 측방향으로 경계를 이루는 점이다.
둘째, 어플리케이션 단부(8a)가 베어링 섹션(8c)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 종방향 중앙 섹션으로부터 연장하여, 베어링 섹션(8c)의 자유로운 전방 단부가 그 베어링 섹션(8c)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전방 단부가 베어링 섹션(8c)의 회전식 베어링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간단 명료함을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베어링용의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제한 부재들에 대해서는 다시 설명되지 않고 있는데, 이들 부재들 또한 회전 홈에 반경 방향으로 맞물려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베어링 부분이 베어링 섹션(8c)의 전방 단부를 초과하여 돌출되어 그들을 축방향으로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 도 5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실시예에서는, 안내 웹(17)이 스파튜라(8d)와 Z자형을 이루도록 안내 웹(17)이 스파튜라(8d)의 각각의 넓은 측면부의 단지 일 측면부, 즉 엇갈린 측면부에만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추가적으로 2개의 안내 웹(17)의 설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역시 백킹 테이프(3) 및/또는 필름(2)의 안내는 보장되는데, 그 이유는 양 테이프 섹션(12a,12b)이 각 안내 웹(17)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또한, 어플리케이션 단부(8a)가 테이프 접근 측부(30a) 및/또는 테이프 복귀 측부(30b) 상에 보호벽(33,34)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벽은 테이프 섹션(12a,12b)이 보호벽(33,34)과 어플리케이션 단부(8a) 사이에서 연장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단부(8a)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 하나의 보호 벽(33,34)으로도 최소한 백킹 테이프(3) 및/또는 필름(2)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테이프 접근 측부(30a) 또는 도포 측부 상에 배치된 보호벽(33)은 어플리케이션 단부(8a)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릿지(8b)로부터 거리(b)에 위치하는데, 이에 따라 보호벽(33)이 그렇게 해서 생성된 공간(F) 내에 놓여지게 되어, 작동 모드에서 릿지(8b)가 소정의 압력으로 작용면(4)을 가압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다른 하나의 상측 보호벽(34)(사용 위치에서)과 릿지(8b) 사이에서는 테이프가 통과하여 안내될 수 있을 정도의 틈새(a)가 요구된다. 만약, 거리(a)가 무시되는 경우에는, 이 보호 벽이 릿지(8b)까지 또는 릿지 넘어로 다소 초과하여 연장되는 경우에는, 결국 어플리케이션 부재(8)가 뒤집힌 위치에서 사용되는 것을 방해하여, 백킹 테이프(3)가 잘못된 이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핸드헬드 장치(1)가 작동하지 않게 되거나,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장치(7)는 또한 단순한 디자인과, 저렴한 생산비, 그리고 용이한 조립을 특징으로 한다. 핸드헬드 장치(1)의 개개의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생성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하우징 부분(5a,5b)과 어플리케이션 부재(8)가 각기 하나의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 도 6과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베어링 섹션(8c)이 상당히 짧아지고, 또한 하우징 부분(5a,5b)의 부분(36)의 대응 홈(35)에 회전 축선(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는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원형의 베어링 플랜지(8g)에 의해 베어링 섹션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운동이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만족할만한 작용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므로, 플랜지(8g)와 홈(35)이 링 형상 부재일 필요는 없다. 그보다는, 이들 부재가 서로 측방향으로 대향하게 배열된 2개의 세그먼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이러한 플랜지 세그먼트(8g1,8g2)에는 그 사이로 어플리케이션 단부(8a) 또는 스파튜라(8d)의 위와 아래에 바람직하게는 정방형의 홈(8h)이 제공되어 있다. 홈(8h)은 재료 및 무게의 절감뿐만 아니라 테이프 섹션(3a,3b)을 위한 자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 세그먼트(8g1,8g2)의 측면(8i)은 테이프 섹션(3a,3b)용 안내면을 형성할 수 있 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 부재(29)는 안내 웹(17)을 초과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스파튜라 축 또는 스파튜라(8d)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플랜지(8g) 또는 플랜지 세그먼트(8g1,8g2)는 스파튜라 축과 스프링 부재(29) 사이의 전이 섹션에 배열되어 있다.
하우징 부분(5a,5b)의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또는 바람직하게는 그 측벽부 상에 형성되는 부분 또는 벽(도면 부호 36과 도면 부호 37로 도시)이 또한 어플리케이션 부재(8)를 지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평평한 스프링을 형성하는 스프링 부재(29)는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릿지(8b)와 같은 높이로 또는 평행하게 연장하며, 이 평평한 스프링 부재(29)는 고정된 횡단벽(37)의 홈(38)에 끼워진다. 또한, 부분(37)과 홈(38)이 하나씩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 부재(29)가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어, 장치의 길이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선회 운동 후의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반대 방향으로의 휨을 고려하여 탄성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부재(8)가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는 홈의 측벽에 의해 축방향 위치 설정이 보장된다. 반경방향으로 유효한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는 플랜지(8g)의 외측 표면(8k) 또는 플랜지 세그먼트(8g1,8g2)의 외측 표면 섹션은 원통형 또는 원통형 섹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35)의 바닥면(35a)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다. 플랜지(8g) 또는 플랜지 세그먼트(8g1,8g2)의 축방향 폭은 단지 수 밀리미터, 예를 들어 약 1 내지 4 밀리미터, 특히 대략 2 밀리미터일 수 있다. 벽 부분(36)의 내측면이 플랜지 세그먼트(8g1,8g2)의 곡률에 맞춰 오목한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파튜라 축은 플랜지(8g) 또는 플랜지 세그먼트(8g1,8g2)가 스파튜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스파튜라(8d)의 폭에 맞춰질 수 있다. 스프링 부재(29)는 스파튜라 축에 대해 측방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유리하게 하우징 내에 합체되어, 어플리케이션 부재가 스프링 장치에 의해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큰 베어링 표면을 유도할 수 있는 소형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구별되는 몇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스프링 부재(29)보다 폭이 넓은 지지 부재(41)가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스프링을 형성하는 스프링 부재(29)의 자유단 또는 후방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지지 부재(41)가 베어링 섹션(8c)의 회전 축선(10)에 대한 회전 대칭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41)는 릿지(8b)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원통형 위치 설정 핀(41a)의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릿지(8b)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중앙 평면(42)에 대하여 양측으로 연장하여 스프링 부재(29)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위치 설정 핀(41a)의 상측에는 연장부(43)가 동심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연장부 또한 약간 윗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핀 형상을 갖는다.
하나의 또는 양 하우징 부분(5a,5b)에는 그 웹 벽에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 성되어, 종방향 중앙 평면(4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있는 지지 부재(41)의 섹션이 이곳에 꽉 끼워진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부재(8)가 그 축방향 및 둘레 방향의 양방향으로 중심 위치에 위치 설정된다. 종방향 중앙 축선(10) 둘레에서의 스파튜라(8d)의 비틀림 운동 후, 어플리케이션 부재(8)는 비틀림력이 사라지자마자 스프링 부재(2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중심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둘째, 하나 이상의 측방향 돌출부(44)가 베어링 섹션(8c)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본 실시예의 평면도에서 볼 때 베어링 섹션(8c)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돌출부(44)의 용도는 그 회전 축선(10) 둘레에서의 베어링 섹션(8c)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돌출부(44)의 진행 궤도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정지부(도시하지 않음)가 관련된 하우징 부분(5a)에 형성되며, 이에 대항하여 돌출부(44)가 회전 단부 위치로 밀어진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4)는 원통형 베어링 섹션(8c)으로부터 교차하여 돌출되도록 베어링 섹션(8c)의 종방향 중심 축선에 대하여 바닥으로 약간 오프셋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섹션(8c)의 원주면으로부터 돌출부(44)에 대하여 릿지(8b)를 향해 축방향으로 오프셋되어,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44)와 같은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돌출부(45)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제2 돌출부(45) 또한 돌출부(44)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스파튜라(8c)의 회전 운동은, 예를 들어 하나의 돌출부는 어느 한쪽으로의 회전 또는 선회 방향으로 관련 하우징 부분의 정지부에 대하여 밀어지고 다른 하나의 돌출부는 다른쪽으로의 회전 또는 선회 방향으로 관련 하우징 부분의 관련 정지부에 대하여 밀어지는 방식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안내 웹(17)의 테두리(17a)가, 특히 도 9와 도 10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백킹 테이프(3) 또는 백킹 테이프 섹션(3a,3b)의 안내를 개선하여, 즉 백킹 테이프(3)가 측방향으로 약간 오프셋된 경우 안내 웹의 가장자리가 백킹 테이프(3)의 측면 가장자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백킹 테이프 섹션(3a,3b)이 작동 모드에서 위로 볼록한 루프를 형성하더라도, 안내 웹(17)의 테두리(17a)를 이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안내 웹(17) 또는 안내 홈(18) 사이로의 테이프 섹션(3a,3b)의 삽입이 개선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도 8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와 구별되는데,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스프링 부재(29)가 생략되어 있고 지지 부재가 원통형 베어링 섹션(8c)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점이 그러하다. 여기서 지지 부재는 한쪽으로만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47)로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립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스트립의 정방형 단부를 형성하는 평평한 전방 영역(47a)에 의해 한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47)는 베어링 섹션(8c)의 돌출부(44,45) 반대쪽에 위치 설정되어 있으며, 돌출부(44,45)는 축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특히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4,45,47)의 축방향 경계면(44a,45a,47b)은 어플리케이션 단부(8a)의 중앙 축선(10a)과 직각을 이룰 수 있는데, 이것은 기술적인 이유로 장점이 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2와 도 13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 단부(8a)가 상측 및/또는 하측 웨지면으로부터 경사면과 같은 확산형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는 중앙 웹(48)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3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역시, 어플리케이션 부재(8)는 다이 캐스트 부품이며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6)

  1. 필름(2)을 작용면(4)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핸드헬드 장치(1)로서,
    상기 장치는, 내부에 필름 공급원(6)이 배열되어 있는 하우징(5)과, 어플리케이션 부재(8)를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상기 하우징(5)의 개구(9)를 통과하여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하우징(5)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베어링 섹션(8c)과 어플리케이션 단부(8a)로 구성되고, 상기 필름(2)은 공급원(6)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8)까지 연장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부(8a)는 상기 베어링 섹션(8c)에서부터 연장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부(8a)와 베어링 섹션(8c)은 그들 사이에서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필름 접근 측부(30a)를 향해 벌어진 둔각(W)을 이루며,
    이에 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회전 운동이 탄성적으로 유연성이 있는 운동 정지부들(28)에 의해 제한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는 양측으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그 중앙에 중심이 맞춰지는 상기 핸드 헬드 장치(1)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29)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8)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스프링 부재는 회전 운동 정지부들(28) 사이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부재(8)의 선회 중심 위치에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단부(8a)는 스파튜라(a spatula)(8d)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내 웹(17)이 상기 스파튜라(8d)의 테이프 접근 측부(30a)와 테이프 복귀 측부(30b) 각각에 하나씩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안내 웹들(17)이 백킹 테이프(3)의 각각의 외측면에 엇갈리게(alternately)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튜라(8d)는 상기 베어링 섹션(8c)의 관련 단면보다 폭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둔각(W)은 약 120°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섹션(8c)은 상기 개구(9)의 평면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축선(10)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29)는 축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섹션(8c)은 플랜지(8g) 또는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플랜지 세그먼트들(8g1,8g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섹션의 둘레면 또는 둘레면 섹션들이 하우징(5) 상의 짝을 이루는 표면들과 선회 베어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보호벽(33,34)이 상기 스파튜라(8d)의 테이프 접근 측부(30a) 및/또는 스파튜라의 테이프 복귀 측부(30b) 상에 스파튜라(8d)로부터 거리(a)를 두고 배열되며, 백킹 테이프(3)가 상기 스파튜라(8d)와 관련 보호벽(33,34)의 사이에서 뻗어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튜라의 테이프 접근 측부(30b) 상의 보호벽(34)은 상기 스파튜라(8d)의 릿지(8b) 또는 릿지(8b) 돌출부들까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벽(33,34)이 상기 백킹 테이프(3)용 안내 웹(17)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안내 웹들(17)을 구비한 스파튜라(8d)는 Z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2)은 접착성, 도포 또는 착색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둔각(W)은 약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29)는 판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장치.
KR1020027011188A 2000-02-25 2001-02-14 각진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필름 이송 장치 KR100747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03985.8 2000-02-25
EP00103985 2000-02-25
PCT/EP2001/001628 WO2001062648A1 (en) 2000-02-25 2001-02-14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and having an angular application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202A KR20030015202A (ko) 2003-02-20
KR100747547B1 true KR100747547B1 (ko) 2007-08-08

Family

ID=816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188A KR100747547B1 (ko) 2000-02-25 2001-02-14 각진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필름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729377B2 (ko)
EP (1) EP1257492B1 (ko)
JP (1) JP2003523905A (ko)
KR (1) KR100747547B1 (ko)
CN (1) CN1178830C (ko)
AT (1) ATE396946T1 (ko)
AU (1) AU769504B2 (ko)
BR (1) BR0108696B1 (ko)
CA (2) CA2669768C (ko)
DE (1) DE60134212D1 (ko)
ES (1) ES2305050T3 (ko)
MX (1) MXPA02008032A (ko)
RU (1) RU2242416C2 (ko)
WO (1) WO2001062648A1 (ko)
ZA (1) ZA2002054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9420B1 (en) * 2001-04-09 2009-12-23 Société BIC A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onto a substrate and having an application memb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edges
DE10156100A1 (de) * 2001-11-16 2003-06-05 Citius Gmbh Buerotechnik Übertragungsroller
US7228882B2 (en) * 2003-09-15 2007-06-12 Sanford, L.P. Tape dispenser with a cushioned applicator tip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20050056375A1 (en) * 2003-09-16 2005-03-17 Sanford, L.P.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US7163040B2 (en) * 2004-01-13 2007-01-16 Sanford L.P. Correction tape applicator tip with cylindrical projection
US20050194961A1 (en) * 2004-03-04 2005-09-08 Summers Steven M. On board built in test
DE102004026720A1 (de) * 2004-05-28 2005-12-22 Henkel Kgaa Auftragsfuß, Gerät und Nachfülleinhei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auf ein Substrat
US7189020B2 (en) * 2005-05-12 2007-03-13 Sdi Corporation Pushbutton controlled correction tape assembly
EP2070857B1 (en) * 2007-12-14 2013-02-13 Société BIC A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deposit of for example adhesive,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correction surface
JP5005561B2 (ja) * 2008-01-18 2012-08-22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4899023B2 (ja) * 2008-07-16 2012-03-21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DE102008038145A1 (de) * 2008-08-18 2010-02-25 Krones Ag Etikettiermaschine und Spendevorrichtung für Etikettiermaschinen
JP5039662B2 (ja) * 2008-08-19 2012-10-03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US20100071853A1 (en) * 2008-09-23 2010-03-25 Chien-Lung Wu Tape Dispenser
JP5744007B2 (ja) 2009-04-08 2015-07-01 ヘンケル アイピー アンド ホールディング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ィルム形態の嫌気接着およびシーラント組成物、そのようなフィルム形態の組成物を含有するフィルムスプール組立品、ならびに接合可能な部品上に事前塗布されたその種のもの
JP5210240B2 (ja) * 2009-05-01 2013-06-1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JP5210239B2 (ja) * 2009-05-01 2013-06-12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貼付け方法と両面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US20110042506A1 (en) * 2009-08-19 2011-02-24 Chien-Lung Wu Device for Changing Orientation of Tape of Tape Transfer Device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FR3046786B1 (fr) 2016-01-15 2018-02-09 Societe Bic Dispositif manuel d'application par ruban d'un revetement sur un support presentant un embout d'application ameliore
JP2021194891A (ja) * 2020-06-18 2021-12-27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289A (ja) 1996-12-27 1998-07-07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H11170776A (ja) 1997-12-15 1999-06-29 Sakura Color Prod Corp 転写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4258A (en) * 1975-03-24 1976-05-0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Second fold roller mounting and adjustment means
US4425771A (en) * 1981-04-13 1984-01-17 Beach Russell J Combined magnetic and non-magnetic locking mechanism
EP0507818B1 (en) 1989-12-27 1993-09-01 CZEWOPLAST KUNSTSTOFFTECHNIK GmbH Dispenser for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onto a substrate
US5393368A (en) * 1993-02-10 1995-02-28 The Gillette Company Correction tape dispenser
JP3306464B2 (ja) * 1994-12-26 2002-07-24 ユニオンケミカー株式会社 転写器
US5814184A (en) * 1995-10-25 1998-09-29 Denkins; Jeffrey L. Hand operated mudless drywall tape applicator
JP3753475B2 (ja) * 1996-08-09 2006-03-08 ゼネラル株式会社 感圧転写具
US6766842B1 (en) * 1996-08-22 2004-07-27 Paxar Americas, Inc. Hand-held labeler
US5795085A (en) * 1997-03-05 1998-08-18 Yoo; Kwang-Ho Correction tape
JP2939929B2 (ja) * 1997-03-19 1999-08-25 光浩 柳 修正テープ転写具
JPH1120388A (ja) * 1997-07-01 1999-01-26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H11227385A (ja) 1998-02-12 1999-08-24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289A (ja) 1996-12-27 1998-07-07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H11170776A (ja) 1997-12-15 1999-06-29 Sakura Color Prod Corp 転写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174701A (en) 2001-09-03
BR0108696B1 (pt) 2010-02-23
AU769504B2 (en) 2004-01-29
CA2400273C (en) 2010-04-27
ATE396946T1 (de) 2008-06-15
RU2242416C2 (ru) 2004-12-20
CN1178830C (zh) 2004-12-08
ZA200205473B (en) 2003-09-23
KR20030015202A (ko) 2003-02-20
EP1257492A1 (en) 2002-11-20
US20030034133A1 (en) 2003-02-20
CA2669768A1 (en) 2001-08-30
ES2305050T3 (es) 2008-11-01
DE60134212D1 (de) 2008-07-10
US6729377B2 (en) 2004-05-04
CA2400273A1 (en) 2001-08-30
EP1257492B1 (en) 2008-05-28
CA2669768C (en) 2011-11-08
BR0108696A (pt) 2002-12-10
JP2003523905A (ja) 2003-08-12
MXPA02008032A (es) 2002-11-29
CN1396885A (zh) 2003-02-12
WO2001062648A1 (en) 2001-08-30
RU2002125498A (ru) 200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547B1 (ko) 각진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필름 이송 장치
US5772840A (en) Tape applicator for applying a transferring material to a sheet
KR940000052B1 (ko)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기판상으로 필름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
US7117915B2 (en)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film of adhesive, covering or colored material onto a substrate
AU666874B2 (en) Instrument for transferring coating film
EP2080723B1 (en) Coating-film transfer tool
EP1059258A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5714035A (en) Correction tape dispenser
JPH10181289A (ja) 塗膜転写具
AU753374B2 (en) Dispenser for applying a material to a surface
KR20030015203A (ko) 백킹 테이프에서 작용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해 유동이가능하도록 장착된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갖는 핸드헬드 장치
US6629552B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that is applied to a carrier strip onto a substrate
AU3708399A (en) Manual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supporting strip to a substrate
CA2448687A1 (en) A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film, for example, of adhesive,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from a backing tape onto a substrate
CN1501885A (zh) 用于将膜转移到承受物并具有包括多个涂覆边的涂覆元件的手持装置
US20030015299A1 (en) Dispenser with coil
CA2165316C (en) Correction tape dispenser
CA2348036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applied to a carrier strip onto a substrate
ZA200101300B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material in the form of a film that is applied to a carrier strip onto a substrate.
JPH11170771A (ja) 塗膜転写具
MXPA01001748A (es) Dispositivo para transferir un material en la forma de una película aplicada a una tira portadora sobre un substrato
KR970067196A (ko) 릴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