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489A - 차량용 배터리팩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489A
KR20190128489A KR1020180052738A KR20180052738A KR20190128489A KR 20190128489 A KR20190128489 A KR 20190128489A KR 1020180052738 A KR1020180052738 A KR 1020180052738A KR 20180052738 A KR20180052738 A KR 20180052738A KR 20190128489 A KR20190128489 A KR 20190128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attery
inpu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829B1 (ko
Inventor
김덕중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829B1/ko
Priority to US16/397,934 priority patent/US11040633B2/en
Priority to HUE19172541A priority patent/HUE053973T2/hu
Priority to EP19172541.5A priority patent/EP3566894B1/en
Priority to PL19172541T priority patent/PL3566894T3/pl
Priority to CN201910374984.2A priority patent/CN110466364B/zh
Publication of KR2019012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39/006Opening by severing a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2039/008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using the switch for a battery cut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팩 내부에 단락이 발생하여도, 단락 발생 부분을 우회하여 전압을 출력하도록하여 차량을 안전모드로 주행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배터리와, 상기 제1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입출력 양극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이루어진 제1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입출력 양극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입출력 음극 포트로 이루어진 제2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 단자를 상기 제1배터리의 음극 단자나, 상기 제2입출력 양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상기 제1스위치나,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2스위치를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 또는 상기 제2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팩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팩{Battery p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서만 동력을 얻는 차량으로, 배터리 내부에서 단락이 발생되어 배터리에서 전압 출력이 차단될 경우, 차량은 의도치 않게 정지되어 사용자 또는 차량 자체에 위험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팩 내부에 단락이 발생하여도, 단락 발생 부분을 우회하여 전압을 출력하여 차량을 안전모드로 주행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팩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팩는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배터리와, 상기 제1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입출력 양극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이루어진 제1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입출력 양극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입출력 음극 포트로 이루어진 제2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 단자를 상기 제1배터리의 음극 단자나, 상기 제2입출력 양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상기 제1스위치나,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2스위치를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 또는 상기 제2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는 3로 스위치이며, 상기 차량용 배터리 팩의 내부에 단락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 구동 상태에서는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 모두 공통 단자와, 제1접점단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상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가 직렬 연결된 전압을 상기 제1입출력 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는 공통단자가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가 상기 제2스위치의 제1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가 상기 제2입출력 양극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스위치는 공통 단자가 상기 제1배터리의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의 제1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단자와 상기 제3스위치의 공통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스위치는 공통 단자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와 상기 제2스위치의 제2접점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가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가 상기 제2입출력 음극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배터리, 상기 제2배터리,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 상기 제1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2입출력 포트에서 단락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여, 단락 위치를 우회하도록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배터리 팩 내부에 단락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배터리 또는 상기 제2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제1입출력 포트 또는 상기 제2입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와 상기 제1입출력 양극 포트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입출력 포트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2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제2입출력 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배터리, 상기 제2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1스위치 사이에 단락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제1입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 사이에 단락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2배터리 전압을 상기 제2입출력 포트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배터리 전압을 상기 제1입출력 포트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팩는 배터리팩 내부에 단락이 발생하여도, 단락 발생 부분을 우회하여 전압을 출력하여 차량을 안전모드로 주행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팩과, 차량용 배터리 팩이 장착된 차량 구동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차량용 배터리팩의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1a에 도시된 차량용 배터리 팩에서, 단락 위치에 따른 다수의 스위치의 연결 관계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electrically coupled)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팩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를 참조하면 차량용 배터리 팩이 장착된 차량 구동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차량 구동 시스템(10)은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출력하는 배터리팩(100)과, 배터리팩(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팩(100)에서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 모터(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200)와, 인버터(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배터리팩(100)은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출력하며, 이를 출력하기 위한 두 개의 입출력 포트(T1, T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팩(100)의 두 개의 입출력 포트(T1, T2)는 제1입출력 포트(T1)와 제2입출력 포트(T2)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입출력 포트(T1)는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를 포함하며, 제2입출력 포트(T2)는 제2입출력 양극 포트(T2a)와 제2입출력 음극 포트(T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같은 배터리팩(100)의 내부 구성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같은 배터리팩(100)의 두 개의 입출력 포트(T1, T2)는 인버터(200)의 양극 단자(a) 및 음극 단자(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팩(100)의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와, 제2입출력 양극 포트(T2a)는 인버터(200)의 양극 단자(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팩(100)의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와 제2입출력 음극 포트(T2b)는 인버터(200)의 음극 단자(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배터리팩(100)의 입출력 양극 포트(T1a, T2a)는 인버터(200)의 양극 단자(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팩(100)의 입출력 음극 포트(T1b, T2b)는 인버터(200)의 음극 단자(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버터(200)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거나,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즉, 인버터(200)는 배터리팩(100)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구동 모터(300)로 공급한다. 또한 인버터(200)는 회생 제동시 구동 모터(300)에서 발전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팩(100)을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인버터(200)는 양극 단자(a) 및 음극 단자(b)와 병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200)는 캐패시터(미도시)에 의해, 배터리팩(100)의 충방전 속도보다 빠르게 충전 및 방전 되어, 구동 모터(300) 및 배터리팩(100)의 갑작스러운 상태 변화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 모터(300)는 인버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버터(200)로부터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받아, 구동력을 발생시켜 차량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구동 모터(300)는 차량이 전기 차량인 경우 그 자체가 엔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팩(100)은 다수의 배터리(110)와, 다수의 배터리(110)와 두 개의 입출력 포트(T1, T2)의 연결 관계를 변경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Ca, Cb, Cc) 및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20)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팩(100)은 다수의 배터리(110)와 두 개의 입출력 포트(T1, T2) 사이에 구비되어, 단락에 의한 과전류 발생시 전원 차단을 위한 퓨즈(F)와, 차량 시동 시 인버터(200)로 프리 차지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프리차지 릴레이(Rp)와 프리차지 릴레이(Rp)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다수의 배터리(110)는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는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제1배터리(111) 및 제2배터리(112)가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는 각각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를 포함한다.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는 각각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사이에,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배터리(111)는 양극 단자(a)가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 단자(b)가 제2스위치(Cb)의 공통 단자(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배터리(112)는 양극 단자(a)가 제1스위치(Ca)의 공통 단자(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 단자(b)가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스위치(Ca, Cb, Cc)는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는 3로 스위치(three way switch)로, 각각 공통 단자(1), 제1접점단자(2) 및 제2접점단자(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같은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는 제어기(120)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Sa, Sb, Sc)에 의해서,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공통 단자(1)와 제2접점단자(3)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는 제어기(120)의 제어 신호(Sa, Sb, Sc)에 의해서 각각 공통 단자(1)가 제1접점단자(2) 또는 제2접점단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스위치(Ca)는 공통 단자(1)가 제2배터리(112)의 양극 단자(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2)가 제2스위치(Cb)의 제1접점단자(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3)가 제2입출력 양극 포트(T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스위치(Ca)는 제어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120)에서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Sa)에 의해서 공통 단자(1)가 제1접점단자(2) 또는 제2접점단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Ca)는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를 제2스위치(Cb)의 제1접점단자(2) 또는 제2입출력 양극 포트(T2a)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스위치(Cb)는 공통 단자(1)가 제1배터리(111)의 음극 단자(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2)가 제1스위치(Ca)의 제1접점단자(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3)가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스위치(Cb)는 제어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120)에서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Sb)에 의해서 공통 단자(1)가 제1접점단자(2) 또는 제2접점단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스위치(Cb)는 제1배터리(111)의 음극 단자(b)를 제1스위치(Ca)의 제1접점단자(2) 또는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3스위치(Cc)는 공통 단자(1)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와 제2스위치(Cb)의 제2접점단자(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2)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3)가 제2입출력 음극 포트(T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스위치(Cc)는 제어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120)에서 인가되는 제3제어신호(Sc)에 의해서 공통 단자(1)가 제1접점단자(2) 또는 제2접점단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3스위치(Cc)는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를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 또는 제2입출력 음극 포트(T2b)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는 배터리팩(100)이 정상 구동 시에는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100)의 내부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단락된 부분을 우회하도록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는 제1접점단자(2) 또는 제2접점단자(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가 모두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배터리(111)의 음극 단자(b)가 제2배터리(112)의 양극 단자(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는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는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가 모두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입출력 포트(T1)로 직렬 연결된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의 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같이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가 모두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사이가 연결될 경우에 배터리팩(100)의 정상 전원 공급 라인이 연결된 상태로, 직렬로 연결된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의 전원이 제1입출력 포트(T1)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프리차지 릴레이(Rp)는 제1단자(x)와 제2단자(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차지 릴레이(Rp)의 제1단자(x)는 제1스위치(Ca)의 공통 단자(1)와 제2배터리(112)의 양극 단자(a)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y)는 제1스위치(Ca)의 제1접점단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같은 프리차지 릴레이(Rp)는 제어 단자가 제어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기(120)에 인가되는 제어신호(Sp)에 의해서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다. 또한 프리차지 릴레이(Rp)는 저항(R)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리차지 릴레이(Rp)와 저항(R)은 제1스위치(Ca)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차지 릴레이(Rp)는 제어기(12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Sp)에 의해서 온 되면, 저항(R)을 통해 두 개의 입출력 포트(T1, T2)로 출력되는 전원이 서서히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차지 릴레이(Rp)와 저항(R)은 차량 시동시와 같이, 배터리팩(100)에 출력되는 고전압이 급격히 차량 구동 시스템(10)에 공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퓨즈(F)는 제1스위치(Ca)의 제1접점단자(2)와 제2스위치(Cb)의 제1접점단자(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같은 퓨즈(F)는 배터리팩(100)의 정상 전원 공급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팩(100)의 정상 전원 공급 라인에 단락이 발생되어 고전류가 흐를 경우, 용융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20)는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제3스위치(Cc) 및 프리차지 릴레이(R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제3스위치(Cc) 및 프리차지 릴레이(Rp)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의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전압 센서들(미도시)에서 측정된 전압값(Svd)를 인가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전압 센서들은 배터리팩(100)의 정상 전원 공급 라인에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전압 센서는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 각각의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전압 센서는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 각각의 공통 단자(1), 제1접점단자(2) 및 제2접점단자(3)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전압 센서들은 제1배터리(111), 제2배터리(112),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의 각 단자의 전압값(Svd)을 측정하여 제어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전압 센서들에서 측정된 전압값(Svd)를 인가받아, 단락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단락 위치에 따라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의 정상 전원 공급 라인에 단락이 발생될 경우, 우회 경로를 통해 전원이 출력되도록 제1스위치(Ca), 제2스위치(Cb) 및 제3스위치(C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어기(120)가 배터리팩(100) 내부에 구비된 구성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a에 도시된 차량용 배터리팩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도 1a에 도시된 차량용 배터리 팩에서 단락 위치에 따른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연결 관계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배터리팩(100)의 내부에 단락에 따른 제어를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배터리팩의 다수의 스위치의 제어 방법은 단락 확인 단계(S1), 단락 위치 감지 단계(S2), 스위칭 제어 단계(S3) 및 안전 모드 주행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단락 확인 단계(S1)에서는 제어기(120)가 배터리팩(100)내에 구비된 다수의 전압 센서에서 측정된 전압값들(Svd)을 인가받아 단락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의 정상 전원 공급 라인에 장착된 다수의 전압 센서들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인가받아, 정상 전압값들과 비교하여 상이한 전압값이 있을 경우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20)는 정상 전원 공급 라인에 단락이 발생되어, 과전압에 의해 퓨즈(F)가 용융될 경우, 퓨즈(F)의 양 단자인, 제2스위치(Cb)의 제1접점단자(2)와, 제1스위치(Ca)의 제1접점단자(2)사이의 전압 값이 측정되지 않을 경우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 내부에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 전압 센서들에서 측정된 전압값들(Svd)을 통해 단락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 내부에 단락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 전압 센서들에서 측정된 전압값들(Svd)을 통해 단락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락 위치 감지 단계(S2)에서는 다수의 전압 센서들에서 측정된 전압값들(Svd)을 인가받은 제어기(120)는, 단락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의 정상 전원 공급 라인에 장착된 다수의 전압 센서들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인가받아, 정상 전압값들과 비교하여 상이한 전압값이 발생된 부분에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락 위치 감지 단계(S2)는 상기 단락 확인 단계(S1)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20)는 배터리팩(100)의 정상 전원 공급 라인에 장착된 다수의 전압 센서들에서 측정된 전압값중 정상 전압값과 상이한 전압값이 있다면,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상 전압값과 상이한 부분에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제어 단계(S3)에서는 제어기(120)에서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 부분을 우회하도록, 제어기(120)에서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스위칭 제어 단계(S3)는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도 3a를 참조하면, 단락 위치 감지 단계(S2)에서 제어기(120)가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 사이에 단락(C1, C2)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단락 지점(C1)은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와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단락 지점(C2)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와 제3스위치(Cc)의 제1접점단자(2)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는 제1입출력 포트(T1)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 다수의 배터리(110)의 출력이 제2입출력 포트(T2)로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 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 제어기(120)는 제1스위치(Ca)의 공통 단자(1)와 제2접점단자(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치(Cb)의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가 제2접점단자(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팩(100)은 제2입출력 양극 포트(T2a) 및 제2입출력 음극 포트(T2b)를 통해, 제2배터리(112)의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사이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팩(100)은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가 직렬 연결된 전압을 출력하는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제2배터리(112)의 전압만 출력하므로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절반의 전압인 저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같이 제어기(120)는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하여, 단락 위치(C1, C2)를 우회하여 제2입출력 포트(T2)를 통해 다수의 배터리(110)의 전압을 출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단락 위치 감지 단계(S2)에서 제어기(120)가 제1배터리(111)의 음극 단자(b)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 사이(C1, C2)에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단락 지점(C1)은 제1배터리(111)의 음극 단자(b)와 제1스위치(Ca)의 공통 단자(1)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단락 지점(C2)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와 제3스위치(Cc)의 제1접점단자(2)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는 제1배터리(111)의 음극 단자(b)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 다수의 배터리(110)의 출력이 제2입출력 포트(T2)로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배터리(111)의 음극 단자(b)와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 제어기(120)는 제1스위치(Ca)의 공통 단자(1)와 제2접점단자(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치(Cb)의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가 제2접점단자(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팩(100)은 제2입출력 양극 포트(T2a) 및 제2입출력 음극 포트(T2b)를 통해, 제2배터리(112)의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사이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팩(100)은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가 직렬 연결된 전압을 출력하는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제2배터리(112)의 전압만 출력하므로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절반의 전압인 저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같이 제어기(120)는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하여, 단락 위치(C1, C2)를 우회하여 제2입출력 포트(T2)를 통해 다수의 배터리(110)의 전압을 출력 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락 지점(C1)이 제1스위치(Ca)의 내부에 발생했을 경우에도, 제어기(120)는 상기와 동일하게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c를 참조하면, 단락 위치 감지 단계(S2)에서 제어기(120)가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에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단락 지점(C1)은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단락 지점(C2)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와 제3스위치(Cc)의 제2접점단자(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는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 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제1배터리(111) 또는 제2배터리(112)중 어느 하나만 입출력 포트(T1, 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c에서는 제2입출력 포트(T2)를 통해 제2배터리(112)의 전압만 출력될 경우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 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 제어기(120)는 제1스위치(Ca)의 공통 단자(1)와 제2접점단자(3)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치(Cb)의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가 제2접점단자(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팩(100)은 제2입출력 양극 포트(T2a) 및 제2입출력 음극 포트(T2b)를 통해, 제2배터리(112)의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사이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팩(100)은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가 직렬 연결된 전압을 출력하는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제2배터리(112)의 전압만 출력하므로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절반의 전압인 저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120)는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하여, 단락 위치(C1, C2)를 우회하여 제2입출력 포트(T2)를 통해 다수의 배터리(110)의 전압을 출력 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락 지점(C1)이 제2스위치(Cb)의 내부에 발생했을 경우에도, 제어기(120)는 상기와 동일하게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를 참조하면, 도 3c와 동일하게 단락 위치 감지 단계(S2)에서 제어기(120)가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에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단락 지점(C1)은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단락 지점(C2)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와 제3스위치(Cc)의 제2접점단자(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는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 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제1배터리(111) 또는 제2배터리(112)중 어느 하나만 입출력 포트(T1, 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d에서는 제1입출력 포트(T1)를 통해 제1배터리(111)의 전압만 출력될 경우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 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 제어기(120)는 제1스위치(Ca)의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치(Cb)의 공통 단자(1)와 제2접점단자(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가 제1접점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팩(100)은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 및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를 통해,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사이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팩(100)은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가 직렬 연결된 전압을 출력하는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제1배터리(111)의 전압만 출력하므로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절반의 전압인 저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120)는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하여, 단락 위치(C1, C2)를 우회하여 제1입출력 포트(T1)를 통해 다수의 배터리(110)의 전압을 출력 할 수 있다. 또한 제2단락 지점(C2)이 제1스위치(Ca)의 내부에 발생했을 경우에도, 제어기(120)는 상기와 동일하게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e를 참조하면, 단락 위치 감지 단계(S2)에서 제어기(120)가 제2배터리(112)의 내부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사이에 단락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에,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단락 지점(C1)은 제2배터리(11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단락 지점(C2)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와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20)는 제2배터리(112)의 내부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다수의 배터리(110)의 출력이 제1입출력 포트(T1)로 출력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배터리(112)의 내부와 제2배터리(112)의 음극 단자(b)사이에 단락이 발생되었을 경우, 제어기(120)는 제1스위치(Ca)의 공통 단자(1)와 제1접점단자(2)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 제2스위치(Cb)의 공통 단자(1)와 제2접점단자(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 제3스위치(Cc)의 공통 단자(1)가 제1접점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팩(100)은 제1입출력 양극 포트(T1a) 및 제1입출력 음극 포트(T1b)를 통해, 제1배터리(111)의 양극 단자(a)와 음극 단자(b)사이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팩(100)은 제1배터리(111)와 제2배터리(112)가 직렬 연결된 전압을 출력하는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제1배터리(111)의 전압만 출력하므로 정상 구동시에 비해서 절반의 전압인 저전압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120)는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하여, 단락 위치(C1, C2)를 우회하여 제1입출력 포트(T1)를 통해 다수의 배터리(110)의 전압을 출력 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락 지점(C1) 및 제2단락 지점(C2)이 제1스위치(Ca)와, 제2입출력 포트(T2)에 발생했을 경우에도, 제어기(120)는 상기와 동일하게 다수의 스위치(Ca, Cb, Cc)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모드 주행 단계(S4)에서는 배터리팩(100)의 내부에 단락이 발생될 경우 우회경로를 통해 저전압이 출력되므로, 차량 구동 시스템(10)은 구동 모터(300)를 저전압에 의해 안전모드로 주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안전 모드는 배터리팩(100)에서 출력된 저전압을 인버터(200)를 통해 구동 모터(300)로 공급할 수 있으며, 구동 모터(300)는 차량이 저속 주행만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전 모드로 주행할 경우, 차량에 경고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안전 모드 주행중임을 안내하여 차량 정비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전기차량의 경우 배터리팩 내부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출력 전압이 차단되어 차량이 정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팩 내부에 단락이 발생하여도, 단락 발생 부분을 우회하여 저전압을 출력하여 차량을 안전모드로 주행시킴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팩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배터리팩 110; 다수의 배터리
111; 제1배터리 112; 제2배터리
Ca; 제1스위치 Cb; 제2스위치
Cc; 제3스위치 T1; 제1입출력 포트
T2; 제2입출력 포트

Claims (10)

  1. 제1배터리와 제2배터리로 이루어진 다수의 배터리;
    상기 제1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입출력 양극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이루어진 제1입출력 포트;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입출력 양극 포트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입출력 음극 포트로 이루어진 제2입출력 포트;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 단자를 상기 제1배터리의 음극 단자나, 상기 제2입출력 양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상기 제1스위치나,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2스위치를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 또는 상기 제2입출력 음극 포트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는 3로 스위치이며, 상기 차량용 배터리 팩의 내부에 단락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 구동 상태에서는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 모두 공통 단자와, 제1접점단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상 전원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가 직렬 연결된 전압을 상기 제1입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공통단자가 상기 제2배터리의 양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가 상기 제2스위치의 제1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가 상기 제2입출력 양극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는
    공통 단자가 상기 제1배터리의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의 제1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단자와 상기 제3스위치의 공통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스위치는
    공통 단자가 상기 제2배터리의 음극 단자와 상기 제2스위치의 제2접점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접점단자가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접점단자가 상기 제2입출력 음극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 상기 제2배터리,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스위치, 상기 제1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2입출력 포트에서 단락이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여, 단락 위치를 우회하도록 상기 제1스위치, 제2스위치 및 제3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팩 내부에 단락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배터리 또는 상기 제2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제1입출력 포트 또는 상기 제2입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제1스위치, 상기 제2스위치 및 상기 제3스위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입출력 음극 포트와 상기 제1입출력 양극 포트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제1입출력 포트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2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제2입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배터리, 상기 제2입출력 포트 및 상기 제1스위치 사이에 단락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제1입출력 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와 상기 제2배터리 사이에 단락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2배터리 전압을 상기 제2입출력 포트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2스위치와 상기 제3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1배터리 전압을 상기 제1입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팩.
KR1020180052738A 2018-05-08 2018-05-08 차량용 배터리팩 KR10251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738A KR102518829B1 (ko) 2018-05-08 2018-05-08 차량용 배터리팩
US16/397,934 US11040633B2 (en) 2018-05-08 2019-04-29 Battery pack for vehicle
HUE19172541A HUE053973T2 (hu) 2018-05-08 2019-05-03 Akkumulátortelep csomag jármû számára
EP19172541.5A EP3566894B1 (en) 2018-05-08 2019-05-03 Battery pack for vehicle
PL19172541T PL3566894T3 (pl) 2018-05-08 2019-05-03 Zespół akumulatorowy dla pojazdu
CN201910374984.2A CN110466364B (zh) 2018-05-08 2019-05-07 用于车辆的电池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738A KR102518829B1 (ko) 2018-05-08 2018-05-08 차량용 배터리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489A true KR20190128489A (ko) 2019-11-18
KR102518829B1 KR102518829B1 (ko) 2023-04-06

Family

ID=6639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738A KR102518829B1 (ko) 2018-05-08 2018-05-08 차량용 배터리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0633B2 (ko)
EP (1) EP3566894B1 (ko)
KR (1) KR102518829B1 (ko)
CN (1) CN110466364B (ko)
HU (1) HUE053973T2 (ko)
PL (1) PL356689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8059B2 (en) 2018-11-08 2022-01-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with multiple sets of output terminals and adjustable capacity
US11152813B2 (en) * 2018-11-08 2021-10-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with adjustable capacity
US11235748B2 (en) 2019-03-01 2022-0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se of adjustable battery system within a vehicle with an HV battery or fuel cell system
EP3912843A1 (en) * 2020-05-20 2021-11-24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vehicle power suppl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70A (ko) * 2014-11-21 2016-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충전 장치
KR20160139476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만도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및 배터리 제어 방법
KR20170002085A (ko) 2015-06-29 2017-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시스템
US20170194120A1 (en) * 2015-12-31 2017-07-06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0420B2 (en) 2009-04-10 2012-12-1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Dynamically reconfigurable framework for a large-scale battery system
CN101580030A (zh) * 2009-06-23 2009-11-18 李岳 电动车电池供电系统
KR101147937B1 (ko) 2011-12-19 2012-06-01 국방과학연구소 자가복구형 배터리 및 이의 제어방법, 자가복구형 배터리 시스템
EP2811548B1 (en) 2013-06-07 2017-08-09 Autoliv Development AB Battery module disconnect arrangement
CN203528320U (zh) * 2013-10-31 2014-04-09 济南宏昌车辆有限公司 电动车双电源转换控制系统
CN203727191U (zh) * 2014-03-14 2014-07-23 北京理工大学 一种电动客车碰撞安全控制系统
KR101745167B1 (ko) 2015-11-03 2017-06-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불량 배터리 셀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05703441A (zh) * 2016-03-30 2016-06-22 天津市松正电动汽车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动力电池均衡电路
US20170373512A1 (en) 2016-06-21 2017-12-28 Chunyi Wang First Series Then Parallel Battery Pack System
CN206264811U (zh) * 2016-12-22 2017-06-20 福州欣联达电子科技有限公司 双动力电池输入的电动汽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70A (ko) * 2014-11-21 2016-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충전 장치
KR20160139476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만도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및 배터리 제어 방법
KR20170002085A (ko) 2015-06-29 2017-0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제어 시스템
US20170194120A1 (en) * 2015-12-31 2017-07-06 Shenzhen Carku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566894T3 (pl) 2021-07-26
EP3566894A1 (en) 2019-11-13
US11040633B2 (en) 2021-06-22
CN110466364B (zh) 2023-03-21
US20190348664A1 (en) 2019-11-14
EP3566894B1 (en) 2020-12-02
HUE053973T2 (hu) 2021-08-30
KR102518829B1 (ko) 2023-04-06
CN110466364A (zh)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037B2 (en) Vehicle
JP5575506B2 (ja) 車両用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CN111032415B (zh) 电源系统及电动汽车
KR102518829B1 (ko) 차량용 배터리팩
JP5450144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搭載する車両
US10202042B2 (en) Electric vehicle power conversion system
CN109649216B (zh) 驱动电池的自动连接
EP3321119B1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2011130551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JP2013055825A (ja) 車両用の電源装置と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JP6371791B2 (ja) 車両用電源装置
US11077761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JP5888187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
KR20120081824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11069720A (ja)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搭載する車両
US20230086550A1 (en) Power supply system
JP2018176917A (ja) 車両用電源装置
WO2012133706A1 (ja) 電源システム、電源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又は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US9694698B2 (en) Power storage system and control device of power storage device
JP2018057202A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18057115A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KR20110048857A (ko) 전기자동차
JP2017143691A (ja) バッテリの昇温システム
US20220416552A1 (en) In-vehicle battery system
JP2022077219A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