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9445A -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9445A
KR20190119445A KR1020180042902A KR20180042902A KR20190119445A KR 20190119445 A KR20190119445 A KR 20190119445A KR 1020180042902 A KR1020180042902 A KR 1020180042902A KR 20180042902 A KR20180042902 A KR 20180042902A KR 20190119445 A KR20190119445 A KR 20190119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ion
food packaging
platform system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281B1 (ko
Inventor
김치곤
전형도
윤경배
Original Assignee
김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곤 filed Critical 김치곤
Priority to KR102018004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28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은,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으로 이루어진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각각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110,210)에서 정보 처리된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에서 송신한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에서 송신한 물류관리 정보(153,253)를 포함하는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메인서버(160,260)와;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클라이언트 PC(110,210) 간에 서로 무선으로 접속되며,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각각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 정보(153,25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생산관리정보를 공유가능하게 각각 정보 처리하며, 권한을 통제관리하는 클라이언트 PC(110,210)와;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허용한 권한에 따라 생산관리정보(190,290)에 대한 메뉴를 각각 운영관리하는 사용자 PC(130,230)와;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 및 로거 컨트롤러(141,241)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지시를 받아 생산장비를 운영하며, 상기 로거 컨트롤러(141,241)를 통해 수집된 카운터센서(142,242)에서 감지한 생산장비의 생산공정 정보(143,243)를 상기 메인서버(160,260)로 송신하는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및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바코드프린터(151,251) 및 바코드스케너(152,252)와 각각 접속되어 바코트프린터(151,251) 및 바코드스케너(152,252)를 운영하며,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의 바코드발행 신호와 바코드스케너(152,252)의 스캔 신호로 입,출고되는 식품포장용기와 원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류관리정보(153,253)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로 송신하는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INTEGRATED POP PLATFORM SYSTEM FOR FOOD TRAY PRODUCTION}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PET, PP, PS) 및 생분해성 수지(PLA) 등을 이용하여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주생산업체와 상기 주생산업체로부터 주문받은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복수의 생산협력업체간에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과 관련한 생산관리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로 공유하여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한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중소기업들이 IT 업체와 함께 생산정보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일류 중소기업으로 성장을 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주요 대기업에 비하여 별다른 성장을 보이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가 정보 인프라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들과의 사이에서도 발전할 수 있는 역량의 확보와 무한경쟁 시대에 지속적인 우위를 지키기 위해 정보화를 택하여 그동안 IT 제품의 글로벌 테스트 베드의 성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플라스틱(PET, PP, PS) 및 생분해성 수지(PLA)를 이용하여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제조업체는 열악한 업종의 화학제조업체로 분류되고, 일반 제조업체에 비하여 연구개발비용 및 전문인력의 부재로 인하여 생산정보관리시스템 구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및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제조업체의 특성상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정보화 환경에 더욱 빠른 적응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고, 특히 식품 포장용기 생산 현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공정의 불합리한 요소제거와 품질향상 및 제조원가의 혁신적인 절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식품 포장용기는 소비자의 국민 소득 증가와 식품 위생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고기능 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결정적 요인(MOT : MOMENT OF TRUE)으로 소비자가 요구하고 있고, 지구의 온난화 등에 따른 기후 및 계절적 요인과 소비자의 식품 기호 등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포장방식과 수요패턴이 급속하게 변화되면서 식품 포장용기 수요도 소량 다품종의 수요로 변화되고 있으며, 불특정한 주기의 주문에 의한 생산과 긴급 주문에 대처하기 위해 주문 전 생산한 포장용기의 적정 재고량의 유지와 생산공정의 신속한 변화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어,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변화된 e- 공급망 사슬관리(e-SCM : e-SUPPLY CHAIN MANAGEMENT)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 일부 대기업의 경우에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급망 사슬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고는 있으나, 이러한 대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급망 관리 시스템은 기후 및 계절적 요인과 기호의 급격한 변화와, 포장방식 및 수요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는 소량 다품종의 생산과, 불특정한 주기의 주문과 계절적 수요변동에 따른 긴급 주문에 대처하여야 하는 플라스틱 및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기 생산 분야에 적용할 수 없고, 각 개별 기업마다 생산관리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같은 업종이면서 동일 또는 상이한 종류와 규격의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주생산업체 및 생산협력업체가 서로 시스템 자원을 공유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각종 제품의 생산을 위한 생산정보관리시스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118호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관리 시스템"(등록일자 : 2012. 01. 0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생산활동에 대한 작업자의 이동 동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동선으로부터 활동 상황을 분석하여 인적정보를 수집하는 인적자원관리장치와; 생산 활동을 위해 요구되는 물적 자원의 입,출고 현황을 검출하여 물적 자원의 상태를 나타내는 물적 정보를 수집하는 물적자원관리장치와; 생산을 위한 설비에서 이루어지는 생산결과를 나타낸 설비정보를 수집하는 설비정보수집장치; 및 CPM(CRITICAL PATH METHOD)공법을 이용하여 제품 혹은 프로젝트별 생산공정을 다수의 세부작업과 작업순서로 표현한 생산 시스템을 결정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상기 인적자원정보와 물적자원정보 및 설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생산 시스템의 전 공정에 대한 공정현황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생산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실적 테이터를 수집하는 지능형 생산관리장치를 포함하는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각종 제품의 생산을 위한 전사적 자원관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5530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등록일자 : 2017. 05. 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가 GUI 인디케이터를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화면 위로 팝업하여 1단계 가시화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입력수단이 상기 1단계 가시화 형태의 GUI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면, 상기 GUI 인디케이터를 상위 계층영역과 하위계층영역이 독립적으로 표시되도록 펼쳐지면서 2단계 가시화 형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입력수단이 상기 GUI 인디케이터의 상위계층영역의 단위선택요소를 선택할 때마다 상기 하위계층영역의 선택 요소 쌍을 변경하여 3단계 가시화 형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제품의 생산을 위한 제조업체 간의 협업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6989호 "제조업체 간의 협업을 통한 플랫폼 시스템"(등록일자 : 2016. 09. 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합 플랫폼 관리시스템을 구동시키는 플램폼 엔진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솔버(SOLVER) 엔진모듈로서, OBO(ORDER BY ORDER) 솔버 엔진모듈, 푸쉬 솔버 엔진모듈, 하이브리드 솔버 엔진모듈, 복합 하이브리드 솔버 엔진모듈, 이벤트 푸쉬 솔버 엔진모듈 중 하나의 솔버 엔진모듈을 제공하는 솔버 제공유닛; 및 설비와 관련된 고정된 정적 모델 정보를 로드하는 정적 모델 로드부, 수요와 관련된 변동 가능한 동적 모델 정보를 로드하는 동적 모델 로브부 및 상기 로드된 정적 모델 정보 및 동적 모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솔버 제공유닛이 제공하는 하나의 솔버 엔진 모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솔버 엔진모듈을 이용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계획수립부가 포함되는 솔루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솔버 엔진모듈, 복합 하이브리드 솔버 엔진모듈, 이벤트 푸쉬 솔버 엔진모듈은 풀 방식과 푸쉬 방식이 병행되어 계획수립단계에 적용되고, 상기 복합 하이브리드 솔버 엔진모듈은 상기 OBO 솔버 엔진모듈, 푸쉬 솔버 엔진모듈, 하이브리드 솔버 엔진모듈의 기능을 이용하여 키(KEY) 공정을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하되, 상기 OBO 솔버 엔진모듈을 이용하여 전체 생산 요구량에 대해 키 공정까지의 TAT(TURN AROUND TIME) 산출을 하여 키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푸쉬 솔버 엔진모듈을 이용하여 키 공정계획 기준 투입 시점부터 키 공정 이전까지의 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OBO 솔버 엔진모듈을 이용하여 생산요구량을 기준으로 키 공정 시점부터 완성 공정 시점까지의 계획을 수립하며, 키 공정계획 기준 투입 시점부터 키 공정 시점까지의 계획을 JIT(JUST IN TIME) 방식으로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업체 간의 협업을 통한 플랫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관리 시스템은 CPM 공법을 자사 생산 제품의 생산공정 전 과정을 계획하고 시물레이션하며, 생산시스템의 각 공정 현황을 RFID 및 센서를 통하여 모니터링하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자사에서 직접 생산하는 제품에 한하여 영업, 생산, 구매 및 물류에 대한 정보에 자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을 할 수 있으나 관련 정보의 공유가 자사의 정보만을 공유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조업체 간의 협업을 통한 플랫폼 시스템은 자사와 OEM 업체 각각이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일 계획을 통해 제품 생산을 생산하면서 정보를 공유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관리 시스템과,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제조업체 간의 협업을 통한 플랫폼 시스템은 자사에서 제품을 모두 주문에 의해서만 생산하거나 동일한 제품을 OEM 방식으로 모두 위탁하여 생산할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겠으나, 생산 제품이 소량 다품종으로 구성되고, 제품의 수요도 기후 및 계절적 요인에 변화에 의해 소비자의 주문 전 제품의 사전 생산이 필요한 수요가 짧은 납기의 신규수요가 빈번히 발생하며,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제조와 판매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되 위탁 생산하는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생산관리정보만을 공유를 원하는 생산협력업체의 식품 포장용기 생산 협력업체의 업종에 대한 특징과, 생산제품의 원재료로 플라스틱 및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면서 포장되는 식품에 따라 소량 다품종별 상이한 원재료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고, 생산제품의 사양 등이 포장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면서 제품 규격의 변화주기도 짧은 특성을 갖는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주생산업체 및 생산협력체가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을 위한 생산관리 시스템으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과 관련하여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 간의 소량 다품종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관리계획 수립 및 공유, 기후 및 계절적 요인에 의한 불특정한 수요의 변화 따른 적기 납기를 위한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진행 상황의 모니터링 및 공유, 생산된 식품 포장용기의 저장을 위해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 및 원재료 협력업체에서 확보하여야 하는 저장창고의 최소화를 위한 입,출고 관리 및 생산관리정보의 공유로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성 향상과 생산 및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04118호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관리 시스템"(등록일: 2012. 01. 0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35530호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등록일자: 2017. 05. 3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56989호 "제조업체 간의 협업을 통한 플랫폼 시스템"(등록일자: 2016. 09. 06.)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주생산업체와 복수의 생산협력업체 간에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과 관련한 업체별 생산계획이 생산업체의 제품별 수요특성을 감안하여 실시간으로 수립될 수 있도록 하고, 제품의 생산계획 단계부터 출고단계까지의 전 공정이 서로 연계되는 기본정보를 구축하여 상호 연계된 공정의 생산업체별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되게 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게 하며, 고객에 대한 납기관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소량 다품종과 기후 및 계절적 요인에 의한 불특정한 수요의 변화에 대응하여 적기에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과 납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식품 포장용기와 생산협력업체별 생산계획이 각 업체의 POP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3년 이상의 출고지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량 다품종과 기후 및 계절적 수요 변동에 대응하는 제품별 생산계획이 수립되도록 함에 따라, 생산계획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면서 식품 포장용기 완성품과 원재료의 적정 재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주생산업체와, 주생산업체로부터 주문을 받아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생산협력업체의 식품 포장용기 생산현황을 실시간으로의 결정적 요인(MOT)에 의한 모니터링과 무선망을 통한 모바일과의 공유로 식품 포장용기 생산이 적기에 이루어지고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컨텐츠가 융합된 생산관리시스템의 구축으로 식품 포장용기 생산용 원재료 수급을 위한 발주의 지연 없이 적기에 원재료의 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의 목적은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생산운영 공정에 계획, 실행, 평가 및 개선이 포함된 PDCA 공정(PDCA PROCESS : PLAN-DO-CHECK-ACTION PROCESS)이 적용되어 계획대비 생산의 품질 및 서비스 준수율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7의 목적은 공급망 최적 관점의 주문자 필요 제품을 적기 공급할 수 있는 운영체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의 목적은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식품 포장용기 생산과 관련한 정보의 실시간 제공으로 생산인력의 조업률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의 목적은 거래처, 제품, 생산장비 및 생산인력에 대한 작업표준 정보운영으로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전산 및 실물재고의 일치율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의 목적은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이 기후 및 계절별 수요 특성을 감안하여 고객의 주문전 생산됨에 따른 완성품 저장을 위한 창고의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작은 규모의 창고로도 큰 규모의 창고를 확보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운영할 수 있는 가상창고가 확보되어 물류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은,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의 각각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와, 클라이언트 PC에서 정보 처리된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에서 송신한 생산공정 정보 및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에서 송신한 물류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와, 클라이언트 PC 간에 서로 무선으로 접속되며, 상기 메인서버에 각각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와,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와, 생산공정 정보 및 물류관리 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생산관리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생산관리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생산관리정보를 공유가능하게 각각 정보 처리하며, 권한을 통제관리하는 클라이언트 PC와; 상기 클라이언트 PC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가 허용한 권한에 따라 생산관리정보에 대한 메뉴를 각각 운영관리하는 사용자 PC와; 상기 클라이언트 PC 및 로거 컨트롤러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의 지시를 받아 생산장비를 운영하며, 상기 로거 컨트롤러를 통해 수집된 카운터센서에서 감지한 생산장비의 생산공정 정보를 상기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 및 상기 클라이언트 PC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바코드프린터 및 바코드스케너와 각각 접속되어 바코트프린터 및 바코드스케너를 운영하며,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의 바코드발행 신호와 바코드스케너의 스캔 신호로 입,출고되는 식품포장용기와 원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류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송신하는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메인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통합 저장하는 통합저장서버가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와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는 상기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생산관리정보에 대한 메뉴 운영관리에 권한이 허용된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PC는 모바일이 더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 데이터 기준정보,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 및 식품 포장용기 포장 포장재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는 거래 업체별 식품용과, 과일용 및 일반제품 포장 등을 포함하는 포장대상물의 특징과, 식품 포장용기의 생분해가능 여부를 포함한 용기의 재질적 특징에 따라 구분된 거래처 고유코드문자, 업체명, 식품 포장용기의 외면상에 처리되는 실리콘오일 또는 방담 처리 여부를 포함하는 표면처리정보, 정기와 수시 및 신규를 포함한 구매방식을 구분한 구매 구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성형기, 홀 타공기, 트리밍 절단기를 포함한 생산장비의 특징에 따라 구분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별 장비고유코드문자, 성형기, 홀 타공기, 트리밍 절단기를 포함하는 생산장비별 명칭, 사용 금형명칭, 성형기의 홀 가공장치 구비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는 성형, 펀칭 및 트리밍의 생산공정별로 구분된 금형별 금형고유코드문자, 금형명칭, 1조의 금형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금형의 수를 나타내는 캐비티 수,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시 성형기가 금형의 합형 및 이형을 포함하는 1회의 행정으로 성형되는 성형 단위당 원재료의 공급 소모 길이와 소모 중량 및 스크랩 발생 중량, 1조의 금형으로 성형 단위당 제조되는 식품 포장용기의 수량, 성형기의 1회 행정에 소요되는 성형기의 가동시간, 홀 또는 트리밍 가공공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는 원재료의 형상이 SHEET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원자재의 종류와 원재료 공급업체별로 구분된 원재료 고유코드문자, 원재료 공급업체명, 원재료명, 재질, 색상, 원재료의 외면상에 처리되는 실리콘오일 또는 방담 처리에 대한 표면처리 여부,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시 성형기가 금형의 합형 및 이형을 포함하는 1회의 행정으로 성형되는 성형 단위당 원재료의 소모 길이와 가로 길이 및 두께, 원자재 1롤당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PC 각각은 유저 PC와,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 및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입력된 메뉴 정보에 대응하여, 생산관리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실행부와, 정보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처리실행부와 송수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데이터처리실행부의 각각은 기준정보운영실행부와, 총괄생산계획운영실행부와, 주생산계획운영실행부와, 구매자재계획운영실행부와, 공정관리운영실행부(116,216)와, 실시간 운영관리모니터링실행부와, IN-PUT운영실행부 및 총괄물류관리운영DEPORT실행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PC는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의 생산관리정보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인 구매자재계획정보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에 전송하고,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생산관리정보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인 공정관리계획정보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를 전송받는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PC는 물류관리 정보 중 식품 포장용기의 입고정보는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송신된 출고정보를 식품 포장용기의 입고정보로 처리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PC로부터 송신된 출고정보를 입고정보로 처리한 정보와,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에서 수신받은 입고정보가 동일한 물품의 정보인 경우에는 동일한 2개의 입고정보 중 하나의 입고정보가 상기 메인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의 생산관리정보 각각은 총괄생산계획정보와, 주생산계획정보와, 구매자재계획정보와, 공정관리계획정보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와, IN-PUT 운영정보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총괄생산계획정보는 계획 생산량 정보, 견적제안등록 정보, 주문등록 정보, 생산요청 정보, 생산요청 수정정보, 제품별 출하실적 정보, 주문별진행상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획 생산량 정보는 식품 포장용기의 명칭, 거래처명 및 규격별로 구분된 적어도 3년 이상의 평균 출고량을 월별 또는 계절별과 정기, 수시 및 신규를 포함하는 구매 형태가 구분된 정보이고, 상기 주문등록 정보는 견적제안등록된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계획량을 월별 또는 계절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출고량 통계지수 확정하고, 확정된 생산량을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생산할 생산량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생산할 생산량으로 구분하여 등록한 정보인 것이다.
상기 주생산계획정보는 생산요청 추가 및 조정 정보, 작업카렌더 작성 정보, 일자별 작업시간누적 정보, 생산일정계획 정보, 작업지시계획 정보, 작업지시계획 현황 정보, 작업지시서 정보, 작업지시서발행 정보, 연장 근무결재 정보,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 및 일일 생산일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일정계획 정보는 생산 장비별 생산 제품, 원재료, 금형에 대한 사용 일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지시계획 정보는 생산장비별 제품명, 원재료명, 사용 금형명, 생산 지시 수량, 생산 소요시간에 대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일 생산일보 정보는 일자별로 구분되고 제품명,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작업지시량과 성형량, 원재료명별 원재료 사용 중량, 식품 포장용기 완성수량, 개별 또는 박스를 포함한 포장 유형별 포장수량 및 완성품의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내역과, 일자별 작업 시작, 종료, 정규 및 연장근무 인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 및 거래처별 원재료명, 입,출내역, 입,출수량 및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재료 입,출고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구매자재계획정보는 총량작업소요현황 정보, 총량원재료소요현황 정보, 공정유형별작업소요현황 정보, 장비별일별누적소요현황 정보 및 장비별주문별우선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총량작업소요현황 정보는 생산일 및 식품 포장용기 제품명별 생산수량과 생산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총량원재료소요현황 정보는 생산일 및 원재료명별 식품 포장용기 생산수량 및 원재료 소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유형별작업소요현황 정보는 홀 가공 또는 트리밍 가공 공정이 필요한 식품 포장용기의 공정유형별 제품명, 생산수량 및 생산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별주문별우선위 정보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장비의 일별 누적 소요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별주문별우선위 정보는 식품 포장용기의 진공 또는 압 진공성형, 생산장비의 홀 가공기의 구비 여부에 따라 구분된 생산장비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공정관리계획정보는 작업지시별실적분석 정보, 장비별생산현황 정보, 원재료불량현황 정보, 파레토도(PARATO) 정보, 제품검사 정보 및 원재료검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지시별실적분석 정보는 제품명별 작업지시수량, 양품수량, 불량수량, 작업지시수량 달성율, 일별 작업시작및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별생산현황 정보는 제품명별, 일별, 월별, 계획수량 대비 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별실적분석 정보, 생산 장비별 일,월별 성형 수량 중 양품 및 불량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파레토도(PARATO) 정보는 제품명별 주름의 발생여부, 백화현상, 냉각불량, 원단의 불량과 불량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생산장비모니터링 정보는 생산 장비별, 기간별 장비가동현황 정보 및 현재의 장비가동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 장비별, 기간별 장비가동현황 정보는 생산 장비명별 일,월별 가동시간, 비가동시간 및 가동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의 장비가동현황 정보는 현재 생산중인 제품명과 제품명별 지시수량, 생산 수량, 원재료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IN-PUT 운영정보는 연장근무자 정보, 생산실적 입력 정보, 제품검사 입력 정보 및 일작업자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실적 입력 정보는 작업지시일별 생산 장비명, 제품명, 포장재명, 성형수량, 포장재 박스수량 및 포장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검사 입력 정보는 제품명별 박스당 포장수량, 제품의 LOT 번호, 생산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벨발행 정보, 생산 장비별, 일자별, 식품 포장용기 성형품에 대한 검사내용과 원재료에 대한 검사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는 반품 입고등록 정보, 출고등록 정보, 원자재발주등록 정보, 원재료입고등록 정보, 거래처별입출고현황 정보, 제품수불 정보, 월간제품수불집계 정보, 제품재고현황 정보, 원자재발주서발행 정보, 원재료미입고현황 정보, 월간원재료수불 정보 및 원재료재고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반품 입고등록 정보는 식품 포장용기의 반품에 대한 입고일, 거래처 코드, 입고 구분, 제품코드, 박스코드 및 LOT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출고등록 정보는 출고되는 식품포장용기의 출고일, 거래처 코드, 출고 구분, 제품코드, 박스코드, 박스당 수량, LOT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발주등록 정보는 발주일, 원재료 제품코드, 원재료명, 발주중량, 권취중량, 납기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원재료입고등록 정보는 바코드 스케너의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를 통해 전송된 바코드 스케너 감지정보 또는 원재료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300)이 송신하여 클라이언트 PC(110,210)에 수신된 원재료 출고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처별입출고현황 정보는 일자, 거래처명, 제품명별, 입,출고 구분, 입출고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수불 정보는 포장재에 포장된 전월이월 박스 및 제품수량, 포장재에 포장된 일별 박스 및 제품수량, 박스 및 제품수량의 출고수량 및 박스 및 제품수량의 잔고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재고현황 정보는 현재일의 제품고유코드문자, 제품명, 박스 및 제품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원재료미입고현황 정보는 발주일, 원재료명, 거래처명, 납기일, 발주수량, 입고수량, 미입고 잔량에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재료재고현황 정보는 현재일 기준 원재료명별 재고 수량 및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 간에 식품 포장용기와 관련한 업체별 생산계획이 생산업체의 제품별 수요특성을 감안하여 실시간으로 수립되고, 제품의 생산계획 단계부터 출고단계까지의 전 공정이 서로 연계되는 기본정보를 구축하여 상호 연계된 공정의 생산업체별 진행 상태가 공유됨으로써,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되게 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게 하며, 고객에 대한 납기관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량 다품종과 기후 및 계절적 요인에 의한 불특정한 수요의 변화에 대응하여 적기에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과 납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의 업체별 생산계획이 각 업체의 POP 서버에 저장된 적어도 3년 이상의 출고지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량 다품종과 기후 및 계절적 수요 변동에 대응하는 제품별 생산계획이 수립됨에 따라, 생산계획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면서 식품 포장용기 완성품과 원재료의 적정 재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생산업체와, 주생산업체로부터 주문을 받아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생산협력업체의 식품 포장용기 생산현황을 실시간의 결정적 요인(MOT)에 의한 모니터링과 무선망을 통한 모바일과의 공유로 식품 포장용기 생산이 적기에 이루어지고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컨텐츠가 융합된 생산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 식품 포장용기 생산용 원재료 수급을 위한 발주의 지연 없이 적기에 원재료의 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생산운영 공정에 계획, 실행, 평가 및 개선이 포함된 PDCA 공정(PDCA PROCESS : PLAN-DO-CHECK-ACTION PROCESS)이 적용됨에 따라 계획대비 생산 준수율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급망 최적 관점의 주문자 필요 제품을 적기 공급을 운영체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식품 포장용기 생산과 관련한 정보의 실시간 제공으로 생산인력의 조업율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거래처, 제품, 생산장비 생산인력에 대한 작업표준 정보운영으로 식품 포장용기 및 원재료에 대한 전산 및 실물재고의 일치율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이 기후 및 계절별 수요 특성을 감안하여 고객의 주문 전 생산됨에 따른 완성품 저장을 위한 창고의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작은 규모의 창고로도 큰 규모의 창고를 확보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운영할 수 있는 가상창고가 확보되어 물류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복수의 생산협력업체 간의 연계 구성도이다.
도 2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 각각의 POP 플랫폼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복수의 생산협력업체 간의 정보처리 흐름도이다.
도 4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 구비된 클라이언트 PC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메인서버 각각에 저장되는 기본정보 구성도이다.
도 6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클라이언트 PC 각각에서 처리하는 생산관리정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PET,PP,PS) 및 생분해성 수지(PLA) 등을 이용하여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주생산업체와, 상기 주생산업체로부터 주문받은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복수의 생산협력업체 간에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과 관련한 생산관리정보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한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POP 플랫폼 시스템별로 구분한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메인서버와 연결되어 POP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메뉴에 대응하는 필요정보를 요구하고 통신하는 POP 플랫폼 시스템의 클라이언트 PC, 사용자가 공정별 허용된 권한에 따라 메뉴를 운영관리하는 유저 PC, 생산 현장에서 클라이언트 PC의 지시를 받아 로거를 통해 생산장비의 생산공정 정보를 수집하거나, 바코드프린터 및 바코드 스케와 접속되어 물류관리정보를 수집하는 각종 터미널 PC 등을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에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웹(WEB) 방식을 포함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복수의 생산협력업체 간의 연계 구성도이고, 도 2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 각각의 POP 플랫폼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3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복수의 생산협력업체 간의 정보처리 흐름도이고, 도 4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 구비된 클라이언트 PC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메인서버 각각에 저장되는 기본정보 구성도이고, 도 6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클라이언트 PC 각각에서 처리하는 생산관리정보 구성도이다.
이제,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의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PET, PP, PS) 및 생분해성 수지(PLA) 등을 이용하여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주생산업체가 구비한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상기 주생산업체와 근접 또는 원거리 위치하면서 주생산업체로부터 주문받아 플라스틱 및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식품 포장용기를 생산하는 복수의 생산협력업체(이하'생산협력업체'라 합니다)가 각각 구비한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은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 각각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PC(110,210, CLIENT PC)를 통해 서로 무선으로 접속되어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각각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으로 이루어진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각각은,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 및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용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메인서버(160,260)에는 동일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가 각각 저장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클라이언트 PC(110,210)에서 정보 처리된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에서 송신한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에서 송신한 물류관리 정보(153,253)를 포함하는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메인서버(160,260)와;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클라이언트 PC(110,210) 간에 서로 무선으로 접속되며,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각각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 정보(153,25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생산관리정보를 공유가능하게 각각 정보 처리하며, 권한을 통제관리하는 클라이언트 PC(110,210)와;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허용한 권한에 따라 생산관리정보(190,290)에 대한 메뉴를 각각 운영관리하는 사용자 PC(130,230)와;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 및 로거 컨트롤러(141,241)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지시를 받아 생산장비를 운영하며, 상기 로거 컨트롤러(141,241)를 통해 수집된 카운터센서(142,242)에서 감지한 생산장비의 생산공정 정보(143,243)를 상기 메인서버(160,260)로 송신하는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및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바코드프린터(151,251) 및 바코드스케너(152,252)와 각각 접속되어 바코트프린터(151,251) 및 바코드스케너(152,252)를 운영하며,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의 바코드발행 신호와 바코드스케너(152,252)의 스캔 신호로 입,출고되는 식품포장용기와 원재료 및 원료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류관리정보(153,253)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로 송신하는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서버(160,260)의 각각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110,210)에서 처리한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예를 들어 유저 PC(130)가 클라이언트 PC(110)에 접속하여 주문등록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면, 주문등록 처리된 정보가 메인서버(160)에 저장되는 정보 등을 의미한다)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에서 송신한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에서 송신한 물류관리 정보(153,253)를 포함하는 정보가 각각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통합 저장하는 통합저장서버(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메인서버(160,260) 각각에는 동일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가 각각 저장되며,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 데이터 기준정보(171,271),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172,272),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173,273),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174,274),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175,275),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176,276) 및 식품 포장용기 포장 포장재정보(177,277)를 포함하는 동일한 정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 및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메인서버(160,260)에는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체의 사원 관리 등을 위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 데이터 기준정보(171,271)는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172,272),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173,273),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174,274),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175,275),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176,276) 및 식품 포장용기 포장 포장재정보(177,277)를 정보 목록별로 구분한 목록별 고유코드문자정보와, 상기 유저 PC(130,230)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및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별 권한을 제한하는 프로그램권한관리정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172,272)는 거래 업체별 식품용과, 과일용 및 일반제품 포장 등을 포함하는 포장대상물의 특징과, 식품 포장용기의 생분해가능 여부를 포함한 용기의 재질적 특징에 따라 구분된 거래처 고유코드문자, 업체명, 식품 포장용기의 외면상에 처리되는 실리콘오일 또는 방담 처리 여부를 포함하는 표면처리정보, 정기와 수시 및 신규를 포함한 구매방식을 구분한 구매 구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173,273)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성형기, 홀 타공기, 트리밍 절단기를 포함한 생산장비의 특징에 따라 구분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별 장비고유코드문자, 성형기, 홀 타공기, 트리밍 절단기를 포함하는 생산장비별 명칭, 사용 금형명칭, 성형기의 홀 가공장치 구비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174,274)는 성형, 펀칭 및 트리밍의 생산공정별로 구분된 금형별 금형고유코드문자, 금형명칭, 1조의 금형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금형의 수를 나타내는 캐비티 수,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시 성형기가 금형의 합형 및 이형을 포함하는 1회의 행정으로 성형되는 성형 단위당 원재료의 공급 소모 길이와 소모 중량 및 스크랩 발생 중량, 1조의 금형으로 성형 단위당 제조되는 식품 포장용기의 수량, 성형기의 1회 행정에 소요되는 성형기의 가동시간, 홀 또는 트리밍 가공공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174,274)에는 금형별 약칭, 금형 제조일, 금형의 보수회수, 식품 포장용기의 시간당 생산 가능한 수량에 대한 정보, 진공 성형 또는 압 진공 성형 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175,275)는 식품용, 과일용 및 일반제품을 포함한 포장 대상물의 특징과, 식품 포장용기의 생분해 가능 여부를 포함한 식품 포장용기의 재질적 특징 및 식품 포장용기 몸체의 규격 및 주작업공정, 홀 가공 및 뚜껑의 유무에 대한 제품의 특징에 따라 구분된 제품고유코드문자, 제품명, 제품명별 주작업공정, 포장박스의 고유코드문자 중 구분코드를 제외한 고유코드문자, 1개의 포장박스에 넣어져 포장되는 식품 포장용기의 몸체 및 뚜껑의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175)에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용 원재료의 고유코드문자 중 구분코드를 제외한 원재료의 고유코드문자, 금형별 고유코드문자 중 금형의 공정구분 공정코드를 제외한 금형의 고유코드문자, 식품 포장용기의 용도, 식품 포장용기가 조(SET)로 이루어지는 경우 모제품의 고유코드문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176,276)는 원재료의 형상이 SHEET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원자재의 종류와 원재료 공급업체별로 구분된 원재료 고유코드문자, 원재료 공급업체명, 원재료명, 재질, 색상, 원재료의 외면상에 처리되는 실리콘오일 또는 방담 처리에 대한 표면처리 여부,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시 성형기가 금형의 합형 및 이형을 포함하는 1회의 행정으로 성형되는 성형 단위당 원재료의 소모 길이와 가로 길이 및 두께, 원자재 1롤당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식품 포장용기 포장 포장재정보(177,277)는 식품 포장용기가 내측으로 수용되어 포장되는 포장재의 형상이 박스형태인지 여부를 포함한 형태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포장재별 고유코드문자, 포장재 공급 업체명, 포장재명, 재질, 타입, 포장재의 가로와 세로 및 높이, 1개 포장재 당 식품 포장용기 수용 중량, 포장된 식품 포장용기의 색상, 포장된 식품 포장용기의 외면상에 처리되는 실리콘 오일 또는 방담 처리 여부를 표시하는 표면처리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을 각각 구성하는 메인서버(160,260)와, 유저 PC(130,230) 및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를 포함한 구성요소들의 권한을 통제관리하고,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성하며, 클라이언트 PC(110,210) 간에도 서로 무선으로 접속되어 통신하는 메인 PC이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유저 PC(130,230)로부터 입력된 메뉴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 정보(153,25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고, 이를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또는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에도 생산관리정보(190,290)에 대한 메뉴 운영관리에 권한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또는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로부터 입력된 메뉴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 정보(153,25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성하고, 생성된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또는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고, 이를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의 클라이언트 PC(110)는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의 생산관리정보(190)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인 구매자재계획정보(194)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210)에 전송하고,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210)로부터 생산관리정보(290)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인 공정관리계획정보(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296)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298)을 각각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각각에는 모바일이 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110,210)의 각각은 메인서버(160,260) 각각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 정보(153,253)를 이용하여,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실행부(111,211)와;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접속된 메인서버(160,260), 유저 PC(130,230),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과,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및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생산관리정보(190,290) 등의 정보를 송수신을 처리하는 송수신부(121,221); 및 상기 데이터처리실행부(111,211)와 송수신부(121,2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3,223)로 각각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는 물류관리 정보(153) 중 식품 포장용기 입고정보는 클라이언트 PC(210)에서 송신된 출고정보를 전송받아 식품 포장용기의 입고정보로 처리하게 할 수 있고, 상기 클라이언트 PC(210)에서 전송된 출고정보를 입고정보로 처리한 정보와,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에서 수신받은 입고정보가 동일한 물품의 정보인 경우에는 동일한 2개의 입고정보 중 하나의 입고정보만 상기 메인서버(160)에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생산관리정보(190,290) 각각의 하위 생산관리정보로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데이터관리정보(191,291)와,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와, 주생산계획정보(193,293)와,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와,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196,296)와, IN-PUT 운영정보(197,297)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로 구성된다.
그리고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 각각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데이터관리(MDM : MASTRT DATE MANAGEMENT)정보(191,291)를 처리하는 기준정보 운영 실행부(112,212)와, 총괄생산계획(APP :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정보(192,292)를 처리하는 총괄생산계획운영실행부(113,213))와, 주생산계획(MPS : MASTER PRODUCTION SCHEDULE)정보(193,293)를 처리하는 주생산계획운영실행부(114,214)와, 구매자재계획(MRP : METERIAL REQUIRMENT PLANNING)정보(194,294)를 처리하는 구매자재계획운영실행부(115,215)와, 공정관리계획(SPC : STATISTICAL PROCESS CONTROL)정보(195,295)를 처리하는 공정관리운영실행부(116,216)와, 생산장비모니터링(FACILITY OPERATE MONITORING)정보(196,296)를 처리하는 실시간 운영관리모니터링실행부(117,217)와, IN-PUT 운영정보(197,297)를 처리하는 IN-PUT운영실행부(128,228)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를 처리하는 총괄물류관리운영DEPORT실행부(129,229)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PC(130,230)는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허용한 권한에 따라 생산관리정보(190,290)에 대한 메뉴를 각각 운영관리하기 위해 주생산업체 POP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시스템(200)에 각각 구비된 사용자용 PC이다.
다음으로,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는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 및 로거 컨트롤러(141,241)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지시를 받아 생산장비를 운영하며, 상기 로거 컨트롤러(141,241)를 통해 수집된 카운터센서(142,242)에서 감지한 생산장비의 생산공정 정보(143,243)를 상기 메인서버(160,260)로 송신하기 위해 주생산업체 POP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시스템(200)에 각각 구비된 생산공정 정보(143,243) 관리용 PC이다.
여기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시스템(200)의 로거 컨트롤러(141,241)와 접속되고 식품 포장용기 생산장비에 설치되는 카운터센서(142,242)는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시 성형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금형의 합형과 이형 행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행정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다음으로,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는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바코트프린터(151,251) 및 바코드스케너(152,252)와 각각 접속되어 바코트프린터(151,251) 및 바코드스케너(152,252)를 운영하고,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의 바코드발행 신호와 바코드스케너(152,252)의 스캔 신호로 입,출고되는 식품 포장용기와 원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류관리정보(153,253)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로 송신하기 위해 주생산업체POP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시스템(200)에 각각 구비된 물류관리정보(153,253)용 PC이다.
셋째로, 도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기준정보 운영 실행부(112,212)가 마스터데이터관리정보(191,291)를 처리하는 과정, 총괄생산계획운영실행부(113,213)가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를 처리하는 과정, 주생산계획운영실행부(114,214)가 주생산계획정보(193,293)를 처리하는 과정, 구매자재계획운영실행부(115,215)가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를 처리하는 과정, 공정관리운영실행부(116,216)가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를 처리하는 과정, 실시간 운영관리모니터링실행부(117,217)가 생산장비모니터링 정보(196,296)를 처리하는 과정, IN-PUT운영실행부(128,228)가 IN-PUT 운영정보(197,297)를 처리하는 과정 및 총괄물류관리운영DEPORT실행부(129,229)가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를 포함한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처리하는 정보 내용과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상기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 주생산계획정보(193,293),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 생산장비모니터링 정보(196,296), IN-PUT 운영정보(197,297),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 출고 및 재고량과 식품 포장용기 생산장비의 가동시간, 생산인력 근무시간, 원재료의 입고, 사용 및 재고량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산정하는 과정에 대해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량과 원재료 소모량에 산정 예[식품 포장용기의 출고량, 재고량, 생산장비의 가동시간, 생산인력 근무시간 및 원재료의 입고 및 잔고 등에 대한 산정은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산정 요청된 정보의 종류에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정보(153,253) 중에서 산정하는 요소만을 달리하여 산정된다]로 설명한다.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에는 생산하는 모든 식품 포장용기에 대한 고유코드문자 또는 제품명을 포함하는 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와 연계되도록 구성된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172,272),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173,273),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174,274),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175,275),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176,276) 및 식품 포장용기 포장 포장재정보(177,277)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160,260)에는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에서 송신한 생산 일별(시간) 제품명 등에 대응하는 생산 장비명, 사용 금형명 및 카운터 센서에서 감지된 카운터 수 등을 포함하는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에서 송신한 입,출고 일별(시간) 제품명 등에 대응하는 식품 포장용기와 원재료 및 포장재의 입,출고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관리정보(153,253)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PC(110,210)의 제품명별, 일별, 기간별, 계절별, 거래처별, 생산장비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량 또는 원재료의 소모량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생성되는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량 또는 원재료의 소모량 산정에 필요한 메뉴(사용자가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량 또는 원재료의 소모량 산정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메뉴'로 기재합니다)를 선택하면, 상기 유저 PC(130,23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량 또는 원재료의 소모량 산정 요청정보를 클라이언트 PC(110,210)에 송신하고, 상기 유저 PC(130,230)로부터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량 또는 원재료의 소모량 산정 요청정보를 수신받은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통신하여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175,275)의 제품명에 연계되도록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174,274)의 1조의 금형으로 성형 단위당 제조되는 식품 포장용기의 수량 또는 금형의 합형 및 이형을 포함하는 1회의 행정으로 성형되는 성형 단위당 원재료의 공급 소모 길이와, 소모 중량 및 스크랩 발생 중량에 대한 정보와, 제품명과 거래처명, 생산장비명과 연계되게 저장된 생산공정 정보(143,243)에 포함된 카운터센서(142,242)가 감지한 카운터 수 정보를 연산하여 일별, 기간별, 거래처별, 겨절별, 생산 장비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량 또는 원재료의 소모량에 대한 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일별, 기간별, 계절별, 거래처별, 생산장비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량 또는 원재료의 소모량에 대한 정보를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한다.
이제, 위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가 상기 생산관리정보(190,290)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의 세부 산정과정을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가 상기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기준정보 운영 실행부(112,212)의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데이터관리정보(191,291)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데이터관리정보(191,291)의 처리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웹(WEB) 방식을 포함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정보별 메뉴와 그 하위 메뉴에 대응하는 코드와 하위코드를 포함하여 관리하는 통합코드관리정보와, 상기 유저 PC(130,230)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및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별 권한을 제한하는 프로그램권한관리정보 및 원재료소요계획(BOM : BYTE ORDER MARK) 등을 정보처리장치 상에서 메뉴 관리등을 하는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통합코드관리정보 및 프로그램권한관리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므로,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기준정보 운영 실행부(112,212)가 마스터데이터관리정보(191,291)를 처리하는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총괄생산계획운영실행부(113,213)가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총괄생산계획 관련 유저 PC(130,230)에 생성되는 총괄생산계획 관련 메뉴가 선택되어 유저 PC(130,230)로부터 메뉴 선택신호를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수신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통신하여 상기 유저 PC(130,230)의 메뉴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정보(153,25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① 식품 포장용기의 명칭, 거래처명 및 규격별로 구분된 적어도 3년 이상의 평균 출고량을 연산하여 월별 또는 계절별 정기, 수시 및 신규를 포함하는 구매 형태가 구분된 계획 생산량을 산정하는 계획 생산량 정보 생성, ② 상기 식품 포장용기의 계획생산량과 고객주문에 의한 주문생산 수량을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연계되게 생산계획량으로 견적등록하는 견적제안등록 정보 생성, ③ 상기 견적제안등록된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계획량을 월별 또는 계절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주문출고량의 통계지수로 확정하고, 확정된 생산계획량을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생산할 생산량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에서 생산할 생산량으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주문등록 정보 생성, ④ 주문등록된 식품 포장용기의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할 생산량 정보를 주생산생산계획 관련 사용자 유저 PC(130)로 송신하여 생산요청하고,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할 생산량 정보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PC(110)를 통해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에 송신하는 생산요청 정보 생성 및 처리, ⑤ 식품 포장용기의 납기일 변경 및 납기일이 짧은 긴급한 신규수요 등에 의해 생산요청을 변경하고, 변경된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할 생산량 정보를 생성하여 주생산생산계획 관련 사용자 유저 PC(130)로 송신하여 수정 생산요청하고,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할 수정된 생산량 정보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PC(110)를 통해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에 송신하여 수정 생산요청하는 생산요청 수정정보 생성 및 처리, ⑥ 식품 포장용기 제품별, 거래처별 출고 정보를 기간별로 생성하는 제품별 출하실적 정보 생성, ⑦ 상기 주문등록된 주문별 제품명별 주문수량, 생산수량, 미생산량 및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기간별로 생성하는 주문별진행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고, 생성 및 처리된 상기 정보를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이를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계획 생산량 정보를 3년 이상의 평균 출고 실적 정보로 산정하고, 정기, 수시 및 신규를 포함하는 구매 형태를 구분하는 이유는 기후 및 계절적 수요 변화와, 포장 대상물의 변화 및 소비자의 기호 변화에 대응되면서 고객의 주문 전계획 생산에 의한 재고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주생산계획운영실행부(114,214)가 주생산계획정보(193,293)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주생산계획 관련 유저 PC(130,230)에 생성되는 주생산계획 관련 메뉴가 선택되어 유저 PC(130,230)로부터 메뉴 선택신호를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수신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상기 유저 PC(130,230)의 메뉴 선택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통신하고,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정보(153,25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① 생산요청 정보에 대한 새로운 생산요청 정보를 추가 또는 수정하는 생산요청 추가 및 조정 정보처리, ② 생산요청 추가 및 조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생산인력의 근무일별 주간 정규, 주간연장, 야간 정규, 야간 연장에 대한 정보 중 적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근무일별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카렌더 작성 정보생성, ③ 생산요청 추가 및 조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생산인력의 근무일별 주간 정규, 주간연장, 야간 정규, 야간 연장에 정보 중 적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시간 누적정보를 생성하는 일자별 작업시간누적 정보생성, ④ 생산요청 추가 및 조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생산 장비별 생산 제품, 원재료, 금형에 대한 사용 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생산일정계획 정보생성, ⑤ 생산요청 추가 및 조정된 정보에 대응하는 생산장비별 제품명, 원재료명, 사용 금형명, 생산 지시 수량, 생산 소요시간 및 원재료 소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지시계획 정보생성, ⑥ 작성된 작업지시계획 정보를 종합한 작업지시계획 현황 정보생성, ⑦ 작성된 작업지시계획 정보에 대응하여 생산장비별 제품명, 원재료명, 사용 금형명, 생산 지시 수량, 생산 소요시간 및 원재료 소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작업지시서 정보 생성, ⑧ 작성된 작업지시서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지시서발행 정보 생성, ⑨ 일자별 작업시간누적 정보에 대응하는 생산인력의 연장 근무결재 정보생성, ⑨ 생산인력의 연장근무결재 정보에 대응하는 생산인력의 연장 근무내역 정보생성, ⑩ 일자별로 구분되고 제품명,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작업지시량과 성형량, 원재료명별 원재료 사용 중량, 식품 포장용기 완성수량, 개별 또는 박스를 포함한 포장 유형별 포장수량 및 완성품의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내역과, 일자별 작업 시작, 종료, 정규 및 연장근무 인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 거래처별 원재료명, 입,출내역, 입,출수량 및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재료 입,출고정보를 포함하는 일일 생산일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고, 생성된 정보가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주생산계획정보(193,293)는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로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주생산계획 관련 유저 PC(130,230)에 생성되는 주생산계획 관련 메뉴의 선택만으로 상기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와 연계되는 상기 주생산계획정보(193,293)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구매자재계획운영실행부(115,215)가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구매자재계획 관련 유저 PC(130,230)에 생성되는 구매자재계획 관련 메뉴가 선택되어 유저 PC(130,230)로부터 메뉴 선택신호를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수신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상기 유저 PC(130,230)의 메뉴 선택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통신하고,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정보(153,25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① 생산일 및 식품 포장용기 제품명별 생산수량과 생산 소요 시간을 산정하는 총량작업소요현황 정보생성, ② 생산일 및 원재료명별 식품 포장용기 생산수량 및 원재료 소요량을 산정하는 총량원재료소요현황 정보생성, ③ 홀 가공 또는 트리밍 가공 공정이 필요한 식품 포장용기의 공정유형별 제품명, 생산수량 및 생산 소요 시간을 산정하는 공정유형별작업소요현황 정보생성, ④ 식품 포장용기 생산장비의 일별 누적 소요시간을 산정하는 장비별일별누적소요현황 정보 생성, ⑤ 식품 포장용기의 진공 또는 압 진공성형, 생산장비의 홀 가공기의 구비 여부에 따라 생산장비의 우선 순위를 산정하는 장비별주문별우선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고, 생성된 정보가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는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로 주생산계획정보(193,293)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구매자재계획 관련 관련 유저 PC(130,230)에 생성되는 구매자재계획 관련 메뉴의 선택만으로 상기 주생산계획정보(193,293)와 연계되는 상기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공정관리운영실행부(116,216)가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공정관리계획 관련 유저 PC(130,230)에 생성되는 공정관리계획 관련 메뉴가 선택되어 유저 PC(130,230)로부터 메뉴 선택신호를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수신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상기 유저 PC(130,230)의 메뉴 선택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통신하고,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정보(153,25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① 제품명별 작업지시수량, 양품수량, 불량수량, 작업지시수량 달성율, 일별 작업시잘 및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지시별실적분석 정보생성, ② 제품명별, 일별, 월별, 계획수량 대비 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별실적분석 정보생성, ③ 생산 장비별 일,월별 성형 수량 중 양품 및 불량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비별생산현황 정보생성, ④ 원재료명별 일,월별 성형 수량 중 양품 및 불량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재료불량현황 정보생성, ⑤ 제품명별 주름의 발생여부, 백화현상, 냉각불량, 원단의 불량과 불량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검사 정보생성, ⑥ 상기 제품 및 원재료 검사 정보에 대응하는 파레토도(PARATO) 정보생성 및 ⑦ 원재료명별 원재료의 두께의 평균과, 표준 및 공차, 단량의 평균과, 표준 및 공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재료검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고, 생성된 정보가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실시간 운영관리모니터링실행부(117,217)가 생산장비모니터링 정보(196,296)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또는 운영관리 모니터링 유저 PC(130,230)에 생성되는 생산장비모니터링 관련 메뉴가 선택되어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또는 유저 PC(130,230)로부터 메뉴 선택신호를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수신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또는 운영관리 모니터링 유저 PC(130,230)의 메뉴 선택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통신하고,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정보(153,253) 중에서 선택되는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① 생산 장비명별 일,월별 가동시간, 비가동시간 및 가동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장비별, 기간별 장비가동현황 정보 생성, ② 생산 장비별 현재의 가동 또는 비가동상태 여부, 현재 생산 중인 제품의 작업지시번호, 현재 생산중인 제품명과 제품명별 지시수량, 생산 수량, 원재료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 장비별 현재의 장비가동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고, 생성된 정보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또는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IN-PUT운영실행부(128,228)가 IN-PUT 운영정보(197,297)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IN-PUT 운영관련 유저 PC(130,230)에서 생성되는 IN-PUT 운영관련 메뉴가 선택되어 유저 PC(130,230)로부터 메뉴가 선택 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수신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상기 유저 PC(130,230)의 메뉴 선택 정보에 대응하고,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상기 생산장비모니터링 정보(196,296) 연계되도록, ① 일별 근무자별 작업 시작, 종료시간 및 총 작업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연장근무자 정보 생성, ② 작업지시일별 생산 장비명, 제품명, 포장재명, 성형수량, 포장재 박스수량 및 포장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실적 입력 정보생성, ③ 제품명별 박스당 포장수량, 제품의 LOT 번호, 생산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벨발행 정보생성, ④ 생산 장비별, 일자별, 식품 포장용기 성형품에 대한 검사내용과 원재료에 대한 검사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검사 입력 정보 생성, ⑤ 일자별 작업조, 작업인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일작업자현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고, 생성된 정보가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총괄물류관리운영DEPORT실행부(129,229)가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를 처리하는 과정은,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또는 총괄물류관리운영 관련 유저 PC(130,230)에서 생성되는 총괄물류관리운영 관련 메뉴가 선택되어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또는 총괄물류관리운영 관련 유저 PC(130,230)로부터 메뉴 선택 신호를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수신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또는 유저 PC(130,230)의 메뉴 선택 정보에 대응하고,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연계되도록, ① 식품포장용기의 반품에 대한 입고일, 거래처 코드, 입고 구분, 제품코드, 박스코드 및 LOT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반품 입고등록 정보생성, ② 출고되는 식품포장용기의 출고일, 거래처 코드, 출고 구분, 제품코드, 박스코드, 박스당 수량, LOT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출고등록 정보생성, ③ 발주일, 원재료 제품코드, 원재료명, 발주중량, 권취중량, 납기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자재발주등록 정보생성, ④ 바코드 스케너의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40,240)를 통해 전송된 바코드 스케너 감지정보 또는 원재료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300)이 송신하여 클라이언트 PC(110,210)에 수신된 원재료 출고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원재료입고등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고, 생성된 정보가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또는 총괄물류관리운영 관련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데이터처리 실행부(111,211)에 구비된 총괄물류관리운영DEPORT실행부(129,229)가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를 처리하는 과정은,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또는 총괄물류관리운영계획 관련 유저 PC(130,230)에서 생성되는 총괄물류관리운영획 관련 메뉴가 선택되어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또는 총괄물류관리운영 관련 유저 PC(130,230)로부터 메뉴 선택 신호를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수신하게 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상기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 또는 총괄물류관리운영 관련 유저 PC(130,230)의 메뉴 선택 정보에 대응하여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 물류관리 정보(143,243) 및 생산공정 정보(153,25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⑤ 일자, 거래처명, 제품명별, 입,출고 구분, 입출고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처별입출고현황 정보생성, ⑥ 포장재에 포장된 전월이월 박스 및 제품수량, 포장재에 포장된 일별 박스 및 제품수량, 박스 및 제품수량의 출고수량 및 박스 및 제품수량의 잔고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수불 정보생성, ⑦ 제품고유코드문자, 제품명별 이월, 입고, 출고 및 잔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월간제품수불집계 정보 생성, ⑧ 현재일의 제품고유코드문자, 제품명, 박스 및 제품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재고현황 정보생성, ⑨ 상기 원자재발주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원자재발주서발행 정보생성, ⑩ 발주일, 원재료명, 거래처명, 납기일, 발주수량, 입고수량, 미입고 잔량에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재료미입고현황 정보생성, ⑪ 일별, 원자재 고유코드문자, 거래처명, 입고, 원재료명별 이월 입고, 출고, 잔고 수량 및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월간원재료수불 정보생성, ⑫ 월별, 거래처명, 원재료명별 이월 입고, 출고별 수량 및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월간원재료수불집계 정보생성, ⑬ 현재일 기준 원재료명별 재고 수량 및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재료재고현황 정보가 생성되게 하고, 생성된 정보가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또는 유저 PC(130,230)의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체와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에서 생성된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가 실시간으로 생성되어 공유되는 흐름과 이에 대한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주생산업POP 플랫폼 시스템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의 각각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PC(110,210)가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 정보(153,25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 주생산계획정보(193,293)와,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와,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196,296), IN-PUT 운영정보(197,297)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 순으로 생산관리정보(190,290)가 실시간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사용자는 유저 PC(130,230) 또는 모바일을 통해 자사의 사용자별 설정된 권한에 따라 상기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와, 주생산계획정보(193,293)와,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와,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196,296), IN-PUT 운영정보(197,297)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를 모두 포함하는 생산관리정보(190,290)을 실시간으로 수립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의 클라이언트 PC(110)는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의 생산관리정보(190)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인 구매자재계획정보(194)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210)로 전송하고,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210)로부터 생산관리정보(290)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인 공정관리계획정보(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296)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298)을 각각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이에 따라,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유저 PC(130,230) 또는 모바일을 통해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196,296)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를 포함한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에 있어,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에서 각각 생성한 생산관리정보(190,290)는 자사의 유저 PC(130,230) 또는 모바일을 통해 모두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유저 PC(130) 또는 모바일을 통해,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196,296)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를 포함한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작용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 110,210 : 클라이언트 PC
111,211 : 데이터처리 실행부 112,212 : 기준정보운영실행부
113,213: 총괄생산계획운영실행부 114,214 : 주생산계획운영실행부
115,215 : 구매자재계획운영실행부 116,216 : 공정관리운영실행부
117,217 : 실시간 운영관리모니터링실행부 121,221 : 송수신부
123,223 : 제어부 124,224 :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
128,228 : IN-PUT운영실행부
129,229 : 총괄물류관리운영DEPORT실행부 130,230 : 유저 PC
140,240 :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 141,241 : 로거 컨트롤러
142,242 : 카운터 센서 143,243 : 생산공정 정보
150,250 :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 151,251: 바코드 프린터
152,252 : 바코드 스케너 153,253 : 물류관리 정보
160,260 : 메인서버
170,270 :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
171,271 :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데이터 기준정보
172,272 :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
173,273: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
174,274 :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 175,275: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
176,276 :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
177,277 : 식품 포장용기 포장 포장재정보 190,290,390: 생산관리정보
191,291 : 마스터데이터관리정보 192,292: 총괄생산계획정보
193,293 : 주생산계획정보 194,294 : 구매자재계획정보
195,295 : 공정관리계획정보 196,296 :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
197,297 : IN-PUT 운영정보
198,298 :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
200 :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 400 : 통합저장서버

Claims (21)

  1.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으로 이루어진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각각은,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110,210)에서 정보 처리된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에서 송신한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50,250)에서 송신한 물류관리 정보(153,253)를 포함하는 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메인서버(160,260)와;
    상기 메인서버(160,260)와, 클라이언트 PC(110,210) 간에 서로 무선으로 접속되며,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각각 저장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와, 클라이언트 PC 처리정보(124,224)와, 생산공정 정보(143,243) 및 물류관리 정보(153,253)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각의 생산관리정보(190,29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위 생산관리정보를 공유가능하게 각각 정보 처리하며, 권한을 통제관리하는 클라이언트 PC(110,210)와;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가 허용한 권한에 따라 생산관리정보(190,290)에 대한 메뉴를 각각 운영관리하는 사용자 PC(130,230)와;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 및 로거 컨트롤러(141,241)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의 지시를 받아 생산장비를 운영하며, 상기 로거 컨트롤러(141,241)를 통해 수집된 카운터센서(142,242)에서 감지한 생산장비의 생산공정 정보(143,243)를 상기 메인서버(160,260)로 송신하는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및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와 각각 무선으로 접속되고 바코드프린터(151,251) 및 바코드스케너(152,252)와 각각 접속되어 바코트프린터(151,251) 및 바코드스케너(152,252)를 운영하며,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의 바코드발행 신호와 바코드스케너(152,252)의 스캔 신호로 입,출고되는 식품포장용기와 원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류관리정보(153,253)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서버(160,260)로 송신하는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메인서버(160,260)에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통합 저장하는 통합저장서버(4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40,240)와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50,250)는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로부터 생산관리정보(190,290)에 대한 메뉴 운영관리에 권한이 허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210)는 모바일이 더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기준정보(170,270)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 마스터 데이터 기준정보(171,271),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172,272),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173,273),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174,274), 식품 포장용기 제품정보(175,275),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176,276) 및 식품 포장용기 포장 포장재정보(177,27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거래처정보(172,272)는 거래 업체별 식품용과, 과일용 및 일반제품 포장 등을 포함하는 포장대상물의 특징과, 식품 포장용기의 생분해가능 여부를 포함한 용기의 재질적 특징에 따라 구분된 거래처 고유코드문자, 업체명, 식품 포장용기의 외면상에 처리되는 실리콘오일 또는 방담 처리 여부를 포함하는 표면처리정보, 정기와 수시 및 신규를 포함한 구매방식을 구분한 구매 구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정보(173,273)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성형기, 홀 타공기, 트리밍 절단기를 포함한 생산장비의 특징에 따라 구분된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장비별 장비고유코드문자, 성형기, 홀 타공기, 트리밍 절단기를 포함하는 생산장비별 명칭, 사용 금형명칭, 성형기의 홀 가공장치 구비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금형정보(174,274)는 성형, 펀칭 및 트리밍의 생산공정별로 구분된 금형별 금형고유코드문자, 금형명칭, 1조의 금형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금형의 수를 나타내는 캐비티 수,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시 성형기가 금형의 합형 및 이형을 포함하는 1회의 행정으로 성형되는 성형 단위당 원재료의 공급 소모 길이와 소모 중량 및 스크랩 발생 중량, 1조의 금형으로 성형 단위당 제조되는 식품 포장용기의 수량, 성형기의 1회 행정에 소요되는 성형기의 가동시간, 홀 또는 트리밍 가공공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용기 생산 원재료정보(176,276)는 원재료의 형상이 SHEET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원자재의 종류와 원재료 공급업체별로 구분된 원재료 고유코드문자, 원재료 공급업체명, 원재료명, 재질, 색상, 원재료의 외면상에 처리되는 실리콘오일 또는 방담 처리에 대한 표면처리 여부,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시 성형기가 금형의 합형 및 이형을 포함하는 1회의 행정으로 성형되는 성형 단위당 원재료의 소모 길이와 가로 길이 및 두께, 원자재 1롤당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110,210) 각각은 유저 PC(130,230)와, 입,출고관리용 터미널 PC(140,240) 및 생산장비 관리용 터미널 PC(150,250)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입력된 메뉴 정보에 대응하여, 생산관리정보(190,290)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실행부(111,211)와, 정보의 송수신을 처리하는 송수신부(121,221) 및 상기 데이터처리실행부(111,211)와 송수신부(121,2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3,2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실행부(111,211)의 각각은 기준정보운영실행부(112,212)와, 총괄생산계획운영실행부(113,213)와, 주생산계획운영실행부(114,214)와, 구매자재계획운영실행부(115,215)와, 공정관리운영실행부(116,216)와, 실시간 운영관리모니터링실행부(117,217)와, IN-PUT운영실행부(128,228) 및 총괄물류관리운영DEPORT실행부(129,22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의 클라이언트 PC(110)는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의 생산관리정보(190)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인 구매자재계획정보(194)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클라이언트 PC(210)로부터 생산관리정보(290)의 하위 생산관리정보인 공정관리계획정보(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296)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298)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PC(110)는 물류관리 정보(143) 중 식품 포장용기의 입고정보는 클라이언트 PC(210)에서 송신된 출고정보를 식품 포장용기의 입고정보로 처리하되, 상기 클라이언트 PC(210)에서 송신된 출고정보를 입고정보로 처리한 정보와,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140)에서 수신받은 입고정보가 동일한 물품의 정보인 경우에는 동일한 2개의 입고정보 중 하나의 입고정보가 상기 메인서버(160)에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의 생산관리정보(190,290) 각각은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와, 주생산계획정보(193,293)와,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와,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와, 생산장비모니터링정보(196,296)와, IN-PUT 운영정보(197,297) 및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총괄생산계획정보(192,292)는 계획 생산량 정보, 견적제안등록 정보, 주문등록 정보, 생산요청 정보, 생산요청 수정정보, 제품별 출하실적 정보, 주문별진행상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계획 생산량 정보는 식품 포장용기의 명칭, 거래처명 및 규격별로 구분된 적어도 3년 이상의 평균 출고량을 월별 또는 계절별과 정기, 수시 및 신규를 포함하는 구매 형태가 구분된 정보이고,
    상기 주문등록 정보는 견적제안등록된 식품 포장용기의 생산계획량을 월별 또는 계절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출고량 통계지수 확정하고, 확정된 생산량을 주생산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생산할 생산량과 생산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생산할 생산량으로 구분하여 등록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주생산계획정보(193,293)는 생산요청 추가 및 조정 정보, 작업카렌더 작성 정보, 일자별 작업시간누적 정보, 생산일정계획 정보, 작업지시계획 정보, 작업지시계획 현황 정보, 작업지시서 정보, 작업지시서발행 정보, 연장 근무결재 정보,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 및 일일 생산일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일정계획 정보는 생산 장비별 생산 제품, 원재료, 금형에 대한 사용 일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지시계획 정보는 생산장비별 제품명, 원재료명, 사용 금형명, 생산 지시 수량, 생산 소요시간에 대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일일 생산일보 정보는 일자별로 구분되고 제품명, 식품 포장용기 생산 작업지시량과 성형량, 원재료명별 원재료 사용 중량, 식품 포장용기 완성수량, 개별 또는 박스를 포함한 포장 유형별 포장수량 및 완성품의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산내역과, 일자별 작업 시작, 종료, 정규 및 연장근무 인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 및 거래처별 원재료명, 입,출내역, 입,출수량 및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재료 입,출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재계획정보(194,294)는 총량작업소요현황 정보, 총량원재료소요현황 정보, 공정유형별작업소요현황 정보, 장비별일별누적소요현황 정보 및 장비별주문별우선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총량작업소요현황 정보는 생산일 및 식품 포장용기 제품명별 생산수량과 생산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총량원재료소요현황 정보는 생산일 및 원재료명별 식품 포장용기 생산수량 및 원재료 소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공정유형별작업소요현황 정보는 홀 가공 또는 트리밍 가공 공정이 필요한 식품 포장용기의 공정유형별 제품명, 생산수량 및 생산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별주문별우선위 정보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장비의 일별 누적 소요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별주문별우선위 정보는 식품 포장용기의 진공 또는 압 진공성형, 생산장비의 홀 가공기의 구비 여부에 따라 구분된 생산장비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공정관리계획정보(195,295)는 작업지시별실적분석 정보, 장비별생산현황 정보, 원재료불량현황 정보, 파레토도(PARATO) 정보, 제품검사 정보 및 원재료검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지시별실적분석 정보는 제품명별 작업지시수량, 양품수량, 불량수량, 작업지시수량 달성율, 일별 작업시작및 종료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장비별생산현황 정보는 제품명별, 일별, 월별, 계획수량 대비 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별실적분석 정보, 생산 장비별 일,월별 성형 수량 중 양품 및 불량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파레토도(PARATO) 정보는 제품명별 주름의 발생여부, 백화현상, 냉각불량, 원단의 불량과 불량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생산장비모니터링 정보(196,296)는 생산 장비별, 기간별 장비가동현황 정보 및 현재의 장비가동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 장비별, 기간별 장비가동현황 정보는 생산 장비명별 일,월별 가동시간, 비가동시간 및 가동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의 장비가동현황 정보는 현재 생산중인 제품명과 제품명별 지시수량, 생산 수량, 원재료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IN-PUT 운영정보(197,297)는 연장근무자 정보, 생산실적 입력 정보, 제품검사 입력 정보 및 일작업자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산실적 입력 정보는 작업지시일별 생산 장비명, 제품명, 포장재명, 성형수량, 포장재 박스수량 및 포장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검사 입력 정보는 제품명별 박스당 포장수량, 제품의 LOT 번호, 생산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라벨발행 정보, 생산 장비별, 일자별, 식품 포장용기 성형품에 대한 검사내용과 원재료에 대한 검사내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총괄물류관리운영 DEPORT 정보(198,298)는 반품 입고등록 정보, 출고등록 정보, 원자재발주등록 정보, 원재료입고등록 정보, 거래처별입출고현황 정보, 제품수불 정보, 월간제품수불집계 정보, 제품재고현황 정보, 원자재발주서발행 정보, 원재료미입고현황 정보, 월간원재료수불 정보 및 원재료재고현황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반품 입고등록 정보는 식품 포장용기의 반품에 대한 입고일, 거래처 코드, 입고 구분, 제품코드, 박스코드 및 LOT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출고등록 정보는 출고되는 식품포장용기의 출고일, 거래처 코드, 출고 구분, 제품코드, 박스코드, 박스당 수량, LOT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자재발주등록 정보는 발주일, 원재료 제품코드, 원재료명, 발주중량, 권취중량, 납기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원재료입고등록 정보는 바코드 스케너의 입,출고 관리용 터미널 PC를 통해 전송된 바코드 스케너 감지정보 또는 원재료협력업체 POP 플랫폼 시스템(300)이 송신하여 클라이언트 PC(110,210)에 수신된 원재료 출고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거래처별입출고현황 정보는 일자, 거래처명, 제품명별, 입,출고 구분, 입출고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수불 정보는 포장재에 포장된 전월이월 박스 및 제품수량, 포장재에 포장된 일별 박스 및 제품수량, 박스 및 제품수량의 출고수량 및 박스 및 제품수량의 잔고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재고현황 정보는 현재일의 제품고유코드문자, 제품명, 박스 및 제품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원재료미입고현황 정보는 발주일, 원재료명, 거래처명, 납기일, 발주수량, 입고수량, 미입고 잔량에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원재료재고현황 정보는 현재일 기준 원재료명별 재고 수량 및 중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KR1020180042902A 2018-04-12 2018-04-12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KR10204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902A KR102043281B1 (ko) 2018-04-12 2018-04-12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902A KR102043281B1 (ko) 2018-04-12 2018-04-12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445A true KR20190119445A (ko) 2019-10-22
KR102043281B1 KR102043281B1 (ko) 2019-11-11

Family

ID=6842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902A KR102043281B1 (ko) 2018-04-12 2018-04-12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28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7196A (zh) * 2020-06-22 2020-09-15 信阳农林学院 基于用户行为控制食品配方改进的方法、装置及设备
CN112613957A (zh) * 2021-01-05 2021-04-06 浙江东经科技股份有限公司 可视化纸板箱生产运营系统
KR102244587B1 (ko) * 2020-08-12 2021-04-23 송미라 건설현장의 작업일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934906A (zh) * 2021-10-29 2022-01-14 广东三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模具与设备的管理方法、管理系统和存储介质
KR20220150051A (ko) * 2021-05-03 2022-11-10 (주) 아크라인소프트 클라우드기반 다대다 기능의 공유정보 협업플랫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501A (ko) * 2006-01-13 2007-07-24 아이원스 주식회사 기계가공물품의 생산정보 관리시스템 및 생산정보 관리방법
KR20110097581A (ko) * 2010-02-25 2011-08-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형 제조의 공정정보 제공방법
KR101104118B1 (ko) 2009-12-02 2012-01-13 정석길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08171A (ko) * 2010-07-16 2012-01-30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656989B1 (ko) 2015-02-27 2016-09-12 주식회사 티라유텍 제조업체 간의 협업을 위한 통합 플랫폼 관리시스템
KR101735530B1 (ko) 2015-11-24 2017-05-15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5501A (ko) * 2006-01-13 2007-07-24 아이원스 주식회사 기계가공물품의 생산정보 관리시스템 및 생산정보 관리방법
KR101104118B1 (ko) 2009-12-02 2012-01-13 정석길 Cpm 공법을 이용한 지능형 생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97581A (ko) * 2010-02-25 2011-08-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금형 제조의 공정정보 제공방법
KR20120008171A (ko) * 2010-07-16 2012-01-30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656989B1 (ko) 2015-02-27 2016-09-12 주식회사 티라유텍 제조업체 간의 협업을 위한 통합 플랫폼 관리시스템
KR101735530B1 (ko) 2015-11-24 2017-05-15 주식회사 영림원소프트랩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사용자 화면에서의 계층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7196A (zh) * 2020-06-22 2020-09-15 信阳农林学院 基于用户行为控制食品配方改进的方法、装置及设备
CN111667196B (zh) * 2020-06-22 2021-04-23 信阳农林学院 基于用户行为控制食品配方改进的方法、装置及设备
KR102244587B1 (ko) * 2020-08-12 2021-04-23 송미라 건설현장의 작업일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2613957A (zh) * 2021-01-05 2021-04-06 浙江东经科技股份有限公司 可视化纸板箱生产运营系统
KR20220150051A (ko) * 2021-05-03 2022-11-10 (주) 아크라인소프트 클라우드기반 다대다 기능의 공유정보 협업플랫폼
CN113934906A (zh) * 2021-10-29 2022-01-14 广东三扬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模具与设备的管理方法、管理系统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281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3281B1 (ko)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Joshi Information visibility and its effect on supply chain dynamics
CA2747928C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ufacturing estimation production assembly and inventory management
US68167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resources with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US20030149608A1 (en) Suite of configurable supply chain infrastructure modules for deploying collaborative e-manufacturing solutions
KR101048280B1 (ko) 납품관리 네트웍연계형 재고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happell et al. Auto-ID on the line: The value of Auto-ID technology in manufacturing
Kim et al. A Study on Smart Factory Construction Method for Efficient Production Management in Sewing Industry.
Mathien et al. Inventory management in an e-business environment: a simulated study
KR101974922B1 (ko)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KR102018239B1 (ko) 코스트 절감 및 품질 안정화를 위한 식품 생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33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shop floor
KR101974923B1 (ko) 식품 포장용기 생산을 위한 통합 pop 플랫폼 시스템
US20040225579A1 (en) Method for scheduling and inventory management for a process
Kletti et al. MES Compendium: Perfect MES Solutions Based on HYDRA
CN112150099A (zh) 一种企业生产排程连接erp、mes的接口
JP6281924B1 (ja) 在庫管理システム
JP6215293B2 (ja) 棚卸作業負荷の軽減に寄与する物品の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Blomqvist A warehouse design framework for order processing and materials handling improvement-Case Etra Oy
Beekman-Love et al. What is materials management?
Schönsleben Order Release and Control
Kim et al. Implementation of Real-time Integrated Platform for Producing Food Packaging Container
Gulyassy et al. Materials planning with SAP
Ramos et al. Case Studies in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1 st Edition
Wawrzyński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upporting internal transport systems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