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799A -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799A
KR20190128799A KR1020180052934A KR20180052934A KR20190128799A KR 20190128799 A KR20190128799 A KR 20190128799A KR 1020180052934 A KR1020180052934 A KR 1020180052934A KR 20180052934 A KR20180052934 A KR 20180052934A KR 20190128799 A KR20190128799 A KR 2019012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main body
patient
seating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진
오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Priority to KR102018005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8799A/ko
Publication of KR2019012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이송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휠체어에 있어서: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한 착석과 누울 수 있도록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머리받이부(11), 등받이부(12), 착석부(13), 다리받침부(14)로 이루어진 메인바디(10); 상기 메인바디(10)에 착석부(13)의 측면으로 환자의 팔을 안착하거나 파지 가능하고, 메인바디(10)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팔걸이부(20); 상기 메인바디(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송이 가능하게 바퀴(31)(32)를 구비하는 이송부(30); 상기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이송부(30) 사이에 형성되어 이송부(30)로부터 착석부(13)를 상하로 이송가능하게 구비하는 리프트부(40); 및 상기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리프트부(40) 사이에 형성되어 착석부(13)의 측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환자의 원활한 이송과 함께 안전한 이송을 가능하고, 휠체어에서 침대로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별도의 추가인원이 없이도 일반적인 보호자 혼자의 힘으로도 쉽게 환자의 이송을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환자의 간이침대로 사용 및 보호자의 간이 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a wheelchair that allows smooth transportation of patients}
본 발명은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원활한 이송과 함께 안전한 이송을 가능하고, 휠체어에서 침대로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별도의 추가인원이 없이도 일반적인 보호자 혼자의 힘으로도 쉽게 환자의 이송을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환자의 간이침대로 사용 및 보호자의 간이 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휠체어(wheelchair)는 걷는 것이 어렵거나 걸을 수 없게 다리 등이 불편한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상에 바퀴를 달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휠체어는 단순히 환자가 착석한 상태로 이송만을 위한 구성으로 형성되어 다리가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보호자 또는 간호사, 안전요원 등의 힘이 반드시 필요하고, 다리가 불편한 환자가 스스로 일어나 침대로 이동하여야 했기 때문에 불편하고 추가 부상을 당하는 일이 빈번했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852149호에 따르면, '목발을 휠체어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보관하고 휠체어 구동에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휠체어 이용자가 안전하게 앉자서 목발의 손잡이 부분이 의자 중심부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휠체어 이용자가 상기 의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동의 힘을 경감하고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의자;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에 일방향 클러치를 포함하는 한 쌍의 주 바퀴; 상기 주 바퀴의 앞쪽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 바퀴; 상기 일방향 클러치를 통해 상기 주 바퀴에 연결되는 주 바퀴의 회전축에 가로질러서 연결되며 상기 주 바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목발 설치부; 상기 목발 설치부에 일단부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목발을 포함하고; 상기 목발 설치부와 주 바퀴 사이에는 체인감속부가 연결되어 목발을 구동하면 목발 설치부가 회전하고 체인감속부가 작동해서 주 바퀴를 구동시키고;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목발 설치부와 체인감속부는 상기 주 바퀴와 의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체인감속부는 상기 주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스프로킷과, 상기 목발 설치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프로킷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 스프로킷과,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발 설치부의 상부에 위치한 목발의 삽입홈부 안쪽 둘레에는 복수의 구름 볼이 회전이 자유롭게 돌출 설치되고, 상기 목발의 하부 둘레에는 상기 구름 볼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목발이 목발 설치부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는 이동이 가능하면서 목발을 휠체어에 결합하여 목발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지만 휠체어에서 침대 등으로 이동 시 환자 혼자서 감당할 수 없도록 구조되어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또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77365호에 따르면, '하부에 다수 개의 바퀴를 형성하며, 사용자가 앉은 채로 이동하기 위한 휠체어부(100); 및 상기 휠체어부(100)의 후부에 장착 설치되어 링거를 걸기 위한 링거걸이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휠체어부(100)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좌석부재(101); 상기 좌석부재(101)의 후부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치기 위한 등받이부재(102); 상기 좌석부재(101)의 좌측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부가 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왼쪽 팔을 올려놓기 위한 왼팔걸이부재(103); 상기 좌석부재(101)의 우측 상부에 장착 설치되며, 상부가 자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오른쪽 팔을 올려놓기 위한 오른팔걸이부재(104); 상기 좌석 부재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어 사용자를 지탱하기 위한 다수 개의 다리부재(105); 및 상기 다리부재(105)의 하부 말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은 채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바퀴부재(106)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걸이부(200)는, 상기 왼팔걸이부재(103) 및 상기 오른팔걸이부재(104)의 상부에 장착 설치되기 위한 장착홈(2041)을 하부에 형성하며,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부재(204); 및 상기 선반부재(204)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한 선반고정부재(205)를 포함하는 의료용 휠체어.'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의료용 휠체어는 이동에 의한 안전성 확보의 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휠체어에서 침대 등으로 이동 시 환자 혼자서 감당할 수 없도록 구조되어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한국 등록특허 제1852149호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77365호 "의료용 휠체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원활한 이송과 함께 안전한 이송을 가능하고, 휠체어에서 침대로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별도의 추가인원이 없이도 일반적인 보호자 혼자의 힘으로도 쉽게 환자의 이송을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환자의 간이침대로 사용 및 보호자의 간이 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이송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휠체어에 있어서: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한 착석과 누울 수 있도록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머리받이부, 등받이부, 착석부, 다리받침부로 이루어진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착석부의 측면으로 환자의 팔을 안착하거나 파지 가능하고, 메인바디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팔걸이부;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송이 가능하게 바퀴를 구비하는 이송부; 상기 메인바디의 착석부와 이송부 사이에 형성되어 이송부로부터 착석부를 상하로 이송가능하게 구비하는 리프트부; 및 상기 메인바디의 착석부와 리프트부 사이에 형성되어 착석부의 측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메인바디의 등받이부는 착석부로부터 후방으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양끝이 등받이부와 착석부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 실린더와, 실린더 상에 연결되는 호스를 통해 공기압을 조절하는 손잡이로 형성되는 에어실린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리프트부는 착석부와 이송부 사이에 각각 구비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중앙에 힌지를 통해 십자 형태로 교차 회전되는 한쌍의 지지대의 양 끝이 공간부 상에 삽설하되, 지지대의 일측 끝에 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회전부와 지지대의 타측 끝에 공간부를 타고 이송이 가능하게 롤러를 구비하며, 지지대 상에 일체 고정되는 볼너트와 서로 연동하여 회전력에 의해 볼너트를 이송시켜 착석부를 상하부로 이송시키는 볼스크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드부는 메인바디의 착석부와 리프트부 사이에 형성되고, 리프트부의 측면과 착석부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고정블록 사이에 수용되어 이송 가능한 슬라이드와, 고정블록 상에 삽설되어 슬라이드와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구비하는 리테이너로 이루어진 LM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원활한 이송과 함께 안전한 이송을 가능하고, 휠체어에서 침대로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별도의 추가인원이 없이도 일반적인 보호자 혼자의 힘으로도 쉽게 환자의 이송을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환자의 간이침대로 사용 및 보호자의 간이 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1e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팔걸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등받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리프트부에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슬라이드부에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1e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팔걸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등받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리프트부에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의 슬라이드부에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이송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휠체어에 관련되며, 메인바디(10), 팔걸이부(20), 이송부(30), 리프트부(40), 슬라이드부(5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바디(10)는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한 착석과 누울 수 있도록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머리받이부(11), 등받이부(12), 착석부(13), 다리받침부(14)로 이루어진다. 메인바디(10)는 환자가 착석하거나 누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머리받이부(11), 등받이부(12), 착석부(13), 다리받침부(14)가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머리받이부(11)의 경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환자의 키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환자의 허리 부분의 기울기를 담당하는 등받이부(12)와 환자가 앉아 그 하중을 지지하는 착석부(13)와 환자의 다리를 안전히 안착할 수 있도록 다리받침부(1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10)의 등받이부(12)는 착석부(13)로부터 후방으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양끝이 등받이부(12)와 착석부(13)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 실린더(16)와, 실린더(16) 상에 연결되는 호스(17)를 통해 공기압을 조절하는 손잡이(18)로 형성되는 에어실린더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에어실린더부(15)는 손잡이(18)와 연결되는 호스(17)를 통해 공기압을 조절하여 실린더(16)를 작동시킴으로 실린더(16)의 양끝이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착석부(13)의 등받이부(12)가 회전하여 펼쳐짐과 접어짐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에어실린더부(15)는 메인바디(10)의 등받이부(12)의 경우 후방에 등받이부(12)의 회전이 원활하면서 안전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바, 에어실린더부(15)는 후면에 손잡이(18)를 도시하여 보호자가 사용이 원활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환자가 스스로 작동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환자와 근접되는 위치에 손잡이(18)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부(20)는 상기 메인바디(10)에 착석부(13)의 측면으로 환자의 팔을 안착하거나 파지 가능하고, 메인바디(10)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팔걸이부(20)는 착석부(13)의 측면으로 수직 장착되어 환자의 팔을 안착시키거나 별도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팔걸이부(20)의 상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커버 형태로 덧씌워 환자의 팔이 편안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팔걸이부(20)는 분리가 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바, 그 이유는 후술하는 슬라이드부(50)와 함께 설명토록 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팔걸이부(20)를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팔걸이부(20)의 내부에 스프링(22)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볼(21)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착석부(13) 상에 별도의 구멍(미도시)을 형성함으로 볼(21)에 의해 구멍에 삽설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볼(21)을 대신하여 돌부(23) 등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억지끼움 방식으로 팔걸이부(20)를 탈착할 수 있고, 삽설된 팔걸이부(20)를 별도의 볼츠체결 방식을 통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상술한 내용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송부(3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송이 가능하게 바퀴(31)(32)를 구비한다. 이송부(30)는 상술한 메인바디(10)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이 가능하여 방향 조절을 담당하는 바퀴(31)와 회전력을 전달하여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32)로 구분된다. 이러한 전방에 형성되는 바퀴(31)는 방향조절이 가능해야 함으로 후방에 형성되는 바퀴(32)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무방하고, 후방에 형성되어 크게 형성되는 바퀴(3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퀴(32)와 일체로 연결되어 바퀴(32)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할 수 있는 회전휠(33)을 함께 형성하여 환자가 회전휠(33)을 회전시킴으로 함께 바퀴(31)(32)가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가 기울어진 도로에서 이송부(30)의 바퀴(31)(32)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레버(미도시)를 통해 바퀴(31)(32)의 회전을 제지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부(4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이송부(30) 사이에 형성되어 이송부(30)로부터 착석부(13)를 상하로 이송가능하게 구비한다. 리프트부(40)는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이송부(30) 사이에 형성되어 하부에 형성되는 이송부(30)로부터 착석부(13)를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석부(13)와 이송부(30)가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침대 등에 형성되는 매트리스(M)의 높이와 동일 시켜 환자가 착석부(13)에서부터 매트리스(M)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리프트부(40)는 착석부(13)와 이송부(30) 사이에 각각 구비하는 공간부(41)를 구비하고, 중앙에 힌지(43)를 통해 십자(十字) 형태로 교차 회전되는 한쌍의 지지대(42)의 양 끝이 공간부(41) 상에 삽설하되, 지지대(42)의 일측 끝에 지지대(4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회전부(44)와 지지대(42)의 타측 끝에 공간부(41)를 타고 이송이 가능하게 롤러(45)를 구비하며, 지지대(42) 상에 일체 고정되는 볼너트(46)와 서로 연동하여 회전력에 의해 볼너트(46)를 이송시켜 착석부(13)를 상하부로 이송시키는 볼스크류(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트부(40)는 착석부(13)의 하부와 이송부(30)의 상부에 각각 공간부(41)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41) 상에 힌지(43)를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연결되는 한쌍의 지지대(42)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바, 마치 '가위'의 형상을 연상시키게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나의 지지대(42)의 양끝단에는 회전부(44)와 롤러(45)가 각각 형성되어 회전부(44)는 착석부(13)의 공간부(41) 또는 이송부(30)의 공간부(41)에 삽설되고 회전부(44)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롤러(45)는 착석부(13)의 공간부(41) 또는 이송부(30)의 공간부(41)에 삽설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42)에는 볼너트(46)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볼스크류(47)와 연결됨으로 볼스크류(47)의 회전 시 볼너트(46)와 볼스크류(47)는 나사산에 의해 결합된 상태임으로 볼너트(46)는 볼스크류(47)의 장착 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볼너트(46)와 연결되는 십자 형태로 연결되는 한쌍의 지지대(42)는 롤러(45)에 이송하면서 회전부(44)를 통해 접어져 착석부(13)는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즉, 리프트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석부(13)의 높이를 매트리스(M)의 높이와 동일하게 유지시켜 환자가 스스로 매트리스(M)로 이동하던지 간호사, 안전요원 등이 안전하게 매트리스(M)로 환자를 옴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프트부(40)는 볼스크류(46)의 끝단에 수동 또는 자동 회전이 가능하게 회전레버(48) 또는 서보모터(49)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다. 리프트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스크류(46)의 회전력을 통해 착석부(13)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볼스크류(46)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레버(48) 또는 서보모터(49)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레버(48)의 경우 환자를 보호하는 보호자가 직접 수동으로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반면, 서보모터(49)의 경우 환자가 직접 또는 보호자가 작동시켜 자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회전레버(48)를 사용할 경우 착석부(13)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할 때 회전레버(48) 또는 볼스크류(46)의 회전을 제지하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그리고, 서보모터(49)를 사용할 경우 착석부(13)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할 때 환자 또는 보호자 등은 서보모터(49)와 전기 또는 전자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 등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서보모터(49)를 사용할 경우 환자의 몸무게에 의한 압력을 견딜 수 있음으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5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리프트부(40) 사이에 형성되어 착석부(13)의 측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부(50)는 상술한 착석부(13)와 리프트부(40) 사이에 형성되어 착석부(13)가 측면 이동이 가등하도록 하여 상기 착석부(13)가 매트리스(M)에 근접함에 따라 환자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50)는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리프트부(40) 사이에 형성되고, 리프트부(40)의 측면과 착석부(13)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블록(51)과, 고정블록(51) 사이에 수용되어 이송 가능한 슬라이드(52)와, 고정블록(51) 상에 삽설되어 슬라이드(52)와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구비하는 리테이너(53)로 이루어진 LM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부(50)는 착석부(13)와 리프트부(40) 사이에 형성되는 바, 한쌍의 고정블록(51)이 착석부(13)와 리프트부(40) 상에 형성되고, 그 고정블록(51) 사이에 슬라이드(52)가 삽설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각각의 고정블록(51)은 끝단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절곡된 부분에 리테이너(53)가 삽설되어 고정블록(51)과 슬라이드(52)의 접근을 방지하면서 면밀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고정블록(51)과 슬라이드(52)에 마찰이 발생할 경우 원활한 이동이 불가능하면서 이동하더라도 소음발생, 닳음 등의 문제로 인해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리테이너(53)를 삽설하여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LM가이드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리테이너(53)에는 별도의 미끄러짐을 발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윤활유를 분사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럼으로, 리프트부(40)에 의해 매트리스(M)와의 높이를 맞춘 다음 슬라이드부(50)에 의해 매트리스(M)로 착석부(13)가 근접하게 되고, 매트리스(M)와 근접되는 팔걸이부(20)를 제거한 상태로 이동을 함으로 안전하고 빠른 환자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원활한 이송과 함께 안전한 이송을 가능하고, 휠체어에서 침대로 또는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별도의 추가인원이 없이도 일반적인 보호자 혼자의 힘으로도 쉽게 환자의 이송을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환자의 간이침대로 사용 및 보호자의 간이 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메인바디 11: 머리받이부
12: 등받이부 13: 착석부
14: 다리받침부 15: 에어실린더부
16: 실린더 17: 호스
18: 손잡이 20: 팔걸이부
21: 볼 22: 스프링
23: 돌부 30: 이송부
31, 32: 바퀴 33: 회전휠
40: 리프트부 41: 공간부
42: 지지대 43: 힌지
44: 회전부 45: 롤러
46: 볼너트 47: 볼스크류
48: 회전레버 49: 서보모터
50: 슬라이드부 51: 고정블록
52: 슬라이드 53: 리테이너

Claims (4)

  1. 환자의 이송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휠체어에 있어서: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한 착석과 누울 수 있도록 각각 회전이 가능하게 머리받이부(11), 등받이부(12), 착석부(13), 다리받침부(14)로 이루어진 메인바디(10);
    상기 메인바디(10)에 착석부(13)의 측면으로 환자의 팔을 안착하거나 파지 가능하고, 메인바디(10)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팔걸이부(20);
    상기 메인바디(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송이 가능하게 바퀴(31)(32)를 구비하는 이송부(30);
    상기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이송부(30) 사이에 형성되어 이송부(30)로부터 착석부(13)를 상하로 이송가능하게 구비하는 리프트부(40); 및
    상기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리프트부(40) 사이에 형성되어 착석부(13)의 측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의 등받이부(12)는 착석부(13)로부터 후방으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양끝이 등받이부(12)와 착석부(13) 상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 실린더(16)와, 실린더(16) 상에 연결되는 호스(17)를 통해 공기압을 조절하는 손잡이(18)로 형성되는 에어실린더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40)는 착석부(13)와 이송부(30) 사이에 각각 구비하는 공간부(41)를 구비하고, 중앙에 힌지(43)를 통해 십자(十字) 형태로 교차 회전되는 한쌍의 지지대(42)의 양 끝이 공간부(41) 상에 삽설하되, 지지대(42)의 일측 끝에 지지대(4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회전부(44)와 지지대(42)의 타측 끝에 공간부(41)를 타고 이송이 가능하게 롤러(45)를 구비하며, 지지대(42) 상에 일체 고정되는 볼너트(46)와 서로 연동하여 회전력에 의해 볼너트(46)를 이송시켜 착석부(13)를 상하부로 이송시키는 볼스크류(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50)는 메인바디(10)의 착석부(13)와 리프트부(40) 사이에 형성되고, 리프트부(40)의 측면과 착석부(13)의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블록(51)과, 고정블록(51) 사이에 수용되어 이송 가능한 슬라이드(52)와, 고정블록(51) 상에 삽설되어 슬라이드(52)와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구비하는 리테이너(53)로 이루어진 LM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KR1020180052934A 2018-05-09 2018-05-09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KR20190128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34A KR20190128799A (ko) 2018-05-09 2018-05-09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934A KR20190128799A (ko) 2018-05-09 2018-05-09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799A true KR20190128799A (ko) 2019-11-19

Family

ID=6877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934A KR20190128799A (ko) 2018-05-09 2018-05-09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87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9405A (zh) * 2022-06-09 2022-09-23 长沙理工大学 一种上下床辅助轮椅
KR102653433B1 (ko) * 2023-12-07 2024-04-01 박선주 스마트 휠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365B1 (ko) 2002-09-27 2005-03-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원자힘 현미경의 팁 보호막 형성 방법
KR101852149B1 (ko) 2016-08-24 2018-04-25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365B1 (ko) 2002-09-27 2005-03-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원자힘 현미경의 팁 보호막 형성 방법
KR101852149B1 (ko) 2016-08-24 2018-04-25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9405A (zh) * 2022-06-09 2022-09-23 长沙理工大学 一种上下床辅助轮椅
CN115089405B (zh) * 2022-06-09 2023-09-26 长沙理工大学 一种上下床辅助轮椅
KR102653433B1 (ko) * 2023-12-07 2024-04-01 박선주 스마트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3715A (en) System including associated equipment used in combination with a bed for a sick or wounded patient
EP0420263B1 (en) All purpose wheelchair
US4510633A (en) Invalid transfer means
US9289341B2 (en) Lift chair
JP2011172898A (ja) 介護用リフト
JP2007181639A (ja) 起立補助椅子
EP1156768B1 (en) A lifting and transporting device for disabled persons
KR20190128799A (ko) 환자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휠체어
JPH07303676A (ja) 患者移送用腰掛け、患者の移送方法及び患者移送システム
KR20200002529A (ko)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US9775754B1 (en) Convertible wheelchair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H08243123A (ja) 床走行型昇降機
JP3509574B2 (ja) 身体支持装置
KR20130037603A (ko) 환자용 좌변의자
JPH10263019A (ja) 介護ベッド
JPH051005B2 (ko)
EP1192883A2 (en) Adjustable mattress/cushion for use with a bed or chair
JP3613795B2 (ja) 車椅子
JP2005073859A (ja) 昇降式座椅子
JP2001137297A (ja) 椅子型床走行リフト
JPH02280753A (ja) 障害者用車椅子
JP2001340394A (ja) 介護ベッド
NL1026184C2 (nl) Hefinrichting voor het verplaatsen van een persoon.
US20180360679A1 (en) Wheelchai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