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687B1 - 버튼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버튼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687B1
KR101026687B1 KR1020080106516A KR20080106516A KR101026687B1 KR 101026687 B1 KR101026687 B1 KR 101026687B1 KR 1020080106516 A KR1020080106516 A KR 1020080106516A KR 20080106516 A KR20080106516 A KR 20080106516A KR 101026687 B1 KR101026687 B1 KR 10102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symbol
lay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566A (ko
Inventor
임재우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6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1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using a programmable display, e.g. LED or LC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4LED

Abstract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마치 심볼이 없는 것처럼 심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조명이 켜지면 심볼이 발광하면서 밝게 표시되도록 하는 버튼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광원부는 광을 조사한다. 지지부는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 반투명층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적층되는 것으로 외부의 빛을 차단시키고 일정 파장영역에서만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킨다. 마스킹부는 상기 반투명층의 전방에 적층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차단시키는 불투명층과 상기 불투명층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층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평상시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마치 심볼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게 하는 효과를 내어, 차량 실내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버튼, 조명, 차량

Description

버튼 조명장치{Device for lighting of button}
본 발명은 버튼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품 작동용 버튼에 발광패턴을 형성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버튼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운전자에게 공조모드, 풍량세기, 에어컨 온-오프, 내기-외기모드, 오디오 조작용 등의 각종 조작버튼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버튼들은 작동 시 외부로 빛을 내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조명장치를 구비한다.
종래의 버튼 조명장치는 조작버튼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PCB),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버튼의 누름 작동 시 광을 조사하여 외부로 버튼이 켜져 있음을 심볼로 표시하고 있다.
즉, 종래의 버튼 조명장치는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하우징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에 버튼캡이 조립된다. 상기 버튼캡 내부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버튼캡의 전면 표면에 불투명층이 형성된다. 상기 불투명층은 통상 검정색 등의 어두운 컬러 계열로 블랙마스킹(Black masking)되어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불투명층에 식각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투명층이 형성된다.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은 상기 불투명층은 투과하지 못하고 상기 투명층을 통해 투과되어 외부로 발광된다.
따라서, 종래의 버튼 조명장치는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심볼이 형성되어,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흰색 등의 컬러로 심볼이 외부에 표시되고 조명이 켜지게 되면 심볼이 발광하며 밝게 외부로 표시된다.
하지만, 종래의 버튼 조명장치는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도 심볼이 흰색 등의 컬러로 항시 외부에 노출되어, 차량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디자인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버튼 조명장치는 하나의 버튼에 하나의 심볼이 형성되어 하나의 기능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약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간안에 점차 다양해지는 차량 전장품들의 기능을 모두 수용할 수 없었다. 만약, 다양한 차량 전장품들의 기능을 모두 수용하려면, 불가피하게 버튼의 개수가 증가하여 차량 실내 인테리어가 복잡해지고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는 마치 심볼이 없는 것처럼 심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조명이 켜지면 심볼이 발광하면서 밝게 표시되도록 하는 버튼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에 적어도 두 가지의 심볼을 표시하도록 구현되어, 하나의 버튼이 다양한 작동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버튼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적층되는 것으로, 외부의 빛을 차단시키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반투명층, 및 상기 반투명층의 전방에 적층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차단시키는 불투명층과, 상기 불투명층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층으로 구성된 마스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마스킹부의 전방에 적층되며, 상기 불투명층과 투명층의 경계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보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층은 상기 불투명층에 적어도 두 개의 심볼(Symbol)을 갖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버튼이 눌러지는 단계에 따라 제1단계에서 하나의 심볼만 발광되어 노출되고 제2단계에서 다른 심볼만 발광되어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는 평상시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마치 심볼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게 하는 효과를 내어, 차량 실내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는 하나의 버튼에 적어도 두 가지의 심볼을 표시할 수 있어, 제약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간안에서 다양한 차량 전장품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는 광원부(10)와, 지지부(50)와, 반투명층(40) 및, 마스킹부를 구비한다.
광원부(10)는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 벌브(Bulb), 발광다이오드(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50)는 상기 광원부(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50)는 버튼 케이스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50)는 클리어 폴리카보네이트(Clear PC), 아크릴(PMMA)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렌즈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반투명층(40)은 상기 지지부(50)의 전방에 적층된다. 상기 반투명층(40)은 상기 반투명층(40)는 외부의 빛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반투명층(40)은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마스킹부는 상기 반투명층(40)의 전방에 적층된다. 상기 마스킹부는 불투명층(20) 및 투명층(30)으로 구성된다.
불투명층(20)은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차단시킨다. 상기 불투명층(20)은 검정색 등의 어두운 컬러 계열로 블랙마스킹(Black mask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투명층(30)은 상기 불투명층(20)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층(30)의 패턴은 심볼(Symbol)이 되며, 상기 심볼은 숫자, 문자, 기호, 그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투명층(30)은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상기 광원부(10)에 전원이 인가되면 광은 상기 불투명층(20)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투명층(30)만을 투과하여 외부로 심볼이 발광되게 된다.
상기 투명층(30)은 전술한 것처럼 블랙마스킹 처리되어 형성된 상기 불투명층(20)을 소정 패턴으로 식각하여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층(30)은 상기 불투명층(20)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 공간부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투명층(30)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불투명층(20)에 소정 패턴으로 심볼을 형성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광원부(10)의 전방에 배치된 지지부(50)에 반투명층(40), 마스킹부가 차례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광원부(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상기 반투명층(40)을 투과하고 상기 투명층(3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발광된다.
이 경우, 외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를 바라보게 되면, 상기 반투명층(40)이 외부의 빛을 차단하여 심볼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만약, 상기 반투명층(40)이 구비되지 않으면, 외부의 빛이 상기 투명층(30)의 심볼 패턴에 반사되어 심볼이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불투명층(20)이 검은색으로 이루어진다면, 조명이 꺼졌을 때 외부에서 버튼의 전면이 모두 검은색으로 보이고 조명이 켜지면 심볼이 발광되며 외부에서 식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삭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는 보호층(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호층(60)은 상기 마스킹부의 전방에 적층된다. 상기 보호층(60)은 상기 불투명층(20)과 투명층(30)의 경계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보호층(60)은 버튼의 최전방 표면에 배치되어, 상기 불투명층(20) 및 투명층(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호층(60)은 아크릴 필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층(30)은 불투명층(20)을 소정 패턴으로 식각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투명층(30)과 불투명층(20)의 경계에 단차가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단 차는 버튼을 외부에서 바라볼 때,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심볼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층(60)은 상기 투명층(30)과 불투명층(20)의 경계를 외부에서 완전히 보이지 않게 하여,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도 심볼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광원부가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될 경우, 상기 반투명층(40)은 상기 광원부로(10)부터 조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그레이톤의 투명프린트(Gray transparent print)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Gray transparent print 재질은 투과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기능을 한다. LED와 같은 빛은 직진성이 강하므로 빛을 산란시키는 재질이 없을 경우, 보는이로 하여금 직접적인 광원을 보게하여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음영차이가 두드러지며, 이에 따라 눈의 피로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Gray transparent print 재질은 심볼 전체에 은은하게 발광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경우, 상기 Gray transparent print 소재는 약 15% 내지 45%의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는 차량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된다.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각종 전장품 하우징(90)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90)에 각종 버튼(91)들이 설치된다. 상기 버튼(91)들에 각종 심볼(99)이 형성된다. 상기 심볼(99)은 광원부(10)에 전원 이 인가되면 외부로 발광되고, 상기 광원부(10)에 전원이 차단되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은 일 예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 밖에도 매우 다양한 작동을 보이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버튼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층(30)은 상기 불투명층(20)에 적어도 두 개의 심볼(Symbol) 패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91)이 눌러지는 단계에 따라 제1단계에서 하나의 심볼만 발광되어 노출되고 제2단계에서 다른 심볼만 발광되어 노출된다. 즉, 버튼(91)이 눌러져 미돌출된 푸쉬락 상태에서는 "VOLUME" 심볼(99a)만 발광되도록 광이 조사되어 볼륨조절 기능의 노브로 사용한다. 또한, 버튼(91)이 한번더 눌러져 돌출된 상태에서는 "SEEK" 심볼(99b)만 발광되도록 광이 조사되어 SEEK 기능의 노브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현 예는 "VOLUME" 심볼(99a)이 발광될 때 "SEEK" 심볼(99b)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LUME" 심볼로 빛을 비추는 광원과, "SEEK" 심볼로 빛을 투과하는 광원부를 별도로 존재시키는 동시에, "VOLUME" 심볼로 빛을 비추는 광원부는 "SEEK" 심볼로는?볶岵? 투과되지 않도록 하고, "SEEK" 심볼로 빛을 비추는 광원부는 "VOLUME" 심볼로는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버튼이 1단계로 눌러지는 단계에서는 "VOLUME"심볼을 비추는 광원부만이 발광되도록 하고, 버튼이 2단계로 눌러지는 단계에서는 "SEEK" 심볼을 비추는 광원부만이 발광되도록 하는 동시에, "VOLUME" 심볼을 비추는 광원부와, "SEEK" 심볼을 비추는 광원부 사이에는 칸막이 등이 설치되어서 각각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튼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버튼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원부 20 : 불투명층
30 : 투명층 40 : 반투명층
50 : 지지부 60 : 보호층

Claims (4)

  1.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 가능한 합성수지 소재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전방에 적층되는 것으로, 외부의 빛을 차단시키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반투명층; 및
    상기 반투명층의 전방에 적층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차단시키는 불투명층과, 상기 불투명층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층으로 구성된 마스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부의 전방에 적층되며, 상기 불투명층과 투명층의 경계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보호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발광다이오드(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명장치.
  4. 삭제
KR1020080106516A 2008-10-29 2008-10-29 버튼 조명장치 KR10102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516A KR101026687B1 (ko) 2008-10-29 2008-10-29 버튼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516A KR101026687B1 (ko) 2008-10-29 2008-10-29 버튼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66A KR20100047566A (ko) 2010-05-10
KR101026687B1 true KR101026687B1 (ko) 2011-04-07

Family

ID=4227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516A KR101026687B1 (ko) 2008-10-29 2008-10-29 버튼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41B1 (ko) 2013-09-24 2015-03-16 주식회사 대동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 및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포함된 인디게이터
KR20150102456A (ko) * 2014-02-28 2015-09-07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중인쇄필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조명 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126B1 (ko) 2003-06-09 2006-03-10 (주)라이코 복수화상 재현장치
KR100690157B1 (ko) 2005-07-06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마이컴
KR100856440B1 (ko) 2007-01-26 2008-09-04 (주)매트릭스 멀티 발광이 가능한 이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엘 키패드
KR20080083910A (ko) * 2007-03-14 2008-09-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버튼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126B1 (ko) 2003-06-09 2006-03-10 (주)라이코 복수화상 재현장치
KR100690157B1 (ko) 2005-07-06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마이컴
KR100856440B1 (ko) 2007-01-26 2008-09-04 (주)매트릭스 멀티 발광이 가능한 이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엘 키패드
KR20080083910A (ko) * 2007-03-14 2008-09-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버튼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41B1 (ko) 2013-09-24 2015-03-16 주식회사 대동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 및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포함된 인디게이터
KR20150102456A (ko) * 2014-02-28 2015-09-07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중인쇄필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조명 스위치
KR101602285B1 (ko) * 2014-02-28 2016-03-1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중인쇄필름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다중 조명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566A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884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wo graphics
CN107710314B (zh) 显示装置
KR20160072129A (ko) 제어 디바이스의 입력 구역용 듀얼 그래픽 라벨
CN101427332B (zh) 电气设备的照亮
WO2014129577A1 (ja) 表示装置
US5703625A (en) Illuminated push button display
CN111527003B (zh) 具有集成的操作元件的线形照明装置
KR101026687B1 (ko) 버튼 조명장치
WO2007085981A2 (en)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commands
KR20190116068A (ko) 차량 내부 공간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
JP2019056735A (ja) 表示装置
JP4529546B2 (ja) パネル表示ユニット
JP2008040167A (ja) 表示装置
JP4186910B2 (ja) 表示装置
JP2023074917A (ja) 照明装置
JP6433379B2 (ja) 操作装置
EP3228501A1 (en) Lighting device for an outer cover on a side of a vehicle
WO2020262484A1 (ja)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組み付け方法
JP2011090115A (ja) 表示装置
JP6628087B2 (ja) 操作装置
KR101704001B1 (ko) 차량용 조명버튼
KR20080080260A (ko) 입체 식별기능을 갖는 계기판
CN218447136U (zh) 显示装置及具有其的智能坐便器
JP7070027B2 (ja) 表示装置
JP2003231440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