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081A -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및 이에 의한 분리막 - Google Patents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및 이에 의한 분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081A
KR20190120081A KR1020190042803A KR20190042803A KR20190120081A KR 20190120081 A KR20190120081 A KR 20190120081A KR 1020190042803 A KR1020190042803 A KR 1020190042803A KR 20190042803 A KR20190042803 A KR 20190042803A KR 20190120081 A KR20190120081 A KR 2019012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physical properties
treatment
improving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366B1 (ko
Inventor
김영복
김민지
남관우
이제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9/00447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99137A1/ko
Priority to US16/646,595 priority patent/US20200287187A1/en
Priority to EP19785657.8A priority patent/EP3663337A4/en
Priority to CN201980003596.1A priority patent/CN110914346B/zh
Publication of KR2019012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87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3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 H01M2/145
    • H01M2/166
    • H01M2/168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4Tensile str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절연성,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높일 수 있는 분리막의 물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서 물성이 개선된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원 발명은 이미 제조된 분리막에 적용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미 제조된 분리막 바인더에 이중 결합을 생성한 후 상기 이중 결합을 통해 가교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가교개시제를 투여하여 가교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및 이에 의한 분리막 {Method of Improving Properties of Separator by Post Cross-linking and The Separator Produced Thereby}
본 출원은 2018년 04월 13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 2018-0043356 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원 발명은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및 이에 의한 분리막으로서, 구체적으로 올레핀 기재가 있거나 또는 올레핀 기재가 없는 완성된 분리막에 후처리를 통해 바인더 분자에 가교 가능 사이트를 형성하고 이를 가교시켜 상기 분리막의 절연 물성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상기 후처리 가교에 의해 물성이 향상된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분리막은 전지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이차전지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에 따라, 이들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니켈-아연 전지 등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전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모바일 기기 관련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비례하여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의 동력원까지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충방전이 가능한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장착한 것으로서,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전극은 금속 집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전극 활물질 등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도포하고 건조 및 압연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중 분리막은 이차전지의 수명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서, 양극과 음극은 전기적으로 절연 시키면서 전해액은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기계적 강도가 높으면서 고온 안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막의 절연저항을 높이고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리튬이온 전지의 경우 자가 방전으로 인한 저전압 현상이 문제가 되는데, 분리막의 낮은 절연저항이 중요한 원인이다.
특허문헌 1은 유기 개질된 알루미늄 보헤마이트 및 유기 고분자로 구성된 미세 다공성 고분자층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기계적 강도가 약해서 공정 중 불량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는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해질 및 고체 전해질 등으로 구성되며 분리막의 역할을 하는 중간층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전해질이 양극 및 음극 사이에 개재되거나,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원 발명과 대응되는 구조다. 표면 개질된 나노입자 복합체가 블록 공중합체에 분산되어 있는 점에서, 본원 발명과 차이가 있다.
특허문헌 3은 아민기를 포함한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한 분리막 코팅층; 및 가교성 관능기 포함한 단량체를 함유하는 분리막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염기성 물질 또는 아민기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부가하는 구체적인 단계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비특허문헌 1은 PVdF-HFP/PEGDMA(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의 가교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물질을 분리막에 적용한 것은 개시하지 않고, 고분자 전해액에만 적용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2는 보헤마이트 나노입자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고분자를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스트레스가 높은 전지셀 조립 과정에 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3은 유연성이 있고 열적 안정성이 있는 리튬 이차전지의 분리막으로서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다공성 세라믹막을 개시하고 있으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비특허문헌 4는 정삼투압 분리막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방사한 PVDF 지지체에 MPD(m-phenylene diamine)과 TMC(trimesoyl chloride)가 결합된 TFC(thin film composite)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전기방사한 PVDF 지지체의 친수성 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전기방사한 PVDF 지지체에 TEA(triethyl amine)를 처리하였다.
비특허문헌 5는 분리막 후처리에 따른 가교 기작을 보여주고 있으며, 비특허문헌 6은 가교된 분리막의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비특허문헌 7은 가교된 분리막의 절연특성이 향상된다는 점을 기재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분리막의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 등은 분리막을 제조하는 과정 중 추가의 수단 또는 공정을 부가하여 분리막의 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미 완성된 분리막의 후처리를 통해서 분리막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았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888335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402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93772호
Journal of Power Sources 144(1):238-243, June 2005 J Appl Electrochem 46: 69, 2016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03, 2014 RSC Adv., 6, 102762-102772, 2016 J. Appl. Polym. Sci. 8, 1415, 1964 Colloids and surfaces a:Physicochem. Eng. Aspects 297, 267, 2007 "Effect of cross-linking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LDPE and its lightning impulse ageing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Voltage Engineering, Hannover, Germany, 2011, August 22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성,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높일 수 있는 분리막의 물성을 개선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통해서 물성이 개선된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원 발명은 이미 제조된 분리막에 적용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제1양태는 a)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바인더의 일부 원소를 탈리시켜 가교가 가능한 결합부로 변형시키는 단계; c) 단계 b)의 처리 후에 상기 분리막에 가교개시제 및/또는 반응촉매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c)에서 가교개시제 외에 가교제를 동시에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이거나,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무기물 입자, 상기 무기물 입자 간의 결합을 위한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리막이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유전율 상수가 1 이상인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가진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가진 무기물 입자, 알루미나 수화물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
상기 바인더의 대표적인 예로는 PVdF, TFE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단계 b)는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의 일부 원소를 탈리시켜 단일 결합을 이중 결합으로 변형시키거나, 분리막에 염기성 물질 또는 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부가하는 것이다. 상기 염기성 물질 또는 아민기를 갖는 물질은 알칼리금속산화물, 알칼리토금속산화물, 제올라이트, 석회석, 탄산나트륨, 암모니아, 모노알킬아민, 바이알킬아민, 트리알킬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알킬은 탄소 1 내지 10개이다.
가교개시제로는 아조(azo)계 화합물 또는 퍼옥사이드(peroxide)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5인 디아미노알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디아미노알칸의 구체적인 예로는 1,6-diaminohexane 1,5-diaminopentane가 있다.
본원 발명의 제2양태는 본원 발명의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에 의해서 물성이 향상된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제3양태는 상기 물성이 향상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은 종래의 분리막에 대비하여 절연성, 인장강도가 향상된 분리막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폴리올레핀 기재가 있거나 없는 분리막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방법이 분리막을 제조하는 공정에 적용하는 반면 본원 발명은 이미 제조된 분리막의 물성을 개선한다는 점에서 전혀 다른 접근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 양산되고 있는 분리막의 조성 및 공정 조건을 전혀 변화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GEN 1 분리막의 인장강도 및 연신을 비교 측정한 값이다.
도 2은 GEN 1 분리막의 체적저항 및 저항을 비교 측정한 값이다.
도 3은 BA1 분리막의 인장강도 및 연신을 비교 측정한 값이다.
도 4는 BA1 분리막의 체적저항 및 저항을 비교 측정한 값이다.
도 5는 BA1 분리막의 코팅 후 처리 및 코팅 중 처리의 인장강도 및 연신을 비교 측정한 값이다.
도6은 BA1 분리막의 코팅 후 처리 및 코팅 중 처리의 체적저항 및 저항을 비교 측정한 값이다.
이하, 본원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제시된 구성은 본원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은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으로서,
a)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바인더의 일부 원소를 탈리시켜 가교가 가능한 결합부로 변형시키는 단계;
c) 단계 b)의 처리 후에 상기 분리막에 가교개시제 및/또는 반응촉매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바인더의 일부 원소를 탈리시켜 단일 결합을 이중 결합으로 변형시켜서 가교사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부 원소는 H 또는 F 또는 Cl이다.
상기 단계 b)는 분리막에 염기성 물질 또는 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부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가교개시제 외에 선택적으로 가교제를 동시에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결합부에 상기 가교개시제가 결합하거나,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바인더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교개시제 간의 별도 가교가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부에 상기 가교제가 결합하거나, 상기 가교제제 간의 별도 가교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단계 b)의 가교 가능한 결합부로 변형하는 것은 바인더 고분자 중 H, F, Cl등을 탈리시켜 이중결합을 형성하는 것이다. b) 단계에서 형성된 상기 가교 사이트간의 결합을 통해서 가교가 형성되거나, 단계 c)에서 투입된 가교개시제, 가교제 및/또는 반응촉매가 상기 가교 사이트간을 결합시키거나, 상기 가교개시제 및 가교제 간 별도의 가교 결합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1) 분리막의 종류
상기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이거나,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무기물 입자, 상기 무기물 입자 간의 결합을 위한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리막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기재는 통상의 분리막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기재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기술적인 사항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가 없는 구조는 종래의 분리막 기재를 생략하고 무기물층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바로 분리막을 구성한다. 이러한 무기물층으로만 구성되는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분리막 기재가 생략되기 때문에 분리막의 전체적인 강도가 낮아짐에 따라 전극조립체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이 손상되어 단락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분리막 물성 향상 방법은 이미 완성된 이러한 폴리올레핀 계열의 분리막 기재가 없는 분리막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기계적 강도 및 절연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무기물 입자
본원 발명에 따른 무기물 입자는, 무기물 입자들간 빈 공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여 미세 기공을 형성하는 역할과 물리적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일종의 스페이서(spacer) 역할을 겸하게 되고, 일반적으로 200℃ 이상의 고온이 되어도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무기물 입자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즉, 본원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는 적용되는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 기준으로 0~5V)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전해질 이온 전달 능력이 높은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화학소자 내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전해질 이온 전달 능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물 입자가 높은 밀도를 갖는 경우, 분리막 형성시 분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 제조시 무게 증가의 문제점도 있으므로, 가능한 밀도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전율이 높은 무기물인 경우, 액체 전해질 내 전해질 염, 예컨대 리튬염의 해리도 증가에 기여하여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상기 무기물 입자는 유전율 상수가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갖는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알루미나 수화물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전율 상수가 1 이상인 무기물 입자의 예로는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SiC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압전성(piezoelectricity) 무기물 입자는 상압에서는 부도체이나, 일정 압력이 인가되었을 경우 내부 구조 변화에 의해 전기가 통하는 물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전율 상수가 100 이상인 고유전율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일정 압력을 인가하여 인장 또는 압축되는 경우 전하가 발생하여 한 면은 양으로, 반대편은 음으로 각각 대전됨으로써, 양쪽 면 간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기능을 갖는 물질이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Local crush, Nail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양(兩) 전극의 내부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분리막에 코팅된 무기물 입자로 인해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촉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기물 입자의 압전성으로 인해 입자 내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양(兩) 전극 간의 전자 이동, 즉 미세한 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짐으로써, 완만한 전지의 전압 감소 및 이로 인한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성을 갖는 무기물 입자의 예로는 BaTiO3, Pb(Zr,Ti)O3 (PZT), Pb1-xLaxZr1-yTiyO3 (PLZT), Pb(Mg1/3Nb2/3)O3-PbTiO3 (PMN-PT) hafnia (HfO2)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는 리튬 원소를 함유하되 리튬을 저장하지 아니하고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무기물 입자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는 입자 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일종의 결함(defect)으로 인해 리튬 이온을 전달 및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지 내 리튬 이온 전도도가 향상되고, 이로 인해 전지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의 예로는 리튬포스페이트(Li3PO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xTiy(PO4)3, 0<x<2, 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LixAlyTiz(PO4)3, 0<x<2, 0<y<1, 0<z<3), 14Li2O-9Al2O3-38TiO2-39P2O5 등과 같은 (LiAlTiP)xOy 계열 glass (0<x<4, 0<y<13),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xLayTiO3, 0<x<2, 0<y<3), Li3.25Ge0.25P0.75S4 등과 같은 리튬게르마니움티오포스페이트(LixGeyPzSw, 0<x<4, 0<y<1, 0<z<1, 0<w<5), Li3N 등과 같은 리튬나이트라이드(LixNy, 0<x<4, 0<y<2), Li3PO4-Li2S-SiS2 등과 같은 SiS2 계열 glass(LixSiySz, 0<x<3, 0<y<2, 0<z<4), LiI-Li2S-P2S5 등과 같은 P2S5 계열 glass (LixPySz, 0<x<3, 0<y<3, 0<z<7),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루미나 수화물은 제조방법에 따라 결정질인 것과 겔 모양인 것으로 분류된다. 상기 결정질 알루미나 수화물은 기브자이트 -Al(OH)3, 바이어라이트 Al(OH)3, 다이어스포어 -AlOOH, 보헤마이트 -AlOOH의 4종이 있고, 겔 모양인 알루미나 수화물에는 알루미늄 이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암모니아에 의해 침전시킨 수산화알루미늄이 이에 해당되며, 바람직하게는 보헤마이트 -AlOOH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 압전성을 갖는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및 알루미나 수화물들을 혼용할 경우, 이들의 상승 효과는 배가 될 수 있다.
상기 무기물 입자의 크기는 제한이 없으나, 균일한 두께의 필름 형성 및 적절한 공극률을 위하여 가능한 한 0.001㎛ 내지 1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 미만인 경우 분산성이 저하되어 분리막의 물성을 조절하기가 어려우며, 10㎛ 를 초과하는 경우 동일한 고형분 함량으로 제조되는 분리막의 두께가 증가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또한 지나치게 큰 기공 크기로 인해 전지 충방전시 내부 단락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3) 바인더
상기 바인더는 통상적으로 고분자 바인더로도 불리며 액체 전해액 함침시 겔화되어 높은 전해액 함침율(degree of swelling)을 나타낼 수 있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상기 바인더 고분자들이 전해액 함침율이 우수한 고분자인 경우, 전지 조립 후 주입되는 전해액은 상기 고분자로 스며들게 되고, 흡수된 전해액을 보유하는 고분자는 전해질 이온 전도 능력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 소수성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에 비해 전지용 전해액에 대한 젖음성(wetting)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종래에 사용되기 어려웠던 전지용 극성 전해액의 적용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용해도 지수가 15 내지 45MPa1/2인 고분자가 바람직하며, 15 내지 25MPa1/2 및 30 내지 45MPa1/2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용해도 지수가 15MPa1/2 미만 및 45MPa1/2를 초과하는 경우, 통상적인 전지용 액체 전해액에 의해 함침(swelling)되기 어렵게 된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클로로트리플로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풀루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TFE, 불소 고무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PVdF, TFE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4) 염기성 물질 또는 아민기를 갖는 물질
염기성 물질 또는 아민기를 갖는 물질은 알칼리금속산화물, 알칼리토금속산화물, 제올라이트, 석회석, 탄산나트륨, 암모니아, 모노알킬아민, 바이알킬아민, 트리알킬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5) 가교개시제
상기 가교개시제는 아조(azo)계 화합물 또는 퍼옥사이드(peroxide)계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아조계 화합물은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이다.
상기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은 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비스(4-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 카보네이트, 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디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에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비스(3-메톡시-3-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세틸(dicetyl)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미리스틸(dimyristyl)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peroxypivalate), 헥실 퍼옥시 피발레이트, 부틸 퍼옥시 피발레이트, 트리메틸 헥사노일 퍼옥사이드, 디메틸 히드록시 부틸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아밀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Atofina, 부틸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 아밀퍼옥시 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 피발레이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라우릴 퍼옥사이드, 디라우로일(dilauroyl) 퍼옥사이드, 디데카노일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가교개시제, 가교제 및/또는 반응촉매의 함량은,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중량% 초과 내지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초과 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초과 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 초과 2중량% 이하이다.
상기 분리막에서 가교개시제, 가교제 및/또는 반응촉매의 함량이 하한가 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교가 완벽히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가교개시제가 특정한 온도에서 반응이 이루어져 가교 구조를 이루고, 가교 구조의 특성상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강성과 관련된 물성이 향상되고, 전자의 이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절연저항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가교개시제의 반응 온도는 40℃ 내지 150℃의 범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3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 도달하기 전의 낮은 온도에서는 가교개시제의 반응 속도가 느리고, 상기 온도 범위에 도달함에 따라 반응이 일어나면서 가교 결합에 의해 3차원 망상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가교개시제의 반응 온도가 40℃ 보다 낮은 경우에는 가교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고, 150℃보다 높은 경우에는 종래 분리막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자체가 용융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5) 가교제
가교제는 탄소수가 1 내지 15인 디아미노알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6-디아미노헥산(diaminohexane), 1,5-디아미노펜탄(diaminopentane)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6) 전극조립체 구성 및 응용
본원 발명은 또한, 양극과 음극,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상기 분리막,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의 혼합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충진제를 더 첨가하기도 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이상 내지 500㎛ 이하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xMn2-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 LiV3O8,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한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활물질과 도전재 등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양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상에 음극 재료를 도포, 건조하여 제작되며,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성분들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이상 내지 500㎛ 이하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and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또한, 상기 전기화학소자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전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예로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원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원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원 발명을 본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 방법>
(분리막 1, 2의 제조)
실험을 위해서 이미 생산된 CSP gen1(분리막 1), BA1_B09PA1(분리막 2) 2종류의 분리막을 사용하였다. 상기 CSP gen1 분리막은 산화 알루미늄 Al2O3 입자와 PVDF 바인더만으로 이루어진 분리막이며, BA1_B09PA1 분리막은 polyethylene 원단 기재에 Al2O3무기물 입자와 PVDF 바인더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갖는 분리막이다.
가교 사이트 형성을 위한 물질로는 트리에틸아민(TEA, Triethylamine)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리막을 10㎝ⅹ10㎝로 절단 후 상온에서 99% TEA용액에 분리막을 5분동안 담근 후, 꺼내어 흄 후드 안에서 건조 하였다.
가교 형성을 위해서 에탄올 용매에 1.5중량%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Azobisiosbutyronitrile)을 용해시킨 용액에 가교사이트가 형성된 분리막을 담가 60℃에서 30분 처리 하였다. 이후 분리막을 에탄올로 세척하여 흄후드에서 건조하였다.
<비교 실험1>
상기 분리막 1, 2에 대해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 1, 2; 본원 발명에 따른 TEA만을 처리한 실시예 1, 2; TEA 및 AIBN을 처리한 실시예 3, 4에 대해서 각각의 인장강도, 연신, 절연 저항, 저항을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절연저항 측정 조건>
인가전압 : 100V
측정 시간 : 3S
전극 크기 및 모양 : 19.6㎠ 원형
<인장강도 측정 조건>
분리막 폭 : 2㎝
인장속도 : 500㎜/min
<실험결과>
도 1 내지 4는 비교예 1, 2와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 3, 4의 각각 물성의 측정 결과이다. Gen1 분리막에서 Bare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 1이며, TEA는 실시예 1, TEA+AIBN은 실시예 3이며, BA1 분리막에서 Bare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 2이며, TEA는 실시예 2, TEA+AIBN은 실시예 4이다.
가교사이트 형성을 위한 TEA 처리 후 분리막의 절연특성 (체적저항) 및 기계적 강도가 일부 분리막인 실시예 1에서는 감소 특성을 보였나 실시예 2 및 가교 형성을 위한 AIBN 용액 처리 후인 실시예 3, 4에서는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AIBN까지 처리할 경우에는 절연특성 및 기계적 강도가 모든 분리막에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은 상기와 같이 이미 완성된 분리막에도 적용하여 분리막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교실험2>
상기 분리막 2에 대해서 Al2O3무기물 입자와 PVDF 바인더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하기 전, 코팅층 물질의 슬러리 준비 과정에서 가교 사이트 형성을 위한 물질인 트리에틸아민(TEA, Triethylamine)과 가교 형성을 위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Azobisiosbutyronitrile)을 첨가하여 슬러리 제조 후 코팅한 비교예3; 본원 발명에 따른 트리에틸아민(TEA, Triethylamine)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Azobisiosbutyronitrile)을 처리한 실시예4에 대해서 각각의 인장강도, 연신, 전연저항, 저항을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절연저항 측정 조건>
인가전압 : 100V
측정 시간 : 3S
전극 크기 및 모양 : 19.6㎠ 원형
<인장강도 측정 조건>
분리막 폭 : 1.5㎝
인장속도 : 500㎜/min
<실험결과>
도 5 내지 6은 비교예 3(In Coating)과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 4(After Coating)의 각각 물성의 측정 결과이다. BA1 분리막에서 공정 중 가교는 코팅층 슬러리 준비 과정에서 TEA와 AIBN을 첨가한 비교예3이며, 후 처리 가교는 코팅층 형성 후 TEA와 AIBN 처리를 한 실시예4이다.
코팅층 형성 후 TEA와 AIBN 처리를 한 실시예5는 코팅층 슬러리 준비 과정에서 TEA와 AIBN을 첨가한 비교예3에 비해 그 절연특성 (체적저항) 및 기계적 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후 처리를 통한 가교형성 분리막은 코팅공정 중 가교형성을 진행한 분리막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2)

  1. a)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층이 형성된 분리막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바인더의 일부 원소를 탈리시켜 가교가 가능한 결합부로 변형시키는 단계;
    c) 단계 b)의 처리 후에 상기 분리막에 가교개시제 및/또는 반응촉매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가교개시제 외에 선택적으로 가교제를 동시에 추가로 투입하는 것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기재 상에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이거나,
    폴리올레핀 기재를 포함하지 않으며, 무기물 입자, 상기 무기물 입자 간의 결합을 위한 바인더를 포함하는 분리막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유전율 상수가 1 이상인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가진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가진 무기물 입자, 알루미나 수화물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혼합물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Al2O3, AlOOH, SiO2, MgO, TiO2 및 BaTi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클로로트리플로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풀루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테트라플루오루에틸렌(TFE), 불소 고무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PVdF, TFE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바인더의 일부 원소를 탈리시켜 단일 결합을 이중 결합으로 변형시켜서 가교사이트를 형성하는 단계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원소는 H 또는 F 또는 Cl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분리막에 염기성 물질 또는 아민기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용액을 부가하는 단계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물질 또는 아민기를 갖는 물질은 알칼리금속산화물, 알칼리토금속산화물, 제올라이트, 석회석, 탄산나트륨, 암모니아, 모노알킬아민, 바이알킬아민, 트리알킬아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알킬은 탄소 1 내지 10개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결합부에 상기 가교개시제가 결합하거나,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바인더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가교개시제 간의 별도 가교가 형성되거나, 상기 결합부에 상기 가교제가 결합하거나, 상기 가교제제 간의 별도 가교가 형성되는 단계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개시제는 아조(azo)계 화합물 또는 퍼옥사이드(peroxide)계 화합물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조계 화합물은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은 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비스(4-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 카보네이트, 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디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에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에톡시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 헥실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비스(3-메톡시-3-메톡시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부틸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세틸(dicetyl)퍼옥시 디카보네이트, 디미리스틸(dimyristyl) 퍼옥시 디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피발레이트(peroxypivalate), 헥실 퍼옥시 피발레이트, 부틸 퍼옥시 피발레이트, 트리메틸 헥사노일 퍼옥사이드, 디메틸 히드록시 부틸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아밀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Atofina, 부틸 퍼옥시 네오 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 아밀퍼옥시 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 피발레이트, t-아밀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라우릴 퍼옥사이드, 디라우로일(dilauroyl) 퍼옥사이드, 디데카노일 퍼옥사이드, 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탄소수가 1 내지 15인 디아미노알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1,6-디아미노헥산(diaminohexane), 1,5-디아미노펜탄(diaminopentane)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개시제, 가교제 및/또는 반응촉매를 처리하는 온도는 40℃ 내지 150℃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개시제, 가교제 및/또는 반응촉매의 함량은 고형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중량% 초과 내지 5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후처리를 통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에 의해서 물성이 향상된 분리막.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이 향상된 분리막의 통기도는 50sec/100cc 내지 4,000sec/100cc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22. 제20항에 따른 물성이 향상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0190042803A 2018-04-13 2019-04-12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및 이에 의한 분리막 KR10231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4477 WO2019199137A1 (ko) 2018-04-13 2019-04-13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및 이에 의한 분리막
US16/646,595 US20200287187A1 (en) 2018-04-13 2019-04-13 Method for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of separator by post-treatment crosslinking and separator prepared thereby
EP19785657.8A EP3663337A4 (en) 2018-04-13 2019-04-13 PROCESS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A SEPARATOR THROUGH AFTER-TREATMENT NETWORKING AND SEPARATOR
CN201980003596.1A CN110914346B (zh) 2018-04-13 2019-04-13 通过后处理交联来改善隔板的物理特性的方法和由此制备的隔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56 2018-04-13
KR20180043356 2018-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081A true KR20190120081A (ko) 2019-10-23
KR102314366B1 KR102314366B1 (ko) 2021-10-20

Family

ID=6846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03A KR102314366B1 (ko) 2018-04-13 2019-04-12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및 이에 의한 분리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87187A1 (ko)
EP (1) EP3663337A4 (ko)
KR (1) KR102314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58B1 (ko) * 2022-12-14 2023-08-28 주식회사 오상엠엔이티 서지 대응 기반의 내전압성 cctv 영상 감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5663A (ja) * 2007-11-29 2011-02-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多孔性コーティング層が形成されたセパレー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KR20120093772A (ko) 2011-02-15 2012-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US8883354B2 (en) 2006-02-15 2014-11-11 Optodot Corporation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KR20150099648A (ko) * 2014-02-21 2015-09-01 주식회사 포스코 분리막, 분리막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60140211A (ko) 2015-05-29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전지
KR20170076552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인더 현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전극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2650B (ko) * 1991-04-01 1994-04-21 Dow Corning
JP3084292B2 (ja) * 1994-07-28 2000-09-04 ミリポア コーポレイション 多孔質複合膜と方法
US6077624A (en) * 1997-08-14 2000-06-20 Valence Technology, Inc. Lithium ion cells with improved thermal stability
BR9913518A (pt) * 1998-09-08 2001-06-05 Dyneon Llc Artigo compósito, e, processo para promover adesão de um fluoropolìmero a um polìmero contendo silicone
EP1054023A1 (fr) * 1999-05-21 2000-11-22 Atofina Procédé de modification chimique de polymères fluorés électrodes de batterie lithium-ion et revètement de substrats métallique comportant ces polymères ainsi modifiés
FR2807212A1 (fr) * 2000-03-31 2001-10-05 Atofina Structure comprenant un primaire fluore et electrode a base de cette structure
WO2006002479A1 (en) * 2004-07-05 2006-01-12 U.S. Filter Wastewater Group, Inc. Hydrophilic membranes
CN101485960B (zh) * 2009-01-09 2011-08-17 清华大学 聚偏氟乙烯多孔膜表面互穿聚合物网络的改性方法
CN102471497B (zh) * 2009-07-03 2014-10-22 大金工业株式会社 交联性氟橡胶组合物、氟橡胶成型品及其制法
KR101630208B1 (ko) * 2014-08-20 2016-06-14 한국화학연구원 친수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친수성 분리막
CN105363357B (zh) * 2014-09-02 2018-08-21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一种以双烯化合物为交联剂的聚乙烯醇膜及其制备方法
KR20190049581A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기재가 없는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9088698A2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 기재가 없는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3354B2 (en) 2006-02-15 2014-11-11 Optodot Corporation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2011505663A (ja) * 2007-11-29 2011-02-2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多孔性コーティング層が形成されたセパレー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KR20120093772A (ko) 2011-02-15 2012-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20150099648A (ko) * 2014-02-21 2015-09-01 주식회사 포스코 분리막, 분리막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60140211A (ko) 2015-05-29 201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전지
KR20170076552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인더 현탁액 조성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전극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ffect of cross-linking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LDPE and its lightning impulse ageing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Voltage Engineering, Hannover, Germany, 2011, August 22
Colloids and surfaces a:Physicochem. Eng. Aspects 297, 267, 2007
J Appl Electrochem 46: 69, 2016
J. Appl. Polym. Sci. 8, 1415, 1964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03, 2014
Journal of Power Sources 144(1):238-243, June 2005
RSC Adv., 6, 102762-102772, 201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758B1 (ko) * 2022-12-14 2023-08-28 주식회사 오상엠엔이티 서지 대응 기반의 내전압성 cctv 영상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366B1 (ko) 2021-10-20
US20200287187A1 (en) 2020-09-10
EP3663337A1 (en) 2020-06-10
EP3663337A4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544B1 (ko) 선택적 이온 흡착성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US20220294079A1 (en) Composite Single-Layer Chemically Cross-Linked Separator
KR102277391B1 (ko) 비대칭 구조의 이차전지용 난연 분리막
KR10187415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KR102567584B1 (ko) 난연성 무기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CN110651383B (zh) 无隔膜基材的隔膜和包含该隔膜的电化学装置
KR102353062B1 (ko) 분리막 기재가 없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KR102314366B1 (ko) 후처리 가교에 의한 분리막의 물성 향상 방법 및 이에 의한 분리막
KR20140014493A (ko) 분리막 제조공정 및 이에 따른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293887B1 (ko) 불산을 저감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분리막
CN110914346B (zh) 通过后处理交联来改善隔板的物理特性的方法和由此制备的隔板
JP7071014B2 (ja) 分離膜基材のない分離膜
KR20200050791A (ko) 무기물 코팅층이 형성된 가교 폴리올레핀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한 고출력 이차 전지
JP202452482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分離膜の製造方法、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分離膜及びそれを備えたリチウム二次電池
KR20230168578A (ko)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CN117882242A (zh) 制造用于锂二次电池的隔膜的方法,由此制造的用于锂二次电池的隔膜,以及使用该隔膜制造锂二次电池的方法
CN117426007A (zh) 锂二次电池用隔膜的制造方法、由其制造的锂二次电池用隔膜、和具有其的锂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