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379B1 -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379B1
KR0176379B1 KR1019960037124A KR19960037124A KR0176379B1 KR 0176379 B1 KR0176379 B1 KR 0176379B1 KR 1019960037124 A KR1019960037124 A KR 1019960037124A KR 19960037124 A KR19960037124 A KR 19960037124A KR 0176379 B1 KR0176379 B1 KR 017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etermined
gear
projector
operating rod
projecti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350A (ko
Inventor
김문태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379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53Means for automatic focusing, e.g. to compensate thermal eff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통의 외주면상에 설치된 단일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방에 설치되어 작동기어를 포함하는 작동봉을 전후 직선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작동기어가 전후 이동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부재로 구성된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솔레노이드가 설치되고 일단이 설치면에 형성된 제 1축받이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기기설치브라켓트와,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의 작동전후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위치결정용부재와, 상기 작동봉의 일정 부위에는 소정 길이범위에 걸쳐서 소정 곡률반경을 갖고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굴곡부와, 상기 경통의 외주면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봉의 굴곡부가 외력의 인가에 따라 미끄러지듯 안내되어 이동되도록 일정 두께와 폭을 갖는 판형부재의 중심부가 소정 높이로 만곡되게 융기되어 형성된 작동봉안내편으로 구성되므로써, 포커싱렌즈의 포거싱동작과 줌렌즈의 줌잉동작이 단일의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되 보다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투사형 텔레비젼에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독립된 제품으로 사용되는 프로젝터에 설치되어 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를 구성하는 포커싱렌즈의 포커싱(Focussing)동작과 줌렌즈의 줌잉(Zooming)동작이 단일의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면 투사형 텔레비젼에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독립된 제품으로 사용되는 프로젝터에서의 투사렌즈(1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통(12)의 선단내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일정거리 범위내에서 전·후 직선이동되면서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촛점을 조정하는 포커싱렌즈(14)와, 상기 포커싱렌즈(14)의 후방에 해당되는 경통(12)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외주면상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가이드공(16)이 형성된 가이드원통(18)과 상기 가이드공(16)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외주면상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공(16)과 정해진 기울기로 교차하는 사선의 작동공(20)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20)의 뒷쪽에 해당되는 외주면상에는 상기 작동공(20)과 직교하는 원호형의 회동안내공(22)이 형성된 구조의 회전원통(24)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른 상기 회전원통(24)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에 따라 전후위치이동되면서 스크린상에 투사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줌렌즈(26)로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구동메카니즘에서 포커싱조정동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통(12)의 선단부 내주면에는 포커싱렌즈(14)가 결합된 렌즈홀더(28)가 소정 거리범위에서 전후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렌즈홀더(28)의 선단은 내주면이 상기 경통(12)의 선단부외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기어부(30)가 형성된 포커싱조정캡(32)의 선단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포커싱조정캡(32)상의 기어부(30)에는 상기 경통(12)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모터(34)로부터 돌출되는 축기어(36)가 치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모터(34)를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축기어(36)에 결합된 포커싱조정캡(32)이 경통(12)의 선단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모터(34)의 구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결과, 상기 포커싱조정캡(32)의 내측에 결합된 렌즈홀더(28)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이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구동메카니즘에서 줌렌즈조정동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의 가이드공(16)이 형성된 가이드원통(18)이 상기 경통(12)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원통(18)의 내부에는 외주면상의 소정 위치에 상기 가이드공(16)과 정해진 기울기로 교차하는 사선의 작동공(20)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20)의 뒷쪽에 해당되는 외주면상에 상기 작동공(20)과 직교하는 원호형의 회동안내공(22)이 형성된 구조의 회전원통(24)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회전원통(24)의 내부에는 상기 줌렌즈(26)를 구성하는 제 1렌즈군(26a)과 제 2렌즈군(26b)의 렌즈홀더(28')로부터 돌설되는 가이드돌기(26c)가 각각 상기 작동공(20)과 가이드공(16)의 교차점 및 상기 원호형의 회동안내공(22)과 가이드공(16)의 교차점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편, 상기 회전원통(24)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기어부(3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원통(24)상의 기어부(30')에는 상기 경통(12)의 외주면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또다른 모터(34')로부터 돌출되는 축기어(36')가 치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터(34')를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축기어(34')와 치합된 회전원통(24)이 왼쪽 또는 오른쪽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결과,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선의 작동공(20)의 위치이동에 의하여 상기 줌렌즈(26)를 구성하는 제 1렌즈군(26a)이 가이드공(1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되고, 상기 제 2렌즈군(26b)은 상기 원호형의 회동안내공(22)의 작용에 의하여 제자리를 유지하는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서는 상기 포커싱렌즈(14)의 구동과 줌렌즈(26)의 구동을 위하여 각각 별도의 모터(34)(34')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설치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고, 포커싱 및 줌잉조정동작이 각각 별도로 설치된 모터(34)(34')의 구동에 의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그 조정동작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통(12)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통상의 제어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정역구동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축(42)상에는 상기 포커싱조정캡(32)의 외주면과 회전원통(24)의 선단부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30)(3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작동기어(44)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단일의 구동모터(46)와, 상기 구동모터(46)의 일측방에 해당되는 경통(12)의 외주면상에 설치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봉(48)의 선단에는 상기 구동모터(46)상의 작동기어(44)를 협지하는 협지브라켓(52)이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상기 작동기어(44)를 뒷쪽으로 당기거나 또는 앞쪽으로 밀어내는 솔레노이드(50)와, 상기 작동기어(44)의 전후 미끄럼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54)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재(54)는 상기 구동모터(46)의 축(42)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리브(56)와, 상기 작동기어(44)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리브(56)이 끼워지는 가이드홈(58)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0)의 작용에 따른 작동봉(48)의 돌출작용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46)의 축(42)상에 결합된 작동기어(44)가 전방으로 밀려나고, 그 결과, 상기 작동기어(44)가 포커싱조정캡(32)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기어부(30)에 맞물린 초기상태에서, 사용자가 포커싱렌즈(14)의 촛점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46)와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구동모터(46) 및 축(42)상의 작동기어(44)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포커싱조정캡(32)이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포커싱조정캡(32)의 내부에 렌즈홀더(28)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 포커싱렌즈(14)가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위치이동됨에 따라 촛점조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줌렌즈(26)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솔레노이드(50)와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조작하여 전류를 인가시키면, 상기 작동봉(48)이 솔레노이드(50)의 몸체내부로 흡인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46)의 축(42)상에 결합된 작동기어(44)가 상기 솔레노이드(50)의 작동봉(48)선단에 설치된 협지브라켓(52)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54)를 구성하는 가이드리브(56)를 타고 후방으로 이송되어 상기 회전원통(24)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30')에 치합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46)에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접점시키면, 상기 구동모터(46), 작동기어(44) 및 상기 작동기어(44)와 치합된 회전원통(24)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원통(24)의 외주면에 형성된 사선의 작동공(20)의 회동작용에 의하여 상기 줌렌즈(26)를 구성하는 제 1렌즈군(26a)이 상기 가이드원통(18)상의 가이드공(16)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럼이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줌렌즈(26)의 조정동작이 수행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는 상기 작동기어(44)가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위해 상기 기어부(30)(30') 사이를 왕복이동할 때에 각각의 치산이 맞지 않을 경우에, 상기 작동기어(44)와 상기 기어부(30)(30')가 끝단부에서 서로 부딪치므로 작동되지 않거나, 오작동의 우려가 있으며 심할 경우에는 치산의 마모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면투사형 텔레비젼에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독립된 제품으로 사용되는 프로젝터에 설치되어 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를 구성하는 포커싱렌즈의 포거싱동작과 줌렌즈의 줌잉동작이 단일의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작동기어와 기어부가 보다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는 경통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통상의 제어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정역구동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축상에는 상기 포커싱조정캡의 외주면과 회전원통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작동기어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단일의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방에 해당되는 경통의 외주면 상단에 설치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봉의 선단에는 상기 구동모터상의 작동기어를 협지하는 협지브라켓이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상기 작동봉을 뒷쪽으로 당기거나 또는 앞쪽으로 밀어내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작동기어의 전후 미끄럼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진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솔레노이드가 설치되고 일단이 설치면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제 1축받이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기기설치브라켓트와,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의 작동전후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소정의 위치결정용부재와, 상기 작동봉의 일정 부위에는 소정 길이범위에 걸쳐서 소정 곡률반경을 갖고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굴곡부와, 상기 경통의 외주면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봉의 굴곡부가 외력의 인가에 따라 미끄러지듯 안내되어 이동되도록 일정 두께와 폭을 갖는 판형부재의 중심부가 소정 높이로 만곡되게 융기되어 형성된 작동봉안내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는 상기 구동모터와 솔레노이드가 결합되도록 소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판형부재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절곡면 외측에 상기 제 1축받이와 핀설되도록 돌설된 한 쌍의 제 2축받이와, 상기 몸체의 상면 일측단 상에 돌설되어 상기 위치결정용부재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 1위치결정용부재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작동봉에서의 형성위치가 상기 솔레노이드 끝단에서 상기 작동기어가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위해 상기 기어부 사이를 왕복이동할 때에 솔레노이드 내부로 삽출되는 행정길이에 해당되는 상기 기어부의 각 중심선 사이의 거리 보다 긴 직선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작동봉안내편은 소정 범위로 융기된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전후방에는 상기 작동봉의 굴곡부가 이동시 작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굴곡부가 이동되는 행정거리 보다 긴 평평한 면이 연장되어 형성된 굴곡부접촉면과, 상기 굴곡부접촉면에 양쪽 모서리에 소정 내경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제 1체결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경통은 외주면 상부 소정 위치에 상기 작동봉안내편이 핀설되도록 소정 내경으로 천공된 복수개의 제 2체결공과, 상기 위치결정용부재의 타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돌설된 제 2위치결정용부재고정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위치결정용부재는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가 작동 전후 일정한 위치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구조 및 그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서 투사렌즈를 구성하는 줌렌즈의 이동을 나타내는 부분평단면도,
도 4는 종래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분리사시도,
도 6은 종래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경통, 14---포커싱렌즈,
16:가이드공, 18:가이드원통,
20:작동공, 22:회동안내공,
24:회전원통, 30,30':기어부,
32:포커싱조정캡, 44:작동기어,
46:구동모터, 48:작동봉,
50:솔레노이드, 52:협지브라켓,
54:가이드부재, 56:가이드리브,
60:기기설치브라켓트, 62:위치결정부재,
64:굴곡부, 66:작동봉안내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는 경통(12)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통상의 제어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정역구동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축(42)상에는 상기 포커싱조정캡(32)의 외주면과 회전원통(24)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30)(3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작동기어(44)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단일의 구동모터(46)와, 상기 구동모터(46)의 일측방에 해당되는 경통(12)의 외주면 상단에 설치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봉(48)의 선단에는 상기 구동모터(46)상의 작동기어(44)를 협지하는 협지브라켓(52)이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상기 작동봉(48)을 뒷쪽으로 당기거나 또는 앞쪽으로 밀어내는 솔레노이드(50)와, 상기 작동기어(44)의 전후 미끄럼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54)로 이루어진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6)와 솔레노이드(50)가 설치되고 일단이 설치면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제 1축받이(60d)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기기설치브라켓트(60)와,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의 작동전후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소정의 위치결정용부재(62)와, 상기 작동봉(48)의 일정 부위에는 소정 길이범위에 걸쳐서 소정 곡률반경을 갖고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굴곡부(64)와, 상기 경통(12)의 외주면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봉(48)의 굴곡부(64)가 외력의 인가에 따라 미끄러지듯 안내되어 이동되도록 일정 두께와 폭을 갖는 판형부재의 중심부가 소정 높이로 만곡되게 융기되어 형성된 작동봉안내편(66)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는 상기 구동모터(46)와 솔레노이드(50)가 결합되도록 소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판형부재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몸체(60a)와, 상기 몸체(60a)의 일측 절곡면 외측에 상기 제 1축받이(60d)와 핀설되도록 소정 형상으로 돌설된 제 2축받이(60b)와, 상기 몸체(60a)의 상면 일측단 상에 돌설되어 상기 위치결정용부재(62)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 1위치결정용부재고정돌기(60c)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굴곡부(64)는 상기 작동봉(48)에서의 형성위치가 상기 솔레노이드(50) 끝단에서 상기 작동기어(44)가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위해 상기 기어부(30)(30') 사이를 왕복이동할 때에 솔레노이드(50) 내부로 삽출되는 행정길이에 해당되는 상기 기어부(30)(30')의 각 중심선 사이의 거리 보다 긴 직선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작동봉안내편(66)은 소정 범위로 융기된 곡면부(66a)와, 상기 곡면부(66a)의 전후방에는 상기 작동봉(48)의 굴곡부(64)가 이동시 작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굴곡부(64)가 이동되는 행정거리 보다 긴 평평한 면이 연장되어 형성된 굴곡부접촉면(66b)과, 상기 굴곡부접촉면(66b)에 양쪽 모서리에 소정 내경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제 1체결공(66c)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경통(12)은 외주면 상부 소정 위치에 상기 작동봉안내편(66)이 핀설되도록 소정 내경으로 천공된 복수개의 제 2체결공(12a)과, 상기 위치결정용부재(62)의 타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돌설된 제 2위치결정용부재고정돌기(12b)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위치결정용부재(62)는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가 작동 전후 일정한 위치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솔레노이드(50)는 별도의 제어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 제어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작동봉(48)이 몸체내부로 흡인되고, 그 제어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작동봉(48)이 외부로 돌출되는 흡인식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바,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50)는 돌출식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0)의 작용에 따른 작동봉(48)을 전진이동 시키면 상기 굴곡부(64)는 작동봉안내편(66)의 융기된 곡면상을 따라 이동하므로 구동모터(46)와 솔레노이드(50)이 설치된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가 제 1축받이(60d)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동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작동기어(44)를 포함하는 작동봉(48)이 소정 각도로 들리게 되며, 상기 구동모터(46)의 축(42)상에 결합된 작동기어(44)가 전방으로 밀려나고,상기 작동봉(48)의 굴곡부(64)가 상기 작동봉안내편(66)의 융기된 곡면부 이동이 완료되는 순간에 상기 회전원통(24)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30)에 부딪힘없이 치합되고, 그 결과, 상기 작동기어(44)가 포커싱조정캡(32)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기어부(30)에 맞물린 초기상태에서, 사용자가 포커싱렌즈(14)의 촛점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구동모터(46)와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구동모터(46) 및 축(42)상의 작동기어(44)가 정해진 방향으로 구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포커싱조정캡(32)이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포커싱조정캡(32)의 내부에 렌즈홀더(28)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 포커싱렌즈(14)가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위치이동됨에 따라 촛점조정이 이루어지며,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줌렌즈(26)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솔레노이드(50)와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조작하여 전류를 인가시키면, 상기 작동봉(48)이 솔레노이드(50)의 몸체내부로 흡인되는데, 이때 상기 굴곡부(64)는 작동봉안내편(66)의 융기된 곡면상을 따라 이동하므로 구동모터(46)와 솔레노이드(50)이 설치된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가 제 1축받이(60d)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소정 각도 만큼 회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작동기어(44)를 포함하는 작동봉(48)이 소정 각도로 들리게 되며, 이때 상기 구동모터(46)의 축(42)상에 결합된 작동기어(44)가 상기 솔레노이드(50)의 작동봉(48) 선단에 설치된 협지브라켓(52)의 당김작용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54)를 구성하는 가이드리브(56)를 타고 후방으로 이송되고, 상기 작동봉(48)의 굴곡부(64)가 상기 작동봉안내편(66)의 융기된 곡면부 이동이 완료되는 순간에 상기 회전원통(24)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30')에 부딪힘없이 치합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46)에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접점시키면, 상기 구동모터(46), 작동기어(44) 및 상기 작동기어(44)와 치합된 회전원통(24)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원통(24)의 외주면에 형성된 사선의 작동공(20)의 회동작용에 의하여 상기 줌렌즈(26)를 구성하는 제 1렌즈군(26a)이 상기 가이드원통(18)상의 가이드공(16)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럼이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줌렌즈(26)의 조정동작이 수행되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작동기어가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위해 상기 기어부 사이를 왕복 이동할 때에 상기 작동기어가 상방으로 들렸다가 상기 기어부에 치합되므로, 상기 작동기어와 상기 기어부가 끝단부에서 서로 부딪치지 않고, 오작동의 우려가 없어서, 포커싱렌즈의 포거싱동작과 줌렌즈의 줌잉동작이 단일의 모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되 보다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경통(12)의 외주면상에 설치되고 통상의 제어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에 의하여 정역구동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축(42)상에는 상기 포커싱조정캡(32)의 외주면과 회전원통(24)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30)(3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작동기어(44)가 전후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단일의 구동모터(46)와, 상기 구동모터(46)의 일측방에 해당되는 경통(12)의 외주면 상단에 설치되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작동봉(48)의 선단에는 상기 구동모터(46)상의 작동기어(44)를 협지하는 협지브라켓(52)이 일체로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상기 작동봉(48)을 뒷쪽으로 당기거나 또는 앞쪽으로 밀어내는 솔레노이드(50)와, 상기 작동기어(44)의 전후 미끄럼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54)로 이루어진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46)와 솔레노이드(50)가 설치되고 일단이 설치면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제 1축받이(60d)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소정 형상의 기기설치브라켓트(60)와;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의 작동전후 위치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소정의 위치결정용부재(62)와;
    상기 작동봉(48)의 일정 부위에는 소정 길이범위에 걸쳐서 소정 곡률반경을 갖고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굴곡부(64)와;
    상기 경통(12)의 외주면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동봉(48)의 굴곡부(64)가 외력의 인가에 따라 미끄러지듯 안내되어 이동되도록 일정 두께와 폭을 갖는 판형부재의 중심부가 소정 높이로 만곡되게 융기되어 형성된 작동봉안내편(6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는 상기 구동모터(46)와 솔레노이드(50)가 결합되도록 소정 넓이와 두께를 갖는 판형부재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몸체(60a)와;
    상기 몸체(60a)의 일측 절곡면 외측에 상기 제 1축받이(60d)와 핀설되도록 돌설된 제 2축받이(60b)와;
    상기 몸체(60a)의 상면 일측단 상에 돌설되어 상기 위치결정용부재(62)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 1위치결정용부재고정돌기(60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64)는 상기 작동봉(48)에서의 형성위치가 상기 솔레노이드(50) 끝단에서 상기 작동기어(44)가 포커싱동작과 줌잉동작을 위해 상기 기어부(30)(30') 사이를 왕복이동할 때에 솔레노이드(50) 내부로 삽출되는 행정길이에 해당되는 상기 기어부(30)(30')의 각 중심선 사이의 거리 보다 긴 직선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안내편(66)은 소정 범위로 융기된 곡면부(66a)와;
    상기 곡면부(66a)의 전후방에는 상기 작동봉(48)의 굴곡부(64)가 이동시 작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굴곡부(64)가 이동되는 행정거리 보다 긴 평평한 면이 연장되어 형성된 굴곡부접촉면(66b)과;
    상기 굴곡부접촉면(66b)에 양쪽 모서리에 소정 내경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제 1체결공(66c)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12)은 외주면 상부 소정 위치에 상기 작동봉안내편(66)이 핀설되도록 소정 내경으로 천공된 복수개의 제 2체결공(12a)과;
    상기 위치결정용부재(62)의 타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돌설된 제 2위치결정용부재고정돌기(1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용부재(62)는 상기 기기설치브라켓트(60)가 작동 전후 일정한 위치가 유지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KR1019960037124A 1996-08-30 1996-08-30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KR017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124A KR0176379B1 (ko) 1996-08-30 1996-08-30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124A KR0176379B1 (ko) 1996-08-30 1996-08-30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350A KR19980017350A (ko) 1998-06-05
KR0176379B1 true KR0176379B1 (ko) 1999-05-15

Family

ID=1947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124A KR0176379B1 (ko) 1996-08-30 1996-08-30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3163A3 (en) * 2010-06-02 2012-04-19 3Ality Digital, Llc Anti-backlash brack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5172A (zh) * 2019-09-03 2019-11-29 青岛海信激光显示股份有限公司 投影设备及镜头
CN114545719B (zh) * 2022-02-22 2024-02-09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自动调焦装置、投影设备及自动调焦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3163A3 (en) * 2010-06-02 2012-04-19 3Ality Digital, Llc Anti-backlash b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350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70347A (ja) 巻線機
KR0176379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JP3765697B2 (ja) レンズ移動装置
KR0182456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CN101203788A (zh) 凸轮驱动机构、镜筒和照相机
JP2638790B2 (ja) 光学系付加装置
JP4641610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0182458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KR100216905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 구동장치
JP2003057517A (ja) レンズ装置
CN212905658U (zh) 一种调焦筒
JPH02210314A (ja) ズームレンズの駆動機構
JP2001133850A (ja) ズームファインダ
JP3313967B2 (ja) 検出装置
JP4029202B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KR200248341Y1 (ko) 배럴구동시스템을가지는줌카메라
JP3133648B2 (ja) シート切断装置
JP200425223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H0727098B2 (ja) レンズ移動装置
KR0126480Y1 (ko) 줌 카메라의 초점 조절장치
KR200150460Y1 (ko) 카메라 파인더용 파노라마 시야 조정장치
JP3576243B2 (ja) ズームカメラ
JP3269226B2 (ja) 内視鏡のフォーカス調整装置
JPH0618346Y2 (ja) 変倍フアインダ装置
KR0130701Y1 (ko) 스크류기어를 이용한 히터 유니트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