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206A -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 Google Patents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206A
KR20190128206A KR1020197030305A KR20197030305A KR20190128206A KR 20190128206 A KR20190128206 A KR 20190128206A KR 1020197030305 A KR1020197030305 A KR 1020197030305A KR 20197030305 A KR20197030305 A KR 20197030305A KR 20190128206 A KR20190128206 A KR 2019012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container
ejection
closing memb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쓰타로 오노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65D47/24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the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by imparting a motion to the valve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파편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주출용 스파우트의 통형 주출부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부재에 의해 통형 주출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복수 회에 나누어 내용물을 옮겨 담을 수 있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0d)과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10c)가 형성된 통형 주출부(11)와, 유입구(10d)측을 용기 본체부(1A)에 장착하기 위한 피장착부(15)를 가지는 스파우트 본체(10a)를 포함한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10)로서, 통형 주출부(11)와는 별체이고, 유입구(10d)를 개폐 가능한 형태로 통형 주출부(11)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지는 폐쇄 부재(20)과, 용기 본체부(1A)측으로부터 유입구(10d)를 향하여 폐쇄 부재(20)를 가압하고, 폐쇄 부재(20)에 의해 유입구(10d)가 폐쇄되는 가압체(50)를 가지고, 폐쇄 부재(20)는, 유출구(10c)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압체(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통형 주출부(11)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로 문제점을 해결한다.

Description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본 발명은,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포장 용기에 보충하기 위한 내용물이 수용된 리필 용기 등의 용기에 사용되는 주출용 스파우트에 관한 것이다.
간장 등의 액체 조미료나 액체 세제 등의 토일레트리 상품은, 예를 들면 수지제 등의 포장 용기에 수용하여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 용기에서는, 내용물의 잔량이 적어지거나 없어지거나 한 시점에서 내용물이 보충되고, 동일한 포장 용기가 반복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품에서는, 보충용 내용물이 수용된 리필 용기가 포장 용기와는 별도로 준비되어 있다. 리필 용기는, 지금까지 다양한 타입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리필 용기는, 스파우트로부터 외기가 리필 용기에 유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상기 리필 용기에서는, 내용물이 외기에 접촉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포장 용기에 보충되는 것에 의해, 포장 용기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포장 용기는,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주출 유닛은, 주출 노즐과, 이 주출 노즐의 주위에 설치된 주위벽을 구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리필 용기는, 이러한 구성의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에 주출용 스파우트를 연결하여 내용물을 포장 용기에 보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리필 용기는 평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 평판은, 리필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스파우트를 주출구의 위치에서 폐쇄하여, 내용물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평판은, 포장 용기의 주출 노즐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평판에는, 그 에지부보다 내측에 개구되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되는 부분은, 그 주위에 강도한 약한 취약선을 형성하여 설치되어 있다. 취약선의 내측 부위는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평판으로부터 떼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필 용기에서는, 포장 용기에 설치된 주출 유닛의 주출 노즐이,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주출 노즐이 상기의 취약선의 위치에서 평판을 파단하여 내측의 영역을 평판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리필 용기는, 취약선의 내측 부분이 평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해 리필 용기의 내외를 연락시키고, 내부에 충전되었던 내용물을 포장 용기로 옮겨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3-20346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리필 용기는, 그 스파우트에 설치된 평판에 취약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취약부의 내측이 분리되는 구성이다. 즉, 이 평판에서는, 취약부의 내측과 외측는 하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주출 노즐이 삽입되었을 때, 취약부의 내측이 평판으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포장 용기의 주출 노즐이, 평판을 국부적으로 찢어서 봉지판에 구멍을 형성한다. 평판에 구멍을 형성한 경우, 평판의 파편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파편이 발생한 경우, 파편이 포장 용기에 침입하거나, 포장 용기의 주출 노즐을 막히게 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리필 용기는, 한 번의 리필 작업으로 리필 용기의 내용물을 포장 용기에 모두 옮겨 담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포장 용기의 용적이 리필 용기의 용적보다 작은 경우, 리필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복수 회에 나누어 내용물을 포장 용기에 옮겨 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리필 용기에서는, 잔류하는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필 용기로부터 포장 용기에 내용물을 보충한 후에, 스파우트를 주출구의 위치에서 다시 폐쇄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편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주출용 스파우트의 통형(筒形) 주출부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복수 회에 나누어 내용물을 옮겨 담은 경우라도, 리필 용기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된 통형 주출부와, 상기 유입구측을 용기 본체부에 장착하기 위한 피(被)장착부를 가지는 스파우트 본체를 포함하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로서, 상기 통형 주출부와는 별체로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가 개폐 가능한 형태로 상기 통형 주출부의 내주면(內周面)에 끼워 넣어져 있는 폐쇄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부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상기 폐쇄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폐쇄 부재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폐쇄시키는 가압체를 가지고, 상기 폐쇄 부재는, 상기 유출구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통형 주출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부측으로부터 유입구를 향하여 폐쇄 부재를 가압하고, 폐쇄 부재로 유입구을 폐쇄시키는 가압체를 가지고, 폐쇄 부재는, 유출구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압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통형 주출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므로, 통형 주출부의 유입구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출용 스파우트가 이용된 리필 용기의 내용물을 복수 회에 나누어 포장 용기에 보충하는 경우라도, 리필 용기의 내용물을 일정한 시기에 포장 용기에 보충한 후, 다음에 내용물을 포장 용기에 보충하는 사이까지, 리필 용기의 내부에 외기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리필 용기에 내용물이 잔류하고 있는 경우라도, 내용물이 외기에 접촉하여 변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상기 피장착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유지체와, 이 유지체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를 가지고, 이 스프링 부재는 상기 유지체와 상기 폐쇄 부재를 연결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체를 구성하는 유지체가 용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그 유지체와 폐쇄 부재가 스프링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이 리필 용기로부터 주출될 때, 가압체가 내용물의 흐름을 저해하는 일이 없어, 내용물을 원활하게 주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피장착부와 상기 가압체가 일체물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장착부와 가압체가 일체물이므로, 가압체를 포함하는 주출용 스파우트를 사출 성형 등의 하나의 공정에서 주출용 스파우트를 성형할 수 있는 제조 방법으로 주출용 스파우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에는, 이 가압체를 상기 피장착부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게 하는 장착 기구(機構)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체에는, 가압체를 피장착부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게 하는 장착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출용 스파우트의 본체의 부분과 가압체의 부분을 따로따로 제조하고, 그 후에 양자를 조합하여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편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주출용 스파우트의 통형 주출부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부재를 이동시켜 통형 주출부를 개폐시킬 수 있고, 내용물을 복수 회에 나누어 옮겨 담고 용기로부터 포장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관한 주출용 스파우트가 사용되고 있는 리필 용기로서의 스탠딩 파우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관한 일 실시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의 측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도 2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를 도 2의 지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중심부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4] 리필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보충되는 포장 용기의 측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도 4에 나타낸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주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 본 발명에 관한 주출용 스파우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 도 2 및 도 3의 주출용 스파우트와는 별도의 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의 측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도 7의 주출용 스파우트를 구성하고 있는 가압체의 측면도이다.
[도 9] 도 2 및 도 3의 주출용 스파우트와는 별도의 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의 측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 주출용 스파우트를 구성하고 있는 가압체의 측면도이다.
[도 11] 스파우트 본체부와 가압체가 별체인 주출용 스파우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 및 도면에 기재한 형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발명을 포함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형태의 기재나 도면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10A, 10B, 10C, 10D)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주출용 스파우트(10)」라고 기재하고, 각각의 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주출용 스파우트(10A)」 등과 같이 기재한다.
[기본 구성]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10)는, 통형 주출부(11), 피장착부(15), 폐쇄 부재(20) 및 가압체(50)를 포함하고 있다. 통형 주출부(11)는, 상기 주출용 스파우트(10)가 사용되는 리필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0d)과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10c)를 가지고 있다. 피장착부(15)는, 유입구(10d)측을 리필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부(1A)에 장착하기 위한 부위이다. 폐쇄 부재(20)는, 유입구(10d)가 개폐 가능한 형태로 통형 주출부(11)의 내주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상기 폐쇄 부재(20)는 통형 주출부(11)와는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가압체(50)는, 용기 본체부(1A) 측으로부터 유입구(10d)를 향하여 폐쇄 부재(20)를 가압하고, 폐쇄 부재(20)로 유입구(10d)를 폐쇄하는 구성 요소이다. 폐쇄 부재(20)는, 유출구(10c) 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압체(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통형 주출부(11)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편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주출용 스파우트(10)의 통형 주출부(11)를 유입구(10d)의 위치에서 폐쇄하고 있는 폐쇄 부재(20)를 이동시켜 통형 주출부(11)를 개폐시킬 수 있고, 내용물을 복수 회에 나누어 옮겨 담은 용기로부터 포장 용기(30)에 옮겨 담을 수 있다.
이하, 주출용 스파우트(10)가 사용되는 옮겨 담음 용기의 개요, 주출용 스파우트(10)가 구체적인 구성, 옮겨 담음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보충되어 사용되는 포장 용기(30)의 개요, 및 주출용 스파우트(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포장 용기」란, 내용물이 보충되는 용기를 말하고, 「용기」란, 그 포장 용기에 내용물을 보충하기 위한 내용물이 수용된 리필용 용기 등으로 사용되는 용기이며, 본 발명에 관한 추출용 스파우트가 사용되는 용기이다.
[주출용 스파우트가 사용되는 옮겨 담음 용기]
본 발명에 관한 주출용 스파우트(10A)가 사용되는 옮겨 담음 용기는, 옮겨 담음 용기와는 별도로 사용되는 포장 용기(30)에 내용물을 보충하기 위해 주로 이용된다. 리필 용기의 형태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리필 용기의 일례로서 스탠딩 파우치(1)를 나타내고 있다. 이 스탠딩 파우치(1)는, 대향하는 한 쌍의 평면부(2)와, 리필 용기의 바닥부를 폐쇄하고 있는 바닥면부(3)와,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포함하고 있다.
평면부(2)는 상단(上端) 에지끼리가 밀봉되고, 또한 양 측단 에지끼리가 밀봉되어 있다. 평면부(2) 하단(下端) 에지는, 각 평면부(2)의 하단 에지에 대향하는, 바닥면부(3)의 단(端) 에지부에 각각 밀봉되어 있다. 바닥면부(3)는, 중심의 접음선(4)에 의해 둘로 접혀 있고, 접음선(4)이 스탠딩 파우치(1)의 상측을 향하여 접어 넣어져 있다. 바닥면부(3)는, 접어 넣어진 형태로부터 스탠딩 파우치(1)의 평면부(2)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넓혀지는 것에 의해, 스탠딩 파우치(1)의 바닥부를 넓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출용 스파우트(10A)는, 스탠딩 파우치(1) 상단 에지에 장착되어 있다. 주출용 스파우트(10A)는, 스파우트 본체(10a)와 스파우트 본체(10a)의 통형 주출부(11)의 유출구(10c)측을 자유자재로 개폐하는 캡(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출용 스파우트(10A)가 스탠딩 파우치(1)의 상부 중앙에 장착된 경우를 일례로서 다루고 있다. 다만, 특별히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주출용 스파우트(10A)는 스탠딩 파우치(1)의 상부로서, 폭 방향의 측부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스탠딩 파우치(1)는, 용기 본체부(1A)에 그 상단 에지와 측단 에지가 비스듬히 경사지는 경사부로 연락된 부위를 형성하고, 경사부에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장착해도 된다.
스탠딩 파우치(1)는, 예를 들면, 이 스탠딩 파우치(1)와는 별도로 준비된 포장 용기(30)(도 4를 참조)에 내용물을 옮겨 담기 위한 리필 용기로서 사용된다. 내용물을 포장 용기(30)에 옮겨 담는 경우에는,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폐쇄하고 있는 캡(19)을 분리하고, 스탠딩 파우치(1)의 상하를 거꾸로 한다. 그리고,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포장 용기(30)의 주출 유닛(40)에 찔러, 스탠딩 파우치(1)로부터 즉 내용물을 포장 용기(30)에 옮겨 담는다. 그리고, 이 작용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출용 스파우트]
주출용 스파우트(10A)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 주출부(11)와 피장착부(15)를 포함하고 있다. 통형 주출부(11)는 원통을 이루고 있다. 피장착부(15)는, 용기 본체부(1A)의 상단 에지에 장착하기 위한 부위이다. 피장착부(15)는, 통형 주출부(11)의 축 L 방향의 일단(A)측에 형성되어 있다. 통형 주출부(11)는, 주출용 스파우트(10A)가 사용되는 스탠딩 파우치(1)의 내용물을 스탠딩 파우치(1)로부터 주출할 때 사용되는 부위이다. 통형 주출부(11)는,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축 L 방향의 양단이 원형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통형 주출부(11)의 내부는, 유로(1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통형 주출부(11)는 스탠딩 파우치(1)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형 주출부(11)에 있어서, 그 축 L 방향의 일단(A)측은, 리필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통형 주출부(11)에 유입되는 유입구(10d)이고, 축 L 방향의 타단(B)측은 내용물이 통형 주출부(11)로부터 유출되는 유출구(10c)이다.
통형 주출부(11)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2)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축 방향 L로 위치가 벗어나 있고, 나선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나사부(12)는, 캡(19)의 내면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나사부가 걸리는 부위이다. 통형 주출부(11)는, 상기 나사부(12)에 캡(19)의 나사부가 걸리는 것에 의해, 통형 주출부(11)의 타단(B)측을 폐쇄하거나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장착부(15)는 보트형(舟形)을 이루고 있다. 보트형 형상이란, 피장착부(15)의 횡방향(도 2 및 도 3의 부호 Y로 나타낸 방향)의 양측의 측면부(16)가 외측을 향하여 내밀고, 종방향(도 2 및 도 3의 부호 X로 나타낸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측면부(16)끼리가 예각을 형성하여 뾰족한 형상을 의미한다. 측면부(16)의 높이는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측면부(16)는 X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함에 따라서, Y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부(16a)와, X 방향의 중심 부분에서 Y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만곡부(16b)로 구성되어 있다. 만곡부(16b)는,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일단(A)측으로부터 볼 때의 형상이, 원호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각 측면부(16)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폐쇄 부재]
폐쇄 부재(20)는 주출용 스파우트(10A)에 형성된 유로(10b)의 유입구(10d)를 폐쇄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폐쇄 부재(20)는 스파우트 본체(10a)와는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폐쇄 부재(20)는 원반형을 이루고 있다. 폐쇄 부재(20)는 통형 주출부(11)의 축 L 방향의 일단(A)측, 즉 유입구(10d)의 위치에서 유로(10b)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유로(10b)의 유입구(10d)를 폐쇄한다. 상기 폐쇄 부재(20)는, 후술하는 가압체(50)에 의해 용기 본체부(1A) 측으로부터 유입구(10d)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유로(10b)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부재(20)는, 통형 주출부(11)의 축 L 방향의 일단(A)측과는 반대측의 타단(B)측의 유출구(10c)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압체(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통형 주출부(11)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폐쇄 부재(20)의 직경은,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유로(10b)의 내경과 같거나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유로(10b)는 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유로(10b)에 끼워 넣어지는 폐쇄 부재(20)의 외형도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폐쇄 부재(20)의 외형은, 유로(10b)의 단면 형상을 따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유로(10b)의 단면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 폐쇄 부재(20)의 외형은 유로(10b)의 단면 형상에 따라서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폐쇄 부재(20)의 외형이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유로(10b)의 단면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폐쇄 부재(20)를 주출용 스파우트(10A)에 형성된 유로(10b)의 유입구(10d)의 내측에 끼워 넣었을 때, 폐쇄 부재(20)와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유로(10b)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키지 않고, 폐쇄 부재(20)가 유로(10b)를 폐쇄한다.
[가압체]
가압체(50)는, 용기 본체부(1A)측으로부터 유입구(10d)를 향하여 폐쇄 부재(20)를 가압하고, 폐쇄 부재(20)에 의해 유입구(10d)를 폐쇄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폐쇄 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출구(10c)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압체(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유로(10b)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가압체(50)는 유지체(51)와 스프링 부재(55)로 구성되어 있다. 유지체(51)는, 장착 부재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기둥(52)과, 한 쌍의 기둥(52)의 하단을 연결하고 있는 빔(53)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지체(51)는 피장착부(15)로부터 용기 본체부(1A)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55)는 유지체(51)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 부재(55)는 기둥(52)과 기둥(52)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그 하단부(59)가 유지체(51)의 빔(53)에 장착되고, 상단부(58)가 폐쇄 부재(20)에 장착되어 있다. 즉, 스프링 부재(55)는 유지체(51)와 폐쇄 부재(20)를 연결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부재(55)는, 유지체(51)를 구성하는 빔(53)과, 폐쇄 부재(20)의 하면을 연결하고 있다. 스프링 부재(55)는 1개 이상으로 구성되지만, 폐쇄 부재(20)를 기울지 않게 유입구(10d)에 대고 누르기 위해, 스프링 부재(55)를 2개 이상 사용하여 누르는 힘이 균등하게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예의 스프링 부재(55)는, 축 L 방향의 중심에 굴곡부(57)를 가지는 2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는 굴곡부(57)의 위치가 상단부(58) 및 하단부(59)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스프링 구성 부재(56)끼리의 간격은, 상단부(58)의 위치 및 하단부(59)의 위치 부분에서 가장 작고, 굴곡부(57)의 위치에서 가장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부재(55)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고, 탄성력을 이용하여 폐쇄 부재(20)를 유로(10b)의 유입구(10d)를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한편, 폐쇄 부재(20)에 유출구(10c)측으로부터 외력이 용기 본체부(1A)를 향하여 작용한 경우, 2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는, 굴곡부(57)의 위치에서 절곡의 정도가 커지도록 휜다.
이상에 설명한 스파우트 본체(10a), 유지체(51), 스프링 부재(55) 및 폐쇄 부재(20)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일체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일체물로서 구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파우트 본체(10a), 유지체(51), 스프링 부재(55) 및 폐쇄 부재(2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에틸렌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된다. 다만, 주출용 스파우트(10A)는 성형 가공 가능한 것이고 또한 스탠딩 파우치(1)에 접착 가능하면 재료의 제한은 없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파우트 본체(10a)와 가압체(50)를 별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각각을 개별로 성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사출 성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스파우트 본체(10a)와 가압체(50)를 상이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스파우트 본체(10a)는 성형 가공 가능하고 또한 스탠딩 파우치(1)에 접착 가능한 것이면 재료의 제한은 없고, 가압체(50)는 성형 가공 가능한 것이면 재료의 제한은 없다. 그 경우, 스파우트 본체(10a)와는 별체인 가압체(50)는, 스탠딩 파우치(1)의 용기 본체부(1A)에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루에 접착할 수 없는 재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수지의 원료로서는, 석유 유래의 것, 식물 유래의 것,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블렌딩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포장 용기]
포장 용기(30)는, 스탠딩 파우치(1)에 수용된 내용물이 보충되어 사용되는 용기이다. 포장 용기(30)는 예를 들면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도 4는, 포장 용기(3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포장 용기(30)는, 손잡이(32)가 설치된 용기 본체부(31)와, 용기 본체부(31)에 수용된 내용물을 주출하기 위한 주출 유닛(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장 용기(30)는, 스탠딩 파우치(1)로부터 옮겨진 내용물을 필요할 때 필요한 양만큼 포장 용기(30)로부터 취출하여 사용된다.
포장 용기(30)의 주출 유닛(40)은, 본체부(41)와 본체부(41)를 개폐하기 위한 캡(4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4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벽면(42)과 이 주위벽면(42)의 내측에 배치된 노즐(43)을 구비하고 있다. 주위벽면(42)은 통형을 이루고 있다. 주위벽면(42)의 내측은 공동으로 되어 있다.
노즐(43)은 본체부(41)의 중앙 또는 대략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노즐(43)은 주위벽면(42)과 연결되어 있고 주위벽면(42)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노즐(43)은 본체부(41)의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그 선단이 주위벽면(42)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노즐(43)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고, 노즐(4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주출용 스파우트의 제조 방법]
주출용 스파우트(10)는 각종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스파우트 본체(10a), 가압체(50) 및 폐쇄 부재(2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파우트 본체(10a)와 가압체(50)를 별체로서 구성하는 경우 등, 제조 효율, 제조 비용 및 품질을 고려하면,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성형하면 바람직하다.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은, 금형을 일단 제조하는 것에 의해, 동일 품질의 제품을 반복 제조할 수 있다.
[내용물 보충의 순서 및 주출용 스파우트의 작용]
도 6을 참조하여, 스탠딩 파우치(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포장 용기(30)에 보충하는 순서와, 본 실시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6은,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작용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스탠딩 파우치(1) 및 포장 용기(30)의 용기 본체부(1A)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다만, 주출용 스파우트(10A)는, 도 1에 나타낸 리필용 용기인 스탠딩 파우치(1)에 장착되고, 주출 유닛(40)은, 도 4에 나타낸 포장 용기(30)에 설치되어 있다.
먼저, 주출용 스파우트(10A)로부터 캡(19)을 분리하고, 스탠딩 파우치(1)의 상하를 반대로 하여, 스탠딩 파우치(1)의 하측에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위치시킨다.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유로(10b)는 폐쇄 부재(20)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스탠딩 파우치(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흘러 내리는 일은 없다. 구체적으로, 도 6 (A)의 P부에 나타내는 확대도와 같이, 폐쇄 부재(20)의 주위 에지가 유입구(10d)의 내측 에지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끼어 있다. 그러므로, 스탠딩 파우치(1)의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하측으로 향한 경우라도, 폐쇄 부재(20)는 유입구(10d)의 위치에 유지된다. 그 결과, 폐쇄 부재(20)가, 스탠딩 파우치(1)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로(10b)에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포장 용기(30)의 주출 유닛(40)의 위치에 일치시켜, 주출 유닛(40)의 노즐(43)을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유로(10b)에 삽입시킨다. 즉,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구성하는 통형 주출부(11)의 내측에 구성된 유로(10b)에 주출 유닛(40)의 노즐(43)을 삽입시킨다.
이어서, 통형 주출부(11)에 노즐(43)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주출 유닛(40)측으로 더 밀어내린다. 주출용 스파우트(10A)를 밀어내리면, 노즐(43)의 선단이 폐쇄 부재(20)를 밀어올린다. 그러므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부재(20)가 유로(10b)의 유입구(10d)로부터 분리된다. 구체적으로, 폐쇄 부재(20)는, 통형 주출부(11)의 유출구(10c) 측으로부터 스탠딩 파우치(1)의 용기 본체부(1A)의 내측을 향하여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유입구(10d)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폐쇄 부재(20)는, 가압체(50)를 구성하고 있는 스프링 부재(5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빔(53)측[용기 본체부(1A)의 내부측]으로 이동한다. 폐쇄 부재(20)는 스파우트 본체(10a)와는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폐쇄 부재(20)는 유입구(10d)에 끼워 넣어지는 것만으로 유로(10b)를 폐쇄하고 있다. 그러므로, 노즐(43)이 폐쇄 부재(20)를 이동할 때, 폐쇄 부재(20)는 유입구(10d)로부터 쉽게 벗어나, 파괴되지 않고 원활하게 유입구(10d)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파편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고, 내용물만이 스탠딩 파우치(1)로부터 포장 용기(30)에 옮겨진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부재(20)가 이동했을 때, 통형 주출부(11)의 선단부(11a)가 노즐(43)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그러므로, 스탠딩 파우치(1)로부터 주출된 내용물은 노즐(43)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고, 노즐(43)을 통하여 포장 용기(30)에 옮겨진다.
필요한 양의 내용물이 스탠딩 파우치(1)로부터 포장 용기(30)에 옮겨 담아진 후, 스탠딩 파우치(1)가 포장 용기(30)로부터 떼어진다. 그 때,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 부재(20)를 가압하는 가압체에 의해, 폐쇄 부재(20)는 가압체(50)의 스프링 부재(55)에 의해 유입구(10d)를 향하여 가압된다. 그 결과, 통형 주출부(11)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된 폐쇄 부재(20)는, 가압체(50)의 가압력에 의해 유입구(10d)을 향하여 가압되고, 유입구(10d)을 폐쇄하고, 다시 유로(10b)을 폐쇄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의 (C)의 P부에 나타내는 확대도와 같이, 폐쇄 부재(20)의 주위 에지가, 유입구(10d)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면에 부딪혀, 유입구(10d)가 폐쇄된다. 유로(10b)가 폐쇄 부재(20)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의해, 스탠딩 파우치(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유로(10b)로부터 통형 주출부(11)의 외부에 누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외기가 유로(10b)로부터 스탠딩 파우치(1)의 내부에 들어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주출용 스파우트(10B)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와는 상이한 타입의 스프링 부재(55)를 가지는 것이다. 다만, 상기 주출용 스파우트(10B)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55) 이외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10B)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이한 타입의 스프링 부재를 가지는 주출용 스파우트]
상기 주출용 스파우트(10B)의 가압체(50)에서는, 스프링 부재(55b)의 형태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스프링 부재(55)의 형태와 상이하다. 스프링 부재(55b)는 2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b)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b)는, 축 L 방향의 중간 영역에 굴곡부(57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b)는, 그 굴곡부(57b)의 위치에서 가압체(50)의 폭 방향의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b)에 있어서, 굴곡부(57b)의 위치는, 스프링 구성 부재(56b)의 상단부(58b) 및 하단부(59b)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스프링 구성 부재(56b)끼리의 간격은, 상단부(58b) 및 하단부(59b)의 위치가 가장 크고, 굴곡부(57b)의 위치가 가장 작다. 또한,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b)의 굴곡부(57b)의 위치는, 축 L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도 7에 나타낸 예의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b)에서는, 굴곡부(57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이 곡선형으로 만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b)에 있어서, 굴곡부(57b)보다 상측의 부분은 하측으로 볼록해지는 형상을 이루고, 굴곡부(57b)보다 하측의 부분은 상측으로 볼록해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다만, 굴곡부(57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은 직선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B)에서는, 포장 용기(30)의 노즐(43)이 폐쇄 부재(20)를 밀어올리고,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b)가 휘었을 때, 굴곡부(57b)가 대향하는 다른 쪽의 스프링 구성 부재(56b)를 향하여 이동한다. 굴곡부(57b)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 L 방향으로 어긋나 있으므로, 굴곡부(57b)끼리가 부딪치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b)는 원활하게 휠 수 있고, 스프링 부재(55b)의 축 L 방향의 길이는 자유자재로 변화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주출용 스파우트(10A)는, 도 2, 도 3 및 도 7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 10B)와는 상이한 타입의 스프링 부재(55c)(도 10 참조)를 가지는 것이다. 다만, 상기 주출용 스파우트(10A)에 대해서도, 스프링 부재(55c) 이외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10C)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주출용 스파우트(10C)의 가압체(50)가 구비하는 스프링 부재(55c)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1, 562, 563, 564)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1, 562, 563, 564)는 나선형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1, 562, 563, 564)는, 주출용 스파우트(10C)의 중심의 주위에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축 L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4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1, 562, 563, 564)는, 하단부(59c)가 서로 주위 방향으로 90° 어긋난 위치에서 링(530)에 각각 장착되고, 또한 상단부(58c)가 서로 주위 방향으로 90° 어긋난 위치에서 폐쇄 부재(20)에 장착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4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1, 562, 563, 564)의 상단부(48c) 및 하단부(49c)가 서로 90° 어긋난 위치에서 폐쇄 부재(20)와 링(530)에 장착되어 있지만, 폐쇄 부재(20)를 기울어지게 하지 않고 가압할 수 있으면, 90° 어긋난 위치에 장착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C)에서는, 4개의 스프링 구성 부재(561, 562, 563, 564)가 주위 방향으로 균등하게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포장 용기(30)의 노즐(43)이 폐쇄 부재(20)를 밀어올리고, 각 스프링 구성 부재(561, 562, 563, 564)가 휘었을 때, 폐쇄 부재(20)가 기울지 않고 이동된다. 그러므로, 폐쇄 부재(20)가 포장 용기(30)의 노즐(43)로 일단 밀어올려지고, 폐쇄 부재(20)가 다시 유로(10b)를 폐쇄했을 때, 폐쇄 부재(20)는 유입구(10d)을 폐쇄한다.
[스파우트 본체와 가압체가 별체인 형태]
도 11은, 스파우트 본체(10a)와 가압체(50)가 별체로서 구성된 주출용 스파우트(10D)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10D)는, 스파우트 본체(10a)와 가압체(50)의 장착 기구(80)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다만, 주출용 스파우트(10D)의 기타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주출용 스파우트(10D)의 구성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주출용 스파우트(10A)의 구성이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주출용 스파우트(10D)의 피장착부(15)에는, 유입구(10d)측의 단면(端面)에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0)의 표면, 즉 피장착부(15)에 있어서의 타단(B)에는, 오목부(60)의 내면 중, 대향하고 있는 내면으로부터 상대측의 내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61, 62)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체(50)를 구성하고 있는 기둥(52)의 상부에는, 가압체(50)를 스파우트 본체(1a)에 탈착(脫着)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기구(80)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 기구(80)는, 기둥(52)의 상부가 도 10의 좌우 방향으로 두 갈래로 나뉘어 이루어지는 장착 구성부(81, 82)를 가지고 있다. 각 장착 구성부(81, 82)는, 양자의 간격을 변화시켰을 때라도, 장착 기구(8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간격으로 돌아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 구성부(81, 82)의 상단 위치에는, 클로우(71, 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하측으로 떨어진 위치에도 클로우(73, 7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클로우(71, 72)과 클로우(73, 74) 사이에 볼록부(61, 62)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파우트 본체(1a)와 가압체(50)의 장착 형태에 대하여, 주출용 스파우트(10D)의 중심보다도 우측에 위치하는 오목부(60)와 장착 기구(80)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피장착부(15)에 형성된 오목부(60)의 내면 중,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외측에 위치하는 내면으로부터 중심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61)와, 중심에 가까운 내측에 위치하는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62)는 대향하고 있다. 외측의 볼록부(61)에는 장착 구성부(81)가 걸려 있고, 내측의 볼록부(62)에는 장착 구성부(82)가 걸려 있다. 구체적으로, 각 장착 구성부(81, 82)의 상단이 오목부(60)의 안쪽에 삽입되고, 상단에 설치된 클로우(71, 72)는 볼록부(61, 62)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측의 클로우(73, 74)는 볼록부(61, 62)의 하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각 클로우(71, 72, 73, 74)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 클로우(71)와 클로우(73)에 의해 볼록부(61)를 끼워넣고, 또한 클로우(72)과 클로우(74)에 의해 볼록부(62)를 끼워넣고 있다. 각 장착 구성부(81, 82)를 오목부(60)의 내부에 삽입할 때, 장착 구성부(81, 82)끼리를 가까이 하여, 양자의 간격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상단에 설치된 클로우(71, 72)가 볼록부(61)와 볼록부(62) 사이를 빠져나가 오목부(60)의 안쪽에 삽입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주출용 스파우트(10)를 리필 용기로서의 스탠딩 파우치(1)에 장착한 경우, 주출용 스파우트(10)를 구성하는 통형 주출부(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10b)를 폐쇄해 두고, 스탠딩 파우치(1)의 내부에 외기가 흘러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출용 스파우트(10)의 통형 주출부(11)를 폐쇄하고 있는 폐쇄 부재(20) 등의 파편을 발생시키지 않고 스파우트 본체(10a)로부터 폐쇄 부재(20)를 분리시키고, 유로(10b)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폐쇄 부재(20)에 의해 유로(10b)를 폐쇄하거나 개방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스탠딩 파우치(1)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복수 회에 나누어 포장 용기(30)에 보충하는 경우라도, 스탠딩 파우치(1)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외기에 노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스탠딩 파우치(리필 용기)
2 : 평면부
3 : 바닥면부
4 : 접음선
10 : 주출용 스파우트
10a : 스파우트 본체
10b : 유로
10c : 유출구
10d : 유입구
11 : 통형 주출부
12 : 나사부
15 : 피장착부
16 : 측면부
16a : 경사면부
16b : 만곡부
17 : 돌기부
18 : 플랜지
19 : 캡
20 : 폐쇄 부재
20a : 상면
20b : 하면
21 : 연결 부재
30 : 포장 용기
31 : 용기 본체
32 : 손잡이
40 : 주출 유닛
41 : 본체부
42 : 주위벽면
43 : 노즐
50 : 가압체
51 : 유지체
52 : 기둥
53 : 빔
530 : 링
55 : 스프링 부재
56 : 스프링 구성 부재
57 : 굴곡부
58 : 상단부
59 : 하단부
60 : 오목부
61, 62 : 볼록부
71, 72, 73, 74 : 클로우
80 : 장착 기구
81, 82 : 장착 구성부
A : 축방향의 일단
B : 축방향의 타단
L : 통형 주출부가 연장되는 방향

Claims (4)

  1.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유출구가 형성된 통형 주출부, 및 상기 유입구측을 용기 본체부에 장착하기 위한 피(被)장착부를 가지는 스파우트 본체를 포함하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로서,
    상기 통형 주출부와는 별체로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가 개폐 가능한 형태로 상기 통형 주출부의 내주면(內周面)에 끼워 넣어져 있는 폐쇄 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부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를 향하여 상기 폐쇄 부재를 가압하고, 상기 폐쇄 부재에 의해 상기 유입구를 폐쇄시키는 가압체;
    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부재는, 상기 유출구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체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통형 주출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는, 상기 피장착부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유지체와, 상기 유지체에 장착된 스프링 부재를 가지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유지체와 상기 폐쇄 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장착부와 상기 가압체가 일체물로서 구성되어 있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에는, 상기 가압체를 상기 피장착부에 탈착(脫着) 가능하게 하는 장착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KR1020197030305A 2017-03-21 2017-12-07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KR201901282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54945 2017-03-21
JP2017054945A JP6194132B1 (ja) 2017-03-21 2017-03-21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PCT/JP2017/043946 WO2018173382A1 (ja) 2017-03-21 2017-12-07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206A true KR20190128206A (ko) 2019-11-15

Family

ID=5979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305A KR20190128206A (ko) 2017-03-21 2017-12-07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03468B2 (ko)
EP (1) EP3599187A4 (ko)
JP (1) JP6194132B1 (ko)
KR (1) KR20190128206A (ko)
CN (1) CN110431087B (ko)
MY (1) MY200050A (ko)
PH (1) PH12019502164A1 (ko)
WO (1) WO2018173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0731B2 (ja) * 2016-12-08 2021-11-05 藤森工業株式会社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JP7245010B2 (ja) * 2018-08-06 2023-03-23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スパウト
JP7174593B2 (ja) * 2018-10-30 2022-11-17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スパウト及び詰め替え容器から包装容器への内容物補充方法
JP7193305B2 (ja) 2018-10-30 2022-12-20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スパウト
JP7264658B2 (ja) * 2019-02-05 2023-04-25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用スパウト、閉鎖部材付き注出用スパウト
JP7297484B2 (ja) * 2019-03-22 2023-06-26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用スパウト、閉鎖部材付き注出用スパウト
USD915884S1 (en) * 2019-09-10 2021-04-13 Kao Corporation Spout for packaging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3464A (ja) 2012-03-29 2013-10-07 Toppan Printing Co Ltd 詰め替え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4648U (ko) 1977-11-05 1979-05-28
JPH10120007A (ja) * 1996-10-11 1998-05-12 Okura Ind Co Ltd 注出用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袋体
JPH11143204A (ja) * 1997-11-11 1999-05-28 Showa Marutsutsu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排出口の開閉機構
NL1011960C2 (nl) * 1999-05-04 2000-11-07 Itsac Nv Houder, in het bijzonder een flexibele houder, met een afsluitbare opening en werkwijze voor het vullen van een dergelijke houder.
JP2003165560A (ja) * 2001-11-30 2003-06-10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の開閉自在な弁体
JP4292343B2 (ja) 2003-08-27 2009-07-08 株式会社昭和丸筒 連結システム
JP5173740B2 (ja) * 2008-10-29 2013-04-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め替え容器
DE102009030416A1 (de) * 2009-06-18 2010-12-23 Alfred Kärcher Gmbh & Co. Kg Hochdruckreinigungsgerät
SG192764A1 (en) * 2011-02-15 2013-09-30 Cws Boco Supply Ag Valve for liquid vessels
JP6243354B2 (ja) * 2012-12-28 2017-12-06 株式会社コーセー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AU2015237870A1 (en) * 2014-03-25 2016-08-25 Guala Pack S.P.A. Spout for flexible pouch with obturator device
EP3020649A1 (en) 2014-11-11 2016-05-18 Kao Germany GmbH Spout for a refill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3464A (ja) 2012-03-29 2013-10-07 Toppan Printing Co Ltd 詰め替え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03468B2 (en) 2021-12-21
MY200050A (en) 2023-12-06
US20200095033A1 (en) 2020-03-26
JP2018154399A (ja) 2018-10-04
JP6194132B1 (ja) 2017-09-06
WO2018173382A1 (ja) 2018-09-27
EP3599187A4 (en) 2020-10-14
CN110431087A (zh) 2019-11-08
PH12019502164A1 (en) 2020-06-29
EP3599187A1 (en) 2020-01-29
CN110431087B (zh)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8206A (ko)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US9994037B2 (en) Liquid container
KR102492789B1 (ko)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및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과의 연결 구조
KR20190094162A (ko)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JP2018062351A (ja) 詰め替え容器用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付き詰め替え容器
JP5756357B2 (ja) 詰替え用軟包装容器
JP5365283B2 (ja) 詰替え容器
JP5790114B2 (ja) 繰り返し使用容器
JP5977641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JP6366518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5978093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JP6910715B2 (ja) 二重容器、注出具付き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JP5953041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KR101923389B1 (ko) 유체 디스펜서
JP5384244B2 (ja) ブロー成形容器
KR102703244B1 (ko) 주출 스파우트
JP6012985B2 (ja) チューブ容器
JP7551243B2 (ja) 液体容器及び液体容器の製造方法
JP7425594B2 (ja) 注出部材接続構造及び包装容器
JP7287602B2 (ja) 希釈および分配容器用の濃縮製品貯蔵カートリッジ
JP5367510B2 (ja) 詰替え容器
JP2015024864A (ja) 詰替え用軟包装容器
JP2021088077A (ja) インク補給容器
JP6012986B2 (ja) チューブ容器
JP2020172315A (ja) 注出用スパウト、ストッパ部材付き注出用スパウト、キャップ付き注出用スパウ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