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227A -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 Google Patents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227A
KR20190128227A KR1020197031041A KR20197031041A KR20190128227A KR 20190128227 A KR20190128227 A KR 20190128227A KR 1020197031041 A KR1020197031041 A KR 1020197031041A KR 20197031041 A KR20197031041 A KR 20197031041A KR 20190128227 A KR20190128227 A KR 2019012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oupled
shaft
axis
glass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모스 빅터 티제리나
차베스 루이스 마르틴 헤르난데즈
Original Assignee
비트로, 에스.에이.비. 데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트로, 에스.에이.비. 데 씨.브이. filed Critical 비트로, 에스.에이.비. 데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9012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44Means for discharging combined with glass-blowing machines, e.g. take-outs
    • C03B9/447Means for the removal of glass articles from the blow-mould, e.g. take-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rotary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04Transporting of hot hollow or semi-hollow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40Gear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specially adapted for glass-blow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구조체 및 진동 아암을 포함하는 타입의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진동 아암은 운동 전동 시스템에 피봇 형태로 제 1 단부에 의해 연결되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각도 운동으로 진동 아암을 이동시키며, 취출 집게 헤드는 진동 아암의 제 2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진동 아암은 중공 하우징과, 하우징의 제 1 단부에 결합된 제 1 고정 샤프트를 포함한다. 제 1 캠 수단은 제 1 고정 축에 결합되어 있다. 제 2 회전 샤프트는 지지 구조체의 제 2 단부에 결합되며, 제 2 회전 샤프트는 제 1 샤프트와 평행하게 이격되며,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의 하나의 단부는 취출 집게 헤드에 결합되어 있다. 제 2 캠 수단은 제 2 회전 축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링크장치 수단은 상기 제 1 고정 축의 상기 제 1 캠 수단과 상기 제 2 회전 축의 상기 제 2 캠 수단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며, 구동 수단의 운동에 의해서, 중공 하우징은 제 1 고정 축 상에서 그 제 1 단부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동되며, 링크장치 수단을 통해서 제 2 회전 축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또한 그 반대에서 각도 병진 운동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본 발명은 유리제품 제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takeout mechanism)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블로우, 블로우-블로우 프로세스와 같은 유리제품의 제조 프로세스에서, 용융 유리의 덩어리는 예를 들어 개별 섹션(individual section: I.S.) 타입의 기계의 각 섹션으로 공급되며, I.S. 타입에서, 반전된 위치에서 블랭크 몰드에서 용기 또는 패리슨(parison) 프리폼을 형성하고, 또한 용기의 크라운을 형성하고, 이어서 최종 소망 형상 용기에 부합하는 최종 블로우가 수용되는 제 2 몰드에서 그 정상 위치로 프리폼을 반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일단 최종 블로우가 발생하면, 취출 메카니즘은 새롭게 형성된 용기를 블로우 몰드로부터 용기가 초기 냉각을 수용하는 냉각 플레이트로 이송한다. 다음에, 용기는 어닐링 노를 향해서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90° 푸셔에 의해서 이송되며, 용기가 그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겪는 모든 열적 응력이 제거된다.
유리제품 취출 메카니즘은 특히 개별 섹션(individual section: I.S.) 형성 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유리 산업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지지 구조체 상에 그 단부 중 하나 상에 피봇된 진동 아암으로 구성되며, 진동 아암은 기계의 전방에 위치되며, 블로우 몰드 또는 용기의 최종 마무리의 위치로부터 냉각 플레이트 위치까지 각을 이뤄 진동하도록 이동된다. 취출 헤드 조립체는 진동 아암의 자유 단부 상에 안착되며, 상기 아암의 진동 운동에 의존하는 관계로 이동한다. 취출 헤드 조립체는 최종 블로우 몰드로부터 냉각 플레이트까지 용기를 이송하기 위해서 동시에 개방 및 폐쇄되는 적어도 한쌍의 집게(tong)를 포함한다.
몇몇 종류의 유리제품 몰드 취출 메카니즘이 있으며, 예를 들어 Thomas Foster의 미국 특허 제 4,525,195 호는 캐리어에 의해 운반된 집게가 제품을 파지할 수 있는 위치와 집게가 제품을 기계의 데드 플레이트(dead plate) 상에 해제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의 아치형 경로에서 이동 가능한 집게 캐리어를 포함하는 취출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는 캐리어가 그 제 2 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캐리어의 운동에 대항하여 작동 가능한 충격완화 수단을 제공하여, 제품과 데드 플레이트 사이의 모든 충격을 감소시킨다.
Heinz Houben 등의 미국 특허 제 5,271,757 호는 취출 집게의 운동을 실행하기 위한 평행 링크장치를 포함하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취출 집게의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평행 링크장치의 고정 피봇 중 하나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Leidy D. Wayne 등의 미국 특허 제 6,848,273 호에 개시된 취출의 다른 예는 몰드 세트의 용기 내로 유리 패리슨을 순차적으로 블로잉하고, 블로잉된 용기를 유리 함유 성형 기계의 데드 플레이트로 이송하는 조합 블로우 헤드 및 취출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조합 메카니즘의 각각은 진동 아암의 단부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캐리어 아암으로부터 축(A)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현수되어 있다. 진동 아암의 대향 단부는 축(B)을 중심으로 피봇되어 있다. 각각의 조합된 블로우 헤드 및 취출 메카니즘의 축(B)은 다른 조합된 블로우 헤드 및 취출 메카니즘이 그 아래에서 진동하도록 주기적으로 상승 및 하강하여, 블로우 헤드 및 취출 메카니즘들 사이의 중첩 사이클을 허용한다. 각 블로우 헤드 및 취출 메카니즘은 그 마감처리에 따라 각 용기를 결합 또는 해제하기 위한 척(chuck) 또는 집게를 구비한다. 각 집게 조립체는 각 집게 요소에 의해 운반되는 핀(pin)이 얹혀 움직이는 비원형 슬롯을 구비하는 캠의 진동에 의해 동시에 반경방향으로 내외로 이동되는 복수의 집게 요소를 구비한다.
제품 취출 메카니즘이 제대로 작동할 지라도, 이들 취출 메카니즘의 중요 부분 중 하나는, 유리 제품의 최종 몰드의 위치와 전방 위치 사이에서 냉각 플레이트를 향해 180°의 각도 운동으로 이동하는 진동 아암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진동 아암은 일련의 기어의 지지체와 함께, 또는 체인 기어에 의한 또는 기어 및 치형 풀리에 의한 전동장치와 함께 그 운동을 실행한다. 그러나, 높은 제조 가동으로 인해서, 요소는 마모되거나 조정되지 않아서(열의 영향으로 인해서), 제품이 몰드로부터 제거될 때 취출 헤드가 오정렬되고 그 수직 위치를 잃게 된다.
이러한 오정렬로 인해서, 제품이 몰드로부터 제거될 때, 취출 헤드의 핑거의 절반이 제품의 상이한 높이에 접촉할 것이고, 이는 여전히 고온 상태이기 때문에 제품의 네크 주위에 마크를 야기하고, 제품의 가능한 슬릿팅(slitting)을 야기시킨다.
이것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 아암의 벨트 또는 스프로켓 체인을 조정하기 위해 기계 섹션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어 마모로 인해서, 기어에 존재하는 간극을 정확하게 조정하거나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더 큰 접촉 표면을 제공하도록 편심 커넥팅 로드 및 캠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진동 아암의 구성요소를 단순화하여, 하중을 보다 더 큰 원주방향 공간 상에 분산시킴으로써 부품들 사이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마모를 최소로 유지하는데, 이는 취출 메카니즘이 몰드로부터 제품을 제거할 때 완벽하게 정렬되고, 기계의 전방을 향해 0° 내지 180°의 각도 운동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진동 아암이 마모를 감소시키는 편심 커넥팅 로드 및 캠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메카니즘의 운동을 보다 정확하게 하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중을 보다 큰 원주방향 공간에 분산시킴으로써 부품들 사이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몰드 및 유리 제품에 대한 취출/블로우 헤드의 높이의 정렬을 유지하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의 추가의 목적은 치형 영역과 더 많은 접촉을 제공하고 모든 다른 워엄 스크류 디자인보다 더 많이 맞물리는 치형부를 제공함으로써 하중 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이중-엔벨로프 전동 시스템(워엄 스크류 및 기어가 서로를 둘러싸고 있음)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뤄지고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고려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을 도시하는 종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우헤드가 없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을 도시하는 종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전방을 향한 0° 내지 180°의 각도 운동과 반대 방향으로의 그 복귀를 갖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의 운동 시퀀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의 편심 커넥팅 로드 시스템을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에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에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제 1 편심부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에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제 2 편심부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은 하나의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며, 동일한 도면부호는 도시된 도면의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은 지지 구조체(12); 지지 구조체(12)에 결합된 서보모터(14); 지지 구조체(12)에서 제 1 단부를 위해 회전하도록 연결된 진동 아암(16)을 포함하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10)을 도시한 것이다.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서보모터(14)와 연결된 진동 아암(16)은 예를 들어 최종 유리제품 성형 기계로부터의 몰드의 위치인 제 1 위치(A)와, 유리제품 성형 기계의 전방을 향한 전방 위치(B) 사이에서 180°의 각도 운동으로 이동한다.
취출 집게 헤드(18)는 집게 또는 핑거(20)를 구비하며, 이들 집게 또는 핑거(20)는 동일한 성형 프로세스 동안 제품(도시하지 않음)의 클램핑 및 해제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개방 및 폐쇄 운동을 갖는다. 취출 집게 헤드(18)는 진동 아암(16)의 자유 단부와 그 상부 부분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아암(16)의 진동 운동에 의존하는 관계로 이동한다.
도 2는 취출 집게 헤드(18)의 커플링이 없는 제품 취출 메카니즘(10)의 사시로서, 취출 집게 헤드(18)를 이동시키도록 그 자체 축 상에서만 회전하는 커플링 헤드(2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진동 아암(16)은 전방 벽(22A) 및 후방 벽(22B)을 갖는 하우징(22)과; 전방 벽(22A)과 후방 벽(22B) 사이에서 그 단부에 의해 결합된 제 1 샤프트(24)에 의해 구성된 편심 커넥팅 로드 및 아암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 1 샤프트(24)의 전방 단부는 취출 집게 헤드(18)의 커플링 헤드(20)에 결합되어 있다. 한쌍의 원형 캠(26, 28)(하나는 전방이고 하나는 후방)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있는 관계로 제 1 샤프트(24)에 편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원형 캠(26, 28)은 도 10a 및 도 10b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대략 45°의 각도 오프셋으로 위치되어 있다.
제 2 샤프트(30)는 특정 거리(X1)로 제 1 샤프트(24)에서 평행하게 분리되며, 동일한 수평 축 상에 정렬된다. 제 2 샤프트(30)는 전방 벽(22A)과 후방 벽(22B) 사이에서 그 단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제 2 샤프트(30)는 하우징(22)의 전방 벽(22A)과 후방 벽(22B) 사이에서 그 자체 축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한쌍의 원형 캠(32, 34)(하나는 전방이고 하나는 후방)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있는 관계로 제 2 샤프트(30)에 편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원형 캠(32, 34)은 도 11a 및 도 11b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대략 45°의 각도 오프셋으로 위치되어 있다.
한쌍의 커넥팅 바아 또는 커넥팅 로드(36, 38)는 각기 전방 원형 캠(26, 32) 및 후방 원형 캠(28, 34)에 연결된다. 커넥팅 바아 또는 커넥팅 로드(36)는 전방 원형 캠(26, 32)을 연결시키며, 커넥팅 바아 또는 커넥팅 로드(38)는 후방 원형 캠(28, 34)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샤프트(24)가 제 2 샤프트(30)에 대해서 각도 병진 운동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보모터(14)(후술함)와 결합된 하우징(22)은 유리 제품의 최종 성형 몰드의 위치에서의 제 1 위치(A)와 제품 성형 기계의 전방을 향한 전방 위치(B) 사이에서 180° 각도로 이동할 것이다. 하우징(22)은 제 2 샤프트(30) 상에서 회전되도록 지지될 것이며, 커넥팅 바아 또는 커넥팅 로드(36, 38)에 운동을 전달할 것이다. 샤프트(24, 30), 캠(26, 28) 및 커넥팅 바아 또는 커넥팅 로드(36, 38)의 구성은 제 2 샤프트(30) 둘레에서 하우징(22)의 병진 운동을 생성한다.
도 4 내지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에서의 하우징(22)은 예를 들어 유리 제품의 최종 성형 몰드의 위치(위치 A)에서 수평으로 위치된다. 도 5 및 도 6에서, 하우징(22)은 제품 성형 기계의 전방을 향해서 제 1 위치(A)와 전방 위치(B) 사이에서 180° 시계방향 각도 운동으로 이동한다. 도 7은 유리제품의 새로운 운송 사이클을 개시하도록 반시계방향으로의 하우징(22)의 복귀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샤프트(24, 30)는 그들의 병진 프로세스를 통해서 그들의 선형성을 항상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도 8 및 도 9는 편심 커넥팅 로드 및 캠의 구성과,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의 취출 메카니즘에 대한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은 전방 벽(22A)과 후방 벽(22B)을 포함한다. 원형 캠(26, 28)을 갖는 제 1 샤프트(24)는 베어링(40, 42) 사이에서 그 단부에 의해 전방 벽(22A)과 후방 벽(22B)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베어링(42)은 하우징(22)의 후방 벽(22B)에 부착된 커버(44B)로 커버되어 있는 반면에, 전방 부분은 하우징(22)의 전방 벽(22A)에 결합된 중앙 개구부(44A)를 갖는 커버로 커버되어 있다. 하우징(22)의 전방 벽(22A)과 일치하는 제 1 샤프트(24)의 전방 단부는 커버(44A)의 중앙 개구부를 통해 통과하여 취출 집게 헤드(18)의 커플링 헤드(20)를 연결한다.
또한, 제 1 샤프트(24)보다 기다란 제 2 샤프트(30)는 베어링(44, 46) 사이에서 전방 벽(22A)과 후방 벽(22B)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제 2 샤프트(30) 및 베어링(44)의 전방 단부는 하우징(22)의 전방 벽(22A)에 부착된 커버(48)로 커버되어 있는 반면에, 제 2 샤프트(30)의 하부 단부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 구조체(12)에 부착되어 있다. 커넥팅 바아 또는 커넥팅 로드(36, 38)는 제 2 샤프트(30)에 대해서 각도 운동을 갖도록 전방 원형 캠(26, 32) 및 각 후방 캠(28, 34)을 각각 연결한다.
지지 커버(52)를 갖는 원통형 본체 또는 슬리브(50)는 상기 지지 커버(52)를 통해서 하우징(22)의 후방 벽(22B)에 결합되어 있다. 제 2 샤프트(30)의 후방 단부(54)는 그 자체 축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상기 원통형 본체 또는 슬리브(50)에 삽입된다. 지지 커버(52)는 제 2 샤프트(30) 상에 위치된 베어링(46)을 추가로 커버한다.
기어 또는 치형 기어 링(56)은, 기어(56)가 구동될 때, 하우징(18)에 직접 결합된 슬리브(50)가 제 2 샤프트(30) 상에서 하우징(18)을 회전시키게 하는 방식으로 슬리브(50)의 본체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8)의 운동은 커넥팅 바아 또는 커넥팅 로드(36, 38)에 의해서 그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변환한다.
기어(56)는, 서보모터(14)의 운동에 의해서 진동 아암(16)의 180° 각도 운동을 실행하도록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서보모터(14)의 구동 샤프트(60)에 결합된 이중-엔벨로프 워엄 스크류(58)(도 9)에 연결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또는 크라운 기어(56)는 하우징(22)에 연결된 실린더(50)에 고정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기어 또는 네크 링(56)은 이중-엔벨로프 워엄 스크류(58)에 연결되어 있는데, 즉, 이러한 개념 하에서, 워엄 스크류(58)는 기어 또는 크라운 기어(56)를 둘러싸서, 기어 치형 영역(56)에 보다 더 많은 접촉을 제공하는 하중 용량을 증가시키고, 그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 토크를 증가시킨다. 워엄 스크류(58)는 지지 구조체(12) 상에 위치된 하부 베어링(60)과 상부 베어링(62) 사이에서 지지 구조체(12) 상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64)는 하부 단부(66) 및 상부 단부(68)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64)는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운동으로 그 자체 축 상에서 회전하도록 지지 구조체(12)에 직립으로 위치되어 있다. 샤프트(64)의 하부 단부(66)는 이중-엔벨로프 워엄 스크류(58)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며, 샤프트(64)의 상부 단부(68)는 서보모터(14)에 연결되어 있다. 서보모터(14)는 샤프트(64) 및 워엄 스크류(58)에 회전 운동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기어 또는 크라운 기어(56)에 운동을 제공한다.
실린더 또는 슬리브(50)에 결합된 기어 또는 크라운 기어(56)의 회전 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A)와 전방 위치(B) 사이에서 또한 그 반대에서 180°의 각도 운동을 하우징(22)에 제공할 것이다.
취출 메카니즘의 특정 실시예를 유리제품 성형 기계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에 의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된 분야 내에서 고려될 수 있는 많은 특징 또는 개선이 이뤄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Claims (8)

  1. 하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타입의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으로서,
    지지 구조체;
    지지 구조체에 결합된 구동 수단;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진동 아암 ― 상기 진동 아암은 피봇 형태로 제 1 단부에서 구동 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구동 수단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각도 운동으로 상기 진동 아암을 이동시킬 수 있음 ―; 및
    상기 진동 아암의 제 2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진동 아암의 진동 운동과 종속적인 관계로 이동하는 취출 집게 헤드(takeout tong head)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아암이,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갖는 중공 하우징;
    지지 구조체의 제 1 단부에 내부에 결합되며, 지지 구조체의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된 제 1 고정 축 ― 고정 축의 제 1 단부는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지지 구조체에 결합되어 있음 ―;
    상기 제 1 고정 축에 결합된 제 1 캠 수단;
    지지 구조체의 제 2 단부에 결합되며, 지지 구조체의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된 제 2 회전 축 ― 상기 제 2 회전 축은 제 1 고정 축에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제 2 회전 축의 하나의 단부는 취출 집게 헤드와 직접 관련되어 결합되어 있음 ―;
    상기 제 2 회전 축에 결합된 제 2 캠 수단; 및
    상기 제 1 고정 축의 상기 제 1 캠 수단과 상기 제 2 회전 축의 상기 제 2 캠 수단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링크장치 수단 ― 구동 수단의 운동에 의해서, 중공 하우징은 제 1 고정 축 상에서 그 제 1 단부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동되며, 링크장치 수단을 통해서 제 2 회전 축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또한 그 반대에서 각도 병진 운동으로 이동함 ― 을 구비하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하우징이,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원통형 본체;
    원통형 본체의 제 1 단부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를 갖는 지지 커버 ― 상기 지지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 벽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본체 및 지지 커버는 상기 제 1 고정 축 상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음 ―; 및
    원통형 본체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고정 축 상에서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 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기어를 더 구비하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캠 수단은 제 1 전방 캠 및 제 2 후방 캠이며, 상기 캠들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있는 관계로 제 1 고정 축에 대해서 편심적으로 위치되며,
    제 2 캠 수단은 제 3 전방 캠 및 제 4 후방 캠이며, 상기 제 3 전방 캠 및 상기 제 4 후방 캠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있는 관계로 제 2 회전 축에 대해서 편심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링크장치 수단은 각기 제 1 고정 축의 제 1 전방 캠 및 제 2 회전 축의 제 3 전방 캠과, 그리고 제 1 고정 축의 제 2 후방 캠 및 제 2 회전 축의 제 4 후방 캠과 결합되어 있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전방 캠 및 제 2 후방 캠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대략 45°의 각도 오프셋으로 위치되어 있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3 전방 캠 및 제 4 후방 캠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대략 45°의 각도 오프셋으로 위치되어 있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캠 수단 및 제 2 캠 수단은 원형 캠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이,
    지지 구조체에 위치되며, 지지 구조체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워엄 스크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회전 샤프트 ― 상기 워엄 스크류는 회전 샤프트의 제 1 단부에 고정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는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의 회전 운동으로 그 자체 축 상에서 회전하도록 지지 구조체에 위치되어 있음 ―; 및
    샤프트 및 워엄 스크류에 회전 운동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샤프트의 제 2 단부에 연결된 모터를 구비하는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 스크류가 이중-엔벨로프 타입인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KR1020197031041A 2017-03-23 2017-08-02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KR201901282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R20170100724 2017-03-23
ARP170100724A AR107961A1 (es) 2017-03-23 2017-03-23 Mecanismo sacador para máquinas formadoras de artículos de vidrio
PCT/MX2017/000089 WO2018174704A1 (es) 2017-03-23 2017-08-02 Mecanismo sacador para maquinas formadoras de artículos de vidr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227A true KR20190128227A (ko) 2019-11-15

Family

ID=6303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041A KR20190128227A (ko) 2017-03-23 2017-08-02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1370687B2 (ko)
EP (1) EP3604240A4 (ko)
JP (1) JP7012743B2 (ko)
KR (1) KR20190128227A (ko)
CN (1) CN110546111B (ko)
AR (1) AR107961A1 (ko)
AU (1) AU2017405059B2 (ko)
BR (1) BR112019019714A2 (ko)
CA (1) CA3057287A1 (ko)
CL (1) CL2019002697A1 (ko)
CO (1) CO2019010129A2 (ko)
EC (1) ECSP19070043A (ko)
MX (1) MX2019011135A (ko)
PE (1) PE20191441A1 (ko)
RU (1) RU2741539C1 (ko)
SG (1) SG11201908419VA (ko)
UA (1) UA124318C2 (ko)
WO (1) WO2018174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107961A1 (es) 2017-03-23 2018-07-04 Vitro Sab De Cv Mecanismo sacador para máquinas formadoras de artículos de vidrio
CN111361788A (zh) * 2020-04-24 2020-07-03 武汉市川田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枕式包装机卫生巾自动进料装置
CN112390001A (zh) * 2020-10-09 2021-02-23 王纲岭 一种抓取递送一体化的新型机械爪
CN112573801A (zh) * 2020-12-08 2021-03-30 四川广安慧诚科艺玻璃有限公司 瓶状凸底玻璃制品生产方法
CN113602790B (zh) * 2021-08-12 2023-06-23 安徽金源建筑工程有限公司 自适应建筑工程用板材等长加工机构
CN114572684A (zh) * 2022-03-01 2022-06-03 立讯电子科技(昆山)有限公司 一种搬运装置
CN114772245A (zh) * 2022-04-28 2022-07-22 江苏亨通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光棒加工用送料装置
CN116619525B (zh) * 2023-07-24 2023-09-26 江苏天元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钎条抓取装置及采用该装置的换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5082A (en) * 1958-06-05 1963-06-25 Owens Illinois Glass Co Method for handling glassware articles
US3220566A (en) * 1964-03-13 1965-11-30 Emhart Corp Take-out mechanism for double gob glassware forming machine
DE2746675C2 (de) 1977-10-18 1979-10-04 Hermann Heye, 3063 Obernkirchen Glasformmaschine mit mehreren Stationen
JPS55158142A (en) * 1979-05-29 1980-12-09 Yamamura Glass Kk Glass bottle taking-out apparatus
GB2093826B (en) 1981-02-27 1984-05-16 Emhart Uk Ltd Take-out mechanism for a glassware forming machine
GB2134510A (en) * 1983-01-29 1984-08-15 Emhart Ind Take-out mechanism for newly-moulded articles of glassware
GB8324191D0 (en) * 1983-09-09 1983-10-12 Emhart Ind Take-out mechanism for glassware forming machines
GB2232151A (en) 1989-05-16 1990-12-05 Int Partners Glass Res Transfer means for use in a glassware forming machine
US4983202A (en) 1990-02-27 1991-01-08 Libbey-Owens-Ford Co. Glass sheet heating furnace and method of using
GB9124211D0 (en) 1991-11-14 1992-01-08 Emhart Glass Mach Invest Takeout mechanism
CN1064666A (zh) 1992-02-26 1992-09-23 汤志清 彩圈花纹玻璃器皿的制造方法
CN1057747C (zh) 1995-06-08 2000-10-25 李晓东 仿出土玻璃器皿工艺
FR2771082B1 (fr) * 1997-11-06 2000-05-26 Emhart Glass Sa Machine a former a sections individuelles
FR2770507B1 (fr) * 1997-11-06 2000-07-28 Emhart Glass Sa Machine a former a sections individuelles
US6848273B2 (en) 2002-06-03 2005-02-01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Apparatus for blowing and removing glass containers
US6722488B2 (en) 2002-09-04 2004-04-20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in unison
US7063498B1 (en) * 2003-12-03 2006-06-20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US6966428B1 (en) 2003-12-24 2005-11-22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AR107961A1 (es) 2017-03-23 2018-07-04 Vitro Sab De Cv Mecanismo sacador para máquinas formadoras de artículos de vidr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7189A1 (en) 2020-03-19
US11370687B2 (en) 2022-06-28
ECSP19070043A (es) 2020-01-31
CL2019002697A1 (es) 2020-01-17
JP2020512261A (ja) 2020-04-23
SG11201908419VA (en) 2019-10-30
EP3604240A4 (en) 2020-12-16
WO2018174704A9 (es) 2019-10-24
CO2019010129A2 (es) 2020-01-17
RU2741539C1 (ru) 2021-01-26
UA124318C2 (uk) 2021-08-25
PE20191441A1 (es) 2019-10-15
AU2017405059A1 (en) 2019-11-14
CN110546111B (zh) 2022-04-22
MX2019011135A (es) 2019-11-21
CN110546111A (zh) 2019-12-06
AU2017405059B2 (en) 2022-07-28
EP3604240A1 (en) 2020-02-05
JP7012743B2 (ja) 2022-01-28
AR107961A1 (es) 2018-07-04
CA3057287A1 (en) 2018-09-27
BR112019019714A2 (pt) 2020-04-14
WO2018174704A1 (es)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227A (ko)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취출 메카니즘
CN101426739B (zh) 用于转移玻璃容器的取出装置和方法
US4004906A (en) Glassware forming machine of the I. S. type for upright press and blow process
US5160015A (en) Sweepout apparatus and method
US5306325A (en) Mold clamping mechanism for glass container forming machine
EP069450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wide mouth glassware
US3559425A (en) Glassware takeout apparatus
JPH0339463Y2 (ko)
SU953976A3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 стекл нной тары
EP1670727B1 (en) A press-and-blow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hollow glassware
KR102191255B1 (ko) 유리제품 성형 기계용 주형의 개폐를 위한 방법 및 기구
JPH0244265B2 (ko)
US3410417A (en) Article transferring means
US3072240A (en) Apparatus for handling glassware articles
JPH06305737A (ja) パリソン搬送機構
JP7473569B2 (ja) ガラス製品成形機用の回転直線機構
US113840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glass items
US7063498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US1915972A (en) Bottle transferring mechanism
CN109911830A (zh) 塑料容器食品的加工设备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