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665A -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665A
KR20190122665A KR1020197023383A KR20197023383A KR20190122665A KR 20190122665 A KR20190122665 A KR 20190122665A KR 1020197023383 A KR1020197023383 A KR 1020197023383A KR 20197023383 A KR20197023383 A KR 20197023383A KR 20190122665 A KR20190122665 A KR 20190122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escalator
support structure
model
moving walk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536B1 (ko
Inventor
크리슈토프 에더
리하르트 쉬츠
토마스 노파첵
게오르크 바겐라이트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122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부적으로 전문가가 정밀한 측정을 행하지 않고서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 (26) 을 측정하기 위한 현대화 조치 중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41) 를 기술한다. 이 방법은, 3D 스캐너 또는 TOF 카메라와 같은 화상 기록 장치 (43) 를 에스컬레이터 (1) 의 운송 장치 (13) 에 고정하는 단계; 측정될 하부 구조 부품 (26) 에 시각적 접근 (49) 을 제공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 (1) 의 트레드 유닛들 (7)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주행 경로 (5) 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부착된 화상 기록 장치 (43) 와 함께 운송 장치 (13) 를 원주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주행 경로 (5) 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서 화상 기록 장치 (43) 를 사용하여 측정될 구조 부품 (26) 의 화상을 기록하는 단계; 및 기록된 화상에 기초하여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 (26) 의 적어도 일부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D 모델을 기반으로, 전문가는 국부적으로 존재하지 않고도 측정을 행할 수 있고 구조 부품 (26) 의 공간 배열을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의 3D 모델을 생성하고 특히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현대화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 부품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형태인 주행 설비는 두 개의 고정된 위치들 사이에서 사람들을 운송할 목적으로 건물 내부에서 사용된다. 롤링 계단이라고도 불리우는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는, 두 개의 위치들은 상이한 레벨에 있으며 사람들은 표시된 경사로 운송 경로를 따라 운송되는 반면, 이동 보도의 경우에는 두 개의 위치들은 동일한 레벨에 또는 단지 약간 상이한 두 개의 레벨에 있으며 사람들은 단지 약간 경사진 운송 경로를 따라 수평으로 운송된다. 이하에서는 에스컬레이터와 이동 보도는 보다 일반적인 용어인 "주행 설비" 하에 요약된다.
주행 설비는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주행 경로를 따라 다수의 이동가능한 트레드 유닛들을 갖는 운송 수단을 포함한다. 트레드 유닛들은 적어도 소위 운송 영역 내에서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여서, 진입 영역을 통해 도착한 승객들은 운송 영역에서 트레드 유닛들 중의 하나를 디딜 수 있고, 이어서 운송 경로를 따라 운송되고, 궁극적으로는 반대편 출구 영역에서 다시 벗어난다. 때로는, 운송 수단의 운송 영역은 리딩 런 (leading run) 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운송 수단은 리딩 런 아래에서 회전하여 복귀할 때 리턴 런 (return run) 이라고 불리우며, 이는 물론 승객이 사용할 수 없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 트레드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계단이라고 불리우는 반면, 이동 보도의 경우에 트레드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팔레트라고 불리운다. 트레드 유닛들은 일반적으로 주행 경로를 따라 앞뒤로 배치되고 체인 또는 벨트에 각각 부착되며, 그럼으로써 스테어 벨트 또는 팔레트 벨트를 형성한다. 따라서, 스테어 벨트 또는 팔레트 벨트에 의해 형성된 운송 수단은 주행 설비의 정지부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주행 설비의 일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설비는 스테어 벨트 또는 팔레트 벨트의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진행하는 회전식 핸드레일들을 표준으로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것들을 잡을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식 핸드레일은 또한 운송 수단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운송 수단에 더하여, 주행 설비는 지지 구조체를 가지며, 이 지지 구조체를 이용하여 주행 설비는 건물 내에서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행 설비의 중량이 건물에 전달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는 프레임워크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워크는 복수의 구조 부품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 부품들은 특히 횡방향 스트러트, 종방향 스트러트, 대각 스트러트, 어댑터 부품 등일 수 있다. 프레임워크는, 한편으로는 건물의 지지 구조체에 장착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운송 수단의 부품들이 프레임워크에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워크에 의해 형성된 구조체의 기하학적 및 구조적 설계는 수용 건물 내의 기하학적 및 구조적 마진 조건과 특히 운송 수단과 같은 주행 시설의 다른 부품의 대응하는 실제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는 일정 시간 작동된 후에는 현대화해야 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주행 설비의 마모된 부품의 교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주행 시설의 부품들은 예를 들어 원래의 주행 설비의 성능, 편안함 또는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현대적인 디자인의 대응 부품들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기존의 주행 설비를 현대화하는 대안으로서, 동일 설비가 전체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인정하건대 이 시나리오를 통해, 현존하는 주행 설비를 현대화하는 대신에 공장에서 대체 주행 설비를 표준으로 제조하는 것이 비용-효율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교체용 주행 설비를 사용 장소로 운반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 지출 및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이는 건물의 벽 및/또는 다른 장애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기존 건물에 매우 큰 부품으로서 교체용 주행 설비를 설치한 결과로서 상당한 지출이 발생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주행 설비의 현대화는 첫째로 주행 설비의 기존 지지 구조체, 특히 기존 프레임워크, 즉 특히 현대화되어야 하는 주행 설비의 부품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운송 수단의 일부 또는 모든 부품, 즉 스테어 벨트 또는 팔레트 벨트 및/또는 구동 유닛 및/또는 방향전환 유닛이 제거된다. 후속적으로 주행 설비의 나머지 지지 구조체가 새로운 부품의 설치를 위해 준비된다; 즉, 특히 세정되고 가능하게는 지지 구조체에 새로운 부품을 후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어댑터 플레이트 또는 어댑터 모듈이 장착된다.
WO 2004/035452 A1 은 기존 에스컬레이터를 현대화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EP 16175491.6 은 기존 에스컬레이터 또는 기존 이동 보도를 현대화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기존의 주행 설비를 현대화하는 것은, 교체할 부품을 제거한 다음에 나머지 프레임워크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예를 들어 어댑터 플레이트 및 어댑터 모듈에 의해 이후의 단계에서 교체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측정은 전통적으로, 교체 부품들의 설치를 준비하기 위해 그리고 필요하다면 나중의 단계에서 충분한 정확도로 어댑터 플레이트 및 어댑터 모듈을 구성 또는 조정하기 위해, 교체 부품들 및 이들의 설치 요건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이 있고 측정이 필요한 나머지 지지 구조체의 치수를 아는 전문 인력에 의해 수행된다. 숙련된 인력이 필요로 하는 숙련도 및 숙련된 인력이 주행 설비를 현장에서 검사하고 측정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이 측정 작업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현대화 조치의 관점에서, 지지 구조체 또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를 그 구조 부품과 관련하여 작은 HR 및/또는 재정 지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도 있다. 특히, 주행 설비를 현장에서 측정하기 위한 자질있는 숙련된 인력없이 주행 설비의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요구는 독립항들 중 하나에 따른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충족될 수도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들 뿐만 아니라 이하의 설명에서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는 다수의 트레드 유닛들을 갖는 운송 수단을 포함하며, 트레드 유닛들은 주행 경로를 따라 앞뒤로 배치된다.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운송 수단에 화상 기록 장치를 고정하는 단계, (b) 아래에서 구조 부품에 대한 시각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트레드 유닛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c) 화상 기록 장치에 의해 화상 레코딩을 취하기 전에, 주행 경로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에스컬레이터 상에 또는 이동 보도 상에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를 이동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로서, 기준 마크는 화상 기록 장치에 대해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를 이동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d) 운송 수단을 화상 기록 장치와 함께 선회 방식으로 주행 경로의 적어도 부분 영역에 걸쳐 이동시키는 단계, (e) 주행 경로를 따라 다수의 위치로부터 화상 기록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될 구조 부품의 화상 레코딩을 취하는 단계, 및 (f) 기록된 화상 레코딩에 기반하여 그리고 그와 함께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를 이용하여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의 적어도 부분 영역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단계들은 표시된 순서로 또는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단계 (b) 는 단계 (a)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단계 (d), (e), (f) 는 차례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3D 모델" 이라는 용어는 가상 3D 모델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다 정확하게, 이 3D 모델은, 가능한한, 디지털 형식으로 기록된 구조의 실제 스케일의 3 차원 재생이며, 3D 모델의 개별 포인트들은 가상 공간에서 3 차원 좌표 및/또는 벡터 좌표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가상 3D 모델은 예를 들어 3D CAD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3D CAD 시스템 (3 차원 컴퓨터 지원 설계 시스템) 은 3D 모델의 표면 및 가장자리의 거리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될 새로운 부품들은 또한 3D CAD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성되었다. 그런 다음, 이들은 3D 모델에 가상으로 삽입되고 최적으로 위치될 수 있어서, 어댑터 부품들은 3D 모델의 가상 환경에서 직접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 부품을 사용하면, 장착될 새로운 부품에 낡은 기존 프레임워크를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으며 위치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을 측정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에 의해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3D 모델을 통해 구조 부품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를 현대화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i)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에 의해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을 측정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내의 치수를 확인하는 단계, (ii) 지지 구조체에 부착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로부터 오래된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 및 (iii) 지지 구조체에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새로운 부품을 부착하는 단계로서, 지지 구조체 상에서의 새로운 부품의 위치결정이 지지 구조체 내의 이전에 확인된 치수를 고려하여 실행되는, 상기 부착하는 단계.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가 제안된다.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이 장치는 화상 기록 장치, 고정 수단 및 컴퓨팅 수단을 포함한다. 화상 기록 장치는 측정될 구조 부품의 화상 레코딩을 취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 수단은 화상 기록 장치를 운송 수단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컴퓨팅 수단은 화상 기록 장치에 의해 취해진 화상 레코딩에 기초하여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의 적어도 부분 영역으로부터 3D 모델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그러한 방법에 사용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가능한 특징들 및 장점들은 특히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아이디어들 및 발견들에 기초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서두에 언급했듯이, 종래의 현대화 조치는, 지금까지는, 운송 수단의 교체 부품들을 적절히 준비하고 이들을 나머지 지지 구조체에 끼우기 위해, 주행 설비의 지지 구조체의 나머지 구조 부품을 전문 기술자가 많은 비용을 들여 측정해야 했다.
여기에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거나 제안된 장치를 사용하여, 주행 설비의 지지 구조체를 상당히 단순화되고 그리고/또는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간단히 요약하면, 3D 모델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상 레코딩을 이용하여, 특히 디지털화된 형태로, 주행 설비의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의 3D 모델의 생성, 즉 가능한한 실제 스케일의 3 차원 재생이 제안된다. 화상 레코딩은 주행 설비의 운송 수단에 고정된 화상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다. 특히, 다수의 화상 레코딩이 기록되는데, 화상 레코딩이 기록되는 위치는 서로 상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운송 수단에 고정된 화상 기록 장치는 운송 수단의 주행 경로의 적어도 부분 영역에 걸쳐 이동된다. 이 목적을 위해, 운송 수단은 회전 방식으로 이동되고, 화상 레코딩은 주행 경로를 따라 각각 상이한 위치들에서 기록된다. 따라서, 상이한 시야 각도로 촬영된 복수의 화상 레코딩으로부터 원하는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일부로서, 화상 기록 장치는 주행 설비의 운송 수단에 상이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기록 장치를 트레드 유닛들 또는 팔레트들 중의 하나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특별히 형성된 커플링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화상 기록 장치와 협력작동하도록 되어 있고, 즉 예를 들어 화상 기록 장치의 족부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트레드 유닛과 협력작동하고, 즉 예를 들어 트레드 유닛의 그루브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화상 기록 장치는 운송 수단의 다른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테어 벨트 또는 팔레트 벨트에 대한 고정이 고려될 수도 있다. 특히, 스테어 벨트 또는 팔레트 벨트 내의 연결 축 및/또는 컨베이어 체인에 대한 고정이 고려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핸드레일들 중의 하나 또는 쌍방의 핸드레일들에 화상 기록 장치를 체결시킬 수도 있다.
화상 기록 장치를 운송 수단에 부착함으로써, 화상 기록 장치는 운송 수단에 대해 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화상 기록 장치의 시야 방향은 운송 수단이 이동되는 경우에만 변화되고, 화상 기록 장치의 시야 배향은 운송 수단의 이동 방향이 그 배향과 관련하여 변화되는 경우에만 변화된다. 운송 수단에 대한 화상 기록 장치의 이러한 강성적 고정은 실시하기에 용이하다. 특히, 화상 기록 장치 자체는 그 시야 방향 및/또는 시야 배향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지만, 주행 설비의 주행 경로의 부분 영역을 따라 운송 수단을 이용하여 정적 화상 기록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게다가, 운송 수단에 대한 화상 기록 장치의 강성적 고정은, 화상 기록 장치에 의해 기록된 화상 레코딩의 평가 또는 추가 처리를 단순화할 수 있다.
주행 경로를 따라 화상 기록 장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는 주행 설비의 지지 구조체의 상이한 부분 영역들의 화상 레코딩을 기록할 수 있다. 이 지지 구조체 및 측정될 구조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운송 수단의 트레드 유닛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트레드 유닛 아래에 있는 측정하여야 하는 구조 부품에 대한 시각적 접근을 얻기 위하여 트레드 유닛들 중의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 개 또는 3 개의 트레드 유닛들이 일시적으로 제거된다. 트레드 유닛들은 전문가가 아닌 사람에 의해서도 비교적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운송 수단 내에 형성되는 개구의 결과로서, 화상 기록 장치는 그 아래의 구조 부품의 화상 레코딩을 기록할 수 있다.
운송 수단이 화상 기록 장치 및 그 내부에 형성된 개구와 함께 주행 설비의 주행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될 때, 화상 레코딩의 기록은 상이한 위치들로부터, 따라서 상이한 시야 방향들에서 취해질 수 있다. 모든 구조 부품들을 완전하게 화상 레코딩으로서 매핑하거나 기록하는 것은 필수 사항이 아니며, 오히려 현대화해야 하는 주행 설비의 지지 구조체의 영역들을 단지 3D 모델로 기록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히, 화상 기록 장치를 단지 운송 수단의 주행 경로의 일부분에 걸쳐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주행 경로의 전체 리딩 런을 따라 화상 기록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가정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3 차원 화상 레코딩을 기록하도록 설계된 3D 장치인 화상 기록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바꾸어 말하면, 화상 기록 장치는 그 시야의 2 차원 투사를 기록하는 것뿐만 아니라, 특히 여기에서 제안된 방법의 관점에서 그 시야를 3 차원적으로 맵핑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3 차원 화상 레코딩은 물체들간의 측방향 거리 및 공간에서의 깊이, 즉 화상 기록 장치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3D 화상 기록 장치는 3 차원 화상 레코딩을 실제 스케일로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3D 모델은 주행 경로를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기록된 3 차원 화상 레코딩으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화상 기록 장치는 예를 들어 레이저 스캐너일 수도 있다. 이러한 레이저 스캐너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시계를 통해 연속적으로 레이저 빔을 이동시킨다 (스캔한다). 후방 반사된 레이저 빔의 일부는, 그로부터 발생되는 시계 내의 환경의 이미지에 의해 검출된다. 레이저 스캐너의 경우, 시계 내에서 레이저 스캐너에 대한 대상물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확인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후방 반사된 부분의 검출까지, 방출된 레이저 빔의 런타임이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상 기록 장치는 카메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전체 시계에서 그 환경의 이미지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3D 카메라는 각각의 기록된 표면에 대해 카메라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확인되는 화상 레코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런타임 측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는 때때로 TOF 카메라 (time-of-flight) 라고도 한다.
인정하건대, 3D 화상 레코딩으로부터 원하는 3D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음이 지적된다; 즉 사용된 화상 기록 장치는 3D 레이저 스캐너 또는 TOF 카메라와 같은 3D 화상 기록 장치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상이한 시야 방향들, 즉 상이한 위치들로부터 취해진 2D 화상 레코딩으로부터 3D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 2D 화상 레코딩으로부터 생성된 3D 모델은 예를 들어 입체 기술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방식으로 생성된 3D 모델은 거기에서 재생된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3D 모델은, 예를 들어, CAD 시스템 (computer aided design) 에서 생성 및/또는 처리될 수 있다.
3D 모델의 측정은 유리하게는 주행 설비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3D 모델을 측정하는 기술에 숙련된 고비용의 인원이 주행 설비의 위치로 직접 이동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보조적인 숙련되지 않은 사람이 주행 시설의 계단들 중의 하나를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예를 들어, 생성된 개구로 인하여 이제 인접 계단인 계단에 화상 기록 장치를 고정시킨 다음에, 주행 설비의 운송 수단이 간략하게 이동되는 이동 동작을 수행하여서, 그에 고정된 화상 기록 장치가 상이한 위치들로부터 화상 레코딩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충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조 직원은 매우 기본적인 기술적 노하우만을 필요로 한다. 특히 보조 직원이 기존의 주행 설비의 측정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질 필요가 없다. 화상 기록 장치 또는 그로부터 생성된 3D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화상 레코딩은 예를 들어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측정 전문가의 CAD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이 측정 전문가는, 직접 현장에서 주행 설비를 검사할 필요는 없고, 생성된 3D 모델을 단지 사용하여 지지 구조체의 구조 부품을 충분한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레코딩을 기록하기 전에, 화상 기록 장치에 대해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기준 마크가 주행 경로 내의 장소에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에 이동불가능하게 부착되거나, 화상 기록 장치에 대해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다수의 기준 마크들이 주행 경로를 따라 상이한 장소들에서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에 부착된다.
바꾸어 말하면, 주행 설비는, 화상 기록을 취하기 시작하기 이전에, 예를 들어 기록된 화상 레코딩으로부터 보다 간단하고 그리고/또는 보다 정확한 방식으로 원하는 3D 모델을 차후에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보다 평가를 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 마크를 부착함으로써 적절하게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3D 모델을 생성할 때, 기준 마크들은 예를 들어 배향을 위해, 스탠다드 등의 형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준 마크들은 자기-접착식 또는 부착하기 쉬운 마커들의 형태일 수 있다. 기준 마크들에는 패턴들, 바코드들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패턴들 또는 바코드들은 서로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기준 마크들은 또한 예를 들어 타겟과 유사한 센터링 마크들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기준 마크들은 주행 설비를 따라 소정의 위치들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준 마크들은 주행 설비의 임의의 위치들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기준 마크들은 측정될 구조 부품 및/또는 난간의 일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서로에 대한 기준 마크들의 위치들은 필요에 따라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서로에 대한 기준 마크들의 위치 또는 거리에 관한 것이고, 주행 설비상의 기준 마크들의 절대적인 위치결정은 거의 또는 전혀 관련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3D 모델을 생성할 때, 화상 레코딩과 함께 기록된 기준 마크들을 고려하여, 다수의 화상 레코딩을 결합하여 하나의 전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주행 설비에 이전에 부착된 기준 마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개별적으로 기록된 화상 레코딩을 결합하여, 3D 모델이 생성되는 하나의 전체 레코딩을 형성할 수 있다.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 설비 상에 기준 마크들을 배치하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기록된 화상 레코딩이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기준 마크들을 포함하도록 적절한 위치들에서 주행 경로를 따라 화상 레코딩을 기록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특히, 기준 마크들이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설계되어서 서로 구별되는 경우, 화상 레코딩과 함께 기록된 기준 마크들에 기반하여, 화상 레코딩이 기록된 위치, 그리고 다른 화상 레코딩과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가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3D 모델을 생성하는 동안, 화상 레코딩과 함께 기록된 기준 마크들을 사용하여 화상 레코딩의 왜곡을 정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준 마크들은 3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기준 마크들의 이미 알려진 위치 및/또는 이미 알려진 거리를 고려하여, 예를 들어 화상 기록 장치의 광학 에러에 의해 야기된 왜곡이 화상 레코딩에서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기록된 화상 레코딩에 기초하여, 구조 부품의 실제 치수 및 지오메트리에 관한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고 따라서 왜곡 형태의 가상 레코딩 오류를 구조 부품의 실제 지오메트리로부터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래 스트럿이나 바아로서 형성된 구조 부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화상 레코딩은 구부러진 구조 부품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구조 부품은 이전처럼 직선형일 수 있으며 광학 왜곡으로 인해 단지 화상 레코딩에서 구부러진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전에 부착된 기준 마크를 사용하여, 이러한 가상 왜곡이 실제 왜곡과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 적절한 계산이 수행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생성된 3D 모델의 스케일에 대한 정확도 또는 준수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생성된 3D 모델은 화상 레코딩과 함께 기록된 기준 마크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미 알려진 위치 또는 정확하게 측정된 위치에 부착된 기준 마크를 사용하여, 생성된 3D 모델을 교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정된 3D 모델에서, 구조 부품의 치수 또는 구조 부품들 간의 거리는 특히 실제 스케일대로 재현되므로, 3D 모델을 사용하여 이러한 치수 또는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 레코딩은 운송 수단의 연속적인 운동 중에 기록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운송 수단은 함께 고정된 화상 기록 장치를 취하고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제 1 극단 위치로부터 제 2 극단 위치로, 예를 들어 운송 영역의 시작으로부터 운송 영역의 끝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두 개의 극단 위치 사이에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화상 기록 장치는 상이한 위치들로부터 다수의 화상 레코딩을 기록할 수 있다. 이동 기간이 짧게 유지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행 설비의 제어가 간단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운송 수단이 정지되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대안적으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 레코딩이 발생하고 있는 동안 운송 수단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화상 기록 장치는 운송 수단에 의해 일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운송 수단을 이동시키는 동작이 1 회 이상 잠시 중단되는 것을 의미하며, 즉 운송 수단은 잠시 정지되어 화상 기록 장치가 정지 중에 화상 레코딩을 기록할 수 있다. 화상 기록 장치의 요동 또는 흔들거림에 기인한 예를 들면 흐려짐이 회피되기 때문에, 화상 레코딩의 품질이 일반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 기록 장치는 화상 레코딩의 기록과 운송 수단의 이동 동작과의 협조를 위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제어장치와 신호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화상 기록 장치가 예를 들어 운송 수단의 현재 이동 상태에 따라 화상 레코딩을 취할 수 있도록 화상 기록 장치와 주행 설비의 제어부는 서로 연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상 기록 장치는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여 이 위치로부터 화상 레코딩을 기록할 수 있을 때 주행 설비의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화상 기록 장치는, 신호 전송에 의해, 화상 기록을 취하기 위해 주행 설비의 제어부를 잠깐 중단시킬 수 있다. 화상 기록 장치 및 주행 설비의 제어부는 예를 들어 미리 설치될 케이블 연결부를 통해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무선 라디오 링크를 통해 상이한 방식으로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 기록 장치는, 운송 영역의 일 단부를 검출하고 곧바로 에스컬레이터/이동 보도의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어 운송 수단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화상 기록 장치는 예를 들어 운송 영역의 단부에 접근할 때 취해진 화상 레코딩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주행 설비의 제어부와 통신하는 화상 기록 장치는 따라서 주행 설비를 정지시키도록 제어부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화상 기록 장치가 정확하게 운송 수단에 고정되는 즉시 사람에 의해 화상 기록 작동이 시작될 수 있고, 동시에 또는 이후에 주행 경로를 따라 화상 기록 장치를 운송하도록 운송 수단의 제어가 그에 따라 촉발될 수 있다. 화상 기록 장치가 예를 들어 주행 경로 또는 운송 영역의 반대 단부에 도달하거나 또는 접근하고 있을 때, 화상 기록 장치는 이를 주행 설비의 제어부에 자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운송 작동을 중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그 다음, 화상 기록 장치는 운송 수단으로부터 다시 분해될 수 있다. 이는, 전체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방법이다. 특히 이는, 주행 설비의 부분과의 충돌을 통한 화상 기록 장치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 중의 일부가 상이한 실시형태들에 관하여 여기에서 설명되었다는 것이 지적된다. 특히, 몇몇 특징들이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기술되었고, 다른 특징들이 본 발명의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전문가는 이 특징들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도달하기 위해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 적응 또는 교체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도면들 또는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지지 구조체의 구성 부품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에스컬레이터용의 프레임워크 형태의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면들은 개략적인 묘사일뿐 실제 크기로 그려지지 않는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동일하게 기능하는 특징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에스컬레이터 (1) 의 예시적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람이 2 개의 레벨 (E1, E2) 사이에서 운송될 수 있다. 도 2 는 이러한 에스컬레이터 (1) 를 위한 프레임워크 형태의 지지 구조체 (2) 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에 도시된 지지 구조체 (2) 는, 특히 도 1 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 (1) 의 부품들을 수용하고 이들을 건물 내에 고정하고 그 무게를 건물에 옮기는데 적합하다. 지지 구조체 (2) 및 그 구조 부품들 (26) 은 도 2 에 단지 예시를 위해 도시되어 있고 그 위치들이 파단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어 도 1 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도 1 의 선명도를 어지럽히지 않기 위해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다.
에스컬레이터 (1) 는 폐쇄 링을 형성하는 2 개의 컨베이어 체인 (3) 을 포함한다. 2 개의 컨베이어 체인 (3) 은 복수의 체인 링크로 구성된다. 2 개의 컨베이어 체인 (3) 은 주행 경로 (5) 를 따라 이동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넓은 영역에 걸쳐 2 개의 컨베이어 체인 (3) 은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레벨 (E1, E2) 을 경계로 하는 단부 영역에서, 컨베이어 체인 (3) 은 휠 (15, 17) 을 방향 전환시킴으로써 재지향된다.
단차 형태의 다수의 트레드 유닛 (7) 이 2 개의 컨베이어 체인 (3) 사이에서 연장된다. 각각의 트레드 유닛 (7) 은 그 측단부에 인접하여 각각 컨베이어 체인들 (3) 중의 하나에 부착되고, 따라서 주행 경로 (5) 를 따라 이동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컨베이어 체인 (3) 상에서 안내되는 트레드 유닛 (7) 은 운송 벨트 (9) 를 형성하는데, 이 위에는 트레드 유닛들 (7) 이 운송 경로 (5) 를 따라 앞뒤로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운송 영역 (19) 에서 승객에 의해 디뎌질 수 있다. 컨베이어 체인 (3) 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에스컬레이터 (1) 에는 구동 장치 (25)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24) 가 구비된다 (제어부는 단지 도 1 에 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구동 장치 (25) 및 방향전환 휠 (15, 17) 과 함께 운송 벨트 (9) 는 운송 수단 (13) 을 형성하며, 이의 트레드 유닛 (7) 은 건물 내에 견고하게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된 지지 구조체 (2) 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명확성의 이유로, 지지 구조체 (2) 는 도 1 에는 도시되지 않고, 도 2 에 별개로 도시된다. 지지 구조체 (2) 는 프레임워크로서 구성되는데, 이는 복수의 구조 부품 (26), 예를 들어 종방향 스트럿 (27), 횡방향 스트럿 (29), 대각 스트럿 (31), 직립부 (33), 애드-온 부분 (35) 등으로 구성된다. 구조 부품 (26) 은 예를 들어 용접부, 스크류, 클린치 또는 리벳 연결부에 의해 서로 단단히 연결된다. 지지 구조체 (2) 는 부착 지점 (37, 39) 에서 건물의 대응하는 로드-지지 부분 (4) (도 1 참조) 에 부착될 수 있다.
운송 수단 (13) 의 다양한 부품들은 지지 구조체 (2) 에 연결되고 이들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운송 수단의 부품들은 예를 들어 어댑터 플레이트 등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구조 부품에 부착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1) 는 또한,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체인 (3) 과 함께 구동되어 운송 벨트 (9) 와 동기적으로 움직이는 난간 (11) 위에 배치된 핸드레일 (23) 을 구비한다.
에스컬레이터 (1) 는 일정 기간 작동된 후에, 최신 기술 표준으로 최신으로 하기 위해 현대화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마모된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일상적인 검사 및 유지보수 작업보다 많은 지출을 의미한다. 현대화가 이루어지면, 안전 요소 및 전기 장비가 최신 요건 및 안전 표준에 맞게 조정될 필요가 드물지 않다.
현대화 조치의 일부로서, 교체될 부품은 전통적으로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고 지지 구조체 (2) 의 나머지 부품은 손으로 정밀하게 측정되어야 하는 한편, 대안적인 방법은 장치 (41) 를 사용하여 여기서 설명된다. 이 장치 (41) 는 측정 목적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1) 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41) 는 화상 기록 장치 (43) 를 포함한다. 화상 기록 장치 (43) 는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운송 수단 (13) 에 고정된다. 또한, 장치 (41) 는 컴퓨팅 수단 (47) 을 구비한다.
현대화 절차의 일부로서, 현대화될 에스컬레이터 (1) 상의 트레드 유닛들 (7) 중의 하나 또는 몇 개는 사전에 직원에 의해 제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이는 어떠한 전문 지식이 없이 직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서 이 행위는 예를 들어 보조 직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예를 들어 난간 베이스의 덮개 판과 같은 덮개가 또한 제거될 수도 있다. 이는 운송 벨트 (9) 의 개구 (49) 를 노출시킬 것이다. 이 개구 (49) 를 통해 그 아래에서 지지 구조체 (2) 의 부분에 대한 시각적 접근이 가능하다.
이어서, 화상 기록 장치 (43) 는 고정 수단 (45) 을 이용하여 운송 수단 (13) 에 고정된다. 화상 기록 장치 (43) 는 특히 그 시야 범위가 아래에서 지지 구조체 (2) 및 개구 (49) 에 지향되는 방식으로 운송 수단 (13) 에 고정될 수 있다. 우선, 화상 기록 장치 (43) 는 예를 들어 하부 레벨 (E1) 에 근접하는 부근에서 운송 영역 (19) 의 일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 수단 (45) 은, 한편으로는 화상 기록 장치 (43) 를 지지하도록 설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트레드 유닛들 (7) 중의 하나에 부착되도록 설계된 족부 (51) 의 형태로 설계된다. 족부 (51) 는 예를 들어 트레드 유닛 (7) 내의 그루브에 결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고정 수단 (45) 은 트레드 유닛들 (7) 중의 하나와 협력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운송 벨트 (9) 의 다른 부품들, 예를 들어 컨베이어 체인 (3) 또는 그에 결합하는 축과 협력작동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수단을 그 위에 배치된 핸드레일 또는 핸드레일 벨트에 회전 방식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트레드 유닛 (7) 의 제거를 통해 개구 (49) 가 생성되고 화상 기록 장치 (43) 가 운송 수단 (13) 에 부착되자마자, 화상 기록 장치 (43) 는 운송 영역 (19) 내에서 주행 경로 (5) 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상 기록 장치 (43) 의 시야 범위는 그 아래의 구조 부품 (26) 에서 개구 (49) 를 통해 지향되어 그 화상 레코딩을 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상 기록 장치 (43) 는 그 시야 범위 내에서 지지 구조체 (2) 의 3 차원 화상을 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화상 기록 장치 (43) 는 예를 들어 3D 레이저 스캐너 또는 TOF 카메라 (53) 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가능한한 지지 구조체 (2) 전체를 따라 화상 레코딩을 취하기 위해, 운송 수단 (13) 에 고정된 화상 기록 장치 (43) 는 운송 영역 내에서 주행 경로 (5) 를 따라 운송 벨트 (9) 와 함께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과정에서 상이한 위치들로부터 다수의 화상 레코딩을 취할 수 있다.
화상 레코딩과 관련된 데이터 또는 신호는 컴퓨팅 수단 (47) 에 전송될 수 있다. 컴퓨팅 수단 (47) 은 화상 기록 장치 (43) 상에 직접 제공되거나 또는 심지어 그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3D 모델은 컴퓨팅 수단 (47) 이 장착 된 화상 기록 장치 (43) 에서 직접 생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생성된 3D 모델은 필요에 따라 평가를 위해 제어 센터에 전송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팅 수단 (47) 은 도 1 의 예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 유닛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별개의 컴퓨팅 수단 (47) 은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1) 의 부근에 배치되어 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링크를 통해 화상 기록 장치 (43)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팅 수단 (47) 은 보다 멀리 떨어진 위치, 예를 들어 건물 외부 또는 심지어 다른 도시에 위치하는 제어 센터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상 기록 장치 (43) 의 데이터 및 신호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팅 수단 (47) 에 전송될 수 있다.
화상 기록 장치 (43) 로부터 얻어진 화상 기록 데이터는 컴퓨팅 수단 (47) 내에서 에스컬레이터 (1) 의 지지 구조체 (2) 의 3 차원 모델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별 구조 부품 (26) 의 치수 및/또는 그 위치 및 서로에 대한 배향은 이 3D 모델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어진 측정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문가들은 오래된 부품들이 제거되면 운송 수단 (13) 의 오래된 부품들을 새로운 부품들로 교체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특히, 새로운 부품들 또는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어댑터 피스 등은 적절하게 치수가 정해지거나 맞춰질 수 있어서, 현장에서 신속하게 그리고 문제없이 나머지 지지 구조체 (2) 에 끼울 수 있다.
화상 레코딩의 기록 및 다수의 기록된 화상 레코딩에 기초한 3D 모델의 생성을 단순화 또는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송 영역 (19) 에서의 주행 경로 (5) 를 따른 기록 절차 이전에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기준 마크들 (55) 이 배치될 수도 있다. 기준 마크들 (55) 은 예를 들어 고유하게 할당된 코드, 즉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갖는 스티커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기준 마크들은, 적어도 화상 기록 장치가 소정의 기록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화상 기록 장치 (43) 의 시계 내에 놓이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기록 위치는, 각각의 화상 레코딩이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 (4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기준 마크 (55) 를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레코딩에 기준 마크 (55) 를 포함시킴으로써, 개별 화상 레코딩으로부터 전체 픽처를 후속적으로 생성 및/또는 교정하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기록 오류에 의해 야기되는 임의의 왜곡을 계산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경우에 따라, 화상 기록 장치 (43) 는 신호 교환 유닛 (57) 을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 (1) 의 제어부 (24) 와 통신하도록 더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 는 화상 기록 장치 (43) 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에스컬레이터 (1) 의 구동 장치 (25) 를 정지시키도록 지시받을 수 있어서, 화상 기록 장치 (43) 는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이들 위치에서 흔들림없이 화상 레코딩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화상 기록 장치 (43) 가 전체 운송 영역 (19) 을 통과하여 예를 들어 그 반대쪽 단부에 접근하자마자, 화상 기록 장치 (43) 는 제어부 (24) 에 지시하여 구동 장치 (23) 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용어는 임의의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 표현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음이 지적된다. 또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중의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은 다른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다른 특징들 또는 단계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지적된다. 청구범위의 참조 부호는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3)

  1.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이동 보도는 회전 주행 경로 (5) 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트레드 유닛들 (tread units; 7) 을 갖는 운송 수단 (13) 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이하의 방법 단계들:
    상기 운송 수단 (13) 에 화상 기록 장치 (43) 를 고정하는 단계,
    측정해야할 구조 부품들 (26) 에 대한 상기 트레드 유닛들 아래로의 시각적인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트레드 유닛들 (7)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는 단계,
    화상 레코딩의 기록 전에, 상기 주행 경로 (5)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1) 상에 또는 상기 이동 보도 상에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 (55) 를 이동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준 마크는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에 대해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 (55) 를 이동불가능하게 부착하는 단계,
    상기 운송 수단 (13) 을 상기 운송 수단에 고정된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와 함께 선회 방식으로 상기 주행 경로 (5) 의 적어도 부분 영역에 걸쳐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주행 경로 (5) 를 따라 다수의 위치에서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를 사용하여, 측정될 상기 구조 부품들 (26) 의 화상 레코딩을 기록하는 단계, 및
    기록된 상기 화상 레코딩에 기반하여 그리고 화상과 함께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마크 (55) 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 구조체 (2) 의 상기 구조 부품들 (26) 의 적어도 부분 영역의 3D 모델의 생성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의 생성시에, 상기 화상과 함께 기록된 상기 기준 마크 (55) 를 고려하여 하나의 전체 레코딩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화상 레코딩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3D 모델의 생성시에, 상기 화상 레코딩에서의 왜곡이 상기 화상과 함께 기록된 상기 기준 마크 (55) 에 의해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성된 3D 모델은 상기 화상과 함께 기록된 기준 마크 (55) 에 의해 교정되는 (calibr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레코딩은 상기 운송 수단 (13) 의 연속 이동 중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 (13) 의 이동은 화상 레코딩의 기록 중에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는 화상 레코딩의 기록을 상기 운송 수단 (13) 의 이동과 협조시키기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이동 보도의 제어 장치 (24) 와 신호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유닛들 (7) 에는 적어도 운송 영역 (19) 에서 승객이 올라탈 수 있고,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는 상기 운송 영역 (19) 의 일 단부를 검출하고 뒤이어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이동 보도의 제어 장치 (24) 에 신호를 보내서 상기 운송 수단 (13) 의 이동을 종료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9.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3D 모델에 의해 상기 구조 부품들 (26) 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을 측정하는 방법.
  10.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를 현대화하는 방법으로서,
    제 9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을 측정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내의 치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지지 구조체 (2) 에 부착된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로부터 오래된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지지 구조체 (2) 에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새로운 부품을 부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지 구조체 (2) 상에서의 새로운 부품의 위치결정이 상기 지지 구조체 (2) 내의 이전에 확인된 치수를 고려하여 실행되는, 상기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를 현대화하는 방법.
  11.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 (41) 로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이동 보도는 회전 주행 경로 (5) 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트레드 유닛들 (7) 을 갖는 운송 수단 (13) 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드 유닛들 (7) 은 주행 경로 (5) 를 따라 앞뒤로 배치되고, 상기 트레드 유닛들 (7) 에 승객이 올라탈 수 있는 적어도 운송 영역 (19) 에서, 상기 트레드 유닛들은 측정될 구조 부품들 (26) 위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 (41) 는
    측정될 상기 구조 부품들 (26) 의 화상 레코딩을 기록하도록 배치된 화상 기록 장치 (43), 및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를 상기 운송 수단 (13) 에 고정하도록 배치된 고정 수단 (45) 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41) 는, 추가로, 상기 주행 경로 (5)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이동 보도에 이동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명확하게 식별가능한 기준 마크 (55), 및 화상 레코딩과 함께 기록된 기준 마크 (55) 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에 의해 기록된 화상 레코딩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적어도 부분 영역의 3D 모델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컴퓨팅 수단 (47) 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 (4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는 3D 화상 레코딩을 기록하는 3D 화상 기록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 (41).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화상 레코딩의 기록을 상기 운송 수단 (13) 의 이동과 협조시키기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상기 이동 보도의 제어 장치 (24) 와 상기 화상 기록 장치 (43) 간에 신호를 교환하도록 배치된 신호 교환 수단 (57)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1)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 (2) 의 구조 부품들 (26) 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장치 (41).
KR1020197023383A 2017-02-27 2018-02-20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1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8053 2017-02-27
EP17158053.3 2017-02-27
PCT/EP2018/054121 WO2018153846A1 (de) 2017-02-27 2018-02-20 Verfahren und eine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3d-modells einer tragenden struktur einer fahrtreppe oder eines fahrstei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665A true KR20190122665A (ko) 2019-10-30
KR102451536B1 KR102451536B1 (ko) 2022-10-05

Family

ID=5818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383A KR102451536B1 (ko) 2017-02-27 2018-02-20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472673B2 (ko)
EP (1) EP3585719B1 (ko)
JP (1) JP7069194B2 (ko)
KR (1) KR102451536B1 (ko)
CN (1) CN110352173B (ko)
AR (1) AR111514A1 (ko)
AU (1) AU2018223142B2 (ko)
CA (1) CA3049512A1 (ko)
ES (1) ES2870711T3 (ko)
PL (1) PL3585719T3 (ko)
RU (1) RU2752206C2 (ko)
SG (1) SG11201906244TA (ko)
TW (1) TWI789376B (ko)
WO (1) WO2018153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16905B (zh) * 2018-10-25 2023-10-01 瑞士商伊文修股份有限公司 用於產生電梯或自動走道之三維衍架資料集之方法
CN113795448B (zh) * 2019-05-20 2024-03-19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使备件可视化的方法和装置
JP6881857B1 (ja) * 2019-11-29 2021-06-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調査システム
CN111199077B (zh) * 2019-12-27 2023-12-01 深圳市华阳国际工程设计股份有限公司 扶梯的图纸生成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GB2591120A (en) * 2020-01-16 2021-07-21 Island Mobility Ltd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lecting a kit of parts for a stairlift rail
EP4090621B1 (de) * 2020-01-16 2023-10-25 Inventio Ag Verfahren zur digitalen dokumentation und simulation von in einer personentransportanlage installierten komponent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5452A1 (en) * 2002-10-15 2004-04-29 Kone Corporation Method of escalator modern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023A (ko) * 1993-09-21 1995-04-15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교체요소에 적합한 용접 전처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weld pred locations for a replacement component)
JP2000159470A (ja) * 1998-11-20 2000-06-1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保守点検装置
US20020166220A1 (en) * 2001-05-11 2002-11-14 United Air Lines, Inc. Process for repairing a structure
JP3986303B2 (ja) 2001-12-06 2007-10-0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フレームに係る状態量測定方法
JP5048912B2 (ja) * 2002-11-06 2012-10-17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スカレータ及び動く歩道のビデオカメラ監視
JP2005316633A (ja) * 2004-04-28 2005-11-10 Hitachi Ltd 建築物、構造物、あるいはそれらに付随する設備の点検および監視方法
JP2006199434A (ja) * 2005-01-20 2006-08-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スカレータのモダニゼーション工法およびエスカレータ
EP2017216A1 (de) 2007-07-16 2009-01-21 Inventio Ag Trittelement für eine Fahreinrichtun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üfen von Trittelementleisten
US20100091015A1 (en) * 2008-10-15 2010-04-15 Robert Eric Heidel Product, service, and market integration of three dimensional modeling/rendering software for the construction, remodeling, manufacturing, designing, buying, and/or selling of homes, businesses, structures, vehicles, and/or buildings
RU91061U1 (ru) * 2009-10-08 2010-01-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ИФТ-КОМПЛЕКС ДС"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установок
CN101695983B (zh) * 2009-10-23 2011-12-21 浙江工业大学 基于全方位计算机视觉的自动扶梯节能与安全监控系统
FI123951B (fi) 2012-08-17 2013-12-31 Kone Corp Menetelmä hissiin liittyvän tiedon hallinnoinnissa
JP6188065B2 (ja) 2013-08-05 2017-08-3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用点検装置
CA2932988C (en) 2013-12-20 2022-05-24 Inventio Ag Arrangement of a monitoring sensor in an escalator or in a moving walkway
JP6233161B2 (ja) * 2014-04-11 2017-11-2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点検装置
EP2933779A1 (en) * 2014-04-15 2015-10-21 Alcatel Lucent Capturing an environment with objects
JP5902283B1 (ja) * 2014-11-26 2016-04-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CN107615006B (zh) 2015-06-09 2019-09-27 三菱电机株式会社 井道尺寸计测装置及井道尺寸计测方法
JP5976887B1 (ja) * 2015-06-10 2016-08-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昇降路形状情報生成システム、昇降路形状情報生成方法
US10387582B2 (en) * 2015-12-09 2019-08-20 Geomni,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puterized models of structures using geometry extraction and reconstruction techniques
US20210157312A1 (en) * 2016-05-09 2021-05-27 Strong Force Iot Portfolio 2016, Llc Intelligent vibration digital twin systems and methods for industrial environments
TWI720212B (zh) 2016-06-21 2021-03-01 瑞士商伊文修股份有限公司 將手扶梯或移動步道現代化之方法、用於此方法的裝置組合及新的橫樑
US10954102B2 (en) * 2017-01-26 2021-03-23 Otis Elevator Company Diagnostic step for a passenger conveyor
US10509120B2 (en) * 2017-02-16 2019-12-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idar-radar relative pose calibration
WO2020038915A1 (de) * 2018-08-24 2020-02-27 Inventio Ag Modernisierungsverfahren einer bestehenden personentransportanl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5452A1 (en) * 2002-10-15 2004-04-29 Kone Corporation Method of escalator modern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52206C2 (ru) 2021-07-23
PL3585719T3 (pl) 2021-07-26
CN110352173B (zh) 2020-11-24
JP7069194B2 (ja) 2022-05-17
US20200293700A1 (en) 2020-09-17
CA3049512A1 (en) 2018-08-30
TW201837868A (zh) 2018-10-16
WO2018153846A1 (de) 2018-08-30
ES2870711T3 (es) 2021-10-27
RU2019129339A3 (ko) 2021-05-26
AR111514A1 (es) 2019-07-24
RU2019129339A (ru) 2021-03-29
AU2018223142A1 (en) 2019-08-22
KR102451536B1 (ko) 2022-10-05
JP2020508273A (ja) 2020-03-19
EP3585719B1 (de) 2021-04-07
US11472673B2 (en) 2022-10-18
CN110352173A (zh) 2019-10-18
EP3585719A1 (de) 2020-01-01
TWI789376B (zh) 2023-01-11
AU2018223142B2 (en) 2021-04-01
SG11201906244TA (en)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536B1 (ko)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지지 구조체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FI123925B (fi) Menetelmä hissiin liittyvän tiedon hallinnoinnissa
KR102561604B1 (ko) 궤도교통 기관차 차량 점검 장치 및 시스템
EP3168162B1 (en) Advanced automated process for the wing-to-body join of an aircraft with predictive surface scanning
US10408608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ligning guide rails of an elevator
CN101322071A (zh) 投影缺陷和检查位置的系统及相关方法
KR20230069095A (ko) 선로의 목표 형상 설정에 의해 선로의 형상을 수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2689608B (zh) 用于在升降机竖井中规划和至少部分地安装升降机设备的方法
KR100999642B1 (ko) 차체 위치 보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체 위치 보정 방법
US11977364B2 (en) Modernization method of an existing passenger transport system
JPWO2018154774A1 (ja) 寸法測定装置
JP3222202U (ja) クレーンレール検査システム
JP4287951B2 (ja) 造船生産ラインの自動配材仮組方法および装置
DK0798190T3 (da) Positionering af montagedele på større af skinnekøretøjer
JP7017237B2 (ja) 軌道用路盤計測システム
JP2001062758A (ja) ぎ装品取り付け位置マーキング装置
JPWO2016103492A1 (ja) 形状計測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902715B1 (ko) 게임기 및 이에 이용되는 자주체
CN114502456A (zh) 用于测量车辆零件的空隙和齐平度的方法以及测量隧道
KR20230173337A (ko) 건물의 균열검사를 위한 무인 이동로봇 및 이를 이용한 균열검사방법
CN114967295A (zh) 引导和监控大规模设施内活动的投影系统
JP2022151096A (ja) 位置推定システム及び位置推定方法
JP2024000554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制動距離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KR20200082595A (ko) 점 패턴을 이용한 위치 정보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