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653B1 - 지폐 수납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수납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653B1
KR101166653B1 KR1020110036278A KR20110036278A KR101166653B1 KR 101166653 B1 KR101166653 B1 KR 101166653B1 KR 1020110036278 A KR1020110036278 A KR 1020110036278A KR 20110036278 A KR20110036278 A KR 20110036278A KR 101166653 B1 KR101166653 B1 KR 101166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ller
banknote
gu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이동식
이용철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65H2301/41912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between two belt like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입출구와 드럼으로의 지폐 권취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 간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와 테이프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어지는 테이프를 권취하는 릴을 구비한 지폐 수납 방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수납되거나 드럼으로부터 방출되는 지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가이드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지폐입출구와 상기 드럼으로의 지폐 권취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는,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동시에 가압하며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협지력 부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 수납 방출 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PAPER MONEY}
본 발명은 지폐입출금기, 수표나 증서의 회수 발생기 등에 탑재되어 지폐, 수표, 증서와 같은 지엽류의 매체(이하 '지폐'로 통칭함)를 수납 또는 방출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입출구와 드럼으로의 지폐 권취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 간의 협지력을 증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지폐 수납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지폐입출금기, 수표나 증서의 회수 발생기 등에는 지폐를 수납하고 방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지폐 수납 방출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일례로 드럼에 테이프와 지폐를 감아서 수납하고, 릴을 감고 드럼을 되감아 지폐를 방출하고 테이프는 릴에 감는 방식으로 구성된 지폐 수납 방출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이 드럼과 릴을 구비한 지폐 수납 방출 장치는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 제작이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크기가 서로 다른 지폐의 취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종래 드럼과 릴을 구비한 지폐 수납 방출 장치는, 지폐와 함께 지폐의 양면을 협지하는 이중의 테이프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어진 테이프를 권취하는 릴을 포함한다. 상기 이중의 테이프의 일단은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은 두 개의 릴에 각각 고정된다.
지폐의 수납시, 지폐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드럼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두 개의 릴에 감겨 있던 테이프가 각각 되감겨 드럼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지폐입출구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그 양면이 상기 테이프에 각각 협지되어 드럼 측으로 이송되어, 드럼의 외주면에 테이프와 지폐가 함께 감기게 된다.
상기 지폐입출구에는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온 지폐의 양면을 협지하여 드럼 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하로 외접하는 한 쌍의 롤러가 좌우로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롤러 사이에는 릴로부터 되감긴 테이프를 드럼 측으로 안내하는 중간롤러가 상하로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지폐의 수납시, 지폐입출구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드럼의 외주면의 지폐 권취점에 다다르기까지의 구간에서는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의 협지력에 의해서 이송된다.
이 경우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지폐가 정렬된 상태로 수납되기 위해서는 지폐입출구를 통해 유입된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 간의 접촉면에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협지력이 부여되어야 한다.
만일 지폐와 테이프 간의 접촉면에 요구되는 정도의 협지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면, 드럼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가 드럼 측으로 이송되더라도 테이프 사이에 협지된 지폐는 테이프와의 접촉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드럼의 외주면에 정렬된 상태로 수납될 수 없고, 지폐의 수납 또는 방출 과정에서 주변 장치 또는 지폐 간의 간섭에 의해 지폐의 파손이나 잼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폐입출구와 드럼으로의 지폐 권취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 간의 협지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폐 수납 방출 장치는, 지폐와 테이프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어지는 테이프를 권취하는 릴을 구비한 지폐 수납 방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수납되거나 드럼으로부터 방출되는 지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가이드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지폐입출구와 상기 드럼으로의 지폐 권취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는,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동시에 가압하며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협지력 부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협지력 부여수단은, 상기 드럼 전방측의 하부가이드에 구비되어 상향의 힘을 받으며 탄성지지되는 가변롤러와, 상기 가변롤러의 상부에 외접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압박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롤러는 상기 하부가이드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축에는 상기 회동부재에 상향의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입출구의 상부에는 지폐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압박롤러는 상기 상부가이드에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기 하부가이드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어 지폐입출구를 형성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따라 회동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롤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비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외접하는 접촉롤러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롤러는 상기 접촉롤러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접촉롤러 보다 낮은 위치에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롤러와 상기 가변롤러는,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따라 상기 접촉롤러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작용하는 하향의 힘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에 작용하는 상향의 힘에 의해 가압상태로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에 의하면, 지폐입출구와 드럼으로의 지폐 권취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협지력 부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지폐의 수납시 지폐입출구를 통해 유입된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 간의 협지력을 증대시켜 지폐의 수납 또는 방출시 지폐의 미끄러짐에 의한 틀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지폐의 파손이나 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의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의 지폐 수납 초기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의 지폐 수납 완료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의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는, 지폐(1)의 폭 방향 중간부의 양측에 2열로 배치되어 지폐(1)의 상면과 하면을 소정의 폭으로 협지하는 이중의 테이프(30,30a)와 그 사이에 협지되는 지폐(1)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10)과, 상기 드럼(10)으로부터 풀어내어지는 테이프(30,30a)를 권취하는 릴(20,20a)과, 상기 드럼(10)의 전방측으로부터 드럼(10) 외주면의 하방과 후방을 따라 구비되어 지폐(1)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100) 및 상기 하부가이드(100) 전방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가이드(100)와 사이에 지폐입출구(5)를 형성하는 상부가이드(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폐입출구(5)와 드럼(10)으로의 지폐 권취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는, 지폐(1)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30,30a)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동시에 가압하며 그 사이를 통과하는 지폐(1)와 테이프(30,30a) 간의 접촉면에 협지력을 증대시키는 협지력 부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10)에 일단이 고정된 테이프(30,30a) 중 지폐(1)의 하면을 협지하는 테이프(30)는 지폐입출구(5) 근방에 구비된 중간롤러(120)와 그 하측에 구비된 가이드롤러(40)를 거쳐서 그 타단이 릴(20)에 고정되고, 지폐(1)의 상면을 협지하는 테이프(30a)는 상기 중간롤러(120)의 상측에 위치하는 중간롤러(250)와 가이드롤러(40a)를 거쳐서 그 타단이 릴(20a)에 고정된다.
상기 테이프(30,30a)와 그 사이에 협지되는 지폐(1)는 이중으로 구비된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상기 드럼(10)의 양측에는 테이프(30,30a)에 협지되지 않은 지폐(1)의 양측 단부가 권취되는 보조드럼(11)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가이드(100) 전방측의 구동축(111)에는 상기 중간롤러(120) 사이와 그 양측으로 구동롤러(11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10)의 상측으로 상부가이드(200)에는 구동롤러(110)와 외접하는 공전롤러(240)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10)으로의 지폐(1) 수납시, 지폐입출구(5)로 유입된 지폐(1)는 상기 구동롤러(110)와 공전롤러(240) 사이를 통과하며 후방측으로 이송되며, 상기 구동롤러(110)와 공전롤러(240)를 통과한 지폐(1)는 중간롤러(120,250)를 거친 테이프(30,30a) 사이에 양면이 협지되어 드럼(1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구동롤러(110)와 공전롤러(240)가 구비된 지폐입출구(5)와 상기 드럼(10)으로의 지폐(1) 권취점에 해당하는 핀치롤러(140)가 구비된 지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는 지폐(1)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30,30a) 사이의 접촉면에서 협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협지력 부여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협지력 부여수단은, 드럼(10) 전방측의 하부가이드(100)에 구비되어 상향의 힘을 받으며 탄성지지되는 가변롤러(130)와, 상부가이드(200)에 구비되며 상기 가변롤러(130)에 외접한 상태에서 드럼(10)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로 위치가 가변되는 압박롤러(2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하부가이드(100)와 상부가이드(200) 및 이에 구비되는 협지력 부여수단의 구성을 설명한다.
하부가이드(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지폐입출구(5) 근방의 하부가이드(100)에는 중간롤러(120)의 후방으로 일단이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재(131)가 결합되고, 그 회동부재(131)의 타단에는 가변롤러(1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32)의 외주에는 하부가이드(100)와 회동부재(131)에 각각 양단이 고정되는 탄성부재(133)가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131)와 그 타단에 결합된 가변롤러(130)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선회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탄성지지되어 있다.
하부가이드(100)는 그 전방 측단이 구동축(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그 후방측 상단 양측에는 하부가이드(100)가 드럼(10) 측으로 당겨지도록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70)가 결합되어 있다.
하부가이드(100)의 중간부에는 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드럼(10)과 하부가이드(1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롤러(150)가 구비되고, 상기 간격유지롤러(150)의 하측에는 테이프(30,30a)와 그 사이에 협지된 지폐(1)를 드럼(10)의 외주면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핀치롤러(140)가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다.
하부가이드(100)의 상부 양측에는 지폐(1)의 수납 또는 방출시 테이프(30,30a)에 협지되지 않는 지폐(1) 측단부의 귀접힘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폐가이드(160)가 구비되고, 그 지폐가이드(160)의 하단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리브(1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폐가이드(160)와 가이드리브(161)의 외측에는 지폐(1) 측단부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리브(162,163)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가이드(200)는, 하부가이드(100)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어 지폐입출구(5)를 형성하는 몸체부재(210)와, 상기 몸체부재(210)의 상부를 덮으며 결합되는 덮개부재(220)와, 상기 몸체부재(2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재(210)에는 테이프(30a)가 감기는 중간롤러(250)가 양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덮개부재(220)에는 공전롤러(240)에 하향의 힘이 작용하도록 지지하는 탄성편(241)이 결합된다. 상기 탄성편(241)의 일단은 공전롤러(240)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탄성편(241)의 타단에는 체결공(2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재(220)와 몸체부재(210)에는 상기 체결공(24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223,2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243,223,213)을 관통하는 체결부재(242)에 의해 몸체부재(210)의 상측으로 덮개부재(220)와 탄성편(241)이 순차로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30)의 전방 측단은 몸체부재(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부재(230)의 후방 측단에는 드럼(10)의 외주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되는 접촉롤러(270)가 결합되며, 접촉롤러(270) 근방의 전방 하측에는 압박롤러(260)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테이프(30,30a)와 지폐(1)의 매수 증감에 따른 드럼(10)의 직경 변화에 따라 접촉롤러(270)를 통해 가이드부재(230) 및 압박롤러(260)에 작용하는 하향의 힘과, 상기 탄성부재(133)에 의해 회동부재(131) 및 가변롤러(130)에 작용하는 상향의 힘에 의해 상기 압박롤러(260)와 가변롤러(130)의 가압 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접촉롤러(270)는 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에서 지폐가 수납되는 과정에서 테이프와 지폐 간에 협지력이 부여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의 지폐 수납 초기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수납 방출 장치의 지폐 수납 완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폐 수납 초기에는 드럼(10)의 외주면에 지폐(1)와 테이프(30,30a)가 권취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부재(133)에 의해 회동부재(131)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되는 상향의 힘을 받게 되고, 회동부재(131)의 단부에 결합된 가변롤러(130)는 그 상측에 외접하는 압박롤러(260)와 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23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며, 가이드부재(230)의 단부에 결합된 접촉롤러(270)는 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지폐(1)와 테이프(30,30a)의 매수가 증가하게 되면, 드럼(10)과 이에 권취된 지폐(1)와 테이프(30,30a)의 직경이 점차 증가하게 되어 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핀치롤러(140)와 간격유지롤러(150)는 아래로 눌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하부가이드(100)는 구동축(11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때 하부가이드(100)의 후방 상단에 양측으로 결합된 탄성부재(170)는 인장되면서 하부가이드(100)를 드럼(10) 측을 당기게 되므로 드럼(10)의 외주면과 핀치롤러(140) 및 간격유지롤러(150) 간의 접촉 상태는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드럼(10)의 외주면에 접촉된 접촉롤러(270)와 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230)는 몸체부재(210)에 결합된 일단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눌려져 회동하게 되며, 가이드부재(230)에 결합된 압박롤러(260)에 의해 이와 외접하는 가변롤러(130)가 아래로 눌려지면서 회동부재(131)는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된다. 이때, 회동부재(131)가 시계 방향으로 눌려지는 힘과 탄성부재(133)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향의 힘에 의해 압박롤러(260)와 가변롤러(130)는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접촉롤러(270)와 드럼(10)의 외주면 간의 접촉 상태 또한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드럼(10)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지폐(1)와 테이프(30,30a)의 매수 증감와 관계없이 압박롤러(260)와 가변롤러(130)는 그 외주면이 접촉되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압박롤러(260)와 가변롤러(130) 사이를 통과하는 지폐(1)와 테이프(30,30) 사이에 협지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접촉롤러(270) 또한 드럼(10)의 외주면과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드럼(10)에 권취되는 지폐(1)와 테이프(30,30a)를 드럼(1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정렬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1 : 지폐 5 : 지폐입출구
10 : 드럼 11 : 보조드럼
20,20a : 릴 30,30a : 테이프
40,40a : 가이드롤러 100 : 하부가이드
110 : 구동롤러 111 : 구동축
120 : 중간롤러 130 : 가변롤러
131 : 회동부재 132 : 회전축
133 : 탄성부재 140 : 핀치롤러
150 : 간격유지롤러 160 : 지폐가이드
161,162,163 : 가이드리브 170 : 탄성부재
200 : 상부가이드 210 : 몸체부재
220 : 덮개부재 230 : 가이드부재
240 : 공전롤러 241 : 탄성편
242 : 체결부재 250 : 중간롤러
260 : 압박롤러 270 : 접촉롤러

Claims (8)

  1. 지폐와 테이프를 함께 권취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어내어지는 테이프를 권취하는 릴을 구비한 지폐 수납 방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수납되거나 드럼으로부터 방출되는 지폐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가이드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지폐입출구와 상기 드럼으로의 지폐 권취점 사이의 지폐 이송 구간에는, 지폐와 그 양면을 협지하는 테이프의 상측면과 하측면을 동시에 가압하며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협지력 부여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력 부여수단은,
    상기 드럼 전방측의 하부가이드에 구비되어 상향의 힘을 받으며 탄성지지되는 가변롤러와, 상기 가변롤러의 상부에 외접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압박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롤러는 상기 하부가이드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축에는 상기 회동부재에 상향의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입출구의 상부에는 지폐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압박롤러는 상기 상부가이드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는,
    상기 하부가이드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어 지폐입출구를 형성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따라 회동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롤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외접하는 접촉롤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롤러는 상기 접촉롤러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접촉롤러 보다 낮은 위치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롤러는 상기 하부가이드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회전축에는 상기 회동부재에 상향의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압박롤러와 상기 가변롤러는, 상기 드럼의 직경 변화에 따라 상기 접촉롤러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작용하는 하향의 힘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에 작용하는 상향의 힘에 의해 가압상태로 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방출 장치.


KR1020110036278A 2011-04-19 2011-04-19 지폐 수납 방출 장치 KR10116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78A KR101166653B1 (ko) 2011-04-19 2011-04-19 지폐 수납 방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78A KR101166653B1 (ko) 2011-04-19 2011-04-19 지폐 수납 방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653B1 true KR101166653B1 (ko) 2012-07-18

Family

ID=4671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278A KR101166653B1 (ko) 2011-04-19 2011-04-19 지폐 수납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6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9890A (zh) * 2011-06-10 2012-12-12 冲电气工业株式会社 介质处理装置
CN107680250A (zh) * 2017-10-11 2018-02-0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卷钞带装置及自助金融设备
KR101850836B1 (ko) * 2016-11-11 2018-04-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드럼식 지폐카세트의 지폐 입출부 가이드 구조 및 그 구조가 적용된 드럼식 지폐카세트
CN109326041A (zh) * 2018-03-02 2019-02-1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暂存装置及介质处理机
KR20190131914A (ko) 2018-05-18 2019-11-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저장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2262A (ja) 2005-12-29 2007-07-19 Brother Ind Ltd 搬送装置
KR101089455B1 (ko) 2005-06-14 2011-12-07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조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455B1 (ko) 2005-06-14 2011-12-07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조출장치
JP2007182262A (ja) 2005-12-29 2007-07-19 Brother Ind Ltd 搬送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9890A (zh) * 2011-06-10 2012-12-12 冲电气工业株式会社 介质处理装置
KR101850836B1 (ko) * 2016-11-11 2018-04-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드럼식 지폐카세트의 지폐 입출부 가이드 구조 및 그 구조가 적용된 드럼식 지폐카세트
CN107680250A (zh) * 2017-10-11 2018-02-09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卷钞带装置及自助金融设备
CN109326041A (zh) * 2018-03-02 2019-02-1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暂存装置及介质处理机
CN109326041B (zh) * 2018-03-02 2024-05-1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暂存装置及介质处理机
KR20190131914A (ko) 2018-05-18 2019-11-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9419B1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및 지폐 수납 방출 장치를 구비한지폐 취급 장치
RU25662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носителями информации
RU2670879C9 (ru) Устройство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бумажных денег
JP4867952B2 (ja) 媒体収納繰出装置
KR101166653B1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JP4273061B2 (ja) 紙幣収納繰出装置
KR100470852B1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및 지폐 취급 장치
JP5242681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15698A (ko) 지엽류 수납 배출 장치
WO2014089961A1 (zh) 纸币暂存装置
WO2011036782A1 (ja) 紙葉類収納繰出装置
US10752459B2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JP5176528B2 (ja) 媒体収納繰出装置
JP5617692B2 (ja) 収納繰出機構
WO2020017332A1 (ja) 紙葉類収納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KR20160021348A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JPWO2016111013A1 (ja) 紙葉類収容装置及び紙葉類収容方法
KR101776306B1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JP2013008341A (ja) 紙幣収納繰出装置
WO2020090778A1 (ja) 紙葉類収納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JP5816004B2 (ja) 紙幣収納繰出装置
WO2024018778A1 (ja) 媒体処理装置
WO2006004523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of valuable documents
KR101850836B1 (ko) 드럼식 지폐카세트의 지폐 입출부 가이드 구조 및 그 구조가 적용된 드럼식 지폐카세트
KR101185360B1 (ko) 지폐 수납 방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