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440A -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440A
KR20190131440A KR1020190056797A KR20190056797A KR20190131440A KR 20190131440 A KR20190131440 A KR 20190131440A KR 1020190056797 A KR1020190056797 A KR 1020190056797A KR 20190056797 A KR20190056797 A KR 20190056797A KR 20190131440 A KR20190131440 A KR 20190131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car
upright
frame segmen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 에릭슨 리차드
마스트리아노 메건
청 로이
피. 스웨이빌 브루스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9013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6Multi-deck elevator cars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는 카 몸체와 카 몸체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을 포함한다. 카 프레임은 두 개의 대향 측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각 측 프레임은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로 형성되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 및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업라이트 브레이스들을 포함하고,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은 조인트를 통해 서로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의 설치 방법은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의 제2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인접한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의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통해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를 제2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고정시켜 엘리베이터 카의 카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카 몸체들을 상기 카 프레임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어셈블리{ELEVATOR CAR FRAME ASSEMBLY}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car)에 대한 카 프레임(frame)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의 다양한 층들 사이에서 승객, 화물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운반하는 데 유용하다. 이는 전형적인 엘리베이터 구동 시스템에 의해 승강로(hoistway)를 따라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카(car)를 통해 발생한다. 높이가 100 미터 이상인 승강로를 따라 승객을 운송하도록 구성된 것과 같은 고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승강로를 따라 운송될 수 있는 승객들의 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멀티-데크 엘리베이터 카(multi-deck elevator car)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멀티-데크 엘리베이터 카는 하나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수직으로 배열된 2 개 이상의 카 몸체들 또는 승객 구획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러한 엘리베이터 카들을 승강로에 설치하는 것은 멀티-데크 엘리베이터 카의 배치 후에 엘리베이터 카 주위에 승강로가 건설되는 경우에 종종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든다.
일 실시 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는 카 몸체와 상기 카 몸체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을 포함한다. 카 프레임은 두 개의 대향 측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각 측 프레임은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로 형성되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 및 상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업라이트 브레이스들을 포함하고,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은 조인트(joint)를 통해 서로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조인트는 스플라이스 조인트이고 하나 이상의 관형 지지 부재들은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의 업라이트 부재의 중공 단면에 위치한다. 하나 이상의 관형 지지 부재들은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고정구를 수용하여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고정에 기인한 업라이트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고정구의 전단 하중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의 제1 업라이트 부재는 제1 벽 두께를 갖고,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의 제2 업라이트 부재는 제1 벽 두께와 다른 제2 벽 두께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업라이트 부재로부터 제2 프레임 세그먼트의 업라이트 부재까지 연장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고정구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관형 지지 부재는 용접을 통해 업라이트 부재에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정렬 피처는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위치되어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를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과 정렬시킨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정렬 피처는 그 사이에 브래킷 갭을 획정하는 두 개의 정렬 브래킷들을 포함하며, 브래킷 갭은 가이드 레일의 레일 블레이드를 수용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정렬 피처는 가이드 레일에 대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정 요소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정렬 피처는 업라이트 브레이스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 승강로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는 카 몸체와 카 몸체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을 포함한다. 카 프레임은 두 개의 대향 측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각 측 프레임은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로 형성되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 및 상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업라이트 브레이스들을 포함하고,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은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통해 서로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관형 지지 부재들은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의 업라이트 부재의 중공 단면 내에 위치된다. 하나 이상의 관형 지지 부재들은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고정구를 수용하고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고정에 기인한 업라이트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업라이트 부재로부터 제2 프레임 세그먼트의 업라이트 부재까지 연장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고정구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를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 및 가이드 레일과 정렬시키기 위해 정렬 피처가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정렬 피처는 그 사이에 브래킷 갭을 획정하는 두 개의 정렬 브래킷들을 포함하며, 브래킷 갭은 가이드 레일의 레일 블레이드를 수용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정렬 피처는 가이드 레일에 대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정 요소들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를 설치하는 방법은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의 제2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인접한 상기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의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를 상기 제2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고정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카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카 몸체들이 상기 카 프레임에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는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정렬 피처를 통해 제2 측 프레임 세그먼트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에 정렬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프레임 세그먼트를 가이드 레일에 정렬시키는 단계는 정렬 피처의 브래킷 갭에서 가이드 레일의 레일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 실시 예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가이드 레일에 대한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위치는 정렬 피처의 하나 이상의 조정 요소들을 통해 조정된다.
다음 설명은 어떤 식으로든 제한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번호가 매겨진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실시 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실시 예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3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 프레임의 일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 프레임의 실시 예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 프레임에 이용되는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 프레임에 이용되는 접합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정렬 피처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카 프레임의 도면이다.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예시적으로 제공된 것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시적인 트랙션 엘리베이터 시스템(traction elevator system)(10)의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어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로프 또는 벨트 (16)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부하 지지 부재(load bearing member)들로 승강로(12) 내에 작동 가능하게 현수되거나 지지되는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14)를 포함한다. 벨트(16)는 시브들(18, 52)와 상호 작용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주위로 라우팅된다. 시브(18)는 다이버터(diverter), 디플렉터(deflector) 또는 아이들러 시브(idler sheave)로서 구성되고, 시브(52)는 머신(50)에 의해 구동되는 트랙션 시브로서 구성된다. 머신(50)에 의한 트랙션 시브(52)의 움직임은 트랙션 시브(52) 주위로 라우팅되는 벨트(16)를 구동, 이동 및/또는 추진한다(견인을 통해). 다이버터, 디플렉터 또는 아이들러 시브(18)는 머신(5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 주위로 벨트(16)를 가이드하는 것을 돕는다. 벨트 (16)는 또한 평형 추(2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균형을 잡는데 도움을 주며, 작동 중에 트랙션 시브(52)의 양 측 상의 벨트 장력의 차이를 감소시킨다. 시브들(18, 52)은 각각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엘리베이터 카 (14)를 현수 및/또는 구동하기 위해 2 개 이상의 벨트들(16)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벨트들(16)의 양측이 시브들(18, 52)과 맞물리거나 하나 이상의 벨트들(16)의 한 측만이 시브들(18, 52)과 맞물리는 것과 같은 다양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벨트들(16)이 엘리베이터 카(14) 및 평행 추(22)에서 종결되는 1:1 로핑 배열(roping arrangement)을 도시하며, 다른 실시 예는 다른 로핑 배열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14)는 승강로(12)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들(24)의 경로를 따라 승강로(12)에서 이동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 엘리베이터 카(14)의 대향 측들에 위치한 2 개의 가이드 레일들(24)이 이용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하나 또는 4 개의 가이드 레일들(24)과 같은 다른 개수의 가이드 레일들(24)이 이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4)는 카 프레임(28)에 부착된 카 몸체(2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 예에서, 엘리베이터 카(14)는 공통의 카 프레임(28)에 부착된 2 개의 카 몸체들(26)을 갖는 더블 데크(double deck) 구성이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 예들이 카 프레임(28)에 부착된 2 개의 카 몸체들(26)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는 공통의 카 프레임(28)에 부착된 하나의 카 몸체(25) 또는 세 개 이상의 카 몸체들(26)을 갖는 것과 같은, 다른 엘리베이터 카(14) 구성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엘리베이터 카(14)에 장착된 카 가이드들(30)은 가이드 레일(24)과 상호 작용하여, 가이드 레일(24)의 경로를 따라 엘리베이터 카(14)를 가이드 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 예들에서, 엘리베이터 카(14)는 4 개의 카 가이드들(30)을 포함하며, 2 개의 카 가이드들(30)은 각각의 가이드 레일들(24)과 상호 작용하도록 위치된다.
이제도 3을 참조하면, 카 프레임(28)이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카 프레임(28)은 카 프레임(28)의 각 측에 측 프레임(side frame)(36)을 포함하고, 카 프레임(28)의 상부 범위(upper extent)와 하부 범위(lower extent)를 각각 획정하는 상부 크로스 부재(cross member)(38) 및 하부 크로스 부재(40)가 사이드 프레임들(36)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간 크로스 부재들(42)은 카 프레임(28)의 카 몸체(26)들을지지한다. 사이드 프레임(36)은 업라이트(upright) 부재들(44)과, 직립 부재들(44)과 연결되어 직립 부재들(44)에 지지를 제공하는 직립 브레이스들(braces)(4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업라이트 부재들(44)은 예컨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형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 예들에서, 직립 브레이스들(46)은 X-자형이며, 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또는 다른 제조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업라이트 브레이스(46)는 예를 들어, 측 프레임들(36)을 형성하도록 업라이트 부재들(44)에 용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형적인 멀티-데크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로에 설치하는 것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이와 같이, 측 프레임들(36)은 세그먼트화되어 복수의 프레임 세그먼트들(48)를 포함하고 세그먼트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각각의 측 프레임들(36)을 형성하기 위한 5 개의 프레임 세그먼트들(48)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양의 프레임 세그먼트들(48), 예를 들어, 3 개, 4 개 또는 6 개 이상의 프레임 세그먼트들(48)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프레임 세그먼트(48a)의 제1 업라이트 부재(44a)는 도 5에서 가장 잘 도시된 스플라이스 조인트(splice joint)(54)를 통해 제2 프레임 세그먼트(48b)의 제2 업라이트 부재(44b)에 연결된다. 스플라이스 조인트(54)는 업라이트 부재(44)의 대향 측들에 위치한 2 개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들(56)을 이용한다.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들(56)은 제1 업라이트 부재(44a)의 제1 부재 단부(58a)와 제2 업라이트 부재(44b)의 제2 부재 단부(58b)에 걸쳐있어 조인트를 획정한다. 볼트(60)는 업라이트 부재들(44) 및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들(56)을 통해 연장되어 스플라이스 조인트(54)를 고정하는 다른 유지 부재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플라이스 조인트(54)의 단면도가 도시되어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 부재(44)는 중공의, 관형 요소이다. 이 실시 예에서, 업라이트 부재(44)는 업라이트 부재(44)의 직사각형 내부(64)를 획정하는 부재 벽(62)을 갖는다. 튜빙 슬리브(tubing sleeve)(66)는 각각의 볼트(60) 위치에서 내부(64)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튜빙 슬리브(66)는 예를 들어 튜빙 슬리브(66)를 부재 벽(62)에 용접함으로써 내부에 고정된다. 설치 시, 볼트(60)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들(56)의 플레이트 개구들(68), 업라이트 부재들(44)의 부재 개구들(70)을 통해, 그리고 튜빙 슬리브(66)를 통해 삽입되어, 스플라이스 조인트(54)를 고정되도록 조여진다. 튜빙 슬리브(66)의 사용은 업라이트 부재(44)를 강화시켜 업라이트 부재(44)의 좌굴(buckling) 또는 붕괴(collapse)를 방지하고, 따라서 보다 얇은 업라이트 부재(44)가 이용되는 것을 허용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튜빙 슬리브(66)의 사용은 또한 볼트(60)의 직접적인 전단 하중(shear loading)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조인트를 강화하고 볼트의 전단 강도 및 피로 저항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승강로(12)에서 카 프레임(28)의 보다 쉬운 세그먼트화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업라이트 부재들(44)은 약 1/8" 내지 3/8" 범위의 벽 두께를 갖는다. 또한,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1 업라이트 부재(44a)와 제2 업라이트 부재(44b)는 동일한 벽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들에서, 제1 업라이트 부재(44a)는 제1 벽 두께를 갖고 제2 업라이트 부재(44b)는 제1 벽 두께와 상이한 제2 벽 두께를 갖는다. 제2 벽 두께는 제1 벽 두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승강로에서 카 프레임(28)의 이러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레임 세그먼트들(4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렬 피처들(alignment features)(72)을 포함한다. 정렬 피처들(72)은 이전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4)을 데이텀 기준(datum reference)으로 이용하고, 스플라이스 조인트(54)의 조립을 위해 프레임 세그먼트(48)를 이전에 설치된 프레임 세그먼트들(48)과 정렬 시키도록, 보다 상세하게는 업라이트 부재들(44)을 이전에 설치된 프레임 세그먼트들(48)의 업라이트 부재들(44)과 정렬시키도록 조정된다. 이는 프레임 세그먼트(48)가 가이드 레일(24) 및 카 프레임(28)의 다른 프레임 세그먼트(48) 모두에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피처들(72)은 프레임 세그먼트(48)의 업라이트 브레이스(46)에 설치된 두 개의 정렬 브래킷들(alignment brackets)(74)을 포함한다. 적절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이러한 정렬 피처들(72)이 프레임 세그먼트(48)마다 이용될 수 있다. 2 개의 정렬 브래킷들(74)은 그 사이에 브래킷 갭(76)과 함께 배치되어 브래킷 갭 (76)에서 가이드 레일(24)의 레일 배드(rail bade)(78)의 배치를 수용한다. 또한, 각각의 정렬 브래킷(74)은 정렬 브래킷(74)의 나사식 개구(threaded opening)(82)를 통해 설치된 잭 스크류(jack screw)(80)를 갖는다. 잭 스크류(80)는 가이드 레일(24)과 접촉하도록 조여지고, 업라이트 부재(44)를 이전에 설치된 프레임 세그먼트(48)의 업라이트 부재(44)와 정렬되도록 추가로 조여질 수 있다. 업라이트 부재(44)가 정렬되면, 스플라이스 조인트(5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고 고정된다.
이러한 조립 공정은 모든 프레임 세그먼트들(48)이 설치될 때까지 계속되어 카 프레임(28)을 완성한다. 카 몸체들(26)은 일부 실시 예에서는 승강로(12)에서 원위치로 조립되고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4)의 조립을 완료한다.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멀티-데크 엘리베이터 카(14)의 세그먼트화된 조립이 승강로(12)에서 효율적으로 완료되도록 한다. 스플라이스 조인트(54) 및 관형 슬리브들(66)의 사용은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상당한 중량을 절약하기 위해 업라이트 부재(44)와 같은 비교적 얇은 벽 구성 요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피처들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24)에 조립된 엘리베이터 카(14)의 정렬을 보장하고 설치 및 조립 중에 프레임 세그먼트들(48)의 서로의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스플라이스 조인트(54)를 통해 상이한 벽 두께를 갖는 업라이트 부재들(44)의 조립을 허용한다.
"약(about)"이란 용어는 출원 시에 이용 가능한 장비에 기초한 특정 양의 측정과 관련된 오차의 정도를 포함하고자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상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포함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명기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 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가 예시적인 실시 예 또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이 그 구성 요소로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필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 내용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용하기 위해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개시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된 최선의 모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는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 예를 포함할 것이다.

Claims (20)

  1.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car)에 있어서,
    카 몸체(car body); 및
    상기 카 몸체를 지지하며, 두 개의 대향 측 프레임들(opposing side frames)을 포함하는 카 프레임(car frame)을 포함하고, 각 측 프레임은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로 형성되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upright members); 및
    상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업라이트 브레이스들(upright braces)을 포함하고,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은 조인트(joint)를 통해 서로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스플라이스 조인트(splice joint)이고 하나 이상의 관형 지지 부재들(tubular support members)은 상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의 업라이트 부재의 중공 단면(hollow cross-section)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형 지지 부재들은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고정구(fastener)를 수용하여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고정에 기인한 상기 업라이트 부재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상기 고정구의 전단 하중(shear loading)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의 제1 업라이트 부재는 제1 벽 두께를 갖고, 상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의 제2 업라이트 부재는 상기 제1 벽 두께와 다른 제2 벽 두께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업라이트 부재로부터 제2 프레임 세그먼트의 업라이트 부재까지 연장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splice plate)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지지 부재는 용접을 통해 상기 업라이트 부재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카.
  7. 제1항에 있어서,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를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과 정렬시키는 정렬 피처(alignment feature)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피처는 그 사이에 브래킷 갭(bracket gap)을 획정하는 두 개의 정렬 브래킷들(alignment brackets)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갭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레일 블레이드(rail blade)를 수용하는, 엘리베이터 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피처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한 상기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정 요소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피처는 상기 업라이트 브레이스에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카.
  11.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
    상기 승강로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 카로서,
    카 몸체; 및
    상기 카 몸체를 지지하며, 두 개의 대향 측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카 프레임을 포함하고, 각 측 프레임은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로 형성되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 및
    상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은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업라이트 브레이스들을 포함하고,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은 스플라이스 조인트(joint)를 통해 서로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업라이트 부재들의 업라이트 부재의 중공 단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관형 지지 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형 지지 부재들은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고정구를 수용하여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의 고정에 기인한 상기 업라이트 부재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조인트는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업라이트 부재로부터 제2 프레임 세그먼트의 업라이트 부재까지 연장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 세그먼트를 인접한 측 프레임 세그먼트 및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정렬시키는 정렬 피처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피처는 그 사이에 브래킷 갭을 획정하는 두 개의 정렬 브래킷들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갭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레일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피처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한 상기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조정 요소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카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의 제2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인접한 상기 복수의 측 프레임 세그먼트들의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스플라이스 조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를 상기 제2 측 프레임 세그먼트에 고정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카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카 몸체들을 상기 카 프레임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를 상기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정렬 피처를 통해 상기 제2 측 프레임 세그먼트 및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이드 레일에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세그먼트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정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정렬 피처의 브래킷 갭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레일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피처의 하나 이상의 조정 요소들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해 상기 제1 측 프레임 세그먼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90056797A 2018-05-16 2019-05-15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어셈블리 KR201901314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81,610 US11332344B2 (en) 2018-05-16 2018-05-16 Elevator car frame assembly
US15/981,610 2018-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440A true KR20190131440A (ko) 2019-11-26

Family

ID=6658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797A KR20190131440A (ko) 2018-05-16 2019-05-15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32344B2 (ko)
EP (1) EP3569551A3 (ko)
KR (1) KR20190131440A (ko)
CN (1) CN110498324B (ko)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30A (en) * 1871-04-11 Improvement in lightning-rods
US5078534A (en) * 1990-12-19 1992-01-07 Samson Truss Corporation Flush nut connectors
JP3219513B2 (ja) * 1992-12-24 2001-10-15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構造材の継手構造
JP4303842B2 (ja) 1999-08-10 2009-07-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WO2002038482A1 (fr) 2000-11-08 2002-05-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abine pour ascenseurs a double cabine
JP4107858B2 (ja) 2002-03-22 2008-06-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US7143988B2 (en) * 2004-06-10 2006-12-05 Diani,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fixture
ATE548313T1 (de) 2004-11-11 2012-03-15 Inventio Ag Aufzugskabine
DE502007004477D1 (de) 2007-01-24 2010-09-02 Inventio Ag Rahmen für einen Aufzug
EP1967479A1 (de) 2007-03-08 2008-09-10 Inventio Ag Fangrahmen für eine Mehrdeckkabine
GB2443823B (en) 2007-04-12 2008-11-12 Denmay Steel Devices and methods for use in construction
US7722286B2 (en) * 2008-01-18 2010-05-25 Darrell Heald Delineator mounting system
JP5498738B2 (ja) 2009-08-19 2014-05-21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5325753B2 (ja) 2009-12-10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US9376797B2 (en) 2010-04-19 2016-06-28 Weihong Yang Bolted steel connections with 3-D jacket plates and tension rods
CN102408053B (zh) 2011-08-17 2014-09-03 邓锦诚 多层升降机
CN203143878U (zh) 2013-04-07 2013-08-21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轿架结构
JP6058149B2 (ja) 2013-09-27 2017-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
CN104649111A (zh) 2013-11-25 2015-05-27 天津艾瑞斯集团有限公司 一种重载货梯加固型轿架
CN104386558B (zh) 2014-08-25 2017-02-15 无锡凯乐士科技有限公司 一种升降机结构
EP3201481B1 (de) * 2014-09-29 2018-09-26 Touratech AG Rohrverbindungsanordnung und rohrverbindung zweier rohre
EP3031766A1 (en) 2014-12-11 2016-06-15 KONE Corporation Elevator car
US10246300B2 (en) 2015-06-30 2019-04-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virtual aerodynamic shroud
US11124386B2 (en) 2015-08-25 2021-09-21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configuration for elevator application
CN105971118B (zh) 2016-06-12 2017-11-03 长安大学 矩形钢管柱与h型钢梁内套筒式单边螺栓连接节点
CN206034647U (zh) 2016-09-21 2017-03-22 武汉科技大学 一种钢管混凝土柱与钢梁t形件连接节点的结构
CN206298006U (zh) 2016-12-12 2017-07-04 太原刚玉物流工程有限公司 一种轻型高速提升机
US10864420B2 (en) * 2017-05-18 2020-12-15 Indian Industries, Inc. Basketball goal assembly
CN206857922U (zh) 2017-06-20 2018-01-09 派克诺电梯(苏州)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结构
CN207275980U (zh) 2017-10-10 2018-04-27 苏州华丰电梯装饰有限公司 一种家用电梯的轿厢框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52132A1 (en) 2019-11-21
CN110498324A (zh) 2019-11-26
US11332344B2 (en) 2022-05-17
CN110498324B (zh) 2022-04-19
EP3569551A3 (en) 2019-12-18
EP3569551A2 (en)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685B2 (en) Apparatus for servicing the main cable of a suspension bridge
US7562744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delivery assembly
KR1011622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070181384A1 (en)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n Elevator Car to an Elevator Car and to an Elevator Shaft as well as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 Support Means which are Mounted by Means of this Method
JP540062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9371212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4:1 roping arrangement
RU2009123954A (ru) Самонесущая кабина лифта
FI116562B (fi)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P200651555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用の三角形状支持構造
US20080308362A1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for construction elevator systems
JP3734851B2 (ja) 液圧式エレベータの懸架装置
KR20190131440A (ko) 엘리베이터 카 프레임 어셈블리
AU2019370583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lift installation
CN117255766A (zh) 用于构造电梯的方法以及这样的电梯
JP6404493B1 (ja) エレベータ装置の釣合いおもり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109502457B (zh) 电梯曳引机座及采用该电梯曳引机座的电梯装置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11214464B2 (en) Elevator seismic performance apparatus
US10689229B2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US11814264B1 (en) Yoke assembly for suspending an elevator car or a counterweight in a shaft of an elevator
WO2023026386A1 (ja) 昇降路上部構造体、昇降路上部構造体の設置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CN115140629B (zh) 电梯的轿厢以及电梯
WO2014174576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2176313A1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0124727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