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147A -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147A
KR20190123147A KR1020180046935A KR20180046935A KR20190123147A KR 20190123147 A KR20190123147 A KR 20190123147A KR 1020180046935 A KR1020180046935 A KR 1020180046935A KR 20180046935 A KR20180046935 A KR 20180046935A KR 20190123147 A KR20190123147 A KR 20190123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autophagy
polypeptide
inhibiting
polypept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9197B1 (ko
Inventor
전도용
문창훈
정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베이스
Priority to KR102018004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197B1/ko
Priority to JP2020560383A priority patent/JP7049006B2/ja
Priority to EP18725383.6A priority patent/EP3594224A4/en
Priority to US15/780,347 priority patent/US10766926B2/en
Priority to PCT/KR2018/006023 priority patent/WO2019208868A1/ko
Priority to CN201880092641.0A priority patent/CN112135836A/zh
Publication of KR2019012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197B1/ko
Priority to US16/945,382 priority patent/US2020036198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60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spectroscopic/fluorescent detection, e.g.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에서 자가포식작용 (autophagy) 억제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에서, 특히 종양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autophagy)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자가포식작용(오토파지; autophagy)의 조절 기전을 억제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는 자가포식작용 (autophagy) 관련 단백질인 p-AMPK, ATG5-ATG12, Beclin1, p-Beclin1, LC3-I, LC3-II, p-mTOR 및 p62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종양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제 내성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for autophagy inhibiting in cel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umor disease, or inhibiting anti-cancer agents resistanc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포에서 자가포식작용 (autophagy) 억제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의 조절 기전을 억제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특히 종양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은 세포에서 불필요하거나 기능을 잃은 세포소기관과 단백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세포 생존 메커니즘이다.
자가포식작용은 특히 암, 염증질환, 퇴행성 신경질환, 면역질환 등의 여러 질병에서 많은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많은 연구들에서 암의 진행 단계, 종류, 유전자형 등에 따라 복잡한 역할을 하여 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격한 세포수 증가에 의해 암을 형성하게 되면 세포들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해 기아상태가 되고, 이때 자가포식작용을 통해 유해한 단백질 침전물과 손상을 입은 세포소기관을 재활용하여 영양분을 공급받기 때문에 암의 성장이 불리한 환경에서 자가포식작용에 의해 에너지 공급을 받게 되면 암세포의 생존이 촉진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이 AMPK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인데, AMPK는 에너지 고갈, 세포외 기질 이탈, 활성 산소 증가 및 저산소 상황에서 활성화되어 대사 작용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활성화된 AMPK는 자가포식 신호체계에서 mTOR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TOR(mammalian target of rapamycin)는 PI3K-related kinase family 에 속하는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로 세포의 성장과 증식, 생존, 이동, 단백질 합성, 전사를 조절하며,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mTOR 기전은 암뿐만 아니라 대사성 질환, 퇴행성 신경질환 및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 관여한다는 많은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Beclin1은 BECN1 유전자로 암호화 되는 단백질로서, 자가포식유도자이다. Beclin1은 종양 억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종양 억제 기능은 자가 소화 작용의 예정세포사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자가포식작용이 종양의 형성, 성장 및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결과들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암에서 자가포식작용의 역할은 매우 복잡하여 종양억제인자이거나 종양촉진인자로서 두 가지 상반되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암의 여러 조건에 따라 자가포식작용의 역할을 구별하고,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적 방법이 되고 있으며, 치료에 있어 큰 문제인 항암제 내성과 관련해 자가포식작용의 저해가 다양한 항암 요법으로 인한 항암제의 내성을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2017, Nature Reviews Cancer 17, 528-542).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가포식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자가포식작용 (오토파지; autophagy)의 조절 기전을 억제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에서, 특히 종양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하는 mTOR을 활성화하고 자가포식작용을 유발하는 AMPK 및 Beclin1의 비활성화를 통한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자가포식작용에 의한 종양 발달 촉진을 억제하고, 항암제 내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645359 B KR 10-2018-0007307 A
본 발명은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하는 mTOR를 활성화하고 자가포식작용을 유발하는 AMPK 및 Beclin1의 비활성화를 통한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자가포식작용에 의한 종양 발달 촉진을 억제하고, 항암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세포, 특히 종양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 억제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이용한 세포, 특히 종양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이용한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한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의 서열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세포에서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한다.
[일반식]
X3-X1-T-X1-K-X2
(상기 서열 일반식에서 T는 트레오닌(threonine)이고,
상기 K는 라이신(lysine)이며;
상기 X1은 알라닌(alanine), 글라이신(glyc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프롤린(proline) 및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상기 X2는 알라닌(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시스테인(cyste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프롤린(proline), 글루타민(glutamine) 및 세린(ser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X3는 알라닌(alanine), 글루타민(glutamine),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및 글라이신(glyc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부재임)
자가포식작용(오토파지; autophagy)은 세포 생존 메커니즘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세포에서 유도되는데, 암이 진행되기 전, 암이 발달하는 동안에는 종양을 억제하나, 암이 생성된 후에는 종양세포의 생존에 기여하기 때문에 암이 생성된 종양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기전을 억제할 경우, 종양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이 생성된 세포에서, 특히 종양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폴리펩타이드를 발명하였으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의 경우,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자가포식작용에 의한 종양 발달 촉진을 억제하고, 항암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종양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용어 '종양 세포에서'는 암이 생성된 후의 종양 세포를 의미할 수 있으며, 고형암을 일컬을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 '종양 세포'는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종양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상기 X1은 비극성이면서 지방족 R기를 갖는 아미노산일 수 있으며, X2는 비극성이면서 비전하 R기를 갖는 아미노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라닌(alani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상기 X1은 비극성이면서 지방족 R기를 갖는 아미노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롤린(proline)이고, X2는 극성이면서 비전하 R기를 갖는 아미노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레오닌(threoni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상기 X1은 비극성이면서 지방족 R기를 갖는 아미노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류신(Isoleucine)이고, 상기 X2는 극성이면서 비전하 R기를 갖는 아미노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레오닌(threoni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상기 X3는 글루타민(glutamine) 및 트레오닌(threoni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X3는 세린(seri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상기 X3는 글라이신(glyc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및 트레오닌(threonin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는 p-AMPK, ATG5-ATG12, Beclin1, p-Beclin1, LC3-I 및 LC3-I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및 항암제에 내성을 갖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사이의 자가포식작용 기전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대비 항암제에 내성을 갖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 에서 p-AMPK, ATG5 및 ATG5-ATG12 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p62 단백질 발현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AMPK는 자가포식작용에 의한 종양의 발달 및 항암제 내성을 증가시키는 인자이고, ATG5는 종양을 촉진시키는 인자이며, ATG5-ATG12는 자가포식작용에서 자가소화포(autophagosome)를 형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인자이므로, p-AMPK, ATG5 및 ATG5-ATG12 단백질 발현 증가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는 암세포 내성에 관여함을 의미한다(실시예 1 및 도 1 내지 3 참조). 즉,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AMPK, ATG5 및 ATG5-ATG12 단백질 발현 증가가 암세포 내성에 관여함을 의미한다(실시예 1 및 도 1 내지 3 참조).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를 항암제에 내성을 갖는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 농도 별로 처리한 결과, 자가포식작용의 개시자로 알려진 Beclin1, p-Beclin1, ATG5-ATG12, LC3-I 및 LC3-II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는 상기 자가포식작용의 활성제로 알려진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켜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종양 발달 촉진을 억제하고, 항암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실시예 2, 도 4 내지 도 6 참조).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상기 종양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의 억제는 p-mTOR 또는 p62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에서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n-vivo에서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 효과, 항종양 효과 및 항암제 내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를 농도별로 마우스에 주입한 경우에 종양 조직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도 8 참조).
또한, 상기 종양 조직에서의 자가포식작용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p-mTOR 및 p62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자가포식작용의 활성제인 p-AMPK, Beclin1 및 p-Beclin1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가 자가포식작용을 억제하는 인자들을 증가시켜 자가포식작용을 유발하는 p-AMPK, Beclin1및 p-Beclin1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자가포식작용에 의한 종양 발달 촉진의 감소 및 항암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실시예 4, 도 9 참조).
본 발명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발색효소, 방사성동위원소, 크로모포어(chromophore), 발광물질, 형광물질(fluorescer), 자기공명 영상물질, 상자성입자(super paramagnetic particles) 및 초상자성입자(ultrasuper paramagnetic particl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표지 물질 중 하나로 표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반드시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autophagy)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X3-X1-T-X1-K-X2
(상기 서열 일반식에서 T는 트레오닌(threonine)이고,
상기 K는 라이신(lysine)이며;
상기 X1은 알라닌(alanine), 글라이신(glyc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프롤린(proline) 및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상기 X2는 알라닌(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시스테인(cyste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프롤린(proline), 글루타민(glutamine) 및 세린(ser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X3는 알라닌(alanine), 글루타민(glutamine),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및 글라이신(glycine)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부재임)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X3-X1-T-X1-K-X2
(상기 서열 일반식에서 T는 트레오닌(threonine)이고,
상기 K는 라이신(lysine)이며;
상기 X1은 알라닌(alanine), 글라이신(glyc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프롤린(proline) 및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상기 X2는 알라닌(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시스테인(cyste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프롤린(proline), 글루타민(glutamine) 및 세린(ser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X3는 알라닌(alanine), 글루타민(glutamine),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및 글라이신(glycine)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부재임)
본 발명의 종양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종양성 질환은 폐암, 간암, 대장암, 췌장암, 위암, 유방암, 난소암, 신장암, 갑성선암, 부갑상선암, 식도암, 전립선암, 뇌암, 피부암, 골육종, 연부조직육종, 신경교종, 림프종, 비인두암, 후두암, 부신암, 결장암, 요관암, 담낭암, 방광암, 고환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융모암, 두경부암, 악성흑색종, 백혈병, 복합 골수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신경아종 및 재생불량성 빈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종양성 질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폐암 또는 유방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종양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을 억제함으로써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의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종양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X3-X1-T-X1-K-X2
(상기 서열 일반식에서 T는 트레오닌(threonine)이고,
상기 K는 라이신(lysine)이며;
상기 X1은 알라닌(alanine), 글라이신(glyc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프롤린(proline) 및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상기 X2는 알라닌(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시스테인(cyste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프롤린(proline), 글루타민(glutamine) 및 세린(ser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X3는 알라닌(alanine), 글루타민(glutamine),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및 글라이신(glycine) 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부재임)
본 발명의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종양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떠한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를로티닙(erlotinib), 셀라스트롤(celastrol), 시스플라틴 (cisplatin), 도세탁셀(docetaxel), 타그리소(tagrisso), 탁솔(taxol), 페메트렉시드, (Pemetrexed) 및 타목시펜(tamoxife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 상의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항암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암세포주인 PC9-ER, H1975 및 MCF7R에서 본원발명의 폴리펩타이드를 처리한 결과, 세포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도 11 및 도 14 참조).
이러한 결과는, 본원발명의 폴리펩타이드가 항암제내성 암 세포 주에서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 내성을 억제(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순수한 형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 생분해성 나노입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적합한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면, 경피, 비강, 복강, 근육, 피하 또는 정맥 등의 여러 경로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 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형화된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량으로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유효량' 이란 환자에게 투여하였을 때, 진단 또는 치료 효과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량(amount of substance)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투여 대상, 대상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연령, 성별 체중, 개인차 및 질병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1회 투여 시 1 mg 내지 1000 mg의 유효용량으로 하루에 수차례 반복 투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는 종양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을 억제함으로써 종양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제 내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1 내지 3은 본원발명 실시예 1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도 4 내지 6은 본원발명 실시예 2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원발명 실시예 3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본원발명 실시예 4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는 본원발명 실시예 5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14은 본원발명 실시예 6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암 세포주에서 자가포식작용 기전 확인
본 발명에 사용된 암 세포주(PC9)는 조건화된 배양기 (37 ℃)에서 10% 소태아혈청 및 항생제가 보충된 최소 필수배지에서 배양 하였다. 항암약물내성 암 세포주 (PC9-ER)는 항암제로서 Erlotinib에 오랜 기간 노출시켜 저항성을 가지도록 제작하였다.
암 세포주 (PC9) 및 항암제내성 세포주 (PC9-ER)에서 자가포식작용 조절 기전 단백질이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MPK(phosphorylated AMPK), ATG5(자가포식-related genes 5), ATG5-ATG12 및 p62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블럿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항암제내성 세포주 (PC9-ER)는 PC9 세포주 대비 p-AMPK, ATG5, ATG5-ATG12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가포식작용 억제 분자인 p62 단백질의 발현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C9 세포주 및 PC9-ER 세포주의 면역형광염색(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C9 및 PC9-ER 세포주를 4%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해 실온에서 고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세포를 0.1% BSA를 포함하는 PBS를 이용해 항체의 부정확한 결합을 막기 위해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LC3 항체 (Cell signaling)와 4℃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항체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한 다음 Alexa 488 형광이 달린 2차 항체 (Thermo Fisher)와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항체를 제거한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DAPI (Thermo Fisher)로 1분 염색하였다. 형광 염색은 공초점형광현미경 (Confo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C9-ER 세포 주는 PC9 세포 주에 비해 LC3 puncta 발현 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C9 세포주 및 PC9-ER 세포주의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C9 및 PC9-ER 세포주를 동일한 수로 96 well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배양한 후, 항암제를 1/10배씩 희석해 24시간 처리한 후 MTT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NADH가 MTT와 반응해 포마잔 (formazan)을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실험으로, 포마잔을 DMSO로 녹인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세포의 성장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자가포식작용 조절 기전이 더 활성화 된 PC9-ER 세포 주는 PC9 세포 주에 비해 기지의 항암제들인 Docetaxel, Taxol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폴리펩타이드의 자가포식작용 조절 효과 확인
항암제내성 암 세포주(PC9-ER)에서 자가포식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ATG5, ATG5-ATG12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SPTPKT(폴리펩타이드 1) 및 QTATAKA(폴리펩타이드 2) 의 자가포식작용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PC9-ER 세포주에 상기 폴리펩타이드 1 및 폴리펩타이드 2를 각각 처리하여 자가포식작용 기전 관련 단백질인 Beclin1, p-Belclin1, ATG5-ATG12, LC3 I 및 LC3 II의 발현 정도를 웨스턴블럿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폴리펩타이드 1 및 폴리펩타이드 2를 처리하였을 때, 자가포식작용 개시자로 알려진 Beclin1, p-Beclin1 및 자가포식작용 활성분자인 ATG5-ATG12, LC3 I 및 LC3 II 단백질의 발현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C9-ER 세포주에서 폴리펩타이드 2를 처리 후, 면역형광염색(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C9-ER 세포주에 폴리펩타이드 2를 24시간 처리한 후, 4%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해 실온에서 고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세포를 0.1% BSA를 포함하는 PBS를 이용해 항체의 부정확한 결합을 막기 위해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LC3 항체 (Cell signaling)와 4℃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항체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한 다음 Alexa 488 형광이 달린 2차 항체 (Thermo Fisher)와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항체를 제거한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DAPI (Thermo Fisher)로 1분 염색하였다. 형광 염색은 공초점형광현미경 (Confo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폴리펩타이드 2를 처리하였을 때, PC9-ER 세포 주에서 LC3 puncta 발현 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C9-ER 세포주에서 폴리펩타이드 1, 폴리펩타이드 2 및 GNTITIKT(폴리펩타이드 3) 를 각각 처리한 후,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PC9-ER 세포주를 동일한 수로 96 well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깐 후 각각의 폴리펩타이드(1 내지 3)를 24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항암제를 1/10배씩 희석해 24시간 처리한 후 MTT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NADH가 MTT와 반응해 포마잔 (formazan)을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실험으로, 포마잔을 DMSO로 녹인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세포의 성장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C9-ER 세포주에서 각각의 폴리펩타이드(1 내지 3)는 항암제인 Erlotinib(Taceva)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항암제내성 암 세포주에서 폴리펩타이드 1, 폴리펩타이드 2 및 폴리펩타이드 3에 의한 자가포식작용 억제효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3: 폴리펩타이드의 세포 내 발현 확인
본원발명 실시예 1에 따른 면역형광염색의 방법과 같이 폴리펩타이드 2를 녹색형광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으로 표지하여 기지의 방법에 따라 PC9-ER 세포주에 트랜스펙션 (Transfection) 시켰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FITC- 폴리펩타이드2는 시간 의존적으로 세포 내로 전달되어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폴리펩타이드의 종양형성 억제 효과 확인
폴리펩타이드 2가 in-vitro 조건에서 자가포식 억제를 통한 항암작용을 나타낸 결과를 바탕으로 in-vivo에서 폴리펩타이드 2의 항암작용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무흉선 누드 마우스 (BALB/C nude, 5 ~ 6 주령 암컷)에 PC9-ER (2×106개/마리) 세포주를 쥐의 옆구리에 피하 주사하여 종양을 유도한 후, 종양의 부피가 150mm3정도가 되었을 때 폴리펩타이드 2를 총 5번 꼬리정맥을 통해 주사하여 종양의 크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종양의 부피는 캘리퍼스로 직접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 계산 하였다(길이×폭×높이×0.5). 종양 형성 억제력에 대한 폴리펩타이드 2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펩타이드(0, 50, 100, 200 μg/mouse)를 세포 주입 25일부터 3일 간격으로 5회 꼬리 정맥을 통해 주사하였다. 41일 째 되는 날, 종양을 분리하여 종양 부피를 측정하고, 종양조직에서 각 표기된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블럿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폴리펩타이드 2는 종양 부피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종양 조직에서는 p-mTOR와 p62 단백질 발현이 농도-의존적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p-AMPK, Beclin1, p-Beclin1 단백질 발현은 농도-의존적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폴리펩타이드 2가 자가포식작용 기전의 억제를 통한 항암 작용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시예 5: 폴리펩타이드의 자가포식작용 조절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4와 상이한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인 H1975에서 폴리펩타이드 1 및 폴리펩타이드 2의 자가포식작용 조절 단백질을 통한 항암활성 효과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1975 세포에서 각 표기된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블럿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폴리펩타이드 1 및 폴리펩타이드 2 각각 처리하였을 때, 암 조절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p-AMPK와 자가포식작용 조절 기전 단백질인 p-Beclin1, ATG5, ATG5-ATG12, LC3 I 및 LC3 II의 단백질 발현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1975 세포주에서 폴리펩타이드 1, 폴리펩타이드 2 및 폴리펩타이드 3를 각각 처리한 후, 항암제인 Osimertinib (Tagrisso)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1975 세포주를 동일한 수로 96 well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각각의 폴리펩타이드(1 내지 3)를 24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항암제인 Osimertinib (Tagrisso)를 1/10배씩 희석해 24시간 처리한 후 MTT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NADH가 MTT와 반응해 포마잔 (formazan)을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실험으로, 포마잔을 DMSO로 녹인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세포의 성장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H1975 세포주에서 각각의 폴리펩타이드(1 내지 3)는 항암제인 Osimertinib (Tagrisso)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폴리펩타이드 1, 폴리펩타이드 2 및 폴리펩타이드 3이 자가포식작용 억제를 통한 항암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폴리펩타이드 2를 농도를 다르게 하여 처리하였을 때, H1975 세포주에서 항암제인 Osimertinib (Tagrisso)에 대한 저항성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폴리펩타이드의 항암 활성 효과 확인
항암약물내성 암세포 주 (MCF7R)는 항암제로서 Celastrol에 오랜 기간 노출시켜 저항성을 가지도록 제작하였다.
항암제내성 세포주 (MCF7R)에서 폴리펩타이드 1 및 폴리펩타이드 2의 자가포식작용 조절 기전 단백질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MCF7R 세포주에서 각 표기된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블럿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폴리펩타이드 1 및 폴리펩타이드 2를 각각 처리하였을 때, 자가포식작용 억제분자인 p62 단백질의 발현은 증가되었고, 자가포식작용 활성분자인 p-Beclin1, ATG5, ATG5-ATG12, LC3 I 및 LC3 II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MCF7R 세포주에서 폴리펩타이드 2를 처리 후, 면역형광염색(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MCF7R 세포주에 폴리펩타이드 2를 24시간 처리한 후, 4% 포름알데히드를 이용해 실온에서 고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세포를 0.1% BSA를 포함하는 PBS를 이용해 항체의 부정확한 결합을 막기 위해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LC3 항체 (Cell signaling)와 4℃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항체를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한 다음 Alexa 488 형광이 달린 2차 항체 (Thermo Fisher)와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항체를 제거한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DAPI (Thermo Fisher)로 1분 염색하였다. 형광 염색은 공초점형광현미경 (Confo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MCF7R 세포주에서 폴리펩타이드 2를 처리하였을 때, LC3 puncta 발현 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CF7R 세포주에서 폴리펩타이드 1, 폴리펩타이드 2 및 폴리펩타이드 3를 각각 처리한 후,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MCF7R 세포주를 동일한 수로 96 well 세포배양 플레이트에 깐 후 각각의 폴리펩타이드(1 내지 3)를 24시간 처리하였다. 그 후, 항암제를 1/10배씩 희석해 24시간 처리한 후 MTT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NADH가 MTT와 반응해 포마잔 (formazan)을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실험으로, 포마잔을 DMSO로 녹인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세포의 성장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MCF7R 세포주에서 각각의 폴리펩타이드(1 내지 3)는 Celastrol, Cisplatin, Docetaxel등 다양한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켰다.
<110> lbase <120> Composition for autophagy inhibiting in cel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umor disease, or inhibiting anti-cancer agents resistance containing the same <130> DP-2018-0061-KR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6 <212> PRT <213> Unknown <220> <223> cancer-testis antigen protein <400> 1 Ser Pro Thr Pro Lys Thr 1 5 <210> 2 <211> 7 <212> PRT <213> Unknown <220> <223> cancer-testis antigen protein <400> 2 Gln Thr Ala Thr Ala Lys Ala 1 5 <210> 3 <211> 8 <212> PRT <213> Unknown <220> <223> cancer-testis antigen protein <400> 3 Gly Asn Thr Ile Thr Ile Lys Thr 1 5

Claims (16)

  1. 하기의 서열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세포에서 자가포식작용 (autophagy)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폴리펩타이드.
    [일반식] X3-X1-T-X1-K-X2
    (상기 서열 일반식에서 T는 트레오닌(threonine)이고,
    상기 K는 라이신(lysine)이며;
    상기 X1은 알라닌(alanine), 글라이신(glyc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프롤린(proline) 및 발린(val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상기 X2는 알라닌(alanine), 트레오닌(threonine), 시스테인(cyste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프롤린(proline), 글루타민(glutamine) 및 세린(ser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며;
    상기 X3는 알라닌(alanine), 글루타민(glutamine), 트레오닌(threonine), 세린(ser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및 글라이신(glyc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또는 부재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1 및 X2는 알라닌(alanine)인 것인,
    폴리펩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1은 프롤린(proline)이고,
    상기 X2는 트레오닌(threonine)인 것인,
    폴리펩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1은 이소류신(Isoleucine)이고,
    상기 X2는 트레오닌(threonine)인 것인,
    폴리펩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3는 글루타민(glutamine) 및 트레오닌(threonine)인 것인,
    폴리펩타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3는 세린(serine)인 것인,
    폴리펩타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3는 글라이신(glycine), 아스파라긴(asparagine) 및 트레오닌(threonine)인 것인,
    폴리펩타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p-AMPK, ATG5-ATG12, Beclin1, p-Beclin1, LC3-I 및 LC3-I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에서 오토피지(autophagy)를 억제하는 것인,
    폴리펩타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p-mTOR 또는 p62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에서의 오토피지(autophagy)를 억제하는 것인,
    폴리펩타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발색효소, 방사성동위원소, 크로모포어(chromophore), 발광물질, 형광물질(fluorescer), 자기공명 영상물질, 상자성입자(super paramagnetic particles) 및 초상자성입자(ultrasuper paramagnetic particl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표지물질 중 하나로 표지된 것인,
    폴리펩타이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종양 세포인 것인,
    폴리펩타이드.
  12. 제1항의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autophagy) 억제용 조성물.
  13. 제1항의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종양성 질환은 폐암, 간암, 대장암, 췌장암, 위암, 유방암, 난소암, 신장암, 갑성선암, 부갑상선암, 식도암, 전립선암, 뇌암, 피부암, 골육종, 연부조직육종, 신경교종, 림프종, 비인두암, 후두암, 부신암, 결장암, 요관암, 담낭암, 방광암, 고환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융모암, 두경부암, 악성흑색종, 복합 골수종, 만성 골수성 백혈병, 및 신경아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종양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제1항의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를로티닙(erlotinib), 셀라스트롤(celastrol), 시스플라틴 (cisplatin), 도세탁셀(docetaxel), 타그리소(tagrisso), 탁솔(taxol), 페메트렉시드(Pemetrexed) 및 타목시펜(tamoxife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것인,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046935A 2018-04-23 2018-04-23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19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35A KR102119197B1 (ko) 2018-04-23 2018-04-23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JP2020560383A JP7049006B2 (ja) 2018-04-23 2018-05-28 細胞における自食作用抑制用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腫瘍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あるいは抗がん剤の耐性抑制用薬学的組成物
EP18725383.6A EP3594224A4 (en) 2018-04-23 2018-05-28 CELL AUTOPHAGIA SUPPRESSION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NEOPLASTIC DISEASES OR SUPPRESSION OF ANTI-CANCER DRUG RESISTANCE
US15/780,347 US10766926B2 (en) 2018-04-23 2018-05-28 Composition for autophagy inhibiting in cel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umor disease, or inhibiting anti-cancer agents resistance containing the same
PCT/KR2018/006023 WO2019208868A1 (ko) 2018-04-23 2018-05-28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CN201880092641.0A CN112135836A (zh) 2018-04-23 2018-05-28 抑制细胞自噬的组合物和包含其的用于预防或治疗肿瘤性疾病或抑制抗癌药耐药性的药物组合物
US16/945,382 US20200361989A1 (en) 2018-04-23 2020-07-31 Composition for autophagy inhibiting in cell,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oplastic disease or inhibiting anti-cancer agents resistance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35A KR102119197B1 (ko) 2018-04-23 2018-04-23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228A Division KR20200067785A (ko) 2020-05-29 2020-05-29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147A true KR20190123147A (ko) 2019-10-31
KR102119197B1 KR102119197B1 (ko) 2020-06-05

Family

ID=6829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35A KR102119197B1 (ko) 2018-04-23 2018-04-23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66926B2 (ko)
EP (1) EP3594224A4 (ko)
JP (1) JP7049006B2 (ko)
KR (1) KR102119197B1 (ko)
CN (1) CN112135836A (ko)
WO (1) WO201920886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195A (ko) * 2014-01-09 2015-07-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age 유래 올리고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감소용 또는 항암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45359B1 (ko) 2014-05-08 2016-08-05 한국식품연구원 자가포식 활성제 또는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KR20160105329A (ko) * 2015-02-27 2016-09-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토파지 세포 표적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US20170027897A1 (en) * 2013-10-23 2017-02-02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mTORC1 MODULATION BY AMINO ACIDS AND USES THEREOF
KR20180007307A (ko) 2016-07-12 2018-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포식 향상물질 및 그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0264A (en) * 1993-09-28 1996-04-23 Insight Biotech Inc. Antibodies which bind meningitis related homologous antigenic sequences
US6652861B1 (en) * 1999-08-26 2003-11-25 New York University Anti-HIV and anti-tumor peptides and truncated polypeptides of MAP30
JP2003520031A (ja) 1999-11-12 2003-07-02 ヒューマン ジノーム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28個のヒト分泌タンパク質
JP2003530838A (ja) 2000-04-12 2003-10-21 ヒューマン ゲノム サイエンシ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ルブミン融合タンパク質
AU2003225957A1 (en) * 2002-03-25 2003-10-13 Mercia Pharma, Llc Treatment methods for eotaxin mediated inflammatory conditions
JP2007525436A (ja) 2003-03-24 2007-09-06 マーシア・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炎症症状を処置および予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WO2004092207A2 (en) * 2003-04-16 2004-10-28 Algonomics N.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peptides
US20110224133A1 (en) * 2008-07-25 2011-09-1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Highly Potent Peptides To Control Cancer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US20130005651A1 (en) * 2010-03-11 2013-01-03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Death associated protein 1 variants and use thereof for modulating autophagy
WO2011151826A2 (en) * 2010-06-01 2011-12-08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An expeditious synthesis of ubiquitinated peptide conjugates
US20130316958A1 (en) * 2010-07-28 2013-11-2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Highly potent peptides to control cancer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KR101501799B1 (ko) * 2011-04-27 2015-03-1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세포의 자가소화작용 유도용 조성물
JP5715305B2 (ja) * 2012-02-11 2015-05-07 ボード・オブ・リージエンツ,ザ・ユニバーシテイ・オブ・テキサス・システム オートファジー誘導性ペプチド
WO2014062621A1 (en) * 2012-10-15 2014-04-24 Stc.Unm Treatment of autophagy-based disorders and relat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iagnostic and screening assays and kits
KR101697771B1 (ko) * 2014-10-06 2017-02-0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Itm2a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암용 조성물
CN104800858B (zh) * 2015-04-27 2017-11-21 中国医学科学院基础医学研究所 Hsp90抑制肽偶联物及其在肿瘤治疗中的应用
CN107501405B (zh) * 2017-09-25 2020-12-25 江苏护理职业学院 一种细胞自噬抑制多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27897A1 (en) * 2013-10-23 2017-02-02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mTORC1 MODULATION BY AMINO ACIDS AND USES THEREOF
KR20150083195A (ko) * 2014-01-09 2015-07-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Cage 유래 올리고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감소용 또는 항암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45359B1 (ko) 2014-05-08 2016-08-05 한국식품연구원 자가포식 활성제 또는 억제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
KR20160105329A (ko) * 2015-02-27 2016-09-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토파지 세포 표적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80007307A (ko) 2016-07-12 2018-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포식 향상물질 및 그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61989A1 (en) 2020-11-19
JP7049006B2 (ja) 2022-04-06
KR102119197B1 (ko) 2020-06-05
US20200087344A1 (en) 2020-03-19
EP3594224A4 (en) 2021-08-25
CN112135836A (zh) 2020-12-25
US10766926B2 (en) 2020-09-08
WO2019208868A1 (ko) 2019-10-31
EP3594224A1 (en) 2020-01-15
JP2021522284A (ja)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rcurio et al. Targeting CXCR4 by a selective peptide antagonist modulates tumor microenvironment and microglia reactivity in a human glioblastoma model
Secchiero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therapeutic perspectives of Nutlin-3
JP6030622B2 (ja) 癌の阻害剤としてのmuc−1細胞質ドメインペプチド
CA2884521C (en) 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ancer targeting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cer recurrence
JP6440212B2 (ja) メトホルミン及びジヒドロケルセチンを含む組み合わせ医薬、及びがんの治療のための使用
Cocco et al. Inhibition of autophagy by chloroquine prevents resistance to PI3K/AKT inhibitors and potentiates their antitumor effect in combination with paclitaxel in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models
EP3013353A2 (en) New use of cell-permeable peptide inhibitors of the jn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JP2020183441A (ja) がんおよび血管形成関連疾患を処置するためのCD44v6由来環状ペプチド
Wang et al. Autophagy inhibition enhances the inhibitory effects of ursolic acid on lung cancer cells
KR20190084291A (ko) 암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및 방법
Singh et al. A grafted peptidomimetic for EGFR heterodimerization inhibition: Implications in NSCLC models
Jin et al. Effect of sufentanil on the viability and apoptosis of cervical cancer cells via the inactivation of PI3K/AKT/mTOR signaling pathway
AU2015281361A1 (en) New use of cell-permeable peptide inhibitors of the JN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Lee et al. Arsenic trioxide as a vascular disrupting agent: synergistic effect with irinotecan on tumor growth delay in a CT26 allograft model
KR102119197B1 (ko)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67785A (ko) 세포에서의 자가포식작용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양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암제 내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TW202216133A (zh) 類視色素與癌症治療藥之併用療法有效之癌症患者之選擇方法及類視色素與癌症治療藥之併用醫藥
US9969771B2 (en) Tetrapeptide having effect of inhibiting VEGF-induced angiogenesis and use thereof
US20200115413A1 (en) A method of sensitizing cancer cells to anti-cancer treatment
Wang et al. Fusion of dual-targeting peptides with MAP30 promotes the apoptosis of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JP2023534300A (ja) 癌の処置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Peng et al. de-O-methyllasiodiplodin from Ludwigia hyssop folia causes death of human liver cancer cells through the mitochondrial apoptotic, Akt/NF-κB and STAT3 pathway in vitro
JP2021123560A (ja) 抗がん剤抵抗性改善作用を有するクローディン−2結合性低分子化合物
EP307698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metastatic cancer
US20180236026A1 (en) Peptide regulators of jnk family kin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