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503A - 이동식 카메라 서포트, 다수의 이러한 서포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카메라 서포트, 다수의 이러한 서포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503A
KR20190118503A KR1020190025162A KR20190025162A KR20190118503A KR 20190118503 A KR20190118503 A KR 20190118503A KR 1020190025162 A KR1020190025162 A KR 1020190025162A KR 20190025162 A KR20190025162 A KR 20190025162A KR 20190118503 A KR20190118503 A KR 2019011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ollower
support
hous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912B1 (ko
Inventor
호이여 올라프
복비스트 말테
콜리드 스테판
헤츠먼 안드레스
유케 마티아스
Original Assignee
엑시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시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엑시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9011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6Details concerning attachment of head-supporting legs, with or without actuation of locking member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G03B19/22Double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2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linear motion, e.g. camera moving along a rail cable or tr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1Multiple cameras having overlapping views on a singl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돔, 카메라 하우징을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돔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 헤드를 갖는다. 각각의 카메라 헤드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중심 주위로 이동할 수 있는 카메라 서포트에 배치되고, 각각의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제1 내부 가이드 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내측 종동부(follower portion)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제2 외부 가이드 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외부 종동부를 갖는다. 상기 카메라 서포트는 또한 상기 제1 종동부와 상기 제2 종동부를 연결하는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종동부는 대응하는 가이드 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이동식 카메라 서포트, 다수의 이러한 서포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의 작동 방법{MOVABLE CAMERA SUPPORT, ASSEMBLY COMPRISING SEVERAL SUCH SUPPORT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하우징 내에서 카메라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카메라를 위치하도록 배치된 이동 가능한 카메라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서 복수의 상기 서포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IP 카메라는 카메라 헤드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투명 부분을 갖는 하우징에 배치된 카메라 또는 카메라 헤드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서, 하우징을 둘러싸는 영역의 보다 다양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단일 하우징 내에 복수개의 카메라 헤드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카메라 시스템의 최적 사용을 위해, 개별 카메라 헤드는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 배치의 종래 기술 예는 본 출원인에 의해 EP 288732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나사, 브래킷(bracket), 자석 등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 상에 각각의 카메라 헤드가 배치되는 해결책뿐만 아니라 본 출원인에 의해 상업화된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헤드에 관한 구조적 서포트와 관련되지만, 카메라 헤드에 관한 것이 아닐지라도; 본 출원의 문맥 내에서 "카메라 헤드(camera head)"는 주로 렌즈 어셈블리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장치를 지칭한다. 카메라 헤드는 또한 이미지 처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의 모든 기능을 가질 수 있지만, 복수의 카메라 헤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경우, 이미지 처리는 카메라 헤드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제어 유닛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디지털 카메라 또는 IP 카메라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었지만, 본 발명은 아날로그 감시 카메라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종래 서포트 배치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개선 사항이 있을 수 있고, 안정성 및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복수의 개선 사항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헤드 서포트는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야 하지만, 바람직한 설정(setup)이 완료되면 이들의 위치 설정을 고정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서포트를 고정하기 위해 나사 수단 또는 클램핑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번거로운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을 다수의 개별 위치로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개선 사항이 실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들 중 일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메라 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돔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 헤드를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로 구현되며, 각각의 카메라 헤드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중앙 주위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 서포트에 배치된다. 각각의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제1, 내부, 가이드 부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내부, 팔로어 부(follower portion)와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제2, 외부, 가이드 부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외부, 팔로어 부 및 상기 제1 팔로어 부를 상기 제2 팔로어 부와 연결하는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fixture)를 갖는다. 각각의 팔로어 부는 대응하는 가이드 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배치에 따라, 각각의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서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카메라 헤드는 연속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가이드 부에 의해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중앙(center)"이라는 단어는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어 있는 경우에도 "기하학적 중앙"으로 배타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 형태는 또한 비대칭적 형상을 갖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중앙"은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가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의 구속(constraint) 내의 위치일 것이다. 또한 "주위로 이동"은 카메라 서포트가 상기 중앙을 중심으로 360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시 형태를 제외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는 평행한 평면 또는 동일한 평면에 배치, 즉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가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카메라 서포트는 경사각의 어떠한 변화 없이도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가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실시 형태에서, 상기 카메라 서포트는 가이드에서 압착될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밀릴 수 있으며, 이는 카메라 헤드를 보다 용이하게 특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가 종종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기능이다(감시될 영역의 우수한 개관(overview)을 제공).
대부분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는 본질적으로 일정한 상호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거동이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모든 위치에서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상기 가이드 부에서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압착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팔로어 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부를 따르는 방향, 바람직하게 카메라 서포트의 중앙선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압착(seize)"이라는 용어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유효한 길이의 변경으로 인해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종종 "끈적한 서랍 효과(sticky drawer effect)"라고도 한다. 상기 제1 가이드 부의 연장부 또는 암(arm)은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팔로어의 자유 단부는 동일한 카메라 어셈블리에 배치된 인접한 카메라 서포트의 팔로어와 중첩되게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부 방향을 따라 중첩 부분(segment)에서 길이 방향의 절단부(cutout)를 가질 수 있다. 중첩 부분을 사용하면 인접한 카메라 서포트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연장부나 암을 더 길게 할 수 있다. 중첩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상이한 실시 형태들 사이에서 다를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에서 일부 다른 예들이 제공된다.
중첩 부분의 바람직한 기능을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상기 제1 가이드 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의해 정의되는 딜리미터(delimeter)를 넘어 연장되고 상기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의 외부 둘레를 접촉하는 임의의 중첩 부분이 동일한 딜리미터 내에서 적어도 동일한 양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배치와 함께, 제1 카메라 서포트의 상기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즉,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부분이 크기의 관점에서 제한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음)는 인접 카메라 서포트의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2 팔로어 부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양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부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에 인접한 영역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두개의 팔로어 암(follower ar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개의 팔로어 암은 상기 제1 팔로어 부의 암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카메라 서포트를 안정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상기 두개의 팔로어 암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가이드 부로 밀어 넣기 위해 스프링 편향될 수 있다. 사실상, 이는 상기 제1 팔로어 부를 제1 가이드 부로 밀어 넣을 것이고, 이는 몇가지 유익한 효과를 가질 것이다. 한 가지 효과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매우 정확한 방식으로 국한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효과는 상기 팔로어 암의 탄성이 유효 길이에서 임의의 작은 변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제조 동안 허용 오차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는 "끈적한 서랍 효과"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전 단락에서 언급한 편향은 상기 암 물질의 내부 탄성 또는 코일 스프링 또는 하나 이상의 리프 스프링(leaf spring)과 같은 추가 스프링 수단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하나 또는 임의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옵션들이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 각각은 오목한 가이드 트랙(guide track)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이완된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트랙 사이의 거리를 초과할 수 있다. 오목한 트랙을 갖는 것은 상기 가이드 부의 연장부의 평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서포트를 효과적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제1 및 제2 트랙 사이의 거리를 초과하는 공간(또는 기본적으로 길이)을 점유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므로, 제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될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탄성으로 인해 임의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카메라 서포트를 상기 가이드 트랙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 팔로어 부는 상기 제2 가이드 트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팔로어 부는 상기 제2 가이드 트랙으로 밀때, 상기 제1 팔로어가 상기 제1 가이드 트랙에 배치될 수 있는 정도까지 탄성이 그것을 밀어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해제되고, 편향은 상기 제1 팔로어 부를 상기 제1 가이드 트랙으로 밀 것이다. 설치를 수행하는 사람에게 이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한손으로 이의 가이드 트랙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가 어려운 위치에 있을 때 다시 유리한 특징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배치된 위치로 상기 카메라 서포트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부(locking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서포트를 쉽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하지만,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카메라 서포트를 제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고정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서포트와 상기 카메라 하우징 사이에서,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서포트에서의 나사 수단, 클램핑 수단 또는 자기 수단을 통해 마찰 유지(frictional hold)를 증가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마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팔로어 수단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돔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부착될 때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돔 사이에서 클램핑되도록 구성되는 탄성이고 압축 가능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의 위치 및 특징은 상기 돔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될 때 상기 고정부가 압축되고 마찰 유지가 극적으로 증가하여 매우 효율적인 방식으로 상기 카메라 서포트를 제자리에 유지하게 한다. 특히,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이동되어야 할 때 상기 돔은 제거되고 교체되어야 할 것이고, 본 발명의 해결책(제공된 실시 형태에 따른)은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해제 및 고정이 추가 작동 없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탄성 구조물은 상기 돔을 향하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탄성 구조물은 상기 카메라 서포트에 부착되거나 상기 카메라 서포트와 함께 주조(comould)될 수 있다. 상기 돔을 향하는 측면에 탄성 구조물을 가짐으로써, 상기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하우징과 강성 접촉을 가질 것이고, 상기 카메라의 경사각은 따라서 상기 돔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될 때 사용되는 힘에 관계없이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언급된 효과에 대해 상기 탄성 구조물은 상기 카메라 서포트와 함께 주조될 필요가 없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잘 부착될 수 있으며, 이론적으로 임의의 접착제 없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주조를 사용하는 것은 탄성 구조물을 달성하는 효과적인 방식이고, 상기 카메라 서포트에 단단히 부착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은 카메라 어셈블리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카메라 헤드가 배치된 카메라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부 구성 요소가 제거된 카메라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카메라 서포트의 틸트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틸트 조인트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틸트 조인트에서의 나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카메라 어셈블리(100)가 도 1의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02), 하나 이상의 카메라 헤드(104) 및 투명 돔(106)을 포함한다. 투명 돔(106) 부분은 일부 카메라 헤드(104)가 명확하게 보이도록 절취되어 있다. 어셈블리의 중앙 부분(108)은 카메라 헤드(104)에 의해 영향을 받는 영상(imaging)의 결과를 수신, 처리 및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 제어 유닛 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100)를 기술하는 본 발명의 이해를 증가시키기 위해 두가지 사항이 주목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언급된 부분들의 각각은 실제로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102)"은 베이스(base), 섀시(chassis), 복수개의 커버(cov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부분들은 상이한 물질(또는 동일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증가된 강성 또는 열전도 특성을 가져야하는 부분들(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 특히 브래킷뿐만 아니라 이의 섀시의 경우일 수 있음)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들에 색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공정은 분말 코팅 또는 전기 증착일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은 유색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투명 돔은 예를 들어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각각의 부분들은 본 발명의 이해 또는 실현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자는 이들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자제할 것이지만, 본 출원인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품을 관찰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가 용이하게 발견된다. 주목할 또 다른 점은 도시된 도면에서 카메라 어셈블리(100)는 카메라 어셈블리가 지정된 영역을 감시하기 위해 아래로 향하고 측면을 향하는 카메라 헤드(104)로 천장 또는 장착 베이스에 부착하는 통상의 설치와 비교하여 기본적으로 상하가 뒤집혀 있다는 것이다.
실제 발명과 관련된 특징에 접근하기 위해, 각각의 카메라 헤드(104)를 하우징(102)에 연결하는 카메라 서포트(110)가 있다. 다시, 하우징에 대해, 각각의 카메라 서포트는 상이한 부분들 및 다른 부분들을 포함할 것이고, 이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 서포트가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 서포트는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팔로어 부(112, 114)를 각각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메라 서포트(110)는 별개로 설명되고, 카메라 헤드(104)가 부착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조적 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카메라 헤드 부착구(116)는 카메라 헤드(104)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카메라 헤드(104)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경우에 이는 카메라 헤드(104)의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팔로어 부(112)는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팔로어 암(112A, 112B)을 포함한다. 제1 팔로어 부(112)는 카메라 하우징(102)에 제공된 제1 가이드 부(118)(도 1)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되고, 제2 팔로어 부(114)는 카메라 하우징에 제공된 제2 가이드 부(120)(도 1, 도 3)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 부는 바람직하게 카메라 서포트(110)가 이들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민첩한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 평행한 평면,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 동일 평면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 부(118 및 120)는 제1 가이드 부(118)가 제2 가이드 부(120)보다 짧은 반경을 따르는 원주 경로를 따라 평행하게(즉, 등거리로) 연장된다. 이동 평면(가이드 부가 연장되는 평면 또는 평면들)에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 끼워 맞춤(secure fit)을 보장하기 위해 팔로어 부는 각각의 가이드 부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이는 제1 가이드 부(118)가 절단부(또는 하우징(102)의 표면에 있는 홈 또는 오목부(indentation)에 의해 제공됨)로부터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제2 가이드 부(120)는 제2 팔로어 부(114)가 제자리에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가이드 부의 원주 둘레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탭(120A)을 갖는 본질적으로 약간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다. 특정 구조물은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이 일체형으로 형성(주조)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된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고정 끼워 맞춤은 많은 방법들 중 하나, 예를 들어 연속적인 홈 또는 오목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팔로어 부(112)는 암(112A, 112B)에 의해 제1 가이드 부의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는 이중 목적을 가지며, 첫번째는 카메라 서포트(110)에 안정성을 제공하여, 제1 가이드 부로부터 제2 가이드 부로 연장되는 축을 따라 뒤틀림(twisting)을 방지하는 것이다. 두번째 목적은 카메라 서포트(110)가 가이드 부를 따라 밀어질 때 카메라 서포트(110)가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즉 카메라 서포트가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마찰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기능적 이유를 위해, 제1 팔로어 부(112)는 카메라 서포트 중앙선의 양측으로, 바람직하게 대칭 방식(양측에서 동일한 길이)으로 연장된다. 본질적으로, 연장부의 유리한 효과는 이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나, 카메라 서포트(110)의 목적은 카메라 배치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제1 팔로어 부(112)의 긴 연장은 두개의 카메라 서포트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할 가능성을 방해할 것이다. 본질적으로, 제1 팔로어 부가 제1 가이드 부(118)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외주와 접촉하는 가상선(imaginary line, 122)을 넘어 연장되면, 카메라 고정 연결부의 치수가 제한 요인이여야 하는, 두개의 인접한 카메라 서포트를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될 때 쉽게 이해되어야 한다.
제1 팔로어 부(112)의 긴 연장이 요구되는 실시 형태(즉, 제1 팔로어 부(112)의 암이 카메라 서포트(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상기 정의된 가상선(122)을 넘어 연장되는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해결책은 인접한 카메라 서포트(110)의 팔로어 부의 단부(112B)와 중첩 방식으로 끼워 맞춰지도록, 적어도 이의 중첩 부분(124)을 따라 팔로어 부의 단부(112A)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것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수많은 예가 존재하지만, 본질적으로 카메라 서포트(110)의 일측에 팔로우 부의 단면(112A)이 카메라 서포트(110)의 다른 타측에 팔로어 부의 단면(112B)과 짝을 이루어 끼워 맞춰 지도록(또는 적어도 중첩되도록), 이들이 중첩 관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중첩 부분(124)의 길이와 관련해서, 중첩 부분(124)이 제1 팔로어 부의 자유 단부(112A/112B)로부터 상기 가상선(122)으로 특정 길이로 연장되면, 가상선(122)을 넘어서 적어도 동일한 거리만큼 연장되어, 두개의 인접한 카메라 서포트(110)의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가 서로 바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도 3의 실시 형태로부터,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를 제1 팔로어 부에 연결하는 카메라 서포트 부분의 형상은 이의 측면 둘레가 필수적으로 앞서 설명된 가상선(122)을 따른다는 점에서 최대화되었음이 명백하다.
결론은 중첩 부분(124)의 최적 길이는 각각의 설치에 대해 잘 정의된 제1 가이드 부(118)의 곡률(curvature)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곡률이 가이드 부(118)의 길이에 변하면, 예를 들어 가이드 부(118)가 타원형 또는 경주 트랙형인 경우, 가장 높은 곡률(가장 적은 반경)이 제한 인자가 될 것이다. 특히, 도 3은 카메라 서포트(110)의 향상된 시야의 이점을 위해 돔과 중앙 부분이 모두 제거된 카메라 어셈블리의 벗겨진 평면도이다. 제1 가이드 부는 도면에서 제거되어, 제1 팔로어 부(112)의 일부 특징들을 볼 수 있다.
도 5는 제1 팔로어 부(112)에 대해 하나의 매우 구체적인 배치를 도시하고, 두개의 암(112A 및 112B)의 형상이 논의된 중첩 배치를 허용하는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제1 팔로어 부(112)에 대해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또는 외부 팔로어 부(114)에 대해 설명한다(예를 들어, 도 2 참조). 제2 팔로어 부(114)는 본질적으로 제1 팔로어 부와 동일한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수단(120)이 더 큰 반경에 배치되는 경우,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근접한 팔로어 부의 중첩이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다시, 제2 팔로어 부는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의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팔로어 암(114A, 114B)을 각각 포함한다. 제2 팔로어 부의 암은 이전에 논의된 가상선을 넘어 연장되면, 유사한 중첩 부분이 제1 팔로어 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제2 팔로어 부(114)의 중앙 부분이 제2 가이드 부(120)에 의해 안내될 때 충분한 지지를 제공한다면, 팔로어 암(114A, 114B)은 제2 가이드 부(120)에 반드시 배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제2 팔로어 부(114) 또는 적어도 이의 암은 제2 가이드 부(120)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스프링 편향될 수 있어, 카메라 서포트를 제1 가이드 부 방향으로 편향할 수 있다. 편향(biasing)은 그 자체에서의 제2 팔로어 부(114)의 구조적 탄성에 의해 이뤄질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제2 팔로어 부의 적어도 암(114A 및 114B)은 리프 스프링(leaf spring, 126)에 의해 스프링 편향되고, 이는 간단하고 기능적 편향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견고한 구조물에 탄성 물질을 결합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개방 셀 폼(예를 들어, Poron®) 또는 폐쇄 셀 폼과 같은 물질이 제2 가이드 부를 향하는 제2 팔로어 수단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물질의 층은 마모 및 찢어짐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 물질로 선택적으로 덮여질 수 있다. 이들 후자의 실시 형태 중 어느 것도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카메라 서포트(110)를 편향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복수의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가지 효과는 카메라 서포트가 제1 가이드 부(118)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는 점에서 확실하게 국부화될 것이고, 따라서 임의의 다른 제조 공차(tolerance)를 삭제한다는 점이다. 또 다른 효과는 조립 단계 동안 스프링 편향된 팔로어 부를 압축함으로써 카메라 서포트를 제1 및 제2 가이드 부에 넣는(slot) 것이 쉽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스프링 편향은 또한 제2 팔로어 부와 제2 가이드 부 사이의 치형 결합(toothed engagement)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여기서 두 부분 사이의 마찰은 기계적으로 증가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된 실시 형태에 대한 것이 아니며, 다른 것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스프링 편향은 대신 제1 팔로어 부에 대한 유사한 배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 서포트는 제2 가이드 부 방향으로 편향될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도 3을 참고하면, 제2 팔로어 부의 암은 제2 가이드 부에 배치되지 않고, 제2 팔로어 부의 중앙 부분이 배치된다. 카메라 서포트가 제자리에 유지되게 할 때 중앙 부분은 주요 공헌자일 것이고, 암은 가이드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과 관련하여 주요 공헌자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 개시된 실시 형태에 대한 초점은 연속적으로 분포된 복수의 가능한 위치들 사이에서 특정 위치로 부드럽고 정밀한 움직임을 달성하는 방법이다. 또 다른 문제는 카메라 서포트가 구비되는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방법일 것이다. 일부 설치의 경우 이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진동 및 중력이 함께 작용하여 카메라 서포트가 제 위치를 벗어날 수 있는 경우와 같이 다른 경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수단, 고정 나사, 고정 자석 등을 사용하여 다수의 종래 기술 해결책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이 자명하다.
그러나, 많은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본 발명의 요지와 모순되는 카메라 시스템을 조립하는 기술자로부터의 추가적인 노력을 야기할 것이다(이러한 종래 기술 해결책의 사용이 제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됨). 이러한 이유로, 도시된 실시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고정부(resilient locking portion, 128)를 포함한다. 도 4는 카메라 헤드(104)가 제거된 도 2의 도면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2를 참조하는 임의의 이전의 설명은 번호 부여가 반복되지 않더라도, 도 4를 관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고정부(128)는 기본적으로 적어도 가이드 부의 평면(또는 평면들)에 직각인 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는 압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돔이 카메라 서포트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에 배치됨에 따라, 탄성 고정부는 돔과 어셈블리의 하우징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 서포트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증가된 마찰력으로 인해 제자리에 단단하게 유지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탄성 고정부는 제2 팔로어 수단(114)의 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의 베이스로부터 충분한 지지가 있게 하고, 고정력은 커버가 하우징에 부착되는 곳에 가깝게 가해진다. 또한, 고정부(128)는 돔(104)을 향하는 카메라 서포트(1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전체 과정 동안 카메라 서포트(110)가 견고한 지지에 대해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고, 결과적으로 구부림(flex) 또는 다른 힘이 카메라 서포트에 제공되지 않는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는 또한 회전 조인트(rotational joint)를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에 배치된 카메라 헤드(104)가 패닝 방향(panning direction), 즉 제1 및/또는 제2 가이드 수단이 배치되는 평면과 수직 축 주위 또는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팬 조인트(pan joint)는 바람직하게 서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두 부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하나의 부분은 제1 및 제2 팔로어 부를 상호 연결하는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부분이고, 다른 부분(130)은 카메라 헤드(104)가 틸트 조인트(132)를 통해 기울지게 배치된다. 복수의 실시 형태에서, 조인트를 회전하기 위해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해 가해져야하는 힘이 가이드 부를 따라 카메라 서포트를 밀기 위해 요구되는 힘보다 상당히 크도록 팬 조인트가 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카메라 서포트가 이의 가이드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팬 조인트가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팬 조인트를 실현하는 편리한 방법은 부분(130)을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원형 개구로 스냅(snap)하는 것이다. 도 5에서,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원형 개구의 모서리를 넘어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둘레로 연장되는 부분(130)의 고정 탭(136)을 볼 수 있다. 이는 신뢰성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을 보장하는 하나의 방법이지만, 팬 조인트를 달성하는 분명히 더 많은 방식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경우, 카메라 헤드는 반경 방향과 대칭적으로 외부로 향하게 될 것이고, 이런 경우 설명된 유형의 팬 조인트가 필요하지 않다(또는 해당 문제를 위한 다른 팬 조인트). 그러나, 두개의 카메라 헤드를 거의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사용 경우가 존재한다. 팬 조인트의 존재는 사용자가 먼저 두개의 카메라 헤드를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할 수 있고, 회전 조인트를 사용하여 카메라 헤드 중 하나 또는 모두를 비틀어서 본질적으로 동일한 시야각을 가질 수 있게 한다(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배율의 이미지 중첩 영역).
언급된 바와 같이, 팬 조인트의 제1 부분은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구조적 부분일 수 있고, 팬 조인트의 제2 부분은 피봇 조인트(pivot joint) 또는 틸트 조인트(132)에 의해 카메라 헤드에 연속적으로 부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틸트 조인트는 팬 조인트를 갖지 않는 실시 형태들에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카메라 헤드를 기울일 가능성이 그 자체로 유용한 특징이기 때문이다.
팬 조인트에서의 마찰력으로 되돌아가면 이는 치형 결합, 조임 나사, 클램핑 수단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팬 조인트를 중심으로 카메라 헤드를 회전하는 것은 이미지 왜곡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은 일반적으로 카메라 헤드의 광학 축과 카메라 돔의 내부 사이의 각도를 변경한다(대칭축에서 멀어지는). 따라서, 이러한 회전은 카메라의 사용 경우에 따라 방지될 필요가 있다.
틸트 조인트(132)는 도면으로부터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공지된 유형일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의 장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틸트 조인트의 마찰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적절한 수준은 사용자가 나머지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카메라 헤드를 기울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낮지만, 사용 중에 실수로 카메라 헤드가 기울어지지 않도록(예를 들어, 진동으로 인해) 충분히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적절한 수준이 달성되기에 불가능하다면, 카메라 헤드는 기울어지고 적절한 경사 각도에 도달함에 따라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피봇 조인트는 도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해제할 수 있어야 한다.
카메라 헤드가 예를 들어 전력 또는 정보(또는 둘 모두)의 전송을 위해 유선 연결을 필요로 하는 실시 형태에서, 어셈블리에 또 다른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은 카메라 서포트가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하지만, 케이블 길이가 길수록 케이블이 도중에 떨어지거나 움직이는 부분 사이에서 클램핑될 위험이 높아진다. 발생할 수 있는 악영향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카메라 서포트는 하나의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 탭(1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도 4에서만 참조 번호가 도시됨)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가이드 탭 또는 탭들(134)은 카메라 서포트(110)로부터 카메라 하우징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탭(134)은 케이블이 탭(134)의 자유 단부와 하우징(102) 사이를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카메라 서포트(110)와 카메라 하우징 사이의 여유 공간(clearance)을 점유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여유 공간에 그리고 탭의 지정된 측면에 케이블을 유지시킨다. 케이블(또는 케이블/와이어)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은 분명히 치수가 정해져 있고, 결과적으로 탭은 여유 공간에서 케이블(들)을 안내하여, 원하는 경로를 따른다. 바람직하게, 본질적으로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116)의 양측인 카메라 서포트의 양측에 탭이 존재한다(즉,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이격된 측면에 추가 탭 또는 탭들). 또한, 더욱 제한된 영역에 케이블을 국한시키도록 추가 탭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들은 카메라 헤드의 위치에 큰 유연성이 이뤄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연성을 보장하거나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카메라 헤드 또는 카메라 헤드의 광학 축이 서로 얼마나 가깝게 위치할 수 있는지를 제한할 수 있는 하나의 요인은 각각의 카메라 헤드의 폭이다. 카메라 헤드가 비교적 넓은 경우, 카메라 헤드가 서로 인접하게 가깝게 이동하더라도 두개의 카메라 헤드의 광학 축은 서로 가깝게 구비될 수 없다. 따라서 각각의 카메라 헤드의 폭을 줄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폭에 추가될 수 있는 카메라 헤드의 하나의 특징은 틸트 조인트(132)이다. 많은 종래의 카메라들에서, 원하는 각도로 틸트 조인트를 해제하고 고정하기 위해 카메라 헤드의 양측에 수동 작동식 나사가 배치되는 곳에서 틸트 조인트가 형성된다. 나사를 조이면 나사를 따라 축 방향으로 마찰이 이루어지므로, 카메라 헤드를 현재 경사각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충분한 마찰력을 보장하고 수동 작동식 나사 헤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나사가 상당히 길어야 하며, 이에 따라 카메라 헤드의 폭이 증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틸트 조인트(132)는 카메라 헤드(104)의 폭을 적게 추가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 방향 마찰력에 의존하는 대신에, 반경 방향 마찰력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6-8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6에서, 카메라 헤드(104)의 일측에 틸트 조인트(132)의 단면이 도시된다. 카메라 헤드의 하우징(601)의 부분뿐만 아니라 카메라 헤드를 유지하는 홀더(602)의 일부가 도시된다. 마찰 링(friction ring, 603)은 하우징(601)과 홀더(602) 사이에 배치된다. 조임 나사(604)는 마찰 링(603)과 중심이 같은 홀더에 배치된다. 하우징(601)과 홀더(60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마찰 링(603)은 고무 또는 탄성 중합체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슬롯(605)이 홀더(602)에 형성되고, 홀더(602)는 마찰 링(603)과 접촉한다. 슬롯은 홀더(602)가 변형되게 한다. 도 8은 조임 나사(604)의 단면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면은 원형이 아닌 마름모 형태이고,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가지며, 여기서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크다. 조임 나사(604)를 4분의 1회전시킴으로써, 주위의 홀더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슬롯(605)은 홀더(602)가 변형되게 하여, 마찰 링에 압력을 가한다. 이로써, 카메라 헤드 하우징(601)과 홀더(602) 사이에서 증가된 반경 방향의 마찰력이 이루어져, 카메라 헤드는 틸트 조인트(132) 주위의 경사 움직임에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조임 나사(604)가 조여지지 않을 때, 카메라 헤드는 원하는 경사 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틸트 조인트는 이어서 조임 나사(604)를 1/4 회전시킴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종래의 축 방향 마찰력보다 반경 방향 마찰력에 의해 고정이 달성되므로, 조임 나사(604)의 길이는 짧게 유지될 수 있어, 틸트 조인트는 카메라 헤드의 전체 폭에 약간만 추가된다.

Claims (15)

  1. 카메라 돔, 카메라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돔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 헤드를 가지며, 각각의 카메라 헤드는 카메라 어셈블리의 중앙 주위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 서포트에 배치되고,
    - 각각의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제1, 내부, 가이드 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내부, 팔로어 부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제2, 외부, 가이드 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외부, 팔로어 부, 및 상기 제1 팔로어 부와 상기 제2 팔로어 부를 연결하는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를 가지며,
    - 각각의 팔로어 부는 해당하는 가이드 부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고,
    - 상기 제1 팔로어 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카메라 서포트 중앙선의 양측에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는 평행한 평면 또는 동일 평면에 배치, 즉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는 본질적으로 일정한 상호 거리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팔로어 부의 자유 단부는 상기 가이드 부의 방향을 따라 중첩 부분에서 길이 방향의 절단부를 가져, 동일한 카메라 어셈블리에 배치된 인접한 카메라 서포트의 팔로어 부와 중첩되게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의해 정의되는 딜리미터를 넘어 연장되고 상기 카메라 헤드 고정 연결부의 외부 둘레를 접촉하는 임의의 중첩 부분은 동일한 딜리미터 내에서 적어도 동일한 양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팔로어 부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두개의 팔로어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암은 상기 제2 가이드 부로 밀어지도록 스프링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편향은 상기 암 물질의 내부 탄성에 의해, 또는 코일 스프링 또는 하나 이상의 리프 스프링과 같은 추가된 스프링 수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부 각각은 오목한 가이드 트랙을 형성하고,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이완된 길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트랙 사이의 거리를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서포트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가 배치된 위치에 상기 카메라 서포트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와 상기 카메라 하우징 사이에서,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서포트에서의 나사 수단, 클램핑 수단 또는 자기 수단의 제공을 통해 마찰 유지를 증가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마찰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팔로어 수단에 배치되고 상기 돔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부착될 때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돔 사이에서 클램핑되도록 구성된 탄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팔로어 수단에 배치되고 상기 돔이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 부착될 때 상기 카메라 하우징과 상기 돔 사이에서 클램핑되도록 구성된 탄성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조물은 상기 돔을 향하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구조물은 상기 카메라 서포트에 부착되거나 상기 카메라 서포트와 함께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조물은 상기 돔을 향하는 상기 카메라 서포트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구조물은 상기 카메라 서포트에 부착되거나 상기 카메라 서포트와 함께 주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어셈블리.
KR1020190025162A 2018-04-10 2019-03-05 이동식 카메라 서포트, 다수의 이러한 서포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161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66558.9 2018-04-10
EP18166558.9A EP3553757B1 (en) 2018-04-10 2018-04-10 Movable camera support and assembly comprising several such suppo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03A true KR20190118503A (ko) 2019-10-18
KR102161912B1 KR102161912B1 (ko) 2020-10-05

Family

ID=6197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62A KR102161912B1 (ko) 2018-04-10 2019-03-05 이동식 카메라 서포트, 다수의 이러한 서포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92341B2 (ko)
EP (1) EP3553757B1 (ko)
JP (1) JP6755995B2 (ko)
KR (1) KR102161912B1 (ko)
CN (1) CN110365874B (ko)
TW (1) TWI71770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5892A (zh) * 2021-05-14 2021-08-27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CN115022507A (zh) * 2022-05-27 2022-09-06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1795B (zh) * 2019-11-12 2021-07-27 中智行科技有限公司 一种交错叠放型环视摄像头装置
CN110901777B (zh) * 2019-11-29 2020-09-04 孙福来 一种农用无人作业车
USD995605S1 (en) * 2020-09-28 2023-08-15 Axis Ab Monitoring camera
CN115834987B (zh) * 2023-02-23 2023-05-09 常州市佐安电器有限公司 一种正压保护型防爆摄像仪
CN117560556B (zh) * 2024-01-11 2024-05-1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多目摄像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378A (ko) * 2013-12-19 2015-06-29 엑시스 에이비 모니터링 장치 설비
KR20160020814A (ko) * 2014-08-14 2016-02-2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돔 카메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2513B1 (fr) 1985-12-30 1988-02-05 Camps Robert Dispositif de surveillance video-mobile
US5241380A (en) 1991-05-31 1993-08-31 Video Sentry Corporation Track mounted surveillance system having multiple use conductors
GB0308757D0 (en) * 2003-04-16 2003-05-21 Murphy David B Modified lamp post
JP2010032244A (ja) * 2008-07-25 2010-02-12 Micronics Japan Co Ltd カメラ調整機構及び点灯検査装置
US20120154521A1 (en) 2010-10-26 2012-06-21 Townsend Julie A 360-degree camera head for unmanned surface sea vehicle
CN102830584B (zh) * 2011-06-13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屏幕和终端设备
CN202141886U (zh) * 2011-07-11 2012-02-08 深圳华强数码电影有限公司 立体电影拍摄装置
US9438782B2 (en) 2014-06-09 2016-09-06 Arecont Vision, Llc.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CN203927315U (zh) * 2014-06-25 2014-11-05 重庆金母带科技有限公司 无限制旋转的摄像云台
EP3009997B1 (en) * 2014-10-15 2016-11-23 Axis AB Arrangement for a monitoring camera device
CN206985366U (zh) * 2017-06-16 2018-02-09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用藏线盒
KR102350916B1 (ko) * 2017-12-19 2022-01-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및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378A (ko) * 2013-12-19 2015-06-29 엑시스 에이비 모니터링 장치 설비
KR20160020814A (ko) * 2014-08-14 2016-02-2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돔 카메라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5892A (zh) * 2021-05-14 2021-08-27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CN115297247A (zh) * 2021-05-14 2022-11-04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CN115297247B (zh) * 2021-05-14 2024-01-2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CN115022507A (zh) * 2022-05-27 2022-09-06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CN115022507B (zh) * 2022-05-27 2023-12-2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摄像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912B1 (ko) 2020-10-05
US20190310536A1 (en) 2019-10-10
JP2019215524A (ja) 2019-12-19
JP6755995B2 (ja) 2020-09-16
US10692341B2 (en) 2020-06-23
TWI717708B (zh) 2021-02-01
CN110365874A (zh) 2019-10-22
CN110365874B (zh) 2021-06-22
EP3553757B1 (en) 2020-05-27
TW201943991A (zh) 2019-11-16
EP3553757A1 (en)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912B1 (ko) 이동식 카메라 서포트, 다수의 이러한 서포트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및 이의 작동 방법
US11131910B2 (en) Supporting mechanism, and adjusting device and gimbal having the same
EP3517821B1 (en) Mount for a device
US9904148B1 (en) Swivel camera mount locking mechanism
US11108940B2 (en) Multi-view camera and lens adjustment device
CN109981995B (zh) 多目摄像机
EP0221132A1 (en) PIVOTING AND TILTING DEVICE FOR SUPPORTING A STRUCTURE.
US20120106942A1 (en) Imaging device and plate spring
US10070024B2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monitoring camera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arrangement
EP3041214B1 (en) Imaging device
KR102511533B1 (ko) 감시카메라용 렌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EP3734358A1 (en) Multi-lens camera and lens adjusting device therefor
JP2004302054A (ja) レンズ鏡筒
US7091416B1 (en) Cover assembly for video monitor
JP3894451B2 (ja) 監視カメラ装置
CN215764057U (zh) 摄像机云台及摄像机云台系统
CN214384913U (zh) 手机夹
CN210514756U (zh) 镜头支撑组件及具有其的摄像机
JPH0740988Y2 (ja) レンズマウント機構
JP2021026016A (ja) ローテーショ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雲台システム
CN116347188A (zh) 一种摄像头双向旋转机构及摄像设备
JP2503367Y2 (ja) レンズマウント機構
KR100275041B1 (ko)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JP2020170601A (ja) 照明器具
JPH0720760U (ja) 回転機構付きテレビ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