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764A - 수지제 용기 - Google Patents

수지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764A
KR20190123764A KR1020197028411A KR20197028411A KR20190123764A KR 20190123764 A KR20190123764 A KR 20190123764A KR 1020197028411 A KR1020197028411 A KR 1020197028411A KR 20197028411 A KR20197028411 A KR 20197028411A KR 20190123764 A KR20190123764 A KR 2019012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formation guide
round corner
guide portio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116B1 (ko
Inventor
미치히토 이토
다케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81Bottle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상면부(21)과, 상면부(21)에 접속된 측면부(22)와, 상면부(21)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측면부(22)에 접속된 바닥면부(23)를 구비하고, 측면부(22)에는, 라운드 코너면부(25)가 형성되고,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가 형성되고,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는, 용기(11)의 중심축(A)과 라운드 코너면부(25)가 겹치도록 용기(11)를 측면부(22)측에서 보았을 때에, 중심축(A)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수지제 용기(1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지제 용기
본 발명은, 워터 서버용(water server用)의 수지제 용기(樹脂製 容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건강지향(健康志向)이나 자연재해(自然災害)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이라는 의식이 높아져, 백 인 박스(bag in box, BIB)로 불리는 용기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 BIB는, 음료수(미네랄 워터) 등의 액체가 충전된 수지제 용기를 골판지 상자나 카턴(carton)이라는 외장체에 수용된 복합 구조식의 용기이다. 보관·운반은 외장체에 수지제 용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고, 사용 시는 외장체로부터 꺼낸 수지제 용기를 디스펜서(dispenser)(워터 서버)에 세트하여 급수 등에 제공된다.
이 수지제 용기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한 재료를 블로 성형기(blow 成形機)에 의하여 성형된 박육(薄肉)의 용기로서, 용량이 5∼15리터 정도이다. 이 수지제 용기는 가요성을 갖고, 상하를 역방향으로 하여 워터 서버 상에서 사용할 때에, 액체의 폐액(廢液)에 따라 대기압에 의하여 찌그러진다. 이러한 수지제 용기는 가요성을 갖는 박육의 용기이므로, 특히 사용 후에 찌그러져서 폐기되는 1회용(원 웨이식(one-way式)) 용기로서 사용된다.
특허문헌1에는, 바닥면 부근에 가요성을 갖는 띠모양의 매달기 용구를 구비한, 워터 서버용의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워터 디스펜서용(water dispenser用)의 용기로서, 액체의 폐액과 함께, 용기 내의 압력과 외기압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용기의 축방향으로 찌그러지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46216호 공보 : 국제공개 제2016/050977호
연질의 워터 서버용의 용기는, 사용과 함께 대기압에 의하여 눌려 찌그러진다. 그 때에, 물의 흐름, 성형 시에 발생한 용기의 두께의 미소한 불균일, 운반 시 등으로 용기에 가해진 미소한 상처, 왜곡 등에 기인하여, 용기가 불규칙하게 변형된다. 그리고 완전한 원통형이 아니고 라운드 코너(round corner)의 측벽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인 경우에, 그 측벽부분이 찌그러지지 않고 용기의 버팀목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버팀목이 되면, 용기의 접힘 변형이 저지되어 폐액을 완전히 배출할 수 없어, 용기 내에 액체가 잔류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수지제 용기는,
소정량의 액체가 수용 가능함과 아울러 가요성을 갖고, 상기 액체의 폐액에 따라 용기가 찌그러지는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로서,
액체의 출입구부가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 접속된 측면부와,
상기 상면부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부에 접속된 바닥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용기를 상기 상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용기가 라운드 코너의 다각형모양이 되도록 라운드 코너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 상에, 장척모양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는, 상기 용기의 상기 액체의 출입구부를 지나는 중심축과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가 겹치도록 상기 용기를 측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 구성의 수지제 용기에 의하면, 제1접힘 변형 유도부에 의하여 액체의 폐액과 함께 용기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유도하여 용기의 라운드 코너면부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용기 내에서의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불규칙한 힘은, 물의 흐름, 성형 시에 발생한 용기의 두께의 미소한 불균일, 운반 시 등으로 용기에 가해진 미소한 상처, 왜곡 등에 의하여 발생된다고 생각된다. 이 구성의 수지제 용기에 의하면, 이러한 용기의 상태에 관계 없이 용기 내에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 상에, 장척모양의 제2접힘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힘 변형 유도부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가 겹치도록 상기 용기를 측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경사와 다른 경사로,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힘 변형 유도부가 2종류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라운드 코너면부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용기 내에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를 더 찌그러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 상에, 장척모양의 제3접힘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접힘 변형 유도부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가 겹치도록 상기 용기를 측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 변형 유도부가 3종류 형성됨으로써 용기의 라운드 코너면부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한층더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용기 내에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를 한층더 찌그러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과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가 겹치도록 상기 용기를 측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 및 상기 제2접힘 변형 유도부를 다리로 하고,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 및 상기 제2접힘 변형 유도부의 상기 용기의 상기 상면부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을 윗변으로 하고,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 및 상기 제2접힘 변형 유도부의 상기 용기의 상기 바닥면부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을 아랫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상기 윗변 및 상기 아랫변이,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고,
상기 사다리꼴은, 상기 중심축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사다리꼴의 높이가, 상기 바닥면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사다리꼴의 높이보다 크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사다리꼴 중, 상기 상면부측의 상기 사다리꼴의 높이가, 상기 바닥면부측의 상기 사다리꼴의 높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면부측의 측면부는, 액체의 폐액 시에 상면부측의 측면부보다 먼저 찌그러진다. 용기의 바닥면부측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를 다리로 하는 사다리꼴의 높이를 짧게 함으로써, 폐액의 초기에 있어서 용기의 변형을 유도하기 쉽게 되어, 용기의 라운드 코너면부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폐액이 진행되면, 내부의 액체가 감소하는 것으로 액체에 의한 버팀목이 없어지기 때문에, 변형되는 용기의 높이의 폭이 크게 되는 경우가 많다. 용기의 상부측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를 다리로 하는 사다리꼴의 높이를 길게 함으로써 폐액의 중기 및 종기에 있어서도 용기의 변형을 유도하기 쉽게 되어, 용기의 라운드 코너면부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용기 내에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에 관한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관한 수지제 용기(樹脂製 容器)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1∼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1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지제 용기(11)는, 상면부(上面部)(21)와, 상면부(21)에 접속된 측면부(側面部)(22)와, 상면부(21)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측면부(22)에 접속된 바닥면부(底面部)(23)를 구비하고, 대략 입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내부에는, 소정량의 액체(음료수 등)가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면부(21)는, 수지제 용기(11)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중심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통모양의 출입구부(出入口部)(24)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제 용기(11) 내에는 출입구부(24)로부터 액체가 유입된다. 또한 수지제 용기(11) 내의 액체는 출입구부(24)로부터 유출된다. 출입구부(24)에는 캡이 부착된다. 이 캡은 출입구부(2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출입구부(24)에 캡을 장착함으로써 수지제 용기(11)가 밀폐된다.
측면부(22)는, 수지제 용기(11)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면부(21)에 접속되어 하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닥면부(23)는, 수지제 용기(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면부(21)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측면부(22)에 접속되어 있다.
측면부(22)에는, 용기(11)를 상면부(21)측에서 보았을 때에 용기(11)가 라운드 코너(round corner)의 정사각형모양으로 보이도록 라운드 코너면부(round corner面部)(25)가 형성되어 있다(도3). 도3의 파선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라운드 코너면부(25)에 해당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선이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라운드 코너면부(25)는, 라운드 코너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라운드 코너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평탄한 부분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1∼도4의 2점쇄선은, 입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선은 아니지만, 라운드 코너면부(25)의 인식을 쉽게 하기 위한 상상선이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장척모양(長尺狀)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는, 용기(11)의 출입구부(24)를 지나는 중심축(A)과 라운드 코너면부(25)가 겹치도록 용기(11)를 측면부(22)측에서 보았을 때(즉 도2와 같이 보았을 때. 이하, 간단하게 용기(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 라고 한다)에, 당해 중심축(A)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경사란, 중심축(A)에 대하여 0°를 넘어서 90° 미만인 것 또는 중심축(A)에 대하여 90°를 넘어서 180°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장척모양의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는, 용기(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의 중심축(A)에 대한 경사와 다른 경사로 중심축(A)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는, 중심축(A)이 라운드 코너면부(25)의 중심선과 겹치도록 용기(11)를 측면부(22)측에서 보았을 때에, 중심축(A)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와 선대칭의 관계에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장척모양의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는, 용기(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중심축(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의 중심점을 중심축(A)이 지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용기(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를 대칭축으로 하여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와 각각 선대칭의 관계가 되는, 장척모양의 제4접힘 변형 유도부(34)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용기(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제5접힘 변형 유도부(35)를 끼워 넣도록 형성되고 중심축(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보다 긴 장척모양의 제6접힘 변형 유도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제6접힘 변형 유도부(36)는, 각각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제6접힘 변형 유도부(36)에 의하여 형성되는 1개의 유닛이, 중심축(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3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와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 사이의 각도 및 제4접힘 변형 유도부(34)와 제5접힘 변형 유도부(35) 사이의 각도는, 90° 이상의 둔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 제4접힘 변형 유도부(34)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35)의 각각과 제6접힘 변형 유도부(36) 사이의 각도는, 90° 이하의 예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제5접힘 변형 유도부(35)가, 이들의 상하의 위치에 형성된 제6접힘 변형 유도부(36)의 좌단점(左端点)끼리 및 우단점(右端点)끼리를 연결한 직선을 세로로 하는, 가로로 긴 대략 직4각형의 포위부(enclosure) 내측에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라운드 코너면부(25)의 연직방향으로의 휨 용이성(접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지제 용기(11)는, 상하를 반전시킨 상태로 워터 서버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자모양의 수용부로 넣어진다. 그리고 이 상태로, 수지제 용기(11)의 출입구부(24)로부터 내부의 액체인 물이 워터 서버에 공급된다.
워터 서버에서 물이 소비되어 수지제 용기(11) 내의 물이 감소하면, 그에 따라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연질의 수지제 용기(11)는 변형되어 용적이 감소한다. 따라서 물의 감소에 따라 수지제 용기(11)의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위생이 확보된다. 이 때에, 둘레면인 측면부(22)의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의 접힘 변형 유도부(31∼36)가 물의 감소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용기(11)의 내측으로 오목한 구성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는, 접힘 변형의 기점이 되기 쉽고, 용기(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기(11) 내에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11)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에 의하여 액체의 폐액(廢液)과 함께 용기(11)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유도하여 용기(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용기(11) 내로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11)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불규칙한 힘은, 물의 흐름, 성형 시에 발생한 용기(11)의 두께의 미소한 불균일, 운반 시 등으로 용기(11)에 가해진 미소한 상처, 왜곡 등에 의해 발생된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11)에서는, 이러한 용기(11)의 상태와 관계 없이 용기(11) 내에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11)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또한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된다」라는 것은, 예를 들면 라운드 코너면부(25)의 양측의 측면부(22)가 먼저 내측으로 찌그러져서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모나게 되어, 라운드 코너면부(25)가 연직방향에 있어서 기둥모양으로 버티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용기(11)의 내측으로 오목한 구성의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가 더 형성되고, 접힘 변형의 기점이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와 병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용기(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지 않도록 용기(11)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더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용기(11)의 내측으로 오목한 구성의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가 더 형성되고, 접힘 변형의 기점이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와 병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와 병행하여, 중심축(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지 않도록, 또한 라운드 코너면부(25)를 내측으로 접힘 변형시키도록, 용기(11)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더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용기(11)의 내측으로 오목한 구성의 제4접힘 변형 유도부(34)∼제6접힘 변형 유도부(36)가 더 형성되고, 접힘 변형을 유도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영역에 의해 접힘 변형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넓은 범위에서 용기(11)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상기의 접힘 변형을 유도하는 영역이 중심축(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A)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넓은 범위에서 용기(11)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유도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5∼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11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111)는, 라운드 코너면부(25)에 형성된 접힘 변형 유도부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제1실시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11)와 동일하다. 또한 도5∼도7의 2점쇄선은, 입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선은 아니지만, 라운드 코너면부(25)의 인식을 쉽게 하기 위한 상상선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장척모양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131a, 13lb, 131c 및 131d를 총칭하여 131로 부른다)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는, 용기(111)의 출입구부(24)를 지나는 중심축(A)과 라운드 코너면부(25)가 겹치도록 용기(111)를 측면부(22)측에서 보았을 때(즉 도6과 같이 보았을 때. 이하, 간단하게 용기(1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 라고 한다)에, 당해 중심축(A)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장척모양의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132a, 132b, 132c 및 132d를 총칭하여 132로 부른다)가 형성되어 있다.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는, 용기(1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의 중심축(A)에 대한 경사와 다른 경사로 중심축(A)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는, 중심축(A)이 라운드 코너면부(25)의 중심선과 겹치도록 용기(111)를 측면부(22)측에서 보았을 때에, 중심축(A)을 대칭축으로 하여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와 선대칭의 관계에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장척모양의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133a, 133b, 133c 및 133d를 총칭하여 133으로 부른다)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는, 용기(1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중심축(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의 중심점을 중심축(A)이 지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와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와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용기(1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를 대칭축으로 하여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와 각각 선대칭의 관계가 되는, 장척모양의 제4접힘 변형 유도부(134)(134a, 134b, 134c 및 134d를 총칭하여 134로 부른다)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135)(135a, 135b, 135c 및 135d를 총칭하여 135로 부른다)가 형성되어 있다.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와 제4접힘 변형 유도부(134)와 제5접힘 변형 유도부(135)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용기(1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제5접힘 변형 유도부(135)를 끼워 넣도록 형성되고 중심축(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보다 긴 장척모양의 제6접힘 변형 유도부(136)(136a, 136b, 136c 및 136d를 총칭하여 136으로 부른다) 및 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137a, 137b, 137c 및 137d를 총칭하여 137로 부른다)가 형성되어 있다.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와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와 제6접힘 변형 유도부(136)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4접힘 변형 유도부(134)와 제5접힘 변형 유도부(135)와 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는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는, 제6접힘 변형 유도부(136)의 단부(端部)로부터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의 단부를 향할수록 용기(111)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접힘 변형 유도부(134)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135)는, 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의 단부로부터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의 단부를 향할수록 용기(111)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에 의하여 형성되는 1개의 유닛이, 중심축(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4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용기(1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를 다리로 하고,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를 윗변으로 하고 제6접힘 변형 유도부(136)를 아랫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이 보여진다. 또한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용기(1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4접힘 변형 유도부(134)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135)를 다리로 하고, 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를 윗변으로 하고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를 아랫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이 보여진다.
용기(111)의 바닥면부(23)에 가장 가까운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a)∼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a)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유닛에는, 용기(1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a)를 대칭축으로 하여 대칭이 되는 두개의 사다리꼴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111)의 바닥면부(23)에 2번째로 가까운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lb)∼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b)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유닛에 있어서도, 동일한 두개의 사다리꼴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111)의 바닥면부(23)에 3번째로 가까운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c)∼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c)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3유닛에 있어서도, 동일한 두개의 사다리꼴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11)의 바닥면부(23)에 4번째로 가까운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d)∼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d)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4유닛에 있어서도, 동일한 두개의 사다리꼴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부(23)측으로부터 상면부(21)측을 향할수록 각 유닛에 보여지는 사다리꼴의 높이가 크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제6접힘 변형 유도부(136)의 단부로부터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의 단부를 향할수록 용기(111) 내부를 향하는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가 접힘 변형의 기점이 되기 쉽다. 이에 따라 용기(1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111) 내에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111)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에 의하여 액체의 폐액과 함께 용기(111)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유도하여 용기(1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용기(111) 내로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111)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불규칙한 힘은, 물의 흐름, 성형 시에 발생한 용기(111)의 두께의 미소한 불균일, 운반 시 등으로 용기(111)에 가해진 미소한 상처, 왜곡 등에 의하여 발생된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111)에서는, 이러한 용기(111)의 상태에 관계 없이 용기(111) 내에 액체가 잔류되지 않도록, 용기(111)를 찌그러뜨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제6접힘 변형 유도부(136)의 단부로부터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의 단부를 향할수록 용기(111) 내부를 향하는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가 더 형성되고, 접힘 변형의 기점이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와 병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용기(1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지 않도록 용기(111)에 불규칙한 방향에 걸리는 힘을 더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6접힘 변형 유도부(136)보다 용기(111)의 내측으로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가 더 형성되고, 접힘 변형의 기점이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와 병행하여 형성되어 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132)와 병행하여, 중심축(A)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용기(1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지 않도록, 또한 라운드 코너면부(25)를 내측으로 접힘 변형시키도록, 용기(111)에 불규칙한 방향에 걸리는 힘을 더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의 단부로부터 제3접힘 변형 유도부(133)의 단부를 향할수록 용기(111)내부를 향하는, 제4접힘 변형 유도부(134)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135)가 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접힘 변형 유도부(131)∼제7접힘 변형 유도부(137)에 의하여 접힘 변형을 유도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영역에 의하여 접힘 변형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넓은 범위에서 용기(111)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 상기의 접힘 변형을 유도하는 영역이 중심축(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A)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넓은 범위에서 용기(111)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걸리는 힘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워터 서버용(water server用)의 수지제 용기(111)는, 용기(111) 내의 액체의 폐액 시에, 바닥면부(23)측의 측면부(22)가 상면부(21)측의 측면부(22)보다 먼저 찌그러진다. 용기(111)의 바닥면부(23)에 가장 가까운 제1유닛에 보여지는 사다리꼴의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폐액의 초기(初期)에 있어서 용기(111)의 변형을 유도하기 쉽게 되어, 용기(1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폐액이 진행되면, 내부의 액체가 감소함으로써 액체에 의한 버팀목이 없어지기 때문에, 변형되는 용기(111)의 높이의 폭이 커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용기(111)의 상면부(21)측을 향할수록 각 유닛에 보여지는 사다리꼴의 높이를 크게 함으로써 폐액의 중기(中期) 및 종기(終期)에 있어서도 용기(111)의 변형을 유도하기 쉽게 되어, 용기(1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용기(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를 다리로 하고,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측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상선을 윗변으로 하고 제6접힘 변형 유도부(36)측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 및 제2접힘 변형 유도부(32)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상선을 아랫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이 보여진다. 또한 라운드 코너면부(25) 상에는, 용기(11)를 라운드 코너면부(25)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4접힘 변형 유도부(34)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35)를 다리로 하고, 제6접힘 변형 유도부(36)측의 제4접힘 변형 유도부(34)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35)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상선을 윗변으로 하고 제3접힘 변형 유도부(33)측의 제4접힘 변형 유도부(34) 및 제5접힘 변형 유도부(35)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상선을 아랫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이 보여진다. 즉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제6접힘 변형 유도부(36)에 의하여 형성되는 1개의 유닛 안에 상기 사다리꼴이 2개 보여진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바닥면부(23)측으로부터 상면부(21)측을 향할수록 각 유닛에 보여지는 사다리꼴의 높이가 크게 되도록, 제1접힘 변형 유도부(31)∼제6접힘 변형 유도부(36)를 형성하여도 좋다. 용기(11)의 바닥면부(23)에 가장 가까운 유닛으로 보여지는 사다리꼴의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폐액의 초기에 있어서 용기(11)의 변형을 유도하기 쉽게 되어, 용기(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1)의 상면부(21)측을 향할수록 각 유닛으로 보여지는 사다리꼴의 높이를 크게 함으로써 폐액의 중기 및 종기에 있어서도 용기(11)의 변형을 유도하기 쉽게 되어, 용기(11)의 라운드 코너면부(25)가 버팀목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는 워터 서버용의 수지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하게 변형, 개량 등이 자유 자재이다. 그 외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재질, 형상, 치수, 수치, 형태, 수, 배치장소 등은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적이고,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용기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원은, 2017년 3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2017-069778)에 의거하고 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또한 여기에 인용되는 모든 참조는 전체로서 받아들인다.
11, 111 수지제 용기
21 상면부
22 측면부
23 바닥면부
24 출입구부
25 라운드 코너면부
31, 131 제1접힘 변형 유도부
32, 132 제2접힘 변형 유도부
33, 133 제3접힘 변형 유도부
34, 134 제4접힘 변형 유도부
35, 135 제5접힘 변형 유도부
36, 136 제6접힘 변형 유도부
137 제7접힘 변형 유도부
A 중심축

Claims (4)

  1. 소정량의 액체가 수용 가능함과 아울러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상기 액체의 폐액(廢液)에 따라 용기가 찌그러지는 워터 서버용(water server用)의 수지제 용기(樹脂製 容器)로서,
    액체의 출입구부(出入口部)가 형성된 상면부(上面部)와,
    상기 상면부에 접속된 측면부(側面部)와,
    상기 상면부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부에 접속된 바닥면부(底面部)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용기를 상기 상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용기가 라운드 코너(round corner)의 다각형모양이 되도록 라운드 코너면부(round corner面部)가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 상에, 장척모양(長尺狀)의 제1접힘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는, 상기 용기의 상기 액체의 출입구부를 지나는 중심축과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가 겹치도록 상기 용기를 측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수지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 상에, 장척모양의 제2접힘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힘 변형 유도부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가 겹치도록 상기 용기를 측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경사와 다른 경사로,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수지제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 상에, 장척모양의 제3접힘 변형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접힘 변형 유도부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가 겹치도록 상기 용기를 측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는
    수지제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과 상기 라운드 코너면부가 겹치도록 상기 용기를 측면부측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 및 상기 제2접힘 변형 유도부를 다리로 하고,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 및 상기 제2접힘 변형 유도부의 상기 용기의 상기 상면부측의 단부(端部)를 연결하는 선을 윗변으로 하고, 상기 제1접힘 변형 유도부 및 상기 제2접힘 변형 유도부의 상기 용기의 상기 바닥면부측의 단부를 연결하는 선을 아랫변으로 하는 사다리꼴의 상기 윗변 및 상기 아랫변이,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고,
    상기 사다리꼴은, 상기 중심축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사다리꼴의 높이가, 상기 바닥면부에 가장 가까운 상기 사다리꼴의 높이보다 크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사다리꼴 중, 상기 상면부측의 상기 사다리꼴의 높이가, 상기 바닥면부측의 상기 사다리꼴의 높이 이상(以上)인
    수지제 용기.
KR1020197028411A 2017-03-31 2018-03-28 수지제 용기 KR102297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9778 2017-03-31
JP2017069778 2017-03-31
PCT/JP2018/012969 WO2018181574A1 (ja) 2017-03-31 2018-03-28 樹脂製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764A true KR20190123764A (ko) 2019-11-01
KR102297116B1 KR102297116B1 (ko) 2021-09-01

Family

ID=6367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411A KR102297116B1 (ko) 2017-03-31 2018-03-28 수지제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47805B2 (ko)
JP (2) JP7086938B2 (ko)
KR (1) KR102297116B1 (ko)
CN (1) CN110461720A (ko)
WO (1) WO2018181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9105B2 (ja) * 2017-10-20 2022-09-20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樹脂製容器
US11718444B2 (en) * 2018-10-23 2023-08-08 Atkins Nuclear Secured Holdings Corporation Container for storage of molten material from an industrial fac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243A (ja) * 1996-12-04 1998-06-23 Yoshino Kogyosho Co Ltd 押潰し可能なプラスチック容器
KR20110042034A (ko) * 2008-07-18 2011-04-22 가부시키가이샤 워터 다이렉트 워터 서버용 보틀
KR20120046216A (ko) 2009-07-02 2012-05-09 와이어쓰 엘엘씨 3-시아노퀴놀린 정제 제형 및 이의 용도
WO2016050977A1 (en) 2014-10-02 2016-04-07 S.I.P.A. Societa' Industrializzazione Progettazione E Automazione S.P.A. Collapsible plastic bottle for water dispense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069B2 (ja) * 1997-02-04 2002-02-12 凸版印刷株式会社 縦方向に押し潰し可能なプラスチック容器
JP4161243B2 (ja) * 1999-06-30 2008-10-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薄壁壜体
JP2002326619A (ja) * 2001-04-27 2002-11-12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ボトル
JP2003237758A (ja) * 2002-02-12 2003-08-27 Hanshin Kasei Kogyo Kk 合成樹脂製容器
JP4465547B2 (ja) * 2003-12-05 2010-05-19 埼玉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折り曲げ可能な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ボトルの折り曲げ方法
JP2012046216A (ja) 2010-08-26 2012-03-08 Hanshin Kasei Kogyo 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
JP6276755B2 (ja) * 2012-04-30 2018-02-07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オフセット型水平リブを有する軽量な耐減圧性容器
CN203127320U (zh) * 2012-09-14 2013-08-14 上海功来华贸易有限公司 饮料容器
US9296508B2 (en) * 2012-12-13 2016-03-29 Gojo Industries, Inc. Collapsible containers and refill units
CN203461221U (zh) * 2013-07-22 2014-03-05 温世洪 自动折叠式液体减容器
CN205221346U (zh) 2015-10-29 2016-05-11 广州星一贸易有限公司 瓶体
GB2572581B (en) * 2018-04-04 2020-04-01 James Evans Adrian A conta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243A (ja) * 1996-12-04 1998-06-23 Yoshino Kogyosho Co Ltd 押潰し可能なプラスチック容器
KR20110042034A (ko) * 2008-07-18 2011-04-22 가부시키가이샤 워터 다이렉트 워터 서버용 보틀
KR20120046216A (ko) 2009-07-02 2012-05-09 와이어쓰 엘엘씨 3-시아노퀴놀린 정제 제형 및 이의 용도
WO2016050977A1 (en) 2014-10-02 2016-04-07 S.I.P.A. Societa' Industrializzazione Progettazione E Automazione S.P.A. Collapsible plastic bottle for water dispens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61720A (zh) 2019-11-15
JP7269418B2 (ja) 2023-05-08
JP7086938B2 (ja) 2022-06-20
KR102297116B1 (ko) 2021-09-01
JPWO2018181574A1 (ja) 2020-02-06
WO2018181574A1 (ja) 2018-10-04
US20200231323A1 (en) 2020-07-23
JP2022126710A (ja) 2022-08-30
US11247805B2 (en)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9418B2 (ja) 樹脂製容器
CA2841046C (en) Reinforcing support assemblies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70119913A1 (en) Carton for tapered articles
JP5221502B2 (ja) 飲料用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飲料製品
US9434499B2 (en) Containers having improved vacuum resistance
EP2844569A1 (en) Lightweight, vacuum-resistant containers having offset horizontal ribs
US9156581B2 (e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7390451B2 (ja) 樹脂製容器
JP4130166B2 (ja) シュリンクラベル装着容器
US20210130059A1 (en) Bottle shipping packaging
US10661942B2 (en) Corrugated accordion shaped insert for shipping container
CN205998338U (zh) 防震酒盒
JP6384813B2 (ja) ガラス瓶の梱包装置
EP3251963A1 (en) Transport container
CN215324412U (zh) 一种瓶颈保护缓冲套
JP2009078818A (ja) 包装容器用中仕切り
JP7106251B2 (ja) 梱包箱、及び梱包箱に被収容物を収容して梱包した梱包体
JP5819667B2 (ja) 保持部材
KR200437488Y1 (ko) 포장용 종이상자의 하부 지지대
KR20240074738A (ko) 포장용 완충 구조체
JP2022043437A (ja) 瓶型容器保持部材用ブランクシートおよび包装箱
JP2024011336A (ja) 組立式梱包箱用シート及び組立式梱包箱
IT202000022798A1 (it) Contenitore porta-bottiglie e relativo fustellato.
JP2009280214A (ja) 梱包箱用の中仕切り
JP2002225848A (ja) 厚紙製仕切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