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068A -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068A
KR20190116068A KR1020190036609A KR20190036609A KR20190116068A KR 20190116068 A KR20190116068 A KR 20190116068A KR 1020190036609 A KR1020190036609 A KR 1020190036609A KR 20190036609 A KR20190036609 A KR 20190036609A KR 20190116068 A KR20190116068 A KR 2019011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vehic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찬더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11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for overall compartment lighting in combination with specific lighting, e.g. room lamps with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광원; 광 지향 요소; 및 조명 장치를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차단하는 광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조명 장치는, 1차 광원과 광 패널 사이에는 사전 결정된 형태로 배치되는 간섭 지점들을 구비한 광 안내 요소가 배치되며; 2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광 안내 요소 내로 주입되도록 2차 광원이 배치되며; 광 패널은 접촉 감지식 및/또는 접근 감지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AN INTERIOR OF A VEHICLE}
본 발명은 1차 광원; 광 지향 요소; 및 조명 장치를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차단하는 광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 장치를 포함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응하는 조명 장치들이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거의 모든 자동차에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독서등(reading lamp) 형태의 조명 장치들이거나 승하차시 차량 내부 공간의 조명을 위한 램프이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이러한 램프들은, 램프로부터 분리되어 램프 부근에 배치되는 기계식 스위치들에 의해 조작된다. 이 경우, 이러한 스위치들에는 종종 작은 추가 램프들이 일체되는데, 이러한 램프들은 소위 스위치 탐색 조명으로서 사용되며, 종종 스위치의 기능을 명료화하기 위해 작은 픽토그램들을 도시한다.
최근에는, 각각의 스위치의 기능이 접촉 감지식으로 형성된 표면에 통합됨으로써, 기계식 스위치들이 점차 대체되고 있다. 최근 몇년간 접촉 감지식 디스플레이가 스마트 폰, 태블릿의 형태로 그리고 자동차 분야에서도 널리 보급되어, 그 동안 사용자는 이러한 유형의 제어에 익숙해졌다. 접촉 감지식 표면은, 시끄럽게 작용하는 복수의 개별 기계식 스위치들로 인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넓은 평면을 가능하게 하는 매력적인 디자인을 허용한다.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차량 내부 공간의 램프들이 접촉 감지식 표면을 통해 조작될 수 있는 첫번째 실시예가 이미 존재한다. 이 경우, 이러한 램프의 특수 형태는 램프의 외부 표면, 소위 광 패널을 접촉 감지식 요소로서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내부 공간의 조화롭고 우아한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매우 단정한 램프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램프의 이러한 구성은 조작성의 단점들과 연관되는데, 이는 이전에 각각의 스위치들 상에 도시되었던 심볼들이 생략되므로,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에 의해 스위치 온된 램프가 어떤 기능을 갖는지 또는 존재하고 있는 복수의 램프들 중에 어느 램프가 사용자의 현재 요구에 상응하는 램프인지를 인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판독 램프가 일반적인 내부 공간 조명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량 및 차량 조작에 익숙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램프들의 위치만으로는 어느 램프가 어느 기능을 갖는지를 신속하게 유추할 수 없는 경우, 램프 조작 시 혼란 및 증가된 복잡성이 초래될 수 있다.
접촉 감지식 표면에 의해 제어 가능한 램프에 표식을 제공하기 위해, 램프 둘레에 배치된 얇은, 경우에 따라서는 유색으로 조명되는 링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표식 제공 방법도, 각각의 램프가 어느 목적을 달성하는지가 당장에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다는 상술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표식 제공을 위한 스위치에 조명된 심볼을 제공하는 여러 가지 가능한 수단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DE 10 2013 018 989 A1호는 접촉 감응식 표면과 하나 이상의 그래픽 심볼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접촉 감응식 스위치를 기술한다. 이러한 커버 후방에는 접촉 감응식 표면의 접촉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용량성 센서 소자가 배치되는 지지판이 배치된다. 또한, 접촉 감응식 표면은 그래픽 심볼을 가시화하기 위해 후방 조명된다. 이 경우, 지지판은 불투명하게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 개구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복수의 관통 개구들을 관통하여 접촉 감응식 표면 또는 그래픽 심볼이 조명될 수 있다.
DE 10 2009 001 412 A1호에는 접근 감응식 또는 접촉 감응식으로 구성되는 용량성 디스플레이 및 조작 요소가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발광체가 상기 요소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러한 요소를 전방을 향해 관통하고, 이러한 발광체는 사용자의 조작 동작에 따라 제어된다.
DE 103 26 684 A1호는 접근 및/또는 접촉 시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센서 장치를 기술하고, 이러한 센서 장치는 용량성 센서 소자를 포함하며, 접촉 감도는 전도성 물질의 프린팅 또는 코팅을 통해 달성된다. 이 경우, 프린팅 또는 코팅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므로, 후방으로부터의 스위치의 조명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프린팅 또는 코팅은 심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스위치의 라벨 부여(labeling)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시각적으로 조화롭게 내부 공간에 어울리며 조작하기가 간단하고 안전한, 자동차 내부 공간을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1차 광원과 광 패널 사이에는 사전 결정된 형태로 배치되는 간섭 지점들을 구비한 광 안내 요소가 배치되며; 2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광 안내 요소 내로 주입되도록 2차 광원이 배치되며; 광 패널은 접촉 감지식 및/또는 접근 감지식으로 구성됨;으로써 해결된다. 이 경우, "1차 광원과 광 패널 사이"라는 용어는 특히 1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주 전파 방향에 평행인 방향과 관련된다. 재차, 이러한 방향은, 1차 광원으로부터 광 패널을 통과하여, 특히 광 패널의 기하학적 중심을 통과하여 차량 내부 공간까지 연장되는 방향에 상응한다.
이 경우, 1차 광원은 실제의 램프에 상응하고, 내부 공간의 조명을 담당한다. 이는 LED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램프는 리플렉터(reflector) 및/또는 시준기(collimator)로서 구성될 수 있는 광 지향 요소를 포함한다. 램프는 소위 광 패널, 즉 투명한 차단 패널에 의해 차량 내부 공간을 향한 경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 패널로부터, 1차 광원에 의해 방사된 광은 차량 내부 공간에 도달한다. 이 경우, 차단 패널 또는 광 패널은 사용자에 의해, 조명 면으로서 인지된다. 1차 광원은, 램프를 활성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발광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연결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 이는 단순한 스위치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주변 광 센서의 센서 데이터, 더욱 복잡한 사용자 입력값, 또는 승객에 의한 차량 점유에 대한 데이터의 고려 하의 더욱 복잡한 제어부들도 고려 가능하다. 여기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조가 종래의 조명 장치에 상응한다.
2차 광원은 특히 스위치 오프 상태인 램프에 표식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2차 광원의 광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 광 안내 요소 내로 주입된다. 광 안내 요소 내부에는 주입된 광이 광 안내 요소로부터 산란되어 나오도록 하기에 적합한 간섭 지점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간섭 지점들은 광 안내 요소의 표면에 직접 배치되거나 광 안내 요소의 체적 내에 더 깊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 지점들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사전 결정된 형태를 나타내도록 서로 상대적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이러한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광 패널에 평행하게 또는 차량 내부 공간을 향한 광 패널의 외부 표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간섭 지점들에 의해 광 패널의 방향으로 산란되는 2차 광원의 광 성분은 사용자에 의해 광 패널 상의 사전 결정된 형태로 인지될 수 있으며, 램프의 표식 제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사전 결정된 형태는 픽토그램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개별 램프들의 간단하고 효과적인 표식 제공이 가능하다. 광 안내 요소 내에 제공되는 간섭 지점들은 점, 선 및/또는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간섭 지점들에서는 광 안내 요소 내로 주입된 광이 산란되어 관찰자 방향으로 편향된다. 이를 위해, 2차 광원의 광은 측방향에서 광 안내 요소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섭 지점들에 충돌하지 않는 광은 1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광 안내 요소를 횡단하므로, 램프로부터 방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전 결정된 패턴, 기호 또는 픽토그램의 조명을 통한 램프의 매우 단정한 표식 제공이 얻어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광 안내 요소는 광 패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와 같이 대칭 구성이 얻어지고, 이로 인해 램프의 표식의 균일한 도시가 얻어진다. 이 경우, 2개 방향들의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 또는 수직인 배향은, 특히 이러한 방향들이 서로 평행 또는 수직이거나, 10°를 초과하지 않는 작은 각을 서로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수한 경우, 2개 방향들은 서로 각각 정확히 평행 또는 수직으로 배향된다.
광 안내 요소가 광 패널과 10°를 초과하는, 예를 들어 20°를 초과하는, 또는 심지어 30°를 초과하는 큰 각을 이루는 실시예들도 물론 가능하다. 각각의 경우에, 광 안내 요소가 평행 평면판의 형태를 갖는 경우가 바람직한데, 이는 1차 광원의 광이 가능한 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광 안내 요소를 횡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1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광 전파 방향으로 보아, 광 패널의 횡단면이 광 안내 요소의 상응하는 횡단면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찬가지로 거의 점 형태의 작은 광원들로부터의 광을 더 큰 표면으로부터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눈부심 효과가 사용자를 위해 방지되거나 적어도 확실히 감소된다.
사용자를 위해 조작을 특히 간단하게 구성하기 위해, 조명 장치는, 1차 광원이 스위치 오프되고 2차 광원이 스위치 온될 때 사전 결정된 형태가 가시화되는 광 패널의 영역이 접촉 감지식으로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램프의 표식을 포함하는 영역을 정확하게 접촉해야하므로,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물론, 전체 광 패널이 접촉 감지식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광 패널의 어느 영역을 접촉하는지를 주의할 필요가 없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는 한편으로는 접촉 감지식 영역과의 기계적 접촉을 통해 실행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센서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응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 예를 들어 손가락의 접근을 통해서도 실행된다. 이하에서 이러한 2가지 가능한 수단들은 항상 서로 별개로 설명되지는 않으므로, 본원의 범주에서 "접촉 감지식"이라는 표현은 양자 택일적으로 항상 "접근 감지식"도 의미할 것이다.
2차 광원이 스위치 온될 때 사전 결정된 형태가 광 패널의 중앙 영역에서 가시화되는,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 결정된 패턴을 형성하는 간섭 지점들이 마찬가지로 광 안내 요소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램프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외관이 얻어진다. 특히,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픽토그램들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패턴들이 존재하는 경우, 패턴들을 중앙이 아니라 광 패널의 중앙 밖에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광 안내 요소 내 간섭 지점들의 배치에도 이에 상응하는 구성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램프의 스위치 온을 위한 픽토그램 및 램프의 스위치 오프를 위한 픽토그램이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다양한 형태들 또는 픽토그램들에 의해 상응하게 표식이 제공되는 여러 가지 접촉 감지식 영역들과, 다양한 조명 프로그램들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다양한 조명 강도들이거나, 복수의 램프들의 동시적 제어거나, 다양한 광 색상들일 수도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일 실시예에서, 광 안내 요소는 광 지향 요소와 광 패널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위해서는 기존의 광 지향 요소 및 광 패널에 대한 어떠한 변경도 실행될 필요가 없다. 대신에,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큰 구조적 추가 복잡성 없이 간단하게 광 안내 요소가 광 지향 요소와 광 패널 사이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이"라는 용어는 특히 1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주 전파 방향에 평행인 방향과 재차 관련된다. 즉, 바꿔 말해 이러한 방향으로는 광 지향 요소와 광 안내 요소 사이에 뿐만 아니라 광 안내 요소와 광 패널 사이에도 간격이 존재한다.
특별한 일 실시예에서, 광 안내 요소는 광 패널을 향한 광 지향 요소의 단부와 1차 광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바꿔 말해, 이때 광 안내 요소는 광 지향 요소를 가로지른다. 이를 위해, 광 지향 요소는 복수 부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1차 광원과 광 안내 요소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부분과; 광 안내 요소와 광 패널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이는 특히, 광 지향 요소가 리플렉터인 경우에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장착 깊이에 있어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볼 때 리플렉터의 일부가 부유(floating)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가 얻어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광 안내 요소는 1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광 안내 요소를 횡단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광 안내 요소는, 1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주 전파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얇은 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 안내 요소는 광 패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될 수도 있다. 이때, 1차 광원의 광은 우선 광 안내 요소를 횡단한 다음, 광 패널을 횡단하고, 이로부터 차량의 내부 공간에 도달한다. 2차 광원의 광은 우선 광 안내 요소 내로 주입되어, 간섭 지점들에서 산란된다. 이후, 광 패널의 방향으로 산란된 2차 광원의 광 성분은 마찬가지로 광 패널을 횡단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마찬가지로 차량의 내부 공간에 도달한다. 이에 반해, 1차 광원의 광은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광 안내 요소를 횡단한다.
콤팩트한 램프를 얻기 위해, 광 안내 요소가 0.1㎜ 내지 3㎜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 안내 요소는 비용면에서 유리하게 제조 가능하고, 작은 구조 공간을 필요로 하며, 1차 광원의 광에 최소의 영향만을 미친다. 특히 얇은 광 안내 요소들은 0.1㎜ 내지 1㎜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박막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은, 접촉 감지식 광 패널로부터 송출된 센서 신호에 따라 1차 광원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광 패널의 접촉 감지식 영역 또는 광 패널의 간단한 접촉이 램프의 단순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를 야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접촉의 기간 또는 특정 접촉 패턴을 통해 추가 제어 명령들이 릴리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램프가 밝기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은, 2차 광원이 1차 광원의 작동 상태와는 무관하게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1차 광원이 스위치 온되자 마자, 2차 광원을 스위치 오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상응하게, 언제나 램프의 위치 및 기능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1차 광원이 스위치 오프되자 마자, 2차 광원은 스위치 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램프 또는 제어 유닛은 2차 광원이 차량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 상태로서, 예를 들어 2가지 상이한 상태들, 즉 비사용 상태라는 의미의 "주차" 및 사용 상태라는 의미의 "주행"이 구별될 수 있다. "주행" 상태에서 차량이 반드시 운행 중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주행" 상태는 차량에 탑승자가 있음이 인식되자마자 설정되어야 한다. 이는 차문의 모니터링을 통해, 좌석에 작용하는 중량의 모니터링을 통해, 또는 다른 방법 및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2차 광원의 발광력 또는 복수의 2차 광원들의 총 발광력이 1차 광원의 발광력의 50%미만, 바람직하게는 30%미만,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미만이다. 이와 같이, 에너지 효율적인 구성이 제공되고, 순수 스위치 탐색 조명이 사용자를 눈부시게 하지도, 방해하지도 않도록 보장된다.
비용면에서 유리한 구성에서, 광 안내 요소는 광 전도성 박막으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박막은 비용면에서 유리하게 제조 가능하고, 유연하게 가공될 수 있다.
차량 내부 공간의 쾌적한 조명을 달성하기 위해, 광 패널은 체적 산란 장치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광 지향 요소는 리플렉터 또는 시준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2가지 가능한 수단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더 논의되지 않는다. 물론, 다른 유형의 광 지향 요소들도 고려 가능하다.
광 안내 요소 내의 간섭 지점들은 레이저 조사를 통해, 이온 빔을 통해, 광 안내 요소 표면의 기계적 가공을 통해, 또는 광 안내 요소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형태, 특히 사출 성형용 주형의 상응하는 구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안내 요소 내로 주입된 광의, 광 패널 방향으로의 산란을 야기하는 각각의 구성이 고려 가능하다. 특히 간섭 지점들 또는 사전 설정된 형태가 광 안내 요소 내에 새겨질 수 있다.
2차 광원은 유색 광을 방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이때 각각의 램프는 유색의 심볼, 기호 또는 픽토그램을 통해 표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개선예에서, 2차 광원은 적어도 2가지 상이한 색상들의 광을 방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각각 방출된 색상은 제어 신호에 좌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광 안내 요소의 서로 대향 배치된 측면들에 배치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상이한 색상들의 광을 방출하는 2개 이상의 2차 광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 즉 광 안내 요소의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일한 조건은, 2차 광원의 배치가, 각각 방출된 광의 광 안내 요소 내로의 효과적인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과; 간섭 지점들에서 산란되지 않은, 2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 성분이 차량 내부 공간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간섭 지점들에서 산란된, 2차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 성분만이 차량 내부 공간에 도달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간섭 지점들의 배치를 통해 사전 설정되는 형태의 명확하게 분리된 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되, 이미 스위치 오프 상태인 조명 장치의 확산 조명은 인지되지 않는 것이 달성된다.
광 안내 요소의 크기 또는 횡단면적은 광 지향 요소의 크기 또는 횡단면적에 기초하거나 이에 상응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대개 광 패널이 광 지향 요소보다 더 큰 표면을 가지므로, 광 패널이 광 안내 요소보다 더 큰 표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개선예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 광 안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추가 2차 광원이 존재하므로, 2차 광원 및 상기 추가 2차 광원의 작동 상태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사전 결정된 다양한 형태들이 가시화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추가의 외부 매개 변수에 따라 광 패널의 접촉이 다양한 기능들을 릴리즈한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들과 하기 설명부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1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2)의 제1 실시예가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조명 장치(2)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LED 또는 복수의 LED 형태로 구성된 1차 광원(4)을 포함한다. LED(4)의 광은 도면에서 아래를 향한 1차 방사 방향으로 방사된다. LED(4)의 1차 방사 방향에 대한 일정 각도 하에 방출되는 광 성분들은 마찬가지로 1차 방사 방향으로 전파되도록 광 지향 요소(6)에 의해 편향된다. 광 지향 요소(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플렉터로서 구성된다. 이때, 이로 인해 평행하게 1차 방사 방향으로 전파되는 광선들은 우선 광 안내 요소(8)를 횡단한 다음, 광 패널(12)을 횡단하며, 이후 차량의 내부 공간으로 도입된다. 광 패널(12)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방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광 패널은 예를 들어 정방형, 타원형 또는 원형과 같은 여타 형태들을 취할 수도 있다.
1차 광원(4)과 광 패널(12) 사이에는 광 안내 요소(8)가 배치된다. 이러한 광 안내 요소는 광 패널(1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플렉터(6)를 관통한다. 광 안내 요소(8) 외부에 배치된 2차 광원(10)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이 광 안내 요소(8) 내로 주입된다. 이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광 안내 요소(8)의 단부면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광 안내 요소(8) 내로 주입된 2차 광원(10)의 광은 광 안내 요소(8) 내에 존재하는 간섭 지점들에서 산란되어, 광 패널(12)의 방향으로 광 안내 요소(8)를 벗어나고, 이후 이러한 광은 1차 광원(4)으로부터 방출되는 광과 함께 상기 광 패널을 횡단하고, 차량 내부 공간으로 도입된다. 2차 광원(10)은 마찬가지로 LED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는 1차 광원(4) 뿐만 아니라 2차 광원(10)도 스위치 온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도면의 아랫쪽 영역에는 광 패널(12)의 평면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인지되는 광(14)이 도시되어 있다. 방사되는 광 필드(14)는 실질적으로 광 패널(12)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광 안내부(8) 내의 간섭 지점들에서 산란된 광을 통해 발생되어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픽토그램(16)이 인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픽토그램(16)은 1차 광원(4)이 스위치 오프되는 경우에 나타난다. 1차 광원(4) 뿐만 아니라 2차 광원(10)도 스위치 온 될때는, 보통의 경우 1차 광원(4)의 광이 2차 광원(10)의 광보다 더 강하게 방사되므로, 픽토그램(16)은 가시화되지 않는다. 이 점에 있어서는, 본 도면의 윗쪽 부분과는 다르게, 광 필드(14)가 어둡고 픽토그램(16)만이 가시화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2 실시예가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본 도면에서 광 지향 요소(6)는 광 안내 요소(8)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광 지향 요소(6)와 광 안내 요소(8) 간에 1차 전파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간격이 존재한다. 광 지향 요소(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리플렉터로서 구성되지만, 이 경우 시준기를 통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조명 요소(2)의 도시된 다른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없다.
2 조명 장치
4 1차 광원
6 광 지향 요소
8 광 안내 요소
10 2차 광원
12 광 패널
14 인지된 광 필드
16 픽토그램

Claims (10)

1차 광원(4); 광 지향 요소(6); 및 조명 장치(2)를 차량의 내부 공간을 향해 차단하는 광 패널(12);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에 있어서,
- 1차 광원(4)과 광 패널(12) 사이에는 사전 결정된 형태로 배치되는 간섭 지점들을 구비한 광 안내 요소(8)가 배치되며,
- 2차 광원(1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광 안내 요소(8) 내로 주입되도록 2차 광원(10)이 배치되며,
- 광 패널(12)은 접촉 감지식 및/또는 접근 감지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에 있어서, 광 안내 요소(8)는 광 패널(1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차 광원(4)이 스위치 오프되고 2차 광원(10)이 스위치 온될 때 사전 결정된 형태가 가시화되는 광 패널(12)의 영역이 접촉 감지식 및/또는 접근 감지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안내 요소(8)는 광 지향 요소(6)와 광 패널(1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안내 요소(8)는 광 패널(12)을 향한 광 지향 요소(6)의 단부와 1차 광원(4)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안내 요소(8)는 0.1㎜ 내지 3㎜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안내 요소(8)는 광 전도성 박막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차 광원(10)은 2가지 이상의 상이한 색상들의 광을 방출하도록 형성되고, 각각 방출된 색상은 제어 신호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광 안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추가 2차 광원이 존재하므로, 2차 광원 및 상기 추가 2차 광원의 작동 상태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사전 결정된 다양한 형태들이 가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KR1020190036609A 2018-04-04 2019-03-29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 KR20190116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5059.7A DE102018205059A1 (de) 2018-04-04 2018-04-04 Beleuchtungseinrichtung zum Beleuchten eines Innenraums eines Fahrzeugs
DE102018205059.7 2018-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68A true KR20190116068A (ko) 2019-10-14

Family

ID=6590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609A KR20190116068A (ko) 2018-04-04 2019-03-29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88925B2 (ko)
EP (1) EP3549824B1 (ko)
JP (1) JP2019182409A (ko)
KR (1) KR20190116068A (ko)
CN (1) CN110341590B (ko)
DE (1) DE102018205059A1 (ko)
ES (1) ES294310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7941B (zh) * 2016-09-19 2022-05-17 李尔公司 包括受照特征的交通工具座椅
DE102020200446A1 (de) * 2020-01-15 2021-07-15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zeige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21001463B3 (de) 2021-03-19 2022-09-22 Mercedes-Benz Group AG Beleuchtetes Bauteil und Ambientebeleu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9152A (en) 1990-10-30 1993-08-24 Donnelly Corporation Touch sensor panel with hidden graphic mode
DE19537168B4 (de) 1994-10-14 2010-01-21 Volkswagen Ag Elektrischer Schalter in einem Kraftfahrzeug
JP4085873B2 (ja) * 2003-04-21 2008-05-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表示装置
DE10326684A1 (de) 2003-06-03 2004-12-23 Ego Control Systems Gmbh + Co. Kg Sensorvorrichtung
JP2009545488A (ja) * 2006-08-01 2009-12-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照明装置
DE102009001412B4 (de) 2009-03-09 2018-10-11 Volkswagen Ag Kapazitives Anzeige- und Bedienelement
EP2230130A1 (en) * 2009-03-20 2010-09-22 SMR Patents S.à.r.l. LED illumination module with touch sensitive controls and overhead console using the module
DE102009037104B4 (de) 2009-08-11 2023-07-0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und Bedien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DE102009060355B4 (de) * 2009-12-24 2021-06-02 Volkswagen A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s
DE102010013947B4 (de) 2010-04-06 2017-10-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apazitiver Annäherungssensor
JP5626868B2 (ja) * 2010-08-25 2014-11-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室内照明灯
DE102011077896A1 (de) 2011-06-21 2012-1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 und Anzeige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Haushaltsgerät
US9434300B2 (en) * 2012-05-29 2016-09-06 Mohammad A. Pasdar Multi-color in-dash lighting system for changing vehicle backlighting
DE102013012228A1 (de) * 2013-07-23 2015-01-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leuchte zur Beleuchtung des Innenraums eines Fahrzeugs
FR3010484A1 (fr) * 2013-09-09 2015-03-13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d'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13018989A1 (de) 2013-11-13 2015-05-13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Berührungssensitiver 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US9495040B2 (en) * 2013-11-21 2016-1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ectively visible user interface
DE102014217200A1 (de) * 2014-08-28 2016-03-03 Hella Kgaa Hueck & Co. Leuchtvorrichtung
ES2780973T3 (es) * 2017-05-24 2020-08-27 Flex Automotive Gmbh Dispositivo,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la representación un símbolo de luz flot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41590B (zh) 2022-12-20
US20190308553A1 (en) 2019-10-10
EP3549824A1 (de) 2019-10-09
ES2943108T3 (es) 2023-06-09
DE102018205059A1 (de) 2019-10-10
EP3549824B1 (de) 2023-02-15
US10688925B2 (en) 2020-06-23
JP2019182409A (ja) 2019-10-24
CN110341590A (zh)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6068A (ko)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
CN107111471B (zh) 交通工具、用户界面和用于在两个显示装置上交叠地显示显示内容的方法
JP6173580B2 (ja) コントロール装置の入力領域用の2重グラフィックラベル
US10124767B1 (en) Vehicle exterior keypad having interior lamp
US9751461B2 (en) Device for displaying at least one pictogram inside a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WO2016079930A1 (ja) 入力操作装置
US20100238677A1 (en) Led illumination module with touch sensitive controls and overhead console using the module
JP6079469B2 (ja) 照明付タッチスイッチ装置
JP2011152873A (ja) 車両室内意匠の発光構造
US10720089B2 (en) Display device
JP2016057101A (ja) 表示装置
JP2016110775A (ja) 車両用スイッチ装置
JP2015082438A (ja) 照明装置
US20210356096A1 (en) Area light decorative element with optically activable symbol body
JP4186910B2 (ja) 表示装置
GB2419021A (en) Control panel with back-lit graphic
JP7159981B2 (ja) 照明装置
JP2010091337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026687B1 (ko) 버튼 조명장치
JP2015229414A (ja) 車両用開閉体照明装置
US9835789B2 (en) Illuminated operational device
CN218986517U (zh) 一种车门内拉手及车辆
JP2005258208A (ja) 表示装置
JP6876493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23126034A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