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853A - 캘린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캘린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853A
KR20190119853A KR1020180043317A KR20180043317A KR20190119853A KR 20190119853 A KR20190119853 A KR 20190119853A KR 1020180043317 A KR1020180043317 A KR 1020180043317A KR 20180043317 A KR20180043317 A KR 20180043317A KR 20190119853 A KR20190119853 A KR 2019011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forming
information
forming apparatus
sche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석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4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9853A/ko
Priority to PCT/KR2018/008631 priority patent/WO2019198881A1/en
Priority to US16/982,747 priority patent/US11188273B2/en
Priority to EP18914426.4A priority patent/EP3714360A4/en
Publication of KR2019011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06F3/1262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by grouping or ganging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7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by using pre-stored settings, e.g. job templates, presets, print sty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9Personalising for a particular user or group of users, e.g. a workgroup or company
    • H04N1/00514Personalising for a particular user or group of users, e.g. a workgroup or company for individual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8Job submission, e.g. submitting print job order or request not the print data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상형성장치의 시간대별 일정에 대한 일정 정보 및 특정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캘린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장치, 및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일정 및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캘린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전환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TO CHANGE USERS USING CALENDAR INFORMATION AND METHOD FOR CHANGING USER THEREOF}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컴퓨터 주변 기기의 보급률도 나날이 향상되고 있다. 컴퓨터 주변 기기란 컴퓨터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기들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 시스템과 연동 가능하며,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직접 사용자 시스템에 접속하여 사용자 시스템의 자료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사용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관리 장치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사용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1은 본 개시의 관리 디바이스에서의 일정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화상형성장치(100), 캘린더 서버(200), 제1 인증 서버(300), 제2 인증 서버(400), 파일 서버(500)로 구성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일정 정보,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일정 및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다. 여기서 일정은 특정 시간대에 화상형성장치가 수행하여야 하는 일정에 대한 정보로, 예를 들어, 특정 시간 대에 특정 사용자가 사용하는 일정 또는 특정 시간대에 특정 사용자 그룹이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는 일정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시간대는 1시간 단위일 수도 있으며, 오전/오후의 시간대 또는 일 단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는 특정 일정대에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를 들어, ID, 이름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파일 서버를 접속하는데 이용하는 정보(예를 들어, 파일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 해당 사용자에 할당된 작업 정보, 해당 사용자에 대한 메뉴 정보,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작업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캘린더 서버(200)는 캘린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캘린더 서비스는 일정을 생성, 수정, 삭제, 구독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캘린더 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전용의 서버일 수도 있으나, 시장에 공개된 캘린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캘린더 서버(200)의 공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일정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리자 또는 사용자 역시 별도의 사용자 단말장치(예를 들어, PC,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일정을 확인 또는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되는 일정은 관리자 디바이스(600)에서 생성할 수 있으나, 별도의 단말장치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제1 인증 서버(30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인증 서버(3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과 기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처리는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 비밀키를 이용한 인증, NFC 정보를 이용한 처리 방식 등일 수 있다.
제2 인증 서버(400)는 파일 서버(400)를 사용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제2 인증 서버(400)는 파일 서버(500)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과 기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처리는 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 비밀키를 이용한 인증 등일 수 있다.
파일 서버(500)는 특정 사용자만이 사용 가능한 파일 또는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 버티컬 마켓에 사용되는 사용자 시스템이다.
버티컬 마켓이란 제품을 필요로 하는 소비층을 계층별로 분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법률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갈 마켓(Legal Market),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마켓(Healthcare Market), 교육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듀케이션 마켓(Education Market), 금융 및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이넨스 마켓(Finance Market)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버티컬 시스템이란 버티컬 마켓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PC, 모바일 디바이스, 자체 시스템 등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을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한편, 버티컬 시스템을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한 인증을 1차적으로 진행하여야 하고, 각 사무환경에서 사용하는 별도의 시스템을 위한 앱이나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하여 로그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만약, 버티컬 마켓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별로 별도의 복잡한 환경 설정이 필요하거나 특정 데이터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 이런 번거로운 로그인 및 실행 절차는 사용자의 업무 효율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각 사무환경에 따라 별도의 앱 또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경우, 별도의 개발 비용 또는 도입 비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개시에서는 캘린더 서버(200)를 이용하여, 상술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바, 사용자는 보다 손쉽게 버티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1000)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처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등록된 일정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가 미리 필요한 작업을 미리 해놓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본연의 업무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개된 캘린더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내부 시스템 및 화상형성장치의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업무 환경에서 다양한 사용자가 다른 플랫폼의 데스크탑, 모바일 기기, 시스템들을 사용할 때도 각 환경에 맞추어 별도로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구입할 필요없이, 공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와 플랫폼 및 시스템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인증 서버(300)와 화상형성장치(100)가 별도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제1 인증 서버(300)와 화상형성장치(10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증 서버(400)와 파일 서버(500) 역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파일 서버(500)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하나의 파일 서버(500)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파일 서버(500)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로 구성된다.
통신 장치(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장치(110)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통신 장치(110)는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일정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시간대별 일정에 대한 일정 정보 및 특정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 통신 장치(110)는 실시간으로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된 일정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제1 인증 서버(30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제1 인증 서버(3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로그인 정보 또는 태그된 NFC 정보 등을 제1 인증 서버(300)에 제공하고, 제1 인증 서버(300)로부터 현재 사용자에 대한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인증 서버(300)에 직접 인증 결과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캘린더 서버(200)를 통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캘린더 서버(200)를 통하여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파일 서버(5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파일 서버(5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10)는 캘린더 서버(200)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서버(5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파일 서버(500)에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요청받은 파일 서버(500)는 제2 인증 서버(400)에 인증을 요청하여 그 결과를 수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통신 장치(110)는 파일 서버(500)가 아닌 캘린더 서버(200)에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캘린더 서버(200)를 통하여 파일 서버(500)에 대한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서버(500)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110)는 캘린더 서버(200)에서 수신한 사용자 정보 중 파일 서버(500)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서버(500)에 대한 인증 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고, 인증 완료 이후에 해당 사용자에 대한 작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작업의 리스트를 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파일(인쇄 데이터)을 미리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110)는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변화가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사용자의 사용중에 사용자의 작업 정보의 변화가 감지되면 변경된 작업 정보를 바로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예를 들어, 스캔 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파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2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LCD, CRT, OLED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조작 입력부(15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2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20)는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메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파일 서버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메뉴 정보는 해당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특화된 메뉴 화면이다. 이러한 메뉴 정보는 해당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속한 관리자의 설정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해당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의하여 자동 생성될 수도 있다. 메뉴 정보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일정에 사용자 A가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하는 일정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일정에 진입하면 사용자 A를 인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 A는 자신을 인증하기 위한 비밀 번호만을 입력하는 동작으로 보다 쉽게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ID/PW로 인증을 진행하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인증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ID 및 PW를 모두 입력하여 인증을 진행하여야 하나, 일정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는 특정 사용자에게 할당되어 있는바, 해당 일정의 사용자는 자신의 PW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인증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증 절차에 연동하여 화상형성장치(100)는 파일 서버(500)에 대한 인증 절차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 단위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캘린더 서버(200)에 접속하여 일정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일정 정보, 사용자 정보, 할 일 정보를 통신 장치(110)를 통하여 수신하고, 일정 정보는 시간대 별, 사용자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일정 정보는 시간에 따라 해당 일정에 기재된 할 일을 수행할 수 있게 예약 작업 형태로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는 내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와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단계를 거쳐서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등록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설정 정보, 화면 변경 정보 등이 있는지 확인한 뒤 화상형성장치에 등록할 수 있다.
수신된 일정에 대응되는 시점이 도달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즉, 해당 사용자가 기설정된 메뉴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서버(5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설정 환경을 갖도록 화상형성장치 내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컬러 인쇄 또는 인쇄 과정에서 절약 모드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특정 사용자가 사용하는 일정에서는 인쇄 옵션을 미리 컬러 인쇄와 절약 모드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작업 요청에 의하여 스캔 데이터가 생성되면,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파일 서버의 저장소에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일정이 변경되면, 이전 일정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특정 사용자 A가 사용되는 일정에서 모든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일정으로 변경되는 경우, 특정 사용자 A에 특화된 메뉴 화면일 일반 사용자 화면으로 변경하고, 특정 사용자 A에 대한 미리 수신한 작업 데이터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30)는 CPU, ASIC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을 특정 상황을 고려하여 설명한다.
만약, 캘린더 서버(200)에 19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사용자 A가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는 일정이 등록되어 있고,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사용자 B가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는 일정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프로세서(130)는 구독한 캘린더의 일정을 통하여 이런 사용자 변경 일정을 미리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리고 오전 9시가 되면, 프로세서(130)는 외부 캘린더 서비스와 내부 사용자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 A의 설정 정보 및 화면 정보, 할 일 정보, 수행할 문서 정보 등을 미리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설정, 스캔 설정, 팩스 설정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백 문서만 양면으로 출력이 가능하며, 스캔 저장소는 내부 시스템의 사용자 A 폴더로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팩스 주소록은, 사용자 A가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가 즐겨 찾기로 등록되고, 팩스 전송 방식은 아날로그 전화가 아닌 디지털 회선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A의 선호에 따라 할 일이 메인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 아이콘 3개가 홈 화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A가 인쇄해서 확인해야 하는 문서가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파일 서버(500)로부터 미리 해당 문서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캔해서 파일 서버(500)에 보내야 하는 작업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화면에 할 일 위젯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A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A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인증 절차는 생략할 수도 있다.
오전 업무가 완료되고 오후 1시가 되면, 프로세서(130)는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된 일정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 B를 위한 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A가 사용하던 작업은 모두 종료 또는 삭제하고, 사용자 B를 위한 환경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설정은 칼라로 변경되고, 팩스 작업은 아날로그 회선만 사용 가능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기능 아이콘이 5개를 갖는 홈 화면과 부서 전체의 상황 표시판도 동시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B를 위한 문서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준비하며, 사용자 인증 절차가 ID 카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화상형성장치(100)는 미리 등록된 일정에 따라 사용자별 환경을 미리 준비하여, 사용자 전환에 따른 시간의 소요 및 불편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개된 캘린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내부 시스템 및 화상형성장치의 확장성을 제공한다. 특히, 다양한 업무 환경에서 다양한 사용자가 다른 플랫폼의 데스크탑, 모바일 기기, 시스템들을 사용할 때도 각 환경에 맞추어 별도로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구입할 필요없이, 공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와 플랫폼 및 시스템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장치(110), 디스플레이(120),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조작 입력부(150), 인쇄 엔진(160) 및 스캐너(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는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140)는 캘린더 서버(200)를 접속하기 위한 주소 정보 및 서버 접속 정보(예를 들어, 캘린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ID/PW)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일정 정보 및 특정 일정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캘린더 서버(200)를 통하여 제공되거나, 파일 서버(500)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파일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작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정보는 단순히 사용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작업에 대한 리스트일 수 있으며, 각 작업에 대한 실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조작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 제어 명령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조작 입력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의 일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일정은 통신 장치(110)를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 입력부(15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12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인쇄 엔진(160)은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60)은 감광드럼, 중간전사벨트 및 용지 이송 벨트와 같은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형성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16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스캐너(170)는 원고를 독취한다. 구체적으로, 스캐너(170)는 플랫베드 또는 자동급지기(ADF)에 적재된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일정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일정에 맞춰 해당 일정에 사용할 사용자에 최적화된 환경으로 자동으로 설정 값을 변경하거나 파일 서버와의 인증을 진행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주기적으로 캘린더 서버(200)로부터 일정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캘린더 서버(200)가 기설정된 주기로 일정 정보 등을 화상형성장치(100)에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인쇄 엔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엔진(160)은 감광 드럼(161), 대전기(162), 노광기(163), 현상기(164), 전사기(165) 및 정착기(168)를 구비할 수 있다.
감광 드럼(161)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61)은 그 형태에 따라서 감광 드럼, 감광벨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색상에 대응되는 인쇄 엔진(160)의 구성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구현시에 인쇄 엔진(160)은 복수의 색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161), 복수의 대전기(162), 복수의 노광기(163) 및 복수의 현상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감광 드럼에서 형성된 화상을 하나의 인쇄용지에 형성하기 위한 중간 전사 벨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대전기(162)는 감광 드럼(16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162)는 코로나 대전기,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노광기(16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 드럼(16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6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일 예로서, 노광기(16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감광 드럼(161)에 조사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노광기(163)는 광주사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LED가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현상기(164)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164)는 현상제를 정전 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16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는 현상 롤러(167)와 감광 드럼(161)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 전계에 의하여 현상 롤러(167)로부터 감광 드럼(161)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감광 드럼(161)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은 전사기(165) 또는 중간 전사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전사기(165)는 예를 들어 정전 전사 방식에 의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킬 수 있다. 가시적인 화상은 기록 매체(P)에 정전 인력에 의하여 부착된다.
정착기(168)는 기록 매체(P) 상의 가시적인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사용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캘린더 서버(200)와 파일 서버(500)와 연결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증 모듈(131), 캘린더 연결 모듈(132), 태스크 단축 주소 생성 모듈(133), 시스템 연결 모듈(134), 작업 실행 모듈(135), 사용자 설정 모듈(136)과 상술한 모듈들을 연동하기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모듈(131)은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증 모듈(131)은 버티컬 앱의 사용 환경에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화상형성장치 사용자 인증 방법, 외부 인증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통합 사용자 인증(Single Sign On)의 방법 모두 지원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인증 모듈(131)은 캘린더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를 전환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캘린더 연결 모듈(132)은 캘린더 서버(200)와 연결하기 위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캘린더 연결 모듈(132)은 통신 장치(110)를 제어하여, 외부 캘린더 서비스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 일정 정보, 할 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캘린더 연결 모듈(132)은 획득한 정보를 각각 사용자 인증 모듈(131), 사용자 설정 모듈(136), 작업 실행 모듈(135)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수정된 정보를 다시 캘린더 서버(200)에 업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태스크 단축 주소 생성 모듈(133)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할 일 정보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URL 주소를 만드는 모듈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시스템 연결 모듈(134)은 사용자 시스템(즉, 파일 서버(500))과 연결하기 위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연결 모듈(134)은 사무환경 또는 특정 버티컬 마켓에서 사용하는 내부 시스템(즉, 파일 서버(500))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연결 모듈(134)은 파일 서버(500)와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 획득, 업무 데이터 전송, 화상형성장치를 통한 업무 수행을 위한 데이터 전송, 기타 사용자가 필요한 태스크 정보를 전송하고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 실행 모듈(135)은 작업을 생성하고 실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작업 실행 모듈(135)은 캘린더 서버(200) 또는 파일 서버(500)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한 경우 작업 실행 모듈(135)은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데이터의 경우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가 가능하며, 문서를 스캔하고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여 필요에 따라 파일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 모듈(136)은 사용자 설정 데이터를 저장/변환할 수 있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설정 모듈(136)은 사용자에 대응되는 각종 설정 정보를 메모리(140) 또는 파일 서버(500)에 저장하는 모듈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30)가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복수의 모듈은 하나의 구성이 처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그룹 단위로 하나의 구성이 처리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모듈 중 일부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되는 동작만으로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자 디바이스(600)는 캘린더 서버(200)에 일정을 등록하고, 파일 서버(500)의 사용자를 관리한다. 이러한 관리자 디바이스(600)는 PC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600)는 파일 서버(500)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 수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획득한 사용자별 일정, 할 일 등을 외부의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하거나 외부 서비스로부터의 변경 사항을 내부 사용자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다.
관리자는 파일 서버(500)에 접속하여, 부서 단위, 그룹 단위 또는 개인별로 사용자 정보 및 인증 정보를 불러올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외부 캘린더 서비스에 접속하여 필요한 캘린더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서별로 공통 캘린더를 생성하고, 관리자는 그 부서에 속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구독 권한, 인증 정보와 연결할 수 있는 사용자 구별 정보, 사용자별 할 일, 화상형성장치의 설정 정보 등이 캘린더에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캘린더 일정에는 사용자별 근무 일정, 근무 시간, 할당된 일, 화상형성장치의 설정 정보, 화상형성장치의 화면 표시 정보, 인쇄 작업 또는 스캔 작업의 저장 위치 등이 기록된다. 이 일정 정보는 권한을 가진 관리자, 부서장 또는 그룹장, 개인 사용자가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다. 수정 가능한 범위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권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부서별 캘린더 등록 및 사용자 구독이 완료되면, 관리자 디바이스(600)는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캘린더 서버(200)에 일정이 등록되면, 생성된 일정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연동될 수 있다.
관리자 디바이스(6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 디바이스(600)는 통신 장치(610), 메모리(620), 디스플레이(630), 조작 입력부(640) 및 프로세서(650)로 구성된다.
통신 장치(610)는 관리자 디바이스(6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장치(110)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통신 장치(610)는 캘린더 서버(200)에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610)는 후술하는 프로세서(650)에서 생성된 일정을 캘린더 서버(200)에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610)는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된 일정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장치(610)는 파일 서버(50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610)는 파일 서버(500)에 접속하여, 부사 단위, 그룹 단위 또는 개인별로 사용자 정보, 각 사용자 정보별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관리자 디바이스(6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620)는 단말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캘린더 정보를 생성하거나, 파일 서버(500)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응용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메모리(620)는 파일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일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620)는 관리자 디바이스(6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0)는 관리자 디바이스(600)가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630)는 LCD, CRT, OLED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조작 입력부(64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630)는 일정을 등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630)는 일정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 해당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일정, 해당 일정의 시간대, 해당 일정을 수행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설정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640)는 일정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 해당 화상형성장치에서 수행될 일정, 해당 일정의 시간대, 해당 일정을 수행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설정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작 입력부(64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63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650)는 관리자 디바이스(6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50)는 일정 등록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파일 서버(500)로부터 부서 단위, 그룹 단위 또는 개인별로 사용자 정보 및 인증 정보가 수신되도록 통신 장치(6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650)는 일정이 생성을 위한 각종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63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640)를 통하여 설정이 입력되면, 프로세서(650)는 일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일정이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되도록 통신 장치(6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관리 장치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00)은 시간 정보 영역(710) 및 작업 일정 영역(720)을 포함한다.
시간 정보 영역(710)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정된 일정의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작업 일정 영역(730)은 해당 일정에 수행할 일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예에서는 URL 주소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 표시시에는 해당 URL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URL은 관리자가 일정을 등록할 때 생성하거나, 파일 서버에서 생성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에서 직접 생성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캘린더 서비스에 접속하여 단축 URL을 확인하면, 해당 URL에 할당된 작업을 확인하거나, 해당 작업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재 문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라면 결재 문서가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확인 버튼을 통하여 결재 문서를 결재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사용자 시스템에 문서를 업로드 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일정 알람을 확인하고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서 카메라를 통하여 문서를 촬영한다. 그 뒤 단축 URL을 터치하면, 문서를 업로드 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조금 전 촬영한 문서를 화면에 업로드하면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캘린더를 사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이점 중의 하나는 다른 모바일 기기로의 확장성이 자유롭다는 것이다. 모바일 사무 환경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부서에서 사용하는 외부 캘린더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 캘린더를 등록하면 캘린더의 일정이 모바일 일정 앱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주어진 권한에 따라 캘린더 일정 전부를 확인하거나, 일부 일정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등록된 일정에 대한 수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앱을 통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작업을 확인하고 수행할 수 있다. 일정 알람을 확인하여 등록된 일정에 작업을 확인하고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정에 등록된 단축 URL을 통하여 작업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단축 URL은 사용자가 내부 시스템 또는 화상형성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URL을 가독성이 높게 줄여서 표시하는 URL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외부 캘린더를 사용하는바, 사용자 작업을 모바일 기기에서 손쉽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병원과 같은 버티컬 마켓에 본 개시가 적용되는 경우의 동작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병원과 같이 사용자의 교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내부 시스템과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 모두 관리하는 병원 경우, 의료진의 교대 근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업무의 특성상, 의료진이 자신에게 할당된 환자를 관리해야 하고, 외래 환자, 입원 환자, 긴급 환자 등 대상 환자별 특성에 따라 각각 특화된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의료진이 3교대 근무를 하고, 각 의료진에게 할당된 환자가 있는 경우가 있다. A 그룹 의료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근무, B 그룹 의료진은 오후 5시부터 오전 1시까지 근무, C 그룹 의료진은 오전 1시에서 오전 9시까지 근무한다. 각 그룹의 특성에 따라 A 그룹은 주로 외래 환자와 입/퇴원 업무를 처리하고, B 그룹은 응급 환자 등 긴급을 요하는 환자를 처리하며, C 그룹은 입원 환자의 상태를 살피고 관리하는 업무를 처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A 그룹에 할당된 의료진은 의사인 사용자 A1, 간호사인 사용자 A2, A3가 각각 있다. 각 그룹의 의료진은 미리 예정된 일정에 따라 캘린더에 일정이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된 캘린더는 화상형성장치로 전달되어 화상형성장치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오전 9시 A 그룹 의료진의 활동이 시작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00)은 진료 환자를 표시하는 제1 영역(810), 처방전 출력 영역(820), 차트 스캔 영역(830), 사용자 인증 영역(840)을 포함한다.
제1 영역(810)은 외래 환자의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처방전 출력 영역(820) 및 차트 스캔 영역(830)은 진료 결과에 따라 접수 서류, 의료 차트, 처방전 및 의료비 결재 서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영역이다.
사용자 인증 영역(840)은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할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진행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 낮에는 외부 인력의 출입이 많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인증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인증 영역(840)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만이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의사인 사용자 A1의 처방전에 따라 환자의 할 일을 등록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수행에 필요한 환자 자료와 문서를 전송받아 표시할 수 있다.
오후 5시가 되어 B 그룹 의료진이 근무를 시작할 시간이 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등록된 캘린더 일정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환경을 전환할 수 있다.
응급 환자 대응을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긴급 위주의 환자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00)는 응급 업무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인증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B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서 할 일을 터치하고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하면, 해당할 일을 화상형성장치(100)가 수행하여 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은 긴급 환자 영역(910, 920, 930), 일반 환자 영역(940)을 포함한다.
오전 1시 C 그룹 의료진이 근무를 시작하게 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마찬가지로 등록된 캘린더 일정에 따라 심야 환자 관리를 위한 화면으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의료진이 번거로운 설정 없이 본연의 환자 케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으로 자동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전환 방법은 병원 환경뿐만 아니라, 법률 사무소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법률 사무소와 같이 인력이 정해진 시간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면서, 다양한 사건 케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전 9시부터 저녁 6시까지 근무를 하면서, 사건 배당, 접수, 상담, 재판의 진행에 따라 미리 시간이 할당된 경우가 있다. 오전 9시부터 오전 11시까지 처리해야 하는 사건 케이스가 30분 단위로 일정에 배당되면 법률 사무소에 근무하는 사용자 A는 파일 서버(500)를 통하여 공개 캘린더에 사건별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등록된 일정에 따라 공개 캘린더의 정보를 확인하여 30분 단위로 화상형성장치 설정 및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는 현재 소송 케이스에 필요한 문서 정보를 바로 출력할 수 있는 목록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변호사 B가 화상형성장치에 접근하여 화면에 표시된 문서 목록을 터치하면 바로 해당 문서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 시간동안 필요한 문서를 스캔할 경우는 자동으로 해당 케이스의 저장소로 문서가 저장될 수 있다. 30분이 경과하여 다른 사건 케이스에 할당된 일정이 되면, 화상형성장치의 설정 및 화면 또한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케이스별로 추가적인 사용자 인증 절차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사용자 전환 방법은 학교 또는 학원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교 및 학원에서는 시간표에 따라 수업이 진행되고, 과제 등이 등록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1시간 단위 수업이 있을 경우, 교사 사용자 A는 미리 수업 일정을 공개 캘린더에 생성해 놓고, 내부 시스템에 교육 자료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연동된 공개 캘린더 정보를 읽어서 해당 수업 시간이 되면,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화면을 수업 과목으로 표시하고, 내부 시스템에 저장된 자료를 미리 출력해 놓을 수 있다.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시간에 맞추어 미리 출력된 자료를 가지고 수업에 참석할 수 있다. 과제를 제출할 경우는 화상형성장치(100)에 해당 시간에 과제를 스캔하게 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정해진 일정에 따려 현재 수업과 관련된 저장소에 과제를 스캔해서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사용자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시간대별 일정에 대한 일정 정보 및 특정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캘린더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1010).
그리고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일정 및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다(S1020). 구체적으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메뉴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파일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를 변경한다(S1030). 구체적으로,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인쇄 옵션, 스캔 옵션, 팩스 옵션, 주소록 등을 특정 사용자에 대응되는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용자 전환 방법은 미리 등록된 일정에 따라 사용자별 환경을 미리 준비하여, 사용자 전환에 따른 시간의 소요 및 불편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개된 캘린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내부 시스템 및 화상형성장치의 확장성을 제공한다. 다양한 업무 환경에서 다양한 사용자가 다른 플랫폼의 데스크탑, 모바일 기기, 시스템들을 사용할 때도 각 환경에 맞추어 별도로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구입할 필요없이, 공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기기와 플랫폼 및 시스템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은 사용자 전환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 전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화상형성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전환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관리 디바이스에서의 일정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파일 서버(500)로부터 부서 단위, 그룹 단위 또는 개인별로 사용자 정보 및 인증 정보가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10).
그리고 생성된 사용자 일정 및 시간대 정보 등을 기초로 시간대별 일정에 대한 일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20).
일정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일정 정보를 캘린더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S1130).
도 11과 같은 일정 등록 방법은 도 6의 구성을 가지는 관리자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관리자 디바이스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정 등록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관리자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일정 등록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0: 화상형성시스템 100: 화상형성장치
200: 캘린더 서버 300: 제1 인증 서버
400: 제2 인증서 500: 사용자 시스템
110: 통신장치 120: 디스플레이
130: 프로세서 140: 메모리
150: 조작 입력부 160: 인쇄 엔진
170: 스캐너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시간대별 일정에 대한 일정 정보 및 특정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캘린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통신 장치; 및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일정 및 상기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메뉴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작업 정보가 수신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 서버에 대한 자동 인증을 진행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엔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작업 정보에 대응되는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상기 인쇄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원고를 스캔하는 스캐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원고에 대응되는 스캔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파일 서버의 저장소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9.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시간대별 일정에 대한 일정 정보 및 특정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캘린더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현재 시간대에 대응되는 일정 및 상기 일정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기능에 대한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전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메뉴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사용자 전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파일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작업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사용자 전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파일 서버에 대한 자동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전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정보에 대응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전환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화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사용자 전환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파일 서버의 저장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전환 방법.
KR1020180043317A 2018-04-13 2018-04-13 캘린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전환 방법 KR20190119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17A KR20190119853A (ko) 2018-04-13 2018-04-13 캘린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전환 방법
PCT/KR2018/008631 WO2019198881A1 (en) 2018-04-13 2018-07-30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calendar information and method of using image forming apparatus
US16/982,747 US11188273B2 (en) 2018-04-13 2018-07-30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calendar information and method of using image forming apparatus
EP18914426.4A EP3714360A4 (en) 2018-04-13 2018-07-30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CALENDAR INFORMATION AND METHOD OF USING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317A KR20190119853A (ko) 2018-04-13 2018-04-13 캘린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853A true KR20190119853A (ko) 2019-10-23

Family

ID=6816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317A KR20190119853A (ko) 2018-04-13 2018-04-13 캘린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전환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사용자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88273B2 (ko)
EP (1) EP3714360A4 (ko)
KR (1) KR20190119853A (ko)
WO (1) WO20191988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405B1 (ko) * 2003-11-05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 드라이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방법
JP4708983B2 (ja) * 2005-12-02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966491B2 (ja) * 2012-03-23 2016-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847068B2 (ja) * 2012-12-26 2016-01-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001186A (ko) 2013-06-26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nfc)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nfc 디바이스에 커스터마이즈된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JP6415025B2 (ja) 2013-06-28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14155A (ko) * 2013-07-2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14318A (ko) 2013-07-2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황 인식 인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5052900A (ja) 2013-09-06 2015-03-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ル連携印刷サービス装置、スケジュール連携印刷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スケジュール連携印刷プログラム
JP2015191522A (ja) * 2014-03-28 2015-11-02 株式会社沖データ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方法
WO2016057465A1 (en) * 2014-10-07 2016-04-14 Videoje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servicing an industrial printer
JP6025797B2 (ja) * 2014-10-07 2016-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該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21706A (ja) * 2015-07-14 2017-01-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6720620B2 (ja) 2016-03-24 2020-07-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移動型機器、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プログラム
KR101873014B1 (ko) 2016-07-27 2018-07-31 이영빈 3d 프린터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881A1 (en) 2019-10-17
EP3714360A1 (en) 2020-09-30
EP3714360A4 (en) 2021-09-01
US20210011671A1 (en) 2021-01-14
US11188273B2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794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function peripheral via a network with us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8893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429178B1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arrier means
CN102238301B (zh) 认证服务器、复合机、复合机控制系统
CN102238172A (zh) 图像发送装置及图像发送装置的控制方法
JP637231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サービス認可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544001A (zh) 服务提供系统、服务提供方法和操作终端
KR20180008218A (ko)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계정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실시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JP2012231332A (ja) 複合機、認証装置、複合機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7474390B1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
JP201805018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6113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出力システム
JP2015056167A (ja) 処理管理システム、処理管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管理方法
US111882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calendar information and method of us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74295A (ja) オンデマンド印刷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文書管理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45227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694943A (zh) 信息管理装置以及信息管理方法
US200902997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 Medical Record Releases
JP201912109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統合方法
JP715957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118968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1149479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ユーザー作成方法
WO2023175407A1 (en) Recommendation management apparatus, recommendation management system, recommendation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127617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2021043895A (ja) 情報処理装置、履歴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