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873A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873A
KR20190123873A KR1020180047735A KR20180047735A KR20190123873A KR 20190123873 A KR20190123873 A KR 20190123873A KR 1020180047735 A KR1020180047735 A KR 1020180047735A KR 20180047735 A KR20180047735 A KR 20180047735A KR 20190123873 A KR20190123873 A KR 2019012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unit
rotation
rotating
main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574B1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5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에 연결되며 회전부의 동작에 의해 하우징부의 내측을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메인슬롯부와, 메인슬롯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슬롯부와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틸트부 및 메인슬롯부와 함께 회전부에 연결되며 회전부의 동작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틸트부를 회전시키는 틸트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슬롯의 구동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동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주변에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로의 경로에 대한 정보나, 현재의 차량의 위치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지상파 방송 또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또한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 날씨나 뉴스 등과 같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종래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리드 스크류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전개하는 방식이 사용되나, 리드 스크류의 피치와 모터의 속도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동 속도가 결정되므로, 구동 속도가 느리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트도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0053호(2016.07.11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슬롯의 이동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개와 수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틸트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커버의 개폐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부와, 회전부에 연결되며 회전부의 동작에 의해 하우징부의 내측을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메인슬롯부와, 메인슬롯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슬롯부와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틸트부 및 메인슬롯부와 함께 회전부에 연결되며 회전부의 동작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틸트부를 회전시키는 틸트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슬롯부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어 하우징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회전개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개폐부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우징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재와, 일측은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메인슬롯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회전부와, 개폐회전부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개폐회전부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개폐회전부에서 돌출되어 메인슬롯부의 가이드돌기에 접하며 메인슬롯부의 직선 이동에 의해 개폐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는 개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는, 구동부와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본체 및 회전본체에서 돌출되어 메인슬롯부와 틸트슬롯부에 걸리는 구동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슬롯부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된 제1슬라이더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윙부재와, 제1윙부재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제1이동본체 및 제1이동본체에 구동핀부가 걸리는 홀을 형성하는 제1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핀가이드부는, 제1이동본체가 제1슬라이더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핀부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1이동경로 및 제1이동경로와 연결되고 구동핀부의 이동 궤적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휴지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틸트슬롯부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된 제2슬라이더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윙부재와, 제2윙부재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제2이동본체 및 제2이동본체에 구동핀부가 걸리는 홀을 형성하는 제2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핀가이드부는, 제2이동본체가 제2슬라이더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핀부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2이동경로 및 제2이동경로와 연결되고 구동핀부의 이동 궤적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로 형성되는 틸트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틸트슬롯부는, 제2윙부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틸트돌기를 더 포함하며, 틸트돌기는 제2윙부재와 함께 이동되며 틸트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틸트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메인슬롯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틸트돌기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틸트회전부재와, 틸트회전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틸트회전부재를 틸트돌기와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틸트탄성부재 및 틸트회전부재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틸트회전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가이드부는, 틸트회전부재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틸트안내돌기 및 메인슬롯부에 고정되며 틸트안내돌기가 삽입되어 이동이 이루어지는 장공의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 또는 회전부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전부의 회전 동력을 메인슬롯부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개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틸트슬롯부의 이동으로 회전개폐부가 동작되어 커버부재를 이동시키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동에 연동하여 하우징부의 입구를 막고 있는 커버부재의 열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틸트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메인슬롯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메인슬롯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슬롯부와 제1슬라이더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슬롯부에 제1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측에 제1슬라이더와 메인슬롯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납되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가 메인슬롯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가 메인슬롯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의 이동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부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가 제2슬라이더에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가 제2슬라이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돌기의 이동으로 틸트회전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핀부의 이동으로 메인슬롯부와 틸트슬롯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핀부의 추가 이동으로 틸트슬롯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돌기가 틸트회전부재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돌기의 이동으로 틸트회전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동경로를 차폐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부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동경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메인슬롯부가 하우징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메인슬롯부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슬롯부와 제1슬라이더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슬롯부에 제1블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내측에 제1슬라이더와 메인슬롯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수납되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가 메인슬롯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가 메인슬롯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의 이동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부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가 제2슬라이더에서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가 제2슬라이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돌기의 이동으로 틸트회전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핀부의 이동으로 메인슬롯부와 틸트슬롯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핀부의 추가 이동으로 틸트슬롯부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돌기가 틸트회전부재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돌기의 이동으로 틸트회전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동경로를 차폐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부가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동경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20)와, 하우징부(20)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부(3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부(30)와, 회전부(30)에 연결되며 회전부(30)의 동작에 의해 하우징부(20)의 내측을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메인슬롯부(40)와, 메인슬롯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슬롯부(40)와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결합되는 틸트부(50) 및 메인슬롯부(40)와 함께 회전부(30)에 연결되며 회전부(30)의 동작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틸트부(50)를 회전시키는 틸트슬롯부(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하우징부(20)의 내측에 설치된 영상보드(도시생략)와 연결되어 영상정보를 전달받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한다. 이로 인하여 운전자가 내비게이션과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없이도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는 차량에 장착되며, 내측에 영상보드가 설치된다. 하우징부(20)는 차량의 대시보드(미 도시)에 장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메인슬롯부(40)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펼치거나 접는다.
하우징부(20)는 제1슬라이더(80)와 제2슬라이더(90)와 메인슬롯부(40)와 틸트슬롯부(60) 등이 설치되는 하우징몸체(22)와, 하우징몸체(22)의 개구된 측면을 커버하는 하우징커버(24)를 포함한다. 하우징몸체(22)의 측면에는 회전개폐부(70)의 개폐돌기(77)가 삽입되어 회전되기 위한 원호 형상의 안내홀부(26)가 구비된다. 따라서 개폐돌기(77)와 함께 개폐회전부(74)는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된다.
영상보드는 차량 내의 전반적인 전자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제어부(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속도와 엔진 상태 등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영상보드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와 같은 장치와 연결시 특정 목적지로의 이동 경로 등과 관련된 다양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또는 영상을 생성한다.
도 4, 도 11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는 하우징부(20)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부(36)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메인슬롯부(40)와 틸트슬롯부(6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30)는, 구동부(36)와 연결된 구동샤프트(38)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본체(32)와, 회전본체(32)에서 돌출되어 메인슬롯부(40)와 틸트슬롯부(60)에 걸리는 구동핀부(34)를 포함한다.
회전본체(32)는 구동샤프트(38)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고, 구동핀부(34)는 회전본체(3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구동핀부(34)는 제1핀가이드부(45)와 제2핀가이드부(64)를 차례로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구동부(36)는 모터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되고 구동샤프트(38)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구동샤프트(38)를 통하여 구동부(36)와 연결된 판 형상의 회전본체(32)가 회전되면서, 회전본체(32)의 단부에 설치된 구동핀부(34)가 회전되므로, 메인슬롯부(40)와 틸트슬롯부(60)가 이동된다.
도 4, 도 5 및 도 8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슬롯부(40)는 회전부(30)에 연결되며 회전부(30)의 동작에 의해 하우징부(20)의 내측을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며, 회전개폐부(70)를 동작시켜 하우징부(20)의 입구를 막고 있는 커버부재(71)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슬롯부(40)는 제1윙부재(41)와 가이드돌기(42)와 회전지지부재(43)와 제1이동본체(44)와 제1핀가이드부(4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윙부재(41)는 하우징부(20)의 내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슬라이더(80)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윙부재(41)와 제1슬라이더의 사이에는 제1블록(82)이 설치된다. 제1블록(82)은 제1윙부재(41)에 고정되며, 제1슬라이더를 따라 직선 이동한다.
제1이동본체(44)는 제1윙부재(41)를 연결하는 판 형상이며, 하우징부(20)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한다. 또한 구동핀부(34)가 통과되는 제1핀가이드부(45)가 제1이동본체(44)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핀가이드부(45)는 구동핀부(34)가 통과되도록 제1이동본체(44)의 상, 하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1핀가이드부(45) 내측에 구동핀부(34)가 제1이동본체(44)에 관통 삽입되고, 회전부(30)의 회전에 따라 구동핀부(34)가 회전시 제1핀가이드부(45) 상에서 이동된다.
제1핀가이드부(45)는 구동핀부(34)가 걸리는 홀을 제1이동본체(44)에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핀가이드부(45)는, 제1이동본체(44)가 제1슬라이더(80)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핀부(34)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1이동경로(46) 및 제1이동경로(46)와 연결되고 구동핀부(34)의 이동 궤적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휴지경로(47)를 포함한다.
제1이동경로(46)는 회전본체(32)의 회전 시 구동핀부(34)가 회전되며 제1이동본체(44)와 접촉으로 인해 제1이동본체(44)가 하우징부(20) 상에서 이동되는 경로이다. 제1이동경로(46)는 제1이동본체(44)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직선경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이동본체(44)의 이동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휴지경로(47)는 제1이동경로(46)와 연결되고, 구동샤프트(38)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각도에서 길이가 동일하게 호(ARC)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휴지경로(47)는 구동핀부(34)의 이동 궤적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회전부(30)의 회전에 의해 구동핀부(34)가 회전하여도 제1이동본체(44)가 이동하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윙부재(41)의 외측에 경사진 "ㄱ"자 형상으로 굽어진 가이드돌기(42)는 회전개폐부(70)의 개폐돌기(77)에 접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 커버부재(71)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1윙부재(41)의 양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지지부재(43)에 틸트부(50)가 설치된다.
도 17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슬롯부(60)는 메인슬롯부(40)에 연결되고, 회전부(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메인슬롯부(40)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슬롯부(60)는 제2윙부재(61)와 틸트돌기(62)와 제2이동본체(63)와 제2핀가이드부(6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2윙부재(61)는 하우징부(20)의 내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2슬라이더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슬라이더는 메인슬롯부(40)의 제1윙부재(41)에 장착된다. 제2윙부재(61)와 제2슬라이더(90)의 사이에는 제2블록(92)이 설치된다. 제2블록(92)은 제2윙부재(61)에 고정되며, 제2슬라이더(90)를 따라 직선 이동한다.
제2이동본체(63)는 제2윙부재(61)를 연결하는 판 형상이며, 이러한 제2이동본체(63)에 구동핀부(34)가 걸리는 홀을 형성하는 제2핀가이드부(64)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핀가이드부(64)는, 제2이동본체(63)가 제2슬라이더(90)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동핀부(34)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2이동경로(65) 및 제2이동경로(65)와 연결되고 구동핀부(34)의 이동 궤적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로 형성되는 틸트경로(66)를 포함한다.
회전본체(32)의 회전중심인 구동샤프트(38)가 위치된 부분을 기준점으로 할때, 구동샤프트(38)에서 메인슬롯부(40)의 휴지경로(47)를 통과하는 호 형상의 가상선 반지름을 R1이라고 하고, 기준점에서 설정된 거리 이동된 중심점에서 틸트경로(66)를 통과하는 호 형상의 가상선 반지름을 R2라 할때 R1은 R2보다 크다. 그리고 휴지경로(47)가 상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곡선홀을 형성하면, 구동핀부(34)는 한방향으로 구동만 해도 메인슬롯부(40)와 틸트슬롯부(60)가 반복적으로 같은 위치에 올수 있다. 즉 구동부(36)의 회전은 정역 구동 중 어느 하나만 있어도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이 가능하다.
제2핀가이드부(64)는 구동핀부(34)가 통과되도록 제2이동본체(63)의 상, 하면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2이동경로(65)와 틸트경로(66)를 포함한다. 제2이동경로(65)는 회전본체(32)의 회전시 구동핀부(34)가 회전되며 제2이동본체(63)와 접촉으로 인해 제2이동본체(63)가 메인슬롯부(40) 상에서 이동되는 경로이다. 제2이동경로(65)는 제2이동본체(63)의 이동 방향과 수직을 이루며 직선경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이동본체(63)의 이동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틸트경로(66)는 제2이동경로(65)와 연결되고, 구동핀부(34)의 이동 궤적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구동핀부(34)가 휴지경로(47)와 틸트경로(66)에 위치하는 경우, 제1이동본체(44)는 이동하지 않으나 제2이동본체(63)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더하여 틸트경로(66)로 인하여 구동핀부(34)가 회전함에 따라 휴지경로(47)가 형성된 제1이동본체(44)는 이동하지 않고, 제2이동본체(63)만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각도의 미세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틸트경로(66)의 곡률과 휴지경로(47)의 곡률이 서로 다르므로, 구동핀부(34)가 휴지경로(47)에서 이동 시 제1이동본체(44)는 이동하지 않으나, 제2이동본체(63)가 이동한다. 이때 틸트경로(66)의 곡률 보다 휴지경로(47)의 곡률이 더 클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틸트경로(66)의 곡률 보다 휴지경로(47)의 곡률이 더 작을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구동핀부(34)가 휴지경로(47) 상에서 이동시 제1이동본체(44)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제2이동본체(63)가 메인슬롯부(40)의 상측에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틸트돌기(62)는 제2윙부재(61)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돌기(62)는 제2윙부재(61)와 함께 이동되며 틸트부(50)의 틸트회전부재(51)를 회전시킨다.
도 20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슬롯부(40)가 최종 위치에서 정지되면, 구동핀부(34)의 이동으로 틸트슬롯부(60)만 틸트슬롯 총 누적 이동량(L) 만큼 직선 이동이 가능하며, 틸트슬롯부(60)의 이동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틸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한편 메인슬롯부(40)의 휴지경로(47)를 따라 원호를 형성할 때의 반지름을 R1이라 하며, 틸트경로(66)를 따라 원호를 형성할 때의 반지름을 R2라 할 때 R1은 R2보다 크다. 그리고 최종위치에 정지된 메인슬롯부(40)와 R2의 중심점 사이에 R1의 중심점이 위치한다.
또한 틸트경로(66)가 상측(도 21 기준)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홀을 형성하며 틸트슬롯부(60)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슬롯 형상이면, 구동핀부(34)는 한방향 구동만 해도 반복적으로 같은 위치에 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6)는 정방향 구동과 역방향 구동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구동만 구현해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6, 도 7, 도 12 내지 도 16, 도 19,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부(50)는 메인슬롯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메인슬롯부(40)와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결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틸트부(50)는, 틸트회전부재(51)와 틸트탄성부재(52)와 회전가이드부(53)와 메인축(57)과 연결축(58)과 센서감지돌기(59)를 포함한다.
틸트회전부재(51)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 연결되며, 틸트회전부재(51)의 몸체는 메인슬롯부(40)의 회전지지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틸트회전부재(51)는 틸트돌기(62)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므로, 틸트돌기(62)에 밀려서 반시계 방향(도 23기준)으로 회전된다.
틸트탄성부재(52)는 틸트회전부재(51)의 회전축인 메인축(57)에 설치되며, 틸트회전부재(51)를 틸트돌기(62)와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틸트회전부재(51)는 틸트탄성부재(5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회전가이드부(53)는 틸트회전부재(51)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틸트회전부재(51)의 회전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이드부(53)는, 틸트회전부재(5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틸트안내돌기(54)와, 메인슬롯부(40)에 고정되며 틸트안내돌기(54)가 삽입되어 이동이 이루어지는 장공의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56)를 구비하는 가이드블록(55)을 포함한다. 가이드블록(55)은 틸트안내돌기(54)를 감싸며 메인슬롯부(40)의 회전지지부재(43)에 고정된다. 또한 틸트회전부재(51)를 연결하는 메인축(57)도 가이드블록(55)에 양측이 연결된다.
가이드홀부(56)는 원호 형상의 홀부를 형성하며, 틸트회전부재(51)의 측방향으로 돌출된 틸트안내돌기(54)의 회전을 안내한다. 틸트회전부재(51)의 타측 단부는 연결축(58)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블록(55) 중 일측의 가이드블록(55)에는 센서감지돌기(59)가 더 구비된다. 센서감지돌기(59)는 가이드블록(55)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별도로 구비된 센서에 의해 이동이 감지된다.
도 24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개폐부(70)는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슬롯부(40)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어 하우징부(20)의 입구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개폐부(70)는, 커버부재(71)와 이동돌기(72)와 돌기안내부(73)와 개폐회전부(74)와 탄성지지부재(76)와 개폐돌기(77)와 회전지지축(78)을 포함한다.
커버부재(71)는 상하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하우징부(20)의 입구를 개폐하는 판 형상이다. 커버부재(71)의 양측에는 이동돌기(72)가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동돌기(72)는 원형바 형상이며, 하우징부(20)에 고정된 돌기안내부(73)를 관통하며 상하 방향(도 24기준)으로 이동된다.
하우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회전부(74)의 일측은 커버부재(7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메인슬롯부(4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개폐회전부(74)는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지지축(78)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지지축(78)은 하우징부(20)에 연결된다.
한편 하우징부(20)의 안내홀부(26)와 마주하는 개폐회전부(74)의 측면에는 측면돌기(75)가 돌출된다. 측면돌기(75)는 안내홀부(26)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개폐회전부(74)는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을 한다.
탄성지지부재(76)는 개폐회전부(74)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개폐회전부(74)를 일방향(도 24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개폐회전부(74)에서 돌출되어 메인슬롯부(40)의 가이드돌기(42)에 접하는 개폐돌기(77)는 메인슬롯부(40)의 직선 이동에 의해 개폐회전부(74)와 함께 회전된다.
외력이 없는 경우 개폐회전부(74)는 탄성지지부재(76)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커버부재(71)와 함께 이동돌기(72)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부(20)의 입구를 개방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4, 도 1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71)가 하우징부(20)의 입구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부(36)의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부(30)가 회전된다. 회전부(30)의 구동핀부(34)가 메인슬롯부(40)의 제1핀가이드부(45)와 틸트슬롯부(60)의 제2핀가이드부(64)에 삽입되어 회전되므로, 메인슬롯부(40)와 틸트슬롯부(6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함께 하우징부(20)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부(30)의 회전으로 인하여 메인슬롯부(40)의 반복적인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회전부(30)의 회전 속도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신속한 전개 또는 수납이 가능하다.
도 2, 도 11, 도 15, 도 20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본체(32)의 회전으로 가이드핀부와 함께 이동되는 메인슬롯부(40)와 틸트슬롯부(6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하우징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메인슬롯부(40)는 추가 이동되지 않고, 틸트슬롯부(60)만 추가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메인슬롯부(40)가 좌측(도 11 기준)으로 이동 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하우징부(20)의 외측을 향하여 상승하여 펼쳐지고, 메인슬롯부(40)가 우측(도 11 기준)으로 이동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하우징부(20)의 내측을 향하여 이동되어 접히며 수납된다.
도 3, 도 16,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핀부(34)가 제1이동경로(46) 상에서 이동 시에는 제1이동본체(44)가 직선 이동하나, 구동핀부(34)가 휴지경로(47) 상에서 이동 시에는 제1이동본체(44)의 위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회전부(30)의 추가 회전으로 구동핀부(34)가 틸트슬롯부(60)의 틸트경로(66)를 따라 추가 이동하면서 틸트슬롯부(60)는 하우징부(20)의 외측을 향하여 추가 이동된다.
이때 틸트슬롯부(60)에 구비된 틸트돌기(62)가 개폐회전부(74)를 밀면서 개폐회전부(74)를 반시계 방향(도 23기준)으로 회전시키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커버부재(71)의 오픈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하우징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초기에는 메인슬롯부(40)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빠른 구동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운전자의 최적 시야각 영역까지 전개된 후에는 틸트슬롯부(60)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각도 조절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즉 운전자의 최적 시야가 아닌 각도에서는 분해능이 성글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빠른 구동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운전자의 최적 시야각에 들어가는 구간에서 틸트 구동을 하여 분해능이 조밀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슬롯부(40)가 오픈 방향(도 24기준 좌측)으로 이동하면, 메인슬롯부(40)의 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돌기(42)의 상측에 회전개폐부(70)의 개폐돌기(77)가 걸린다. 따라서 개폐돌기(77)와 함께 개폐회전부(74)는 회전지지축(78)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개폐회전부(74)에 힌지 연결된 이동돌기(72)와 커버부재(71)도 하측으로 이동하며 하우징부(20)의 입구를 개방한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슬롯부(40)가 클로즈 방향(도 25기준 우측)으로 이동하면, 메인슬롯부(40)의 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돌기(42)의 상부에 회전개폐부(70)의 개폐돌기(77)가 걸린다. 따라서 개폐돌기(77)와 함께 개폐회전부(74)는 회전지지축(78)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개폐회전부(74)에 힌지 연결된 이동돌기(72)와 커버부재(71)도 상측으로 이동하며 하우징부(20)의 입구를 막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30)의 회전 동력을 메인슬롯부(40)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전개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틸트슬롯부(60)의 이동으로 회전개폐부(70)가 동작되어 커버부재(71)를 이동시키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이동에 연동하여 하우징부(20)의 입구를 막고 있는 커버부재(71)의 열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부(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회전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하여 틸트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지경로(47)로 인하여 메인슬롯부(40)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틸트슬롯부(60)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각도를 조절하여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틸트슬롯부(60)에 구비된 제2핀가이드부(64) 형상의 특징에 의해, 모터를 사용하는 구동부(36)의 양방향 구동이 아닌 단방향 구동으로도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의 연속 구동이 가능하다.
즉 구동부(36) 또는 회전부(30)가 정역방향 구동이 아닌 한 방향(도 13기준 반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되어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오픈 이후 클로즈 동작이 이루어지는 연속동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구동부(36)의 역방향 구동이 불필요하므로 관련 부품의 삭제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슬롯부(40)의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기본 수납 동작이 가능하며, 메인슬롯부(40)의 휴지 구간에는 별도의 틸트슬롯부(60)를 통해 하나의 구동부(36)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이동과 틸트 동작이 순차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는 틸트슬롯부(60)의 슬롯 형상에 따라 틸트 구간의 분해능을 달리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보다 세밀한 틸트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기본 수납 동작은 빠른 구동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틸트 동작 시에는 구간별 미세 조절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수납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보는데 최적의 시야각 위치로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하우징부 22: 하우징몸체 24: 하우징커버 26: 안내홀부
30: 회전부 32: 회전본체 34: 구동핀부 36: 구동부 38: 구동샤프트
40: 메인슬롯부 41: 제1윙부재 42: 가이드돌기 43: 회전지지부재 44: 제1이동본체 45: 제1핀가이드부 46: 제1이동경로 47: 휴지경로
50: 틸트부 51: 틸트회전부재 52: 틸트탄성부재 53: 회전가이드부 54: 틸트안내돌기 55: 가이드블록 56: 가이드홀부 57: 메인축 58: 연결축 59: 센서감지돌기
60: 틸트슬롯부 61: 제2윙부재 62: 틸트돌기 63: 제2이동본체 64: 제2핀가이드부 65: 제2이동경로 66: 틸트경로
70: 회전개폐부 71: 커버부재 72: 이동돌기 73: 돌기안내부 74: 개폐회전부 75: 측면돌기 76: 탄성지지부재 77: 개폐돌기 78: 회전지지축
80: 제1슬라이더 82: 제1블록 90: 제2슬라이더 92: 제2블록
L: 틸트슬롯 총 누적 이동량

Claims (12)

  1.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을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메인슬롯부;
    상기 메인슬롯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메인슬롯부와 함께 이동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결합되는 틸트부; 및
    상기 메인슬롯부와 함께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의 동작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틸트부를 회전시키는 틸트슬롯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슬롯부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회전개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개폐부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재;
    일측은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메인슬롯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회전부;
    상기 개폐회전부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회전부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개폐회전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슬롯부의 가이드돌기에 접하며, 상기 메인슬롯부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개폐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는 개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구동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본체; 및
    상기 회전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메인슬롯부와 상기 틸트슬롯부에 걸리는 구동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슬롯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된 제1슬라이더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윙부재;
    상기 제1윙부재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제1이동본체; 및
    상기 제1이동본체에 상기 구동핀부가 걸리는 홀을 형성하는 제1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가이드부는, 상기 제1이동본체가 상기 제1슬라이더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핀부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1이동경로; 및
    상기 제1이동경로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핀부의 이동 궤적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휴지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슬롯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된 제2슬라이더를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윙부재;
    상기 제2윙부재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제2이동본체; 및
    상기 제2이동본체에 상기 구동핀부가 걸리는 홀을 형성하는 제2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핀가이드부는, 상기 제2이동본체가 상기 제2슬라이더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핀부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제2이동경로; 및
    상기 제2이동경로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핀부의 이동 궤적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로 형성되는 틸트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슬롯부는, 상기 제2윙부재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틸트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틸트돌기는 상기 제2윙부재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틸트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슬롯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틸트돌기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틸트회전부재;
    상기 틸트회전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틸트회전부재를 상기 틸트돌기와 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틸트탄성부재; 및
    상기 틸트회전부재의 회전이 설정된 각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상기 틸트회전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틸트회전부재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틸트안내돌기; 및
    상기 메인슬롯부에 고정되며, 상기 틸트안내돌기가 삽입되어 이동이 이루어지는 장공의 구멍을 형성하는 가이드홀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회전부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47735A 2018-04-25 2018-04-25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3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735A KR102483574B1 (ko) 2018-04-25 2018-04-25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735A KR102483574B1 (ko) 2018-04-25 2018-04-25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873A true KR20190123873A (ko) 2019-11-04
KR102483574B1 KR102483574B1 (ko) 2023-01-02

Family

ID=6857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735A KR102483574B1 (ko) 2018-04-25 2018-04-25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5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002A (ja) * 1991-10-15 1993-04-27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デイスプレイ装置
KR20000006466U (ko) * 1998-09-16 2000-04-15 윤종용 자동차용 모니터 조립체
JP2001030848A (ja) * 1999-07-15 2001-02-06 Xanavi Informatics Corp 車載用ディスプレイ駆動機構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030849A (ja) * 1999-07-19 2001-02-06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モニター作動装置
KR100782888B1 (ko) * 2006-09-08 2007-12-06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002A (ja) * 1991-10-15 1993-04-27 Alpine Electron Inc 車載用デイスプレイ装置
KR20000006466U (ko) * 1998-09-16 2000-04-15 윤종용 자동차용 모니터 조립체
JP2001030848A (ja) * 1999-07-15 2001-02-06 Xanavi Informatics Corp 車載用ディスプレイ駆動機構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030849A (ja) * 1999-07-19 2001-02-06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モニター作動装置
KR100782888B1 (ko) * 2006-09-08 2007-12-06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574B1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9477B2 (en) Display device
EP2768219B1 (en) Display apparatus
US9606617B2 (en) Display apparatus
KR20150028561A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WO2007034594A1 (ja) ディスプレイ開閉角度検出機構
US11117466B2 (en) Operation device and vehicular shifting apparatus using operation device
KR20190123873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H1151662A (ja) 表示装置
CN211592393U (zh) 用于车辆的平视显示器
KR20190001247A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US7357428B2 (en) Fixing device for a movable wall
US7377212B1 (en) Automatic band conveying device
US6982868B2 (en)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593518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3718972B2 (ja) 開閉式反射型表示装置
EP3299206A1 (en) Display apparatus
JP3313967B2 (ja) 検出装置
JPH10106398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KR102577359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KR0176379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JP3078113B2 (ja) 車載用機器
KR930002366Y1 (ko) 비디오 인터폰용 카메라의 c.c.d 렌즈 화각 조절장치
JP4256321B2 (ja) 電子機器のパネル駆動機構
JP2002087174A (ja) 車載用電子機器
KR101734584B1 (ko) 사이드미러 회전 구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