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663A - 쇼벨 - Google Patents

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663A
KR20190122663A KR1020197023115A KR20197023115A KR20190122663A KR 20190122663 A KR20190122663 A KR 20190122663A KR 1020197023115 A KR1020197023115 A KR 1020197023115A KR 20197023115 A KR20197023115 A KR 20197023115A KR 20190122663 A KR20190122663 A KR 20190122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image
shovel
displa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637B1 (ko
Inventor
소우 사쿠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된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장착 가능한 복수의 장착부가 적어도 좌우방향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모니터장착대를 구비하는 쇼벨.

Description

쇼벨
본 발명은, 쇼벨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로서의 쇼벨을 조작하는 조작자에게는, 어태치먼트에 의한 굴착 등의 작업을 효율적이고 또한 정확하게 행하기 위하여, 숙련된 조작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쇼벨의 조작 경험이 적은 조작자여도 작업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도록, 쇼벨의 조작을 가이드하는 기능(이하, "머신가이던스기능"이라고 칭함)을 갖는 쇼벨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쇼벨에서는, 머신가이던스기능에 관한 많은 정보를 표시시키기 위하여, 캐빈 내에 대형의 표시장치가 장착된다. 대형의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한 쌍의 프론트필러 중 어태치먼트에 근접하는 측의 필러에 장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36943호
그러나, 상기의 쇼벨에서는, 작업내용이나 작업현장에 따라서는, 대형의 표시장치가 작업을 위한 시야를 차단해 버려, 조작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작업내용이나 작업현장에 따라 표시장치의 장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쇼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쇼벨에 의하면,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된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장착 가능한 복수의 장착부가 적어도 좌우방향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모니터장착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업내용이나 작업현장에 따라 표시장치의 장착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접속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쇼벨의 컨트롤러 및 머신가이던스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쇼벨의 캐빈 내에서 전방을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쇼벨의 캐빈 내에서 전방을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5는 도 1의 쇼벨의 캐빈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쇼벨의 캐빈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쇼벨의 캐빈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2 표시장치의 화상표시부에 표시되는 메인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쇼벨(PS)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 중, 화살표 X1 방향은 전방향, 화살표 X2 방향은 후방향, 화살표 Z1 방향은 상방향, 화살표 Z2 방향은 하방향을 나타낸다. 각 방향은, 운전석에 착석하는 조작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PS)의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선회 가능하게 상부선회체(3)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3)에는, 붐(4)이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는, 암(5)이 장착되어 있다. 암(5)의 선단에는, 암톱핀(P1) 및 버킷링크핀(P2)에 의하여 엔드어태치먼트(작업부위)로서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엔드어태치먼트로서는, 법면용버킷, 준설용(浚渫用)버킷, 브레이커 등이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붐(4), 암(5), 및 버킷(6)은, 어태치먼트의 일례로서 굴착어태치먼트를 구성하고,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구동된다. 붐(4), 암(5), 및 버킷(6)에는, 각각 붐각도센서(S1), 암각도센서(S2), 및 버킷각도센서(S3)가 장착되어 있다. 굴착어태치먼트에는, 버킷틸트기구가 마련되어도 된다.
붐각도센서(S1)는, 붐(4)의 회동각도를 검출한다. 붐각도센서(S1)는, 예를 들면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여, 상부선회체(3)에 대한 붐(4)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이다.
암각도센서(S2)는, 암(5)의 회동각도를 검출한다. 암각도센서(S2)는, 예를 들면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여, 붐(4)에 대한 암(5)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이다.
버킷각도센서(S3)는, 버킷(6)의 회동각도를 검출한다. 버킷각도센서(S3)는, 예를 들면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여, 암(5)에 대한 버킷(6)의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이다.
굴착어태치먼트가 버킷틸트기구를 구비하는 경우, 버킷각도센서(S3)는, 틸트축을 중심으로 한 버킷(6)의 회동각도를 추가적으로 검출한다. 붐각도센서(S1), 암각도센서(S2), 및 버킷각도센서(S3)는, 가변저항기를 이용한 퍼텐쇼미터, 대응하는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양을 검출하는 스트로크센서, 연결을 중심으로 한 회동각도를 검출하는 로터리인코더 등이어도 된다.
상부선회체(3)는, 엔진(11) 등의 동력원, 차체경사센서(S4)가 탑재되고, 커버(3a)에 의하여 덮여있다. 차체경사센서(S4)는, 상부선회체(3)의 경사각도를 검출한다. 차체경사센서(S4)는, 예를 들면 수평면에 대한 경사를 검출하여, 상부선회체(3)의 경사각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이다.
상부선회체(3)의 커버(3a) 상부에는, 촬상장치(80)가 마련되어 있다. 촬상장치(80)는, 상부선회체(3)로부터 캐빈(10)을 향하여, 좌측을 촬상하는 좌측카메라(80L), 우측을 촬상하는 우측카메라(80R), 후방을 촬상하는 후방카메라(80B)를 갖는다. 좌측카메라(80L), 우측카메라(80R), 및 후방카메라(80B)는, 예를 들면 CCD나 CMOS 등의 촬상소자를 갖는 디지털카메라이며, 각각 촬영한 화상을 캐빈(10) 내에 마련되어 있는 제1 표시장치(40)에 보낸다.
상부선회체(3)에는, 운전실로서의 캐빈(10)이 마련되어 있다. 캐빈(10)의 정부(頂部)에는, GPS장치(GNSS수신기)(G1), 및 송신장치(T1)가 마련되어 있다. GPS장치(G1)는, 쇼벨(PS)의 위치를 GPS기능에 의하여 검출하여, 위치데이터를 컨트롤러(30) 내의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공급한다. 송신장치(T1)는, 쇼벨(PS)의 외부를 향하여 정보를 발신한다. 또, 캐빈(10) 내에는, 컨트롤러(30), 제1 표시장치(40), 제2 표시장치(40S), 음성출력장치(43), 입력장치(45), 기억장치(47), 및 게이트로크레버(49)가 마련되어 있다.
컨트롤러(30)는, 쇼벨(PS)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주(主)제어부로서 기능한다. 컨트롤러(30)는, CPU 및 내부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30)의 각종 기능은, CPU가 내부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컨트롤러(30)는, 쇼벨(PS)의 조작을 가이드하는 머신가이던스장치(50)로서도 기능한다.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예를 들면 조작자가 설정한 목표지형의 표면인 목표면과 어태치먼트의 작업부위와의 거리 등과 같은 작업정보를 조작자에게 알린다. 목표면과 어태치먼트의 작업부위와의 거리는, 예를 들면 엔드어태치먼트로서의 버킷(6)의 선단(치선(齒先)), 버킷(6)의 배면, 엔드어태치먼트로서의 브레이커의 선단 등과 목표면의 사이의 거리이다.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제1 표시장치(40), 제2 표시장치(40S), 음성출력장치(43) 등을 통하여, 작업정보를 조작자에게 알리고, 쇼벨(PS)의 조작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머신가이던스장치(50)가 컨트롤러(30)에 포함되어 있지만, 머신가이던스장치(50)와 컨트롤러(30)는 따로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컨트롤러(30)와 동일하게, CPU 및 내부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장치로 구성된다. 머신가이던스장치(50)의 각종 기능은, CPU가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는, 컨트롤러(30)에 포함되는 머신가이던스장치(50)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각종 작업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는, 예를 들면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접속되는 차재(車載)액정디스플레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표시장치(40S)의 화면사이즈는 제1 표시장치(40)의 화면사이즈보다 크다. 단, 제2 표시장치(40S)의 화면사이즈는 제1 표시장치(40)의 화면사이즈 이하여도 된다.
음성출력장치(43)는, 컨트롤러(30)에 포함되는 머신가이던스장치(50)로부터의 음성출력지령에 따라 각종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음성출력장치(43)는, 예를 들면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접속되는 차재스피커를 포함한다. 또, 음성출력장치(43)는, 버저 등의 경보기를 포함해도 된다.
입력장치(45)는, 쇼벨(PS)의 조작자가 머신가이던스장치(50)를 포함하는 컨트롤러(30)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입력장치(45)는, 예를 들면 제2 표시장치(40S)에 마련되는 멤브레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장치(45)는, 예를 들면, 버킷(6)의 치수 등을 설정하는 치수설정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치수설정화면 전환스위치, 버저음의 주파수(높낮이), 음량 등을 설정하는 버저설정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버저설정화면 전환스위치, 측량모드의 사용을 유효하게 할 지 여부 등을 설정하는 측량설정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측량설정화면 전환스위치, 기준점설정화면 전환스위치, 버킷벤치세트기능스위치, 선회벤치세트기능스위치 등을 포함해도 된다. 또, 입력장치(45)는,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의 각각에 대응지어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입력장치(45)로서 터치패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기억장치(47)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장치이다. 기억장치(47)는, 예를 들면 반도체메모리 등의 불휘발성기억매체이다. 기억장치(47)는, 머신가이던스장치(50)를 포함하는 컨트롤러(30) 등이 출력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게이트로크레버(49)는, 캐빈(10)의 도어와 운전석의 사이에 마련되어, 쇼벨(PS)이 잘못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이다. 조작자가 운전석에 탑승하여 게이트로크레버(49)를 당겨 올리면, 조작자는 캐빈(10)으로부터 퇴출할 수 없게 됨과 함께, 각종 조작 장치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조작자가 게이트로크레버(49)를 눌러 내리면, 조작자는 캐빈(10)으로부터 퇴출 가능하게 됨과 함께, 각종 조작 장치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접속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는, 캐빈(10) 내에 마련되어, 머신가이던스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작업정보 등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는, 컨트롤러(30)에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등의 통신네트워크, 전용선 등을 통하여 머신가이던스장치(50)를 포함한다.
제1 표시장치(40)는, 화상표시부(41)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하는 변환처리부(40a)를 갖는다. 변환처리부(40a)는, 촬상장치(80)로부터 얻어지는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표시부(41) 상에 표시하는 촬영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생성한다. 제1 표시장치(40)에는, 좌측카메라(80L), 우측카메라(80R), 및 후방카메라(80B)의 각각으로부터 화상데이터가 입력된다.
또, 변환처리부(40a)는, 컨트롤러(30)로부터 제1 표시장치(40)에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 중 화상표시부(41)에 표시시킬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컨트롤러(30)로부터 제1 표시장치(40)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엔진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요소수의 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변환처리부(40a)는, 변환한 화상신호를 화상표시부(41)에 출력하고, 촬영화상이나 각종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한 화상을 화상표시부(41)에 표시시킨다. 다만, 변환처리부(40a)는, 제1 표시장치(40)가 아니라, 예를 들면 컨트롤러(30)에 마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촬상장치(80)는,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제1 표시장치(40)는, 입력부로서의 스위치패널(42)을 갖는다. 스위치패널(42)은, 각종 하드웨어스위치를 포함하는 패널이다. 스위치패널(42)은, 라이트스위치(42a), 와이퍼스위치(42b), 윈도와셔스위치(42c)를 갖는다.
라이트스위치(42a)는, 캐빈(10)의 외부에 장착되는 라이트의 점등·소등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와이퍼스위치(42b)는, 와이퍼의 작동·정지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윈도와셔스위치(42c)는, 윈도와셔액을 분사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제2 표시장치(40S)는, 제1 표시장치(40)와 동일하게, 화상을 생성하는 변환처리부(40Sa)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표시장치(40S)는 촬상장치(80)에 직접적으로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변환처리부(40Sa)는 촬영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생성하지 않는다. 단, 변환처리부(40Sa)는, 제2 표시장치(40S)가 촬상장치(80)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촬영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변환처리부(40Sa)는, 컨트롤러(30)로부터 제2 표시장치(40S)에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 중 화상표시부(41S)에 표시시킬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처리부(40Sa)는, 변환된 화상신호를 화상표시부(41S)에 출력하고, 각종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한 화상을 화상표시부(41S)에 표시시킨다. 다만, 변환처리부(40Sa)는, 제2 표시장치(40S)가 아니라, 예를 들면 컨트롤러(30)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는, 축전지(70)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축전지(70)는, 엔진(11)의 얼터네이터(11a)(발전기)로 발전한 전력으로 충전된다. 축전지(70)의 전력은, 컨트롤러(30),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 이외의 쇼벨(PS)의 전장품(72) 등에도 공급된다. 또, 엔진(11)의 스타터(11b)는, 축전지(70)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어 엔진(11)을 시동시킨다.
엔진(11)은,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에 접속되어, 엔진제어장치(ECU)(74)에 의하여 제어된다. ECU(74)로부터는,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수온센서(11c)로 검출되는 냉각수온(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가 컨트롤러(30)에 상시 송신된다. 컨트롤러(30)는 내부의 기억부(30a)에 이 데이터를 축적하고, 적절히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에 송신할 수 있다.
메인펌프(14)는, 고압유압라인(16)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이다. 메인펌프(14)는, 예를 들면 사판식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22)을 통하여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펌프이다. 파일럿펌프(15)는, 예를 들면 고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는, 쇼벨(PS)에 있어서의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이다. 컨트롤밸브(17)는, 예를 들면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유압모터, 및 선회용유압모터 등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주행용유압모터, 및 선회용유압모터를, "유압액추에이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조작장치(26)는, 캐빈(10) 내에 마련되어, 조작자에 의하여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에 이용된다. 조작장치(26)가 조작되면, 파일럿펌프로부터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유량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각 파일럿포트에는, 대응하는 조작장치(26)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의 작동유가 공급된다.
조작장치(26)는, 붐조작레버, 암조작레버, 버킷조작레버, 주행용유압모터나 선회용유압모터 등을 구동시키는 조작레버, 조작페달을 포함한다. 조작자가 붐조작레버를 조작하면, 붐실린더(7)를 유압구동시켜, 붐(4)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자가 암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암실린더(8)를 유압구동시켜, 암(5)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자가 버킷조작레버를 조작하면, 버킷실린더(9)를 유압구동시켜, 버킷(6)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자가 주행용유압모터나 선회용유압모터 등을 구동시키는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주행용유압모터나 선회용유압모터 등을 유압구동시켜, 하부주행체(1)나 상부선회체(3)를 조작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종 데이터를 취득한다. 컨트롤러(30)가 취득한 데이터는, 기억부(30a)에 저장된다.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인 메인펌프(14)의 레귤레이터(14a)는, 사판각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보낸다. 또, 토출압력센서(14b)는, 메인펌프(14)의 토출압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보낸다. 이들 데이터(물리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기억부(30a)에 저장된다. 또, 메인펌프(14)가 흡입하는 작동유가 저장된 탱크와 메인펌프(14)의 사이의 관로에 마련되어 있는 유온센서(14c)는, 관로를 흐르는 작동유의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보낸다.
압력센서(15a, 15b)는, 조작장치(26)가 조작되었을 때에 컨트롤밸브(17)에 보내지는 파일럿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파일럿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보낸다. 조작장치(26)에는, 스위치버튼(27)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자는, 조작장치(26)를 조작하면서 스위치버튼(27)을 조작함으로써, 컨트롤러(30)에 지령신호를 보낼 수 있다.
쇼벨(PS)의 캐빈(10) 내에는,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이 마련되어 있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엔진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얼이며, 예를 들면 엔진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SP모드, H모드, A모드, 및 IDLE모드의 4단계로 엔진회전수를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은, 엔진회전수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컨트롤러(30)에 보낸다. 다만, 도 2에는,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에 의하여 H모드가 선택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SP모드는, 작업량을 우선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가장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H모드는, 작업량과 연비를 양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2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A모드는, 연비를 우선시키면서 저소음으로 쇼벨(PS)을 가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3번째로 높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IDLE모드는, 엔진을 아이들링 상태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되는 회전수모드이며, 가장 낮은 엔진회전수를 이용한다. 엔진(11)은, 엔진회전수조정다이얼(75)로 설정된 회전수모드의 엔진회전수로 일정 회전수로 제어된다.
다음으로, 쇼벨(PS)의 컨트롤러(30) 및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쇼벨의 컨트롤러 및 머신가이던스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컨트롤러(30)는, ECU(74)를 포함하는 쇼벨(PS)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컨트롤러(30)는, 게이트로크레버(49)가 눌러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게이트로크밸브(49a)를 폐쇄상태로 하고, 게이트로크레버(49)가 당겨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게이트로크밸브(49a)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제어한다. 게이트로크밸브(49a)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밸브(17)와 조작장치(26) 등의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어 있는 전환밸브이다. 게이트로크밸브(49a)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게이트로크레버(49)와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게이트로크레버(49)의 동작에 따라 개폐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게이트로크밸브(49a)는, 폐쇄상태에 있어서, 컨트롤밸브(17)와 조작장치(26) 등의 사이의 작동유의 흐름을 차단하여 조작장치(26) 등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 또, 게이트로크밸브(49a)는, 개방상태에 있어서, 컨트롤밸브(17)와 조작장치(26) 등의 사이에서 작동유를 연통시켜 조작장치(26) 등의 조작을 유효하게 한다.
컨트롤러(30)는, 게이트로크밸브(49a)가 개방상태가 되어, 조작장치(26)의 조작이 유효하게 된 상태에서, 압력센서(15a, 15b)에 의하여 검출되는 파일럿압으로부터, 각 조작장치(26)의 조작량을 검출한다.
컨트롤러(30)는, 쇼벨(PS) 전체의 동작의 제어에 더하여,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의한 가이던스를 행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30)는, 쇼벨(PS)이 휴지 중이라고 판정했을 때는,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의한 가이던스를 중지하도록,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가이던스중지지령을 보낸다.
또, 컨트롤러(30)는, 오토아이들링스톱지령을 ECU(74)에 대하여 출력할 때에, 가이던스중지지령을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출력해도 된다. 혹은, 컨트롤러(30)는, 게이트로크레버(49)가 눌러 내려진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가이던스중지지령을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출력해도 된다.
다음으로, 머신가이던스장치(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붐각도센서(S1), 암각도센서(S2), 버킷각도센서(S3), 차체경사센서(S4), GPS장치(G1), 입력장치(45) 등으로부터, 컨트롤러(30)에 공급되는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수신한 신호 및 데이터에 근거하여 버킷(6) 등의 어태치먼트의 실제의 동작 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어태치먼트의 실제의 동작 위치와 목표면을 비교하여, 예를 들면 버킷(6)과 목표면의 사이의 거리 등을 산출한다.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쇼벨(PS)의 선회중심축으로부터 버킷(6)의 치선까지의 거리나, 목표면의 경사각도 등도 산출하여, 이들을 작업정보로서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에 송신한다. 다만,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이들 작업정보를 제2 표시장치(40S)에만 송신해도 된다.
다만, 머신가이던스장치(50)와 컨트롤러(30)가 따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머신가이던스장치(50)와 컨트롤러(30)는, CAN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머신가이던스장치(50)는, 높이산출부(503), 비교부(504), 표시제어부(505), 및 가이던스데이터출력부(506)를 갖는다.
높이산출부(503)는, 붐각도센서(S1), 암각도센서(S2), 및 버킷각도센서(S3)의 검출신호로부터 구해지는 붐(4), 암(5), 및 버킷(6)의 각도로부터, 버킷(6)의 선단(치선)의 높이를 산출한다.
비교부(504)는, 높이산출부(503)가 산출한 버킷(6)의 선단(치선)의 높이와, 가이던스데이터출력부(506)로부터 출력되는 가이던스데이터에 있어서 나타나는 목표면의 위치를 비교한다. 또, 비교부(504)는, 쇼벨(PS)에 대한 목표면의 경사각도를 구한다. 높이산출부(503)나 비교부(504)에 있어서 구해진 각종 데이터는, 기억장치(47)에 기억된다.
표시제어부(505)는, 비교부(504)에 의하여 구해진 버킷(6)의 높이나 목표면의 경사각도 등을, 작업정보로서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에 송신한다. 제1 표시장치(40)는, 촬상장치(80)로부터 보내지는 촬영화상과 함께, 표시제어부(505)로부터 보내지는 작업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2 표시장치(40S)는, 표시제어부(505)로부터 보내지는 작업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 표시제어부(505)는, 버킷(6)이 목표면보다 낮은 위치가 된 경우 등에는, 음성출력장치(43)를 통하여 조작자에게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캐빈(10)에 마련되는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의 장착위치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쇼벨의 캐빈(10) 내에서 전방을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4a는 제2 표시장치(40S)를 운전석(102)의 전방의 좌측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제2 표시장치(40S)를 운전석(102)의 전방의 우측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각 도면 중, 화살표 X1 방향은 전방향, 화살표 X2 방향은 후방향, 화살표 Y1 방향은 좌방향, 화살표 Y2 방향은 우방향, 화살표 Z1 방향은 상방향, 화살표 Z2 방향은 하방향을 나타낸다. 각 방향은, 운전석에 착석하는 조작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표시장치(40)는, 운전석(102)의 우전방에 있는 우필러(10R)의 폭에 들어가도록 우필러(10R)에 장착되어 있다. 정면을 향하여 운전석(102)에 앉는 조작자가 작업 중에 시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가 프론트유리(FG)를 통하여 버킷(6)을 중심 시야에서 파악했을 때에 제1 표시장치(40)를 주변시야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표시장치(40S)는, 운전석(102)의 전방에 있어서, 적어도 좌우방향의 다른 위치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표시장치(40S)는, 캐빈(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등거리가 되는 중심선(C)보다 좌측 또는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내용이나 작업현장에 따라서는, 우측에 마련하면 작업을 위한 시야를 차단하게 되는 경우와, 좌측에 마련하면 작업을 위한 시야를 차단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작업내용이나 작업현장에 따라 작업을 위한 시야를 차단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이하, 제2 표시장치(40S)의 장착위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쇼벨의 캐빈(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쇼벨의 캐빈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만, 각 도면 중, 화살표 X1 방향은 전방향, 화살표 X2 방향은 후방향, 화살표 Y1 방향은 좌방향, 화살표 Y2 방향은 우방향, 화살표 Z1 방향은 상방향, 화살표 Z2 방향은 하방향을 나타낸다. 각 방향은, 운전석에 착석하는 조작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쇼벨(PS)은, 캐빈(10)의 하방을 덮는 판상 부재인 바닥부재(104)와, 바닥부재(104)의 하방에 배치된 프레임(108)을 구비한다.
바닥부재(104)는, 좌필러(10L) 및 우필러(10R)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된 선단프레임(105)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124)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바닥부재(104) 및 선단프레임(105)은, 예를 들면 강판 등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08)은, 상부선회체(3)를 구성하는 것이며, 하부주행체(1)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108)은, 하부주행체(1)으로부터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감쇠장치(106)를 통하여 바닥부재(104)를 지지한다. 프레임(108)은, 전측가로빔(110)과 후측가로빔(112)을 갖는다.
전측가로빔(110)은, 좌우로 뻗어 있고, 좌우 한 쌍의 감쇠장치(106)(도 5에는, 1개만 도시)를 통하여, 바닥부재(104)의 전부(前部)를 지지하고 있다. 전측가로빔(110)은, 수평인 상면부(110a)와, 상면부(110a)의 전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후하방으로 비스듬하게 뻗는 전면부(110b)와, 상면부(110a)의 후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뻗는 후면부(110c)를 일체적으로 갖고, 상면부(110a)에 감쇠장치(106)가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있다. 전측가로빔(110)은, 예를 들면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후측가로빔(112)은, 전측가로빔(110)과 동일하게, 좌우로 뻗어 있고, 좌우 한 쌍의 감쇠장치(106)(도 5에는, 1개만 도시)를 통하여, 바닥부재(104)의 후부를 지지하고 있다. 후측가로빔(112)은, 예를 들면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바닥부재(104)의 상방에는, 조작자가 착석하는 운전석(102)이 마련되어 있다. 운전석(102)에 착석하는 조작자는, 캐빈(10)의 전면의 창으로부터 버킷(6)을 볼 수 있다. 운전석(102)의 근방에는, 조작자에 의한 운전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장치(26)가 마련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장치(26)는, 조작레버(26a, 26b, 26c, 26d), 조작페달(26e, 26f) 등을 포함한다. 조작레버(26a, 26b)는, 운전석(102)의 좌우 양옆에 마련되어 있고, 어태치먼트(붐(4), 암(5), 버킷(6))의 구동, 및 상부선회체(3)의 선회를 조작하는 것이다. 조작레버(26c, 26d)는, 운전석(102)의 전방에, 좌우 한 쌍으로서 마련되어 있고, 하부주행체(1)를 조작하는 것이다. 조작페달(26e, 26f)은, 운전석(102)의 전방의 바닥부재(104) 상에, 각각 조작레버(26c, 26d)와 직결하여 마련되어 있고, 조작레버(26c, 26d)와 동일하게, 하부주행체(1)를 조작하는 것이다. 조작페달(26e, 26f)의 외측에는, 각각 풋레스트(26g, 26h)가 마련되어 있다. 풋레스트(26g, 26h)는, 조작페달(26e, 26f)을 조작하지 않을 때에 발을 올려 신체를 지탱하는 것이다.
조작페달(26e, 26f), 풋레스트(26g, 26h)는, 바닥부재(104)의 소정위치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재(104)에는, 조작페달(26e, 26f), 풋레스트(26g, 26h)를 장착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구멍(260e, 260f, 260g, 260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페달(26e, 26f), 풋레스트(26g, 26h)는, 각각 장착구멍(260e, 260f, 260g, 260h)을 이용하여,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바닥부재(104)에 고정되어 있다.
또, 풋레스트(26h)의 우측에는, 어태치먼트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페달 등의 예비페달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260i)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구멍(260i)에는 조작페달 등의 예비페달은 장착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예비페달을 장착해도 된다.
또, 조작레버(26a, 26b, 26c, 26d), 조작페달(26e, 26f)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라인(22)이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라인(22)은, 조작레버(26a, 26b, 26c, 26d), 조작페달(26e, 26f)의 조작을 나타내는 유압을 컨트롤밸브(17)에 전달한다.
운전석(102)보다 전방이며, 전측가로빔(110)의 상방에는, 선단프레임(105)과 함께 체결되어 바닥부재(104)에 고정된 모니터장착대(122)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바닥부재(104)에 모니터장착대(122)를 장착하기 위한 새로운 장착구멍을 뚫을 것 없이 모니터장착대(122)를 바닥부재(104)에 고정할 수 있다.
모니터장착대(122)는, 캐빈(10) 내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뻗는 장척상의 판상 부재이며, 예를 들면 SS재(일반구조용 압연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모니터장착대(122)의 두께는, 강도를 높인다는 관점에서, 캐빈(10)의 바닥부재(104)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모니터장착대(122)의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에는, 삽통구멍(126, 128)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구멍(126, 128)에는, 전술한 바닥부재(104)를 선단프레임(105)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124)가 삽통되어 있다. 즉, 모니터장착대(122)는, 선단프레임(105)과 함께 체결되어 바닥부재(104)에 장착되어 있다.
모니터장착대(122)는, 길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제1 장착부(130)와 제2 장착부(132)를 갖는다.
제1 장착부(130)는, 캐빈(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등거리가 되는 중심선(C)보다 좌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장착부(130)는, 지지암(134)을 통하여 제2 표시장치(40S)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모니터장착대(12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착구멍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장착부(130)는, 2개의 장착구멍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암(134)에 형성된 장착구멍, 및 모니터장착대(122)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볼트(136)를 삽통시켜, 너트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지지암(134)이 모니터장착대(122)에 고정된다. 제1 장착부(130)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레버(26c)의 조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조작레버(26c)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장착부(132)는, 캐빈(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등거리가 되는 중심선(C)보다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장착부(132)는, 지지암(134)을 통하여 제2 표시장치(40S)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모니터장착대(12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장착구멍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장착부(132)는, 2개의 장착구멍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암(134)에 형성된 장착구멍, 및 모니터장착대(122)에 형성된 장착구멍에 볼트(136)를 삽통시켜, 너트로 나사결합함으로써, 지지암(134)이 모니터장착대(122)에 고정된다. 제2 장착부(132)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레버(26d)의 조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조작레버(26d)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암(134)은, 제2 표시장치(40S)를 모니터장착대(122)에 장착하기 위한 지지봉이다. 지지암(134)은, 볼트(136)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모니터장착대(122)에 고정된다. 이때, 지지암(134)은, 강도를 높인다는 관점에서, 복수(예를 들면 4개 이상)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모니터장착대(12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암(134)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는, 리브(138)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지지암(134)의 전후방향에 대한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도시한 예에서는, 리브(138)는, 지지암(134)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 지지암(134)은, 회전 가능하고 또한 경사 가능하게 제2 표시장치(40S)를 지지하는 브래킷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장착대(122)에는, 운전석(102)보다 전방이며, 캐빈(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등거리가 되는 중심선(C)보다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2 표시장치(40S)를 부착 가능한 제1 장착부(130) 및 제2 장착부(132)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내용이나 작업현장에 따라, 조작자가 보아 전방의 좌측 또는 우측에 제2 표시장치(40S)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쇼벨을 조작하는 조작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2 표시장치(40S)의 전원라인 및 신호선을 포함하는 배선(40Sc)은,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102)의 우측의 콘솔(150) 내에 배선된다. 제2 표시장치(40S)의 신호선은, 콘솔(150) 내를 통과하여 운전석(102)의 후방에 배치된 컨트롤러(30)에 접속된다. 다만, 전원라인 및 신호선을 포함하는 배선(40Sc)은, 콘솔(150)의 외측에 배선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캐빈(10)에 마련되는 제1 표시장치(40) 및 제2 표시장치(40S)의 장착위치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쇼벨의 캐빈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중, 화살표 X1 방향은 전방향, 화살표 X2 방향은 후방향, 화살표 Y1 방향은 좌방향, 화살표 Y2 방향은 우방향을 나타낸다. 각 방향은, 운전석에 착석하는 조작자로부터 본 방향이다.
도 7에 나타나는 쇼벨(PS)에서는, 모니터장착대(122)가, 풋레스트(26g, 26h)와 함께 체결되어 바닥부재(104)에 고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모니터장착대(122)는, 바닥부재(104)에 풋레스트(26g, 26h)를 고정할 때에 이용되는 장착구멍(260g, 260h)을 사용하여, 기존의 볼트 등의 체결부재(140)에 의하여 바닥부재(104)에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바닥부재(104)에 모니터장착대(122)를 장착하기 위한 새로운 장착구멍을 뚫을 것 없이 모니터장착대(122)를 바닥부재(104)에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모니터장착대(122)는, 바닥부재(104)에 조작페달(26e, 26f)을 고정할 때에 이용되는 장착구멍(260g, 260h)을 사용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바닥부재(104)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 모니터장착대(122)는, 예비페달을 장착할 때에 이용되는 장착구멍(260i)을 사용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바닥부재(104)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모니터장착대(122)는, 상부선회체(3)의 프레임(108)에 바닥부재(104)를 고정하고 있는 기존의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상부선회체(3)의 프레임(108)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1 표시장치(40)의 화상표시부(41)에 표시되는 메인화면(41V)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메인화면(41V)은, 일시표시영역(41a), 주행모드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 평균연비표시영역(41d),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 엔진작동시간표시영역(41f), 냉각수온표시영역(41g), 연료잔량표시영역(41h),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 작동유온표시영역(41k), 및 카메라화상표시영역(41m)을 포함한다. 주행모드표시영역(41b),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 및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의 각각은, 쇼벨의 설정상태를 표시하는 설정상태 표시부의 예이다. 평균연비표시영역(41d), 엔진작동시간표시영역(41f), 냉각수온표시영역(41g), 연료잔량표시영역(41h),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 및 작동유온표시영역(41k)의 각각은, 쇼벨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운전상태표시부의 예이다.
일시표시영역(41a)은, 현재의 일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주행모드표시영역(41b)은, 현재의 주행모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어태치먼트표시영역(41c)은, 현재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평균연비표시영역(41d)은, 현재의 평균연비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엔진제어상태표시영역(41e)은, 엔진(11)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냉각수온표시영역(41g)은, 현재의 엔진냉각수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연료잔량표시영역(41h)은, 연료탱크(55)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회전수모드표시영역(41i)은, 현재의 회전수모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요소수잔량표시영역(41j)은, 요소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수의 잔량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작동유온표시영역(41k)은, 작동유탱크 내의 작동유의 온도상태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카메라화상표시영역(41m)은, 카메라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다음으로, 제2 표시장치(40S)의 화상표시부(41S)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2 표시장치(40S)의 화상표시부(41S)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의 예에서는, 화상표시부(41S)는, 작업부위가이던스정보의 일례인 치선가이던스정보를 표시하는, 위치표시화상(431), 제1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2), 제2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3), 버킷좌단정보화상(434), 버킷우단정보화상(435), 측면시 수치정보화상(436),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수치정보화상(437), 어태치먼트화상(438), 거리형식화상(439) 및 목표설정화상(440)을 포함한다.
위치표시화상(431)은, 목표시공면의 표시위치에 대한 버킷(6)의 작업부위(선단)의 표시위치의 변화에 따라, 버킷(6)의 작업부위(선단)로부터 목표시공면까지의 상대거리의 크기의 변화를, 표시개소를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내는 제1 화상의 1예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위치표시화상(431)은, 복수의 도형(세그먼트)이 세로방향으로 배열된 바 게이지이다. 위치표시화상(431)은, 제1 도형으로서의 목표세그먼트 G1과 제2 도형으로서의 복수의 세그먼트 G2를 갖는다.
목표세그먼트 G1은, 목표시공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킷(6)의 작업부위(선단)로부터 목표시공면까지의 상대거리가 소정범위 내인 것을 나타내는 도형(직선)이다. 소정범위는, 적절한 상대거리의 범위로서 미리 설정된 범위이다. 상대거리가 소정범위 내인 것은, 버킷(6)의 작업부위가 적절한 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목표세그먼트 G1은, 제2 화상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제2 화상은, 목표시공면에 대한 어태치먼트의 작업부위의 거리의 크기의 변화를, 동일개소에 있어서의 표시형식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낸다. 동일개소에 있어서의 표시형식은, 예를 들면, 아이콘, 배경색, 수치 등을 포함한다. 제2 화상의 표시형식의 변화는, 아이콘형상, 색, 및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화상은, 버킷좌단정보화상(434)과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의 조합이다. 목표세그먼트 G1은, 버킷좌단정보화상(434) 및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의 각각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목표세그먼트 G1, 버킷좌단정보화상(434) 및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은, 상하방향의 중앙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세그먼트 G2는, 각각 소정의 상대거리에 대응하는 도형이다. 대응하는 상대거리가 작은 세그먼트 G2일수록, 목표세그먼트 G1의 가까이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상대거리가 큰 세그먼트 G2일수록, 목표세그먼트 G1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각 세그먼트 G2는, 상대거리와 함께, 버킷(6)의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버킷(6)의 이동방향은, 버킷(6)의 작업부위를 목표시공면에 접근시키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그먼트 G2D는, 버킷(6)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목표시공면에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내고, 세그먼트 G2U는, 버킷(6)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목표시공면에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위치표시화상(431)은, 버킷(6)의 작업부위(선단)로부터 목표시공면까지의 실제의 상대거리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G2를, 다른 세그먼트 G2와는 다른 소정의 색으로 표시한다. 다른 세그먼트 G2와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세그먼트 G2를 세그먼트 G2A라고 한다. 위치표시화상(431)은, 세그먼트 G2A를 소정의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상대거리 및 이동방향을 나타낸다. 버킷(6)의 작업부위(선단)로부터 목표시공면까지의 상대거리가 클수록, 목표세그먼트 G1로부터 먼 세그먼트 G2가 세그먼트 G2A로서 소정의 색으로 표시되고, 버킷(6)의 작업부위(선단)로부터 목표시공면까지의 상대거리가 작을수록, 목표세그먼트 G1에 가까운 세그먼트 G2가 세그먼트 G2A로서 소정의 색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G2A는, 상대거리의 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변화하도록 표시된다.
세그먼트 G2A는, 상대거리가 소정범위의 최댓값보다 큰 경우, 제1 색으로 표시된다. 제1 색은, 예를 들면, 백색이나 황색 등의 눈에 띄지 않는 색이다. 이것은, 상대거리가 소정범위의 최댓값보다 큰 경우, 조작자에게 주의환기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 세그먼트 G2A는, 상대거리가 소정범위 내인 경우, 제2 색으로 표시된다. 제2 색은, 녹색 등의 눈에 띄는 색이다. 이것은, 버킷(6)이 적절한 위치에 있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기 쉽게 알리기 위해서이다. 또, 세그먼트 G2A는, 상대거리가 소정범위의 최솟값보다 작은 경우, 제3 색으로 표시된다. 제3 색은, 적색 등의 눈에 띄는 색이다. 이것은, 버킷(6)의 작업부위에 의하여 목표시공면이 불필요하게 깎일 우려가 있는 것을 조작자에게 주의환기하기 위해서이다.
또, 위치표시화상(431)은, 버킷(6)의 실제의 상대거리가 소정범위 내인 경우, 목표세그먼트 G1을, 다른 세그먼트와 다른 소정의 색으로 표시한다. 즉, 위치표시화상(431)은, 목표세그먼트 G1을 소정의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상대거리가 소정범위 내인 것을 나타낸다. 목표세그먼트 G1은, 상술한 제2 색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버킷(6)이 적절한 위치에 있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기 쉽게 알리기 위해서이다.
다만, 세그먼트 G2A 및 목표세그먼트 G1이 소정의 색으로 표시되고 있는 동안, 다른 세그먼트 G2는, 눈에 띄지 않는 색(배경색과 동일 또는 유사한 색 등)으로 표시되어도 되고, 표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1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2)은, 버킷(6)과 목표시공면과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표시한다. 제1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2)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버킷(6)과 목표시공면이, 버킷아이콘(G3) 및 목표시공면화상(G4)으로 모식적으로 표시된다. 버킷아이콘(G3)은, 버킷(6)을 나타내는 도형이며, 버킷(6)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목표시공면화상(G4)은, 목표시공면으로서의 지면을 나타내는 도형이며, 버킷아이콘(G3)과 동일하게,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목표시공면화상(G4)은, 버킷(6)을 종단하는 연직면에 있어서의 목표시공면을 나타내는 선분과 수평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목표법면각도 θ이며, 이하, "세로경사각"이라고 함)와 함께 표시되어도 된다. 버킷아이콘(G3)과 목표시공면화상(G4)과의 세로간격은, 실제의 버킷(6)의 선단과 목표시공면과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도록 표시된다. 버킷아이콘(G3)과 목표시공면화상(G4)과의 상대경사각도 동일하게, 실제의 버킷(6)과 목표시공면과의 상대경사각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도록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킷아이콘(G3)이 고정된 상태에서, 목표시공면화상(G4)의 표시높이 및 표시각도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목표시공면화상(G4)이 고정된 상태에서, 버킷아이콘(G3)의 표시높이 및 표시각도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버킷아이콘(G3) 및 목표시공면화상(G4)의 각각의 표시높이 및 표시각도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2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3)은, 버킷(6)과 목표시공면과 작업부위와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표시한다. 제2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3)에는, 조작자가 캐빈(10) 내에 앉아 쇼벨의 전방을 보았을 때의 버킷(6)과 목표시공면과 작업부위가, 버킷아이콘(G5), 목표시공면화상(G6) 및 작업부위화상(G7)으로 모식적으로 표시된다. 버킷아이콘(G5)은, 버킷(6)을 나타내는 도형이며, 조작자가 캐빈(10) 내에 앉아 쇼벨의 전방을 보았을 때의 버킷(6)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목표시공면화상(G6)은, 목표시공면으로서의 지면을 나타내는 도형이며, 버킷아이콘(G5)과 동일하게, 조작자가 캐빈(10) 내에 앉아 쇼벨의 전방을 보았을 때의 형태로 나타나 있다. 목표시공면화상(G6)은, 버킷(6)을 횡단하는 연직면에 있어서의 목표시공면을 나타내는 선분과 수평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목표법면각도 θ이며, 이하, "가로경사각"이라고 함)와 함께 표시되어도 된다. 작업부위화상(G7)은, 버킷(6)의 작업부위를 나타내는 도형이다. 작업부위는, 버킷(6)의 선단 중,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된 부위이다. 조작자는, 버킷(6)의 선단 중, 좌단(좌단의 치선), 우단(우단의 치선), 중앙(중앙의 치선) 등을 작업부위로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좌우는, 조작자가 캐빈(10) 내에 앉아 쇼벨의 전방을 보았을 때의 좌우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작업부위로서, 버킷(6)의 좌단이 선택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버킷아이콘(G5)의 선단좌단에 작업부위화상(G7)이 중첩하여 표시되어 있다. 버킷아이콘(G5)과 목표시공면화상(G6)과의 세로간격은, 실제의 버킷(6)의 선단과 목표시공면과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도록 표시된다. 버킷아이콘(G5)과 목표시공면화상(G6)과의 상대경사각도 동일하게, 실제의 버킷(6)과 목표시공면과의 상대경사각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도록 표시된다. 또, 작업부위화상(G7)은, 위치표시화상(431)과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목표시공면화상(G6)과 작업부위화상(G7)의 사이의 거리는, 위치표시화상(431)에 있어서의 목표세그먼트 G1과 세그먼트 G2A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고 있다.
조작자는, 제1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2)를 봄으로써, 버킷(6)과 목표시공면과의 위치관계나, 목표시공면의 대체적인 세로경사각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제1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2)에는, 조작자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제의 경사각보다 커지도록 기울여진 목표시공면화상(G4)이 표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 조작자는, 정확한 세로경사각을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목표시공면화상(G4)과 함께 표시된 세로경사각의 값을 봄으로써, 실제의 세로경사각을 알 수 있다. 제2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2 화상으로서의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은, 버킷(6)의 선단좌단과 목표시공면의 사이의 거리를 표시한다. 도 9의 예에서는,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은, 제1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2)의 하부에 표시되어 있다.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은, 좌단거리(G8)와 방향아이콘(G9)을 표시한다. 좌단거리(G8)는, 버킷(6)의 선단좌단과 목표시공면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좌단거리(G8)는, 버킷(6)의 좌단선단이 목표시공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양의 값으로 표시된다. 또, 좌단거리(G8)는, 버킷(6)의 좌단선단이 목표시공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음의 값으로 표시된다. 좌단거리(G8)는, 도 9의 예에서는, 0.30m로 되어 있다. 조작자는, 버킷좌단정보화상(434)에 수치표시되어 있는 좌단거리(G8)를 봄으로써, 정확한 좌단거리를 알 수 있다. 방향아이콘(G9)은, 버킷(6)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도형이다. 버킷(6)의 이동방향은, 버킷(6)의 좌단선단을 목표시공면에 접근시키는 방향이다. 도 9의 예에서는, 버킷(6)의 좌단선단은 목표시공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방향아이콘(G9)은 하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방향아이콘(G9) 및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의 배경의 색은, 좌단거리(G8)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도록 표시된다. 방향아이콘(G9)으로서, 예를 들면 좌단거리(G8)가 상대거리로서 채용되었을 경우에 표시되는 세그먼트 G2A 및 목표세그먼트 G1의 형상이 표시된다.
제2 화상으로서의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은, 버킷(6)의 선단우단과 목표시공면의 사이의 거리를 표시한다. 도 9의 예에서는,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은, 제2 목표시공면표시화상(433)의 하부에,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의 우측에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다. 즉, 버킷좌단정보화상(434)과,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은 동일한 높이에 표시되어 있다.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은, 우단거리(G10)와 방향아이콘(G11)을 표시한다. 우단거리(G10)는, 버킷(6)의 선단우단과 목표시공면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우단거리(G10)는, 버킷(6)의 우단선단이 목표시공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양의 값으로 표시된다. 또, 우단거리(G10)는, 버킷(6)의 우단선단이 목표시공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음의 값으로 표시된다. 우단거리(G10)는, 도 9의 예에서는, 좌단거리(G8)의 값과는 달리, 0.34m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9의 예에서는, 버킷(6)의 선단이 목표시공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조작자는, 버킷우단정보화상(435)에 수치표시되어 있는 우단거리(G10)를 봄으로써, 정확한 우단거리를 알 수 있다. 방향아이콘(G11)은, 버킷(6)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도형이다. 버킷(6)의 이동방향은, 버킷(6)의 우단선단을 목표시공면에 접근시키는 방향이다. 도 9의 예에서는, 버킷(6)의 우단선단은 목표시공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방향아이콘(G11)은 하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방향아이콘(G11) 및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의 배경의 색은, 우단거리(G10)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도록 표시된다. 방향아이콘(G11)으로서, 예를 들면 우단거리(G10)가 상대거리로서 채용되었을 경우에 표시되는 세그먼트 G2A 및 목표세그먼트 G1의 형상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의 배경은, 좌단거리(G8)가 소정범위의 최댓값보다 큰 경우, 제1 색으로 표시된다. 제1 색은, 예를 들면 백색이나 황색 등의 눈에 띄지 않는 색이다. 이것은, 좌단거리(G8)가 소정범위의 최댓값보다 큰 경우, 조작자에게 주의환기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이다. 또,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의 배경은, 좌단거리(G8)가 소정범위 내인 경우, 제2 색으로 표시된다. 제2 색은, 녹색 등의 눈에 띄는 색이다. 이것은, 버킷(6)의 선단좌단이 적절한 위치에 있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기 쉽게 알리기 위해서이다. 또,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의 배경은, 좌단거리(G8)가 소정범위의 최솟값보다 작은 경우, 제3 색으로 표시된다. 제3 색은, 적색 등의 눈에 띄는 색이다. 이것은, 버킷(6)의 선단좌단에 의하여 목표시공면이 불필요하게 깎일 우려가 있는 것을 조작자에게 주의환기하기 위해서이다. 버킷우단정보화상(435)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측면시 수치정보화상(436)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버킷(6)과 목표시공면의 사이의 관계를 표시한다. 도 9의 예에서는, 측면시 수치정보화상(436)은, 버킷좌단정보화상(434)의 하부에 표시되어 있다. 측면시 수치정보화상(436)은, 세로버킷각도(G12)와 세로버킷아이콘(G13)을 표시한다. 세로버킷각도(G12)는, 버킷(6)을 종단하는 연직면에 있어서의, 버킷(6)의 배면과 목표시공면과의 사이의 상대각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세로버킷각도(G12)는, 도 9의 예에서는, 10.34°로 되어 있다. 조작자는, 측면시 수치정보화상(436)에 수치표시되어 있는 세로버킷각도(G12)의 값을 봄으로써, 정확한 세로 버킷 각도를 알 수 있다. 세로버킷아이콘(G13)은, 세로버킷각도(G12)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형이다. 세로버킷아이콘(G13)은, 예를 들면, 목표시공면을 기준으로 하여, 버킷(6)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버킷(6) 및 목표시공면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버킷아이콘(G13)에 있어서의 버킷 부분의 기울기는 3단계의 기울기로 나타난다. 3단계의 기울기는 각각, 세로버킷각도(G12)가 양의 값, 제로, 또는, 음의 값인 것을 나타낸다. 단, 세로버킷아이콘(G13)에 있어서의 버킷 부분의 기울기는,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세로버킷각도(G12)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도록 표시되어도 된다.
정면시 수치정보화상(437)은, 조작자가 캐빈(10) 내에 앉아 쇼벨의 전방을 보았을 때의 버킷(6)과 목표시공면의 사이의 관계를 표시한다. 도 9의 예에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수치정보화상(437)은, 버킷우단정보화상(435)의 하부에, 측면시 수치정보화상(436)의 우측에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다. 정면시 수치정보화상(437)은, 가로버킷각도(G14)와 가로버킷아이콘(G15)을 표시한다. 가로버킷각도(G14)는, 버킷(6)을 횡단하는 연직면에 있어서의, 버킷(6)의 치선선과 목표시공면의 사이의 상대각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가로버킷각도(G14)는, 도 9의 예에서는, 12.11°로 되어 있다. 조작자는, 정면시 수치정보화상(437)에 수치표시되어 있는 가로버킷각도(G14)의 값을 봄으로써, 정확한 가로버킷각도를 알 수 있다. 가로버킷아이콘(G15)은, 가로버킷각도(G14)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형이다. 가로버킷아이콘(G15)은, 예를 들면, 목표시공면을 기준으로 하여, 조작자가 캐빈(10) 내에 앉아 쇼벨의 전방을 보았을 때의, 버킷(6) 및 목표시공면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버킷아이콘(G15)에 있어서의 버킷 부분의 기울기는, 세로버킷아이콘(G13)의 경우와 동일하게, 3단계의 기울기로 나타난다. 3단계의 기울기는 각각, 가로버킷각도(G14)가 양의 값, 제로, 또는, 음의 값인 것을 나타낸다. 단, 가로버킷아이콘(G15)에 있어서의 버킷 부분의 기울기는,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가로버킷각도(G14)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도록 표시되어도 된다.
어태치먼트화상(438)은, 장착되어 있는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9의 예에서는, 어태치먼트화상(438)은, 작업가이던스표시부(430)의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쇼벨에는, 버킷(6), 착암기, 그래플, 리프팅마그넷 등의 다양한 엔드어태치먼트가 장착된다. 어태치먼트화상(438)은, 예를 들면, 이들 엔드어태치먼트 모양의 마크 및 어태치먼트에 대응하는 번호를 표시한다. 어태치먼트의 번호는 미리 등록되어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어태치먼트화상(438)은, 엔드어태치먼트로서 번호 1에 대응하는 버킷(6)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엔드어태치먼트로서 착암기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어태치먼트화상(438)에는 착암기 모양의 마크가, 착암기에 대응하는 번호와 함께 표시된다.
거리형식화상(439)은, 버킷좌단정보화상(434)에 표시되는 좌단거리(G8)와, 버킷우단정보화상(435)에 표시되는 우단거리(G10)와의 표시형식을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9의 예에서는, 거리형식화상(439)은, 작업가이던스표시부(430)의 하단에, 어태치먼트화상(438)의 우측에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다. 좌단거리(G8) 및 우단거리(G10)는, 연직거리표시형식, 또는, 법선거리표시형식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표시된다. 연직거리는, 목표시공면에 대한 연직방향의 거리이다. 법선거리는, 목표시공면에 대한 법선방향의 거리이다. 조작자는, 좌단거리(G8) 및 우단거리(G10)의 표시형식을, 연직거리표시형식 또는 법선거리표시형식으로 선택 가능하다. 좌단거리(G8) 및 우단거리(G10)는,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된 표시형식으로 표시된다. 거리형식화상(439)은, 조작자에 의하여 선택된 표시형식 모양의 마크를 표시한다. 도 9의 예에서는, 좌단거리(G8) 및 우단거리(G10)는, 연직거리표시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목표설정화상(440)은, 목푯값이나 목표시공면의 설정이 끝났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도 9의 예에서는, 목표설정화상(440)은, 작업가이던스표시부(430)의 하단에, 거리형식화상(439)의 우측에 인접하여 표시되어 있다. 목표설정화상(440)은, 목푯값이나 목표시공면의 설정이 끝났는지 여부에 대응하는 마크를 표시한다. 도 9의 예에서는, 목표설정화상(440)은, 목푯값 및 목표설정화상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내용은,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모니터장착대(122)에 제2 표시장치(40S)를 부착 가능한 2개의 장착부(제1 장착부(130), 제2 장착부(132))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장착부는 3개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장착부가 3개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경우, 제2 표시장치(40S)의 장착위치의 자유도가 보다 높아진다.
또, 예를 들면 모니터장착대(122)에 제2 표시장치(40S)를 장착 가능한 슬라이드레일을 마련해도 된다. 모니터장착대(122)에 슬라이드레일을 마련함으로써, 제2 표시장치(40S)의 장착위치의 자유도가 보다 높아진다. 슬라이드레일에는, 예를 들면 제2 표시장치(40S)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로크기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슬라이드레일을 모니터장착대(122) 대신에 마련해도 된다.
본 국제출원은, 2017년 3월 2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17-039216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당해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 하부주행체
3 상부선회체
10 캐빈
26c, 26d 조작레버
26e, 26f 조작페달
40 제1 표시장치
40S 제2 표시장치
104 바닥부재
108 프레임
110 전측가로빔
122 모니터장착대
130 제1 장착부
132 제2 장착부
134 지지암
138 리브

Claims (12)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된 운전실과,
    상기 운전실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표시장치를 장착 가능한 복수의 장착부가 적어도 좌우방향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모니터장착대를 구비하는, 쇼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부는, 상기 운전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등거리가 되는 중심선보다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중심선보다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장착부를 포함하는, 쇼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에는, 상기 하부주행체를 조작하는 조작레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조작레버보다 좌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조작레버보다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쇼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2 장착부는, 상기 조작레버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쇼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장착대는, 상기 운전실과 함께 체결되어 상기 상부선회체에 고정되어 있는, 쇼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장착대는, 상기 상부선회체의 전측의 가로빔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는, 쇼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에는, 상기 하부주행체를 조작하는 조작페달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장착대는, 상기 운전실에 상기 조작페달을 고정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운전실에 고정되어 있는, 쇼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장착대는, 장척상의 판상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니터장착대의 두께는, 상기 운전실의 바닥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쇼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장착대는, 복수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운전실에 고정되어 있는, 쇼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암을 구비하는, 쇼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은, 복수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모니터장착대에 고정되어 있는, 쇼벨.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쇼벨.
KR1020197023115A 2017-03-02 2018-03-01 쇼벨 KR102506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39216 2017-03-02
JPJP-P-2017-039216 2017-03-02
PCT/JP2018/007710 WO2018159742A1 (ja) 2017-03-02 2018-03-01 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663A true KR20190122663A (ko) 2019-10-30
KR102506637B1 KR102506637B1 (ko) 2023-03-03

Family

ID=6337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115A KR102506637B1 (ko) 2017-03-02 2018-03-01 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8318B2 (ko)
EP (1) EP3591125B1 (ko)
JP (1) JP7003107B2 (ko)
KR (1) KR102506637B1 (ko)
CN (1) CN110291257A (ko)
WO (1) WO2018159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8062374A1 (ja) * 2016-09-30 2019-07-25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WO2018159742A1 (ja) * 2017-03-02 2018-09-07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11332013B2 (en) 2019-08-29 2022-05-17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Mounting structure for operator interface of a machine
WO2021097105A1 (en) * 2019-11-12 2021-05-20 Clark Equipment Company Display integrated into door
US20220341127A1 (en) * 2021-04-26 2022-10-27 Caterpillar Inc. Multi-function joystick with asymmetric grip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452U (ja) * 1991-10-18 1993-05-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回転可能なモニタパネル
JP2005119362A (ja) * 2003-10-14 2005-05-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US20110068241A1 (en) * 2009-09-21 2011-03-24 Suddarth Wesley Allison Vertical display mounting device
JP2011105089A (ja) * 2009-11-16 2011-06-02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モニタ固定構造
WO2013021725A1 (ja) * 2011-08-09 2013-02-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4037680A (ja) * 2012-08-10 2014-02-27 Komatsu Ltd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JP2014136943A (ja)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US20140246468A1 (en) * 2013-03-01 2014-09-04 James L. Montgomery Rops mount for work vehicle display interface
CN105992714A (zh) * 2013-11-28 2016-10-05 戴姆勒股份公司 防钻入保护装置的结构
JP2017008582A (ja) * 2015-06-22 2017-01-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8615B2 (ja) * 1991-09-19 1999-06-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DE602004025020D1 (de) 2003-10-14 2010-02-2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Baumaschine
JP4704859B2 (ja) 2005-08-29 2011-06-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20090224898A1 (en) * 2008-03-07 2009-09-10 Deere & Company Relocatable Machine Monitor
US9205784B2 (en) * 2013-03-15 2015-12-08 Winnebago Industries, Inc. Dash dock and cradle design
DE112014000084B4 (de) 2014-07-30 2018-06-21 Komatsu Ltd. Anzeigevorrichtung einer Arbeitsmaschine, Anzeigeverfahren derselben und Arbeitsfahrzeug
JP6305963B2 (ja) 2015-08-17 2018-04-04 株式会社ソディック 射出成形機支援システムおよび射出成形機支援方法
WO2018159742A1 (ja) * 2017-03-02 2018-09-07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11040670B2 (en) * 2018-11-26 2021-06-22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Adjustable working machine operator display system
DE102019202005B3 (de) * 2019-02-14 2020-06-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alterung für eine Anzeige- und Bedieneinheit für Fahrzeuge
US11833976B2 (en) * 2021-01-21 2023-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ssory mounting device
US11511679B2 (en) * 2021-01-21 2022-1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ssory mounting track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452U (ja) * 1991-10-18 1993-05-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回転可能なモニタパネル
JP2005119362A (ja) * 2003-10-14 2005-05-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US20110068241A1 (en) * 2009-09-21 2011-03-24 Suddarth Wesley Allison Vertical display mounting device
JP2011105089A (ja) * 2009-11-16 2011-06-02 Caterpillar Japan Ltd 作業機械のモニタ固定構造
WO2013021725A1 (ja) * 2011-08-09 2013-02-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4037680A (ja) * 2012-08-10 2014-02-27 Komatsu Ltd モニ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車両
JP2014136943A (ja)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油圧ショベル
US20140246468A1 (en) * 2013-03-01 2014-09-04 James L. Montgomery Rops mount for work vehicle display interface
CN105992714A (zh) * 2013-11-28 2016-10-05 戴姆勒股份公司 防钻入保护装置的结构
JP2017008582A (ja) * 2015-06-22 2017-01-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03107B2 (ja) 2022-01-20
JPWO2018159742A1 (ja) 2020-01-09
WO2018159742A1 (ja) 2018-09-07
EP3591125A4 (en) 2020-04-15
US11518318B2 (en) 2022-12-06
EP3591125A1 (en) 2020-01-08
KR102506637B1 (ko) 2023-03-03
CN110291257A (zh) 2019-09-27
EP3591125B1 (en) 2021-07-14
US20190359145A1 (en)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6637B1 (ko) 쇼벨
KR102476122B1 (ko) 쇼벨
US10927528B2 (en) Shovel
KR102456138B1 (ko) 쇼벨
KR102298318B1 (ko) 쇼벨 및 쇼벨의 표시장치
KR102333458B1 (ko) 쇼벨 및 쇼벨의 표시장치
KR102493019B1 (ko) 쇼벨, 쇼벨의 표시장치 및 쇼벨의 표시방법
JP2017110472A (ja) ショベル
JP7455632B2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の管理装置
JP2022154720A (ja) ショベル、建設機械の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